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030A -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030A
KR20170075030A KR1020150169316A KR20150169316A KR20170075030A KR 20170075030 A KR20170075030 A KR 20170075030A KR 1020150169316 A KR1020150169316 A KR 1020150169316A KR 20150169316 A KR20150169316 A KR 20150169316A KR 20170075030 A KR20170075030 A KR 2017007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m
user
list
invitation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새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6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030A/ko
Publication of KR2017007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관리하는 대기방관리부,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초대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VITATION SERVICE}
본 발명은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방으로 유저를 용이하게 초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휴대폰, PDA 등 유무선 통신 기기 또는 비디오를 통하여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비디오 게임, 테트리스 등의 캐주얼 게임, 스타크래프트 등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롤플레잉 게임 등 다양한 종류의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게임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특히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게임은 인터넷의 발달로 급속도로 성장해 왔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프로그램을 설치해 두고 인터넷 서버에 접속해 즐길 수 있는 흔히 머드(MUD:Multiple User Dialogue 혹은 Multiple User Dungeon)게임, 머그(MUG:Multiple User Graphic)게임, 브라우저만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게임, 휴대폰을 이용하는 모바일 게임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온라인 게임의 상당수는 유저 개개인이 개별적으로 플레이하는 개인 플레이 모드 또는 복수의 유저가 팀 또는 파티(party)를 이루어 플레이하는 팀 플레이 모드 중 적어도 한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유저가 팀 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유저는 혼자서 게임을 시작할 수 없으므로, 함께 팀을 구성할 다른 유저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팀을 구성하기 위해 대기방을 두어 팀 구성원이 모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현재 다수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유저가 게임 대기방을 개설하거나, 기 개설된 게임 대기방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저가 대기방에 입장하면 팀 구성원이 다 찰 때까지 유저는 대기할 수밖에 없다. 이는 유저로 하여금 수동적으로 타 유저를 대기할 수밖에 없도록 하며, 이는 게임의 시작을 지연시키고 게임에 대한 유저의 흥미를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01033호에서는, 대기방에 있는 유저들에게, 게임방 입장 전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개시할 뿐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관리하는 대기방관리부,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초대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초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생성하는 단계,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생성하는 단계,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생성하는 단계,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기방으로 유저를 초대할 수 있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선별된 유저를 대기방으로 초대할 수 있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대된 유저로 구성된 팀 간의 밸런스를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고 팀을 구성하는 유저 모두 게임 플레이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는 게임에 대한 유저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켜 지속적인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기방에서 유저 스스로 적합한 실력의 유저들과 매칭할 수 있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위성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초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단말(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20)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20)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로는 SNS, 블로그 또는 채팅 등의 온라인 서비스 또는 게임 서비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대 서비스를 서버(20)가 제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20)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상에서, 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거나 초대요청을 수신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초대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초대 요청에 관한 데이터를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은 서버(2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구동시키거나, 인터넷 서비스(SNS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게임의 경우, 서버(20)는 단말(1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의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여,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단말(10)에 기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에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의 경우, 게임이 플레이 되기 위한 이미지, 동영상 또는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10)은 기 저장된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단말(10)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는 서버(20)로부터 제공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기록 매체를 통해 각각의 단말(1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은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한 명 이상의 유저는 각각의 단말(10)로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단말(10)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게임 서비스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게임 서비스가 아닌 별도의 서비스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서버(20)가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2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관리하는 대기방관리부(210)를 포함한다.
대기방관리부(210)는,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대기방을 하나 이상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팀’은, 복수의 유저를 일시적으로 하나의 유저처럼 관리되도록 하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유저가 하나의 팀으로 구성되면, 팀으로서 수행한 게임의 결과물이 팀 구성원(동일 팀에 참여한 유저들)에게 공동으로 귀속되도록 할 수 있다.
팀 간의 게임이 시작되기 이전에 팀을 구성해야 하며 팀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대기방’이 제공될 수 있다. 대기방에 입장함으로써 유저는 해당 대기방에서 대기하고 있던 타유저와 한 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대기방의 인원이 목표 정원에 도달하면 팀의 구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게임이 시작될 수 있다.
하나의 대기방에는 둘 이상의 팀이 대응되어, 해당 대기방에서 팀이 모두 구성되면 대기방 내에 포함된 팀이 함께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대기방에는 하나의 팀이 대응되어, 팀이 모두 구성된 대기방을 서로 매칭함으로써 복수의 팀이 함께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대기방관리부(210)는 대기방으로의 유저 입장 또는 퇴장을 감지함에 따라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들을 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기방관리부(210)는 생성한 대기방을 삭제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대기방의 인원이 목표 정원에 도달하여 대기방에 대기하고 있던 유저들이 모두 게임을 시작하거나, 또는 대기방에서 대기하고 있던 유저들이 모두 대기방을 퇴장함에 따라 대기방을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팀의 팀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220)는 대기방에서 대기 중이면서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평균 게임 시간, 접속 시간, 지인의 수, 판수, 승수 또는 승률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게임 실력을 나타내는 평가점수를 연산함으로써, 유저의 평가점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평가점수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220)는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팀의 팀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220)는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팀의 팀점수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산부(220)는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유저가 복수명이고, 각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합쳐진 총 점수를 팀점수로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220)는 팀의 구성원유저가 변경됨에 따라 팀점수를 재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보유저’는 대기방에 입장함에 따라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타유저와 함께 게임을 함께 플레이할 수 있는 유저를 의미하며, 후보유저는 예를 들어,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와 지인 관계인 유저, 또는, 타 대기방에서 대기 중이던 유저, 또는, 게임에 접속된 상태이나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유저 등이 될 수 있다.
즉, 리스트생성부(230)는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생성부(230)는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리스트생성부(230)는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리스트생성부(230)는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팀의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스트생성부(230)는 상기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후보유저를 유저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대 유저로 구성된 팀 간의 밸런스를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고 그에 따라 팀에 합류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가 게임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스트생성부(230)는,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 및 상기 제1팀 각각의 팀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높으면 평가점수가 낮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낮으면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각 팀에 제공된 유저리스트에 포함된 후보유저를 초대하여 팀에 합류시킴으로써 양 팀간의 팀밸런스가 맞춰질 수 있다. 팀밸런스가 맞춰짐에 따라 유사한 난이도로 유저들이 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유저들의 지속적인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리스트생성부(230)는 팀의 구성원유저가 변경됨에 따라 유저리스트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초대요청을 거부한 후보유저가 존재하여 새로운 유저리스트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초대요청을 거부한 후보유저를 제외하고 유저리스트를 재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리스트제공부(240)는 대기방에 대기 중인 팀의 구성원유저가 열람할 수 있도록 대기방에 유저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스트제공부(240)는 유저리스트를 제공받은 구성원유저로 하여금,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를 선택하여 초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는 자신에게 적합한 실력의 유저들과 매칭을 시도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초대처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한다는 것은 해당 후보유저가 팀에 가입하도록 초대한다는 것으로, 초대요청메시지를 후보유저가 제어하는 단말로 전달하거나, 또는 후보유저의 계정으로 전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대처리부(250)는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기방에 유저리스트를 제공함에 따라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저리스트가 정렬되어 있으므로 유저리스트 내에서 가장 첫번째로 등장하는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대처리부(250)는 초대요청된 후보유저에게 상기 초대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초대에 수락하거나 거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초대요청에 대해 수락한 후보유저를 팀의 구성원으로 추가할 수 있다. 반면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초대요청에 대해 거부하였다면 상기 거부를 초대요청을 한 팀 또는 팀의 구성원유저 중 적어도 하나에게 안내하고, 초대요청에 대해 거부한 유저를 제외하여 다시 추천요청을 전달하거나 또는 유저리스트를 다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후보유저에게 동시에 초대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초대처리부(250)는 먼저 수락한 초대요청에 대응되는 팀으로 상기 후보유저를 추가하거나, 또는 후보유저가 팀에 합류 시 후보유저가 합류된 팀의 팀점수를 상대 팀의 팀점수에 가장 근접하게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팀에, 후보유저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팀이 동시에 복수의 후보유저를 초대요청을 하고, 팀에 한명의 후보유저만이 추가 가능하면, 초대처리부(250)는 먼저 초대요청을 수락한 후보유저, 또는 팀점수를 상대 팀의 팀점수에 가장 근접하게 수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후보유저를 팀에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4,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나타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팀의 구성원유저 및 후보유저의 평가점수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을 생성할 수 있고 (S310), 생성된 대기방을 관리할 수 있다.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으로의 유저 입장 또는 퇴장을 감지함에 따라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들을 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으로의 유저 초대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20).
예를 들어, 대기방의 인원이 목표 정원에 도달하지 못하여 초대가 필요하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의 초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가 초대를 요청하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의 초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400)을 생성할 수 있다. 대기방(400)에는 제1팀(410)의 구성원유저인 유저'X'(411) 및 유저'Y'(412)가 대기방(400)에서 팀 구성이 완료되기를 기다릴 수 있으며, 또한, 제2팀(420)의 구성원유저인 유저'Z'(421)가 대기방(400)에서 팀 구성이 완료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제1팀(410) 및 제2팀(420)이 함께 게임을 플레이(예를 들어 서로 대전하거나 협력하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며, 각 팀이 필요로 하는 목표정원은 3임을 가정한다. 제1팀(410)에는 2명의 구성원유저가, 제2팀(420)에는 1명의 구성원유저만이 존재함에 따라 제1팀(410)에는 1명의 후보유저가, 제2팀(420)에는 2명의 후보유저가 추가되어야 하고 각 팀의 필요 후보유저가 추가되면 양 팀 간의 게임 플레이가 시작된다. 이에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대기방(400)에서 대기 중인 각 팀(410, 420)에게 유저의 초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방으로 유저의 초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팀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S330).
연산된 팀점수에 기초하여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고 (S340), 생성한 유저리스트를 대기방에 제공할 수 있다 (S350).
관련하여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팀의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복수의 팀인 제1팀 및 제2팀 중에서 팀점수가 높은 제1팀을 위해 평가점수가 낮은 순으로 유저를 정렬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팀을 위해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유저를 정렬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제1팀으로 제공될 유저리스트 생성시, 상기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후보유저를 유저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유저'A'(511), 유저'B'(512), 유저'C'(513), 유저'D'(514) 및 유저'E'(515) 각각은, 게임에 참여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다른 대기방에서 대기하고 있어 대기방(400)에 초대될 수 있는 후보유저들일 수 있다. 유저'A'(511), 유저'B'(512), 유저'C'(513), 유저'D'(514) 및 유저'E'(515)는 각각 10점, 40점, 30점, 20점 및 70점이라는 평가점수를 가짐을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방(400)에서 대기 중인 제1팀(410)의 구성원유저인 유저'X'(411) 및 유저'Y'(412) 각각의 평가점수가 70점 및 90점이고 팀점수를 팀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의 평균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1팀의 팀점수는 80점일 수 있다. 또한 대기방(400)에서 대기 중인 제2팀(420)의 구성원유저인 유저'Z'(421)의 평가점수가 50점이고 팀점수를 팀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의 평균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2팀의 팀점수는 50점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팀점수에 기초하여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제1팀(410)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 생성 시, 예를 들어, 3명의 후보유저로 구성되는 유저리스트 생성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저가 제1팀의 구성원으로 추가되었을 때 제2팀의 팀점수인 50점에 수렴할 수 있는 유저'A', 유저'D' 및 유저'C'를 유저리스트(6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제1팀의 팀점수가 제2팀의 팀점수보다 높으므로, 낮은 평가점수를 갖는 유저 순서(즉 유저'A', 유저'D' 및 유저'C' 순서)로 정렬하여 유저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제2팀(420)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 생성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저가 제2팀의 구성원으로 추가되었을 때 제1팀의 팀점수인 80점에 수렴할 수 있는 유저'E', 유저'B' 및 유저'C'를 유저리스트(6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제2팀의 팀점수가 제1팀의 팀점수보다 낮으므로, 높은 평가점수를 갖는 유저 순서(즉, 유저'E', 유저'B' 및 유저'C')로 정렬하여 유저리스트(620)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로 초대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S360), 전달된 초대요청에 대해 후보유저가 수락하면(S37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초대를 수락한 후보유저를 팀의 구성원으로 추가할 수 있다 (S380).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에 따른 유저리스트(610, 620)에 기초하여 제1팀(410)은 유저'A'를 초대하고, 제2팀(420)은 유저'E'를 초대한 경우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상기 초대요청을 각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유저'A'가 초대를 거부하고, 유저'E'가 초대를 수락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E'(700)는 제2팀(420)의 구성원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각 팀에 제공된 유저리스트에 포함된 후보유저를 초대하여 팀에 합류시킴으로써 양 팀간의 팀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팀밸런스가 맞춰짐에 따라 유사한 난이도로 유저들이 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유저들의 지속적인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다시금 대기방으로 초대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90).
예를 들어 초대요청한 유저가 초대요청을 거부하면 대기방으로의 초대가 다시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팀 구성원으로 추가되더라도 추가로 초대가 필요하면, 예를 들어,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팀 인원이 목표 정원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대기방으로의 초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초대가 다시금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단계 S330 내지 단계 S380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요청한 유저가 초대요청을 거부하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초대거부한 유저를 제외하고 유저리스트를 재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초대요청을 거부한 유저'A'를 제외하고, 재연산된 제2팀(420)의 팀점수인 60점(구성원유저인 유저'Z' 및 유저'E'의 평가점수의 평균값)에 수렴할 수 있는 유저'D', 유저'C' 및 유저'B'를, 평가점수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여 유저리스트(710)로서 재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팀 구성원으로 추가되더라도 추가로 초대가 필요하면, 재연산한 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유저리스트를 재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재연산된 제2팀(420)의 팀점수인 60점이 제1팀(410)의 팀점수인 80점에 수렴할 수 있도록 유저'B', 유저'C' 및 유저'D'를,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유저리스트(720)로서 재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리스트를 지속적으로 재생성함에 따라 팀간의 밸런스를 효율적으로 맞춰나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210: 대기방관리부 220: 연산부
230: 리스트생성부 240: 리스트제공부
250: 초대처리부

Claims (12)

  1.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관리하는 대기방관리부;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초대처리부를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팀을 구성하면서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구성원유저의 유저정보로부터 추출된 각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각 팀의 팀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각 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방에 대기 중인 각 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생성부는 추가적으로,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팀의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생성부는 추가적으로,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 및 상기 제1팀 각각의 팀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높으면 평가점수가 낮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낮으면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생성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의 팀점수에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후보유저를 유저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6.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초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팀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기방을 생성하는 단계;
    대기방으로 초대 가능한 후보유저를 포함하는 유저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유저의 유저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리스트에 포함되는 후보유저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유저에게 초대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팀을 구성하면서 상기 대기방에서 대기 중인 구성원유저의 유저정보로부터 추출된 각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각 팀의 팀점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팀의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방에 대기 중인 각 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유저리스트가 제공될 제1팀과 함께 플레이하는 제2팀 및 상기 제1팀 각각의 팀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높으면 평가점수가 낮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팀의 팀점수가 상기 제2팀의 팀점수보다 낮으면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후보유저를 정렬하여 상기 제1팀에게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초대수락하면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를 상기 유저리스트가 제공된 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포함된 팀을 구성하는 구성원유저의 유저정보로부터 추출된 각 구성원유저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포함된 팀의 팀점수를 재연산하는 단계;
    상기 재연산된 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대요청된 후보유저가 포함된 팀에 제공될 유저리스트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한 유저리스트를 상기 대기방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69316A 2015-11-30 2015-11-3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75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16A KR20170075030A (ko) 2015-11-30 2015-11-3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16A KR20170075030A (ko) 2015-11-30 2015-11-3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30A true KR20170075030A (ko) 2017-07-03

Family

ID=5935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316A KR20170075030A (ko) 2015-11-30 2015-11-30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854A (ko) * 2018-12-06 2020-06-16 이선웅 온라인 게임에서의 협업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854A (ko) * 2018-12-06 2020-06-16 이선웅 온라인 게임에서의 협업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canvas for chat participant
US10387973B2 (en) Trending stories in game activity feeds
US11792273B2 (en) Invitation link for launching multi-user applications
US9526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game streaming data, and method and server for transmitting game streaming data
US10835827B1 (en) Initiating real-time games in video communications
EP2663055B1 (en) Network system with challeng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889373B1 (en) Multilayer framework and architecture with variable video gaming capabilities
US20130303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ntasy Sports Draft and Operation
US20150182861A1 (en) Method for video-based social media networking
US201801659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game or virtual reality state information
US20230026096A1 (en) Method for processing resources and terminal
CN103020416A (zh) 用于多用户联网游戏的好友推荐的方法和设备
US20150174486A1 (en) Method for an asynchronous multiplayer gameplay
US112788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player character in sports game using dualized space
US11229850B2 (en) User-controlled, on-demand gaming channel
US10225303B2 (en) Method for rendering a shared content, corresponding method for sharing,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devices
JP2021072965A (ja) ゲームリプレイ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70075030A (ko) 초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초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46254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083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hletic development information to a user
JP20220973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74373A (ko)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US2020004310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nd monetizing merges of targets with stalkers
KR101565473B1 (ko) 게임제공방법 및 게임제공시스템
US1108239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nd monetizing merges of targets with stal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2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07

Effective date: 201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