KR20170075950A -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 Google Patents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950A
KR20170075950A KR1020150185557A KR20150185557A KR20170075950A KR 20170075950 A KR20170075950 A KR 20170075950A KR 1020150185557 A KR1020150185557 A KR 1020150185557A KR 20150185557 A KR20150185557 A KR 20150185557A KR 20170075950 A KR20170075950 A KR 2017007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ttery case
insulating paint
battery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8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950A/ko
Publication of KR2017007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87
    • H01M2/0292
    • H01M2/10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장착하고 밀봉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납부의 외주면을 밀봉하는 과정; (ii) 상기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 및 (iii) 상기 절연성 도료가 도포된 전지셀의 주변 온도를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로 승온시키는 가열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Method for Preparing Battery Cell Including Process for Applying Insulative Paint and Battery Cell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적층하거나 권취한 상태로 금속 캔 또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거나 함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전지의 고용량화로 인해 케이스의 대면적화 및 얇은 소재로의 가공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이에 따라,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이,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장착하고 있는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30)가 내장되어 있고, 그것의 전극 탭들(31, 32)이 두 개의 전극리드들(40, 41)에 각각 용접되어 전지케이스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파우치형 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와 밀봉부(24)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21)와 그러한 케이스 본체(21)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커버(22)로 이루어져 있다.
파우치형 케이스(20)는 외부 피복층(20A), 박막형 금속층(20B), 내부 수지층(20C)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이는 연포장재로서, 외부 충격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일셀을 플라스틱 사출물에 수납하거나, 다수의 셀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전지팩으로 제조하였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물 등은 소정의 두께를 가져야 하므로, 용량 대비 전지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극조립체와 연결된 전극리드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극리드의 노출 단부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데, 이러한 부가 공정 및 부품이 증가할 수록, 공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일 장치 내에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을 확보하고, 보다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 내에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을 확보하고, 부품 개수를 줄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전지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용량 대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외관이 미려한 파우치형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방법은 양극과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장착하고 밀봉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납부의 외주면을 밀봉하는 과정;
(ii) 상기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 및
(iii) 상기 절연성 도료가 도포된 전지셀의 주변 온도를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로 승온시키는 가열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정(i) 내지 과정(iii)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고 가열하는 클램핑 앤드 베이킹(Clamp & Baking)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은 클램프 앤드 베이킹 장치를 이용한 C&B 공정 중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별도의 절연테이프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파우치형 전지셀의 절연성 및 강도를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 방법은, 파우치형 케이스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베이킹 (Baking)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킹 공정은 클램핑 앤드 베이킹 장치 내에서 수행되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납하고 있는 전지케이스를 고정시키고, 측면에서 압력과 함께 12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행된다.
이에 의해 전극조립체의 각 구성요소가 밀착되어 전지 특성이 향상되며, 밀도 및 강도가 향상되어 안전성이 증가하고, 초기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토출시켜 매끈한 외관이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베이킹 공정에도 불구하고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소망하는 강도 및 절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이에 종래에는 C&B 공정 이후에 플라스틱 사출물에 전지셀을 수납하고, 외부로 노출된 전극 단자 또는 접속 부재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여 강도 및 절연성을 확보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이 절연 테이프 부착 과정, 플라스틱 사출물 수납 과정과 같은 추가 공정 없이 파우치형 전지셀의 절연성 및 강도를 확보하는 바, 공정 비용 및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과정(i)에서는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납부의 외주면을 밀봉한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구조로 형성된 것이면 특별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딩형 구조, 스택형 구조, 스택/폴딩형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특히,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유닛셀들이 분리필름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서, 고밀도 전지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융착이 행해지는 내부 수지층,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차단성 금속층, 및 내구성을 발휘하는 외부 피복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피복층은 외부 환경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부 피복층의 고분자 수지는 인장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연신 나일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지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전해액에 대한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차단성 금속층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20 ㎛ 내지 150 ㎛의 두께로 부가되며,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은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ii)에서는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포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과정(ii)은 절연성 도료가 내장되어 있는 스프레이(spray)를 전지케이스에 분사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과정(ii)은,
(a)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들을 마스킹 테이프로 각각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b)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절연성 도료가 내장되어 있는 스프레이를 분사하는 단계; 및
(c)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들로부터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는 용액을 압송하여 공기중에 분사하여 안개 형태로 용액을 분사하는 기구로서,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레이 또는 래커(lacquer)는, 절연성 도료를 광범위하게 살포하므로,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전극단자까지 절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a)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들을 마스킹 테이프로 각각 마스킹하여,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고, 스프레이를 분사(b)한 후, 상기 과정(c)에서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과정(b)은 스프레이를 3초 내지 100초 동안 분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과정(ii)은 절연성 도료를 분산시킨 용액에 전지케이스를 담지(dipping)시키거나, 절연성 도료를 분산시킨 용액을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도료는 전지케이스의 외면 전부에 도포될 수도 있고, 일부에 도포될 수도 있다.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의 외면 전부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 미려한 외관을 달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물에 대체하여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바, 바람직하다.
반대로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의 일부에 도포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전지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절연성 도료의 함량을 줄여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케이스의 일부에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는 경우, 상기 절연성 도료는, 전지케이스에서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외주면, 및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의 노출 단부에만 도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과정(iii)에서는 절연성 도료가 도포된 전지셀의 주변 온도를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로 승온시킨다.
이러한 가열 과정에서 절연성 도료는 경화되어 전지케이스에 강도를 부여하고, 절연성을 담보한다.
상기 과정(iii)은 앞서 설명한 베이킹 과정에 포함되는 바, 기존 C&B 공정에 대해, 별도의 부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절연성 도료가 충분히 경화될 수 있도록, 경화 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승온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정(iii)은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에서 20 초 내지 200 초 동안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 온도 지속 시간은 절연성 도료의 겔 타임(gel time), 비중, 및 연화점(softening point)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고온 상태로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지속시키는 경우, 전지셀 내 전해액이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상기 과정(i) 내지 상기 과정(iii)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은 C&B 공정 중에, 베이킹 공정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공정 효율이 개선되고,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공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지셀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어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가 도포 및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성 도료는 0.01 mm 내지 1 mm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0.1 mm 내지 0.5 mm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에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하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소망하는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을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절연성 도료는 전지케이스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지케이스 외면의 전부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 전지케이스의 밀봉부 및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의 노출 단부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전지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즉, 절연성을 필요로 하는 전지케이스의 밀봉부 및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의 노출 단부에는, 이미 절연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보다 절연성 도료를 두껍게 도포하여, 절연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도료의 절연 파괴 전압은 30 kV 내지 100 kV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절연 파괴 전압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내부 단락 등에 의해 고전류, 고전압 발생시 절연성이 확보되지 않아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도료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흑색, 회색, 은색, 또는 금색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콤팩트한 구조와 함께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바, 디바이스의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에 대응하여 우수한 외관을 가진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하는 전지팩과,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노트북, 스마트폰,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소형 디바이스; 또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는 대형 디바이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은 C&B 공정 중에, 베이킹 공정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색하는 과정을 편입하여, 별도의 사출물 또는 카트리지에 전지셀을 수납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을 확보하는 바, 공정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지셀은 기존 사출물 보다 얇은 두께의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어 있어, 용량 대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바,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 대표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 일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로서,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 외면 전부에 도포된 전지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로서,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 외면 일부에 도포된 전지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 일부를 나타낸 순서도가 모식적으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은 외관 및 강도 향상을 위한 C&B 공정을 수행한다. 도 2에는 이러한 C&B 공정을 수행하는, 클램핑 앤드 베이킹 장치(이하 "C&B 장치"라 한다; 200)가 도시되어 있다.
C&B 장치(200)는 외부로의 열 유출을 차단하는 챔버(210), 전지셀들을 베이킹하는 가열 장치(220), 전지셀이 수용되어 있는 가압 지그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230)를 포함한다.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시키고 밀봉하여 제조된 전지셀(200)은, 절연성 도료가 내장되어 있는 스프레이(400)를 도포하여 가압 지그(300)에 장착된다.
가압 지그(300)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수용하여, 베이킹 과정에서 전지셀에 압력을 인가하며, 전지셀의 밀도 및 강도를 향상시키고, 초기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토출시킨다.
다수의 전지셀들이 수용된 가압 지그(300)는 컨베이어(230)를 따라 C&B 장치(200)의 챔버(210)내부로 들어가며, 전지셀의 주변 온도를 승온시켜 베이킹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전지케이스 외면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는 경화되며,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절연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전지셀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로서,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 외면 전부에 도포된 전지셀을 나타낸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로서, 절연성 도료가 전지케이스 외면 일부에 도포된 전지셀을 나타낸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의 전지셀(100)은 전지케이스의 외면 전부에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어 있고, 도 4의 전지셀(101)은 전지케이스에서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외주면 및 전극리드의 노출 단부(141)에만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절연성 도료 도포시에는 마스킹 테이프(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전극리드를 마스킹한 후에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여, 전극리드의 연결 부위에 절연성 도료가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이들 절연성 도료들은 0.01 mm 내지 1 mm의 두께로 도포 및 경화되어 있어, 전지셀의 강도 및 절연성을 개선시킨다.
한편, 상기 도면들의 절연성 도료는 회색을 띄고 있으나, 적색, 청색 등의 선도 높은 색상과, 은색, 금색 등의 금속색으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전지셀(100)은 상면 및 하면(130)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전극리드의 노출 단부(140)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얇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은 전지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콤팩트한 구조를 가진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양극과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장착하고 밀봉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납부의 외주면을 밀봉하는 과정;
    (ii) 상기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 및
    (iii) 상기 절연성 도료가 도포된 전지셀의 주변 온도를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로 승온시키는 가열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 내지 과정(iii)은 전지케이스를 밀봉하고 가열하는 클램핑 앤드 베이킹(Clamp & Baking)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폴딩형 구조, 스택형 구조, 스택/폴딩형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은 절연성 도료가 내장되어 있는 스프레이(spray)를 전지케이스에 분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은,
    (a)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들을 마스킹 테이프로 각각 마스킹(masking)하는 단계;
    (b)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절연성 도료가 내장되어 있는 스프레이를 분사하는 단계; 및
    (c)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들로부터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b)은 스프레이를 3초 내지 100초 동안 분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은 절연성 도료를 분산시킨 용액에 전지케이스를 담지(dipping)시키거나, 절연성 도료를 분산시킨 용액을 전지케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도료는, 전지케이스에서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외주면, 및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의 노출 단부에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i)은 절연성 도료의 경화 온도에서 20 초 내지 200 초 동안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지셀로서,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되어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절연성 도료가 도포 및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도료는 0.01 mm 내지 1 mm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전지케이스의 밀봉부 및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의 노출 단부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가, 전지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도포된 절연성 도료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도료의 절연 파괴 전압은 30 kV 내지 100 k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도료의 색상은 흑색, 회색, 은색, 또는 금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6. 제 11 항에 따른 전지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7. 제 1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185557A 2015-12-24 2015-12-24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KR20170075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57A KR20170075950A (ko) 2015-12-24 2015-12-24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57A KR20170075950A (ko) 2015-12-24 2015-12-24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50A true KR20170075950A (ko) 2017-07-04

Family

ID=5935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557A KR20170075950A (ko) 2015-12-24 2015-12-24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9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847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ouch type exterior member with folded sealing part
US11329348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comprising metal can having groove
EP1519428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high safe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262956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75381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its fabrication method
CN110226254A (zh)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以及二次电池的袋及其制造方法
KR20070038113A (ko) 전지 팩
US9450217B2 (en) Pouch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66210B2 (en)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KR101438439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JP7443989B2 (ja)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7927735B2 (en) Secondary battery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KR20150115358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8790820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999254B (zh) 新颖的嵌入式结构的电池单体
KR20180047533A (ko) 원통형 전지셀의 절연성 물질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2069504B1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US11557819B2 (en) Battery pack and label attaching method thereof
EP4117097A1 (en) Secondary battery and repair method therefor
KR20170075950A (ko) 절연성 도료의 도포 과정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지셀
US20220393299A1 (en) Secondary Battery And Sealing Block
US2022041628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And Pressing Device
KR20140099846A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JP2005216659A (ja) リチウム2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