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289A -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 Google Patents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289A
KR20170075289A KR1020150184746A KR20150184746A KR20170075289A KR 20170075289 A KR20170075289 A KR 20170075289A KR 1020150184746 A KR1020150184746 A KR 1020150184746A KR 20150184746 A KR20150184746 A KR 20150184746A KR 20170075289 A KR20170075289 A KR 2017007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ft region
trench
pillar
metal lay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289A/ko
Publication of KR2017007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01L29/8725Schottky diodes of the trench MOS barrier type [TM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19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with a supplementary region doped oppositely to or in rectifying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containing or contacting region, e.g. guard rings with PN or Schottky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2Field plates
    • H01L29/407Recessed field plates, e.g. trench field plates, buried fiel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43Schottky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드리프트 영역, 드리프트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드리프트 영역과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 및 드리프트 영역과 금속층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에서 드리트프 영역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필라(pillar)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항복전압과 낮은 온저항을 가진다.

Description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Trench MOS Barrier Schottky(TMBS) with using trench filling}
본 발명은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키 장벽에 필라(pillar)가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높은 항복전압과 낮은 온저항을 가지는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Silicon schottky barrier diode rectifier는 낮은 forward voltage drop과 빠른 스위칭 특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rectifier이다. 하지만 역방향 전압에서 barrier lowering으로 인해 leakage current가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트렌치 금속 산화물 반도체(한국공개특허 10-2008-00946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쇼트키 장벽에 필라(pillar)가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높은 항복전압과 낮은 온저항을 가지는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쇼트키 장벽에 필라(pillar)가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높은 항복전압과 낮은 온저항을 가지는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에 있어서, 드리프트 영역;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 및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금속층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에서 드리트프 영역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필라(pillar)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 하단에 위치하는 N 타입 기판;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에 트랜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트랜치의 하단 및 측면에 위치하는 산화물; 상기 기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캐소드전극; 및 상기 금속층 상단에 위치하는 애노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은 N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라는, 상기 금속층과 접합하여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드리프트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막대 형태의 P 타입 필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라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전하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상기 필라의 도핑농도 또는 너비에 따라 트랜치 코너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을 분산시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필라는 슈퍼 정션(super-junction)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트랜치의 하단과 측면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N 타입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N 타입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트랜치 에칭하고, 에칭한 영역에 P 타입 에피를 증착시켜 P 타입 필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를 트랜치 에칭하고 산화물을 증착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하단에 캐소드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 상단에 애노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ype pillar와 n-drift간의 charge balance가 되어 항복전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pillar의 도핑농도 조절하여 trench corner에 electric field를 분산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N-drift와 Metal과의 schottky barrier에 비해 P-type pillar와 Metal과의 schottky barrier가 더 낮아 전류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의 특성이 나타나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가 제작될 때 고려되는 너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는 드리프트 영역;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 및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금속층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에서 드리트프 영역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필라(pillar)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는 드리프트 영역(120),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150) 및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금속층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에서 드리트프 영역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필라(pillar, 130)를 포함된다.
트랜치 모스 매리어 쇼트키 구조는 도 1과 같이, N 타입 기판(110),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N 타입 드리프트 영역(120),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에 트랜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트랜치의 하단 및 측면에 위치하는 산화물(140),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위치하는 금속층(150), 상기 기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캐소드전극(160) 및 상기 금속층 상단에 위치하는 애노드전극(170)을 포함한다. 각 층은 기상증착과 같은 다양한 증착기술에 의해 적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는 상기의 예 이외에 다른 형태의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판과 드리프트 영역은 N 타입으로 형성되며, 기판(110)은 드리프트 영역(120)보다 높은 도핑을 갖게 형성된다. 드리프트 영역(120) 소자 자체의 내압을 결정한다. 산화물(140)은 SiO2로 이루어진다. 트랜치의 하단과 측면은 산화물에 형성되어, 급속층(150), 산화물(140), 드리프트 영역(120)이 연달아 위치하여,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구조가 형성된다.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는 이온주입 없이 차지 커플링(charge coupling)을 이용하여 금속층(metal)과 반도체층(semiconductor)의 접촉(contact)에 인가되는 전계를 낮춰주어 누설 전류(leakage current)가 낮고 항복전압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SBD)와 비교하여 급속층과 반도체층 사이에 낮은 전계로 barrier lowering에 의한 누설 전류가 작다. 또한, 차지 커플링에 의해 항복전압이 크다. 하지만,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의 트렌치(trench)영역에 따른 액티브(Active) 영역이 감소로 SBD에 비해 전류 밀도 작으며, 역방향 전압을 인가할 시 트랜치 코너(Trench corner) 부근에 전자장(electric field)이 몰려 설계한 항복전압보다 낮게 측정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의 쇼트키 장벽에 필라(pillar, 130)가 삽입되어 형성된다.
필라(130)는, 금속층(150)과 접합하여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드리프트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막대 형태의 P 타입 필라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필라(130)는 금속층(150)과 드리프트 영역(120)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으로부터 드리프트 영역(120)으로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필라(130)는 드리프트 영역(120)과 전하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P 타입 필라(130)와 N 타입 드리프트 영역이 전하 균형을 이루면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의 내부 전계는 거리에 따라 평평해 지게 되며, 내부 전계가 증가하므로 필라가 삽입되지 않은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에 대비 최대 44.35% 향상된 항복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도 2의 1번 특징에 해당한다.
또한, P 타입 필라가 추가됨에 따라 금속층과 N 타입 드리프트 영역간의 액티브 영역이 줄어들지만, P 타입 필라는 N 타입 드리프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고 금속층과 P 타입 필라간 쇼트키 장벽 높이가 낮게 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저항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류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도 2의 3번 특징에 해당한다.
필라(130)의 도핑농도 또는 너비에 따라 트랜치 코너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을 분산시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트랜치 코너에 전기장이 몰리게 되어 항복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라의 도핑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2번 특징에 해당하는 경우로 도 2와 같이 트랜치 코너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필라를 삽입 형성함으로써 분산시킬 수 있다. 트랜치 코너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을 분산시키는 정도는 필라의 도핑농도 또는 너비에 영향을 받는다. 도 4는 쇼트키 장벽에서 기판쪽으로 형성되는 전기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필라의 도핑농도가 클수록 트랜치 코너에 전기장이 몰리는 현상이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필라의 너비가 넓을수록 항복전압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정 도핑농도를 넘어가게 되면, 항복전압이 오히려 떨어지는바, 필라의 도핑농도와 너비를 조절하여야 한다.
도 6은 필라 도핑농도에 따른 순방향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농도가 높아길수록 전류밀도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필라(130)는 슈퍼 정션(super-junction)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필라를 슈퍼 정션으로 이용함으로써 항복전압과 온저항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게 된다.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제작시, 도 3과 같은 수치들을 결정하게 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s=1.8um, m=2.4um, a=3um, b=9um, tox=0.2um, drift doping concentration=3 × 10^15 cm2, Wp=0.4um, pillar depth = 8u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정류기는 도 1 내지 도 6의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반도체 정류기에 비해, 향상된 항복전압과 온저항의 특성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710 단계에서 N 타입 기판을 형성하고, 720 단계에서 상기 기판 상에 N 타입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한다.
730 단계에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트랜치 에칭하고, 에칭한 영역에 P 타입 에피를 증착시켜 P 타입 필라를 형성한다. 필라를 삽입 형성함으로써 항복전압과 온저항의 특성이 향상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740 단계에서 상기 필라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를 트랜치 에칭하고 산화물을 증착하여 산화물을 형성한다. 트랜치 영역을 패터닝하여 해당 부분을 에칭하고, 산화를 증착한다. 750 단계에서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760 단계에서 상기 기판의 하단에 캐소드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 상단에 애노드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필라가 삽입형성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N 타입 기판
120: 드리프트 영역
130: 필라
140: 산화물
150: 금속층
160: 캐소드
170: 애노드

Claims (9)

  1.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에 있어서,
    드리프트 영역;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금속층; 및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금속층이 형성하는 쇼트키 장벽에서 드리트프 영역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필라(pillar)를 포함하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 구조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 하단에 위치하는 N 타입 기판;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에 트랜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트랜치의 하단 및 측면에 위치하는 산화물;
    상기 기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캐소드전극; 및
    상기 금속층 상단에 위치하는 애노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은 N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상기 금속층과 접합하여 쇼트키 장벽을 형성하는 드리프트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막대 형태의 P 타입 필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과 전하 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의 도핑농도 또는 너비에 따라 트랜치 코너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을 분산시키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슈퍼 정션(super-junction)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의 하단과 측면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정류기.
  9.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N 타입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N 타입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리프트 영역을 트랜치 에칭하고, 에칭한 영역에 P 타입 에피를 증착시켜 P 타입 필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와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드리프트 영역 상단 좌우를 트랜치 에칭하고 산화물을 증착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물 및 상기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은 드리프트 상단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하단에 캐소드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 상단에 애노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84746A 2015-12-23 2015-12-23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KR20170075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46A KR20170075289A (ko) 2015-12-23 2015-12-23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46A KR20170075289A (ko) 2015-12-23 2015-12-23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89A true KR20170075289A (ko) 2017-07-03

Family

ID=5935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746A KR20170075289A (ko) 2015-12-23 2015-12-23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2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3134A (zh) * 2017-12-27 2018-06-19 江苏中科君芯科技有限公司 具有浮空p岛的沟槽型二极管及其制备方法
WO2020151475A1 (zh) * 2019-01-21 2020-07-30 厦门市三安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碳化硅沟槽肖特基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3134A (zh) * 2017-12-27 2018-06-19 江苏中科君芯科技有限公司 具有浮空p岛的沟槽型二极管及其制备方法
WO2020151475A1 (zh) * 2019-01-21 2020-07-30 厦门市三安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碳化硅沟槽肖特基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812B2 (en) Diode, semiconductor device, and MOSFET
US9620631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6750508B2 (en) Power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provided with buried electrode
US6710418B1 (en) Schottky rectifier with insulation-filled trenche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74253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ateral diode
US20140231867A1 (en) Diod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built-in diode
US9711631B2 (en) Dual trench-gate IGBT structure
TWI495100B (zh) 用於高壓半導體功率裝置的邊緣終接的新型及改良型結構
US20180026129A1 (en) Trench Edge Termination Structure for Power Semiconductor Devices
US1016402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US9929285B2 (en) Super-junction schottky diode
CN116072710B (zh) 双沟槽型SiC MOSFET元胞结构、器件及制备方法
US2018016654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JP6694375B2 (ja) 半導体装置
US10483358B2 (en) Semiconductor cell structure and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9502547B2 (en) Charge reservoir IGBT top structure
US8357952B2 (en) Power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field effect rectif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613951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diode
KR20170075289A (ko) 트렌치 필링을 이용한 트랜치 모스 배리어 쇼트키(Trench MOS Barrier Schottky) 구조
KR101661551B1 (ko) 전자 축적을 이용한 4h-실리콘 카바이드 sbr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1151B1 (ko) 전력 정류 디바이스
US20170154965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2593357B1 (ko) 질화 갈륨 전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009081B (zh) 功率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3101037A (ja) 半導体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