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924A -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924A
KR20170074924A KR1020177013376A KR20177013376A KR20170074924A KR 20170074924 A KR20170074924 A KR 20170074924A KR 1020177013376 A KR1020177013376 A KR 1020177013376A KR 20177013376 A KR20177013376 A KR 20177013376A KR 20170074924 A KR20170074924 A KR 2017007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length
field
mac sdu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769B1 (ko
Inventor
아닐 아기왈
안슈만 니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의 'Beyond-4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될 'pre-5G'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DRB(Data Resource Bearer) 생성 중,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송 요건을 송신 노드에 시그널링 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 요건을 나타낸다.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전송 요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노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포맷의 유형을 결정한다. 만일 네트워크가 대용량 데이터 전송 요건을 시그널링 하면, 상기 송신 노드는 그 데이터 포맷의 길이 필드가 상기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 요건에 적합한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서브헤더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TOCOL DATA UNIT IN COMMUNICATION NETWORKS}
본 실시 예들은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간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 장치(UE), 향상된(enhanced) 노드 B(eNB),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패킷 데이터 노드 게이트웨이(packet data node gateway: PDN-GW)를 포함하는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TCP 등과 같은 여러 프로토콜들 중의 어떤 것을 통해서 들어오는 입력 데이터는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즉 중간 계층(intermediate layers)들, 말하자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RLC(Radio Link Control: 무선 링크 컨트롤)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컨트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블록들로 변환된다. 이 계층들은, 다른 것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멀티플렉싱(multiplexing), 파싱(parsing), 언패킹(unpacking), 재조합(reassembly) 기능들과 같은 여러 가지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LTE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는 그 데이터가 물리적 계층에 의해 운반되기 위해서는 그 LTE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양한 계층들에 의해 블록들을 전송하도록 변환된다. 여러 가지의 레벨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이한 크기의 블록들로 수신된다. 각각의 전송 계층은 전송되는 각 블록의 크기를 다음 계층 및 끝에서 두 번째 계층(penultimate layer)으로 전달한다. MAC 계층은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블록들(또는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Service Data Units : SDU))을 운반하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da Unit: PDU)를 생성한다. 상기 MAC 계층은 MAC PDU에 각각의 MAC SDU에 대한 MAC 서브헤더를 추가한다.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의 길이 필드에서 지시되며, 여기서 그 길이 필드는 7비트 또는 15비트이다. MAC 서브헤더에서의 포맷 비트 필드는 길이 필드가 7비트인지 15비트인지를 표시한다. 현재의 MAC 서브헤더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는 MAC SDU의 최대 크기는 32767 옥텟(octets) 또는 바이트이다.
그러나, 각각의 전송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15-비트 필드는 32767 옥텟보다 더 큰 임의의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하다. 높은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캐리어들의 집합 또는 더 큰 대역폭의 캐리어들의 이용과 같은 첨단의 통신 기술들에 대해서는, 그 길이 필드의 크기는 임의의 송신기로부터 어느 한 수신기로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의 크기를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하다(또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현재의 통신 기술들은 이러한 제한을 가지고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MAC SDU 크기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역방향으로 호환성이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하나의 MAC 서브헤더는 더 짧은 길이 필드를 가지며, 그리고 또 다른 MAC 서브헤더는 더 긴 길이 필드를 갖는, 두 개의 MAC 서브헤더들이 정의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제1서브헤더 또는 제2서브헤더를 사용할지를 시그널링으로 나타낸다. 이 방법에 있어서의 단점은, 일단 네트워크가 대용량의 길이 필드를 갖는 헤더를 이용하는 것을 지시하고 나면, MAC SDU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 서브헤더가 사용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더 짧은 크기의 MAC SDU에 대해 각각의 MAC PDU에서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발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사이에서 PDU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제1실시 예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최초에는, 전송될 MAC SDU의 길이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송신 노드(transmitting node)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송신 노드는 또한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보다 더 작다면, 상기 송신 노드는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만일 그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상기 송신 노드는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 노드는, 만일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상기 송신 노드는, 만일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더욱이, 상기한 MAC SDU는 상기 송신 노드에 의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receiving node)로 MAC 서브헤더와 함께 전송된다.
제2 실시 예에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시스템에서 송신 노드는 전송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고, 그 다음에는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송신 노드는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만일 그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상기 송신 노드는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상기 송신 노드는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만일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송신 노드는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한다. 더욱이,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로 상기 MAC 서브헤더와 함께 MAC SDU를 전송한다.
본 실시 예들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측면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아래의 설명과 결부하여 고려할 때 더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설명은, 그것이 실시 예들과 그의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수많은 변경과 수정들이 본 실시 예의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실시 예들의 영역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며, 본 실시 예들은 그러한 모든 변경들을 총망라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을 시작하기 전에, 본 특허출원 문서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몇몇 단어들 및 자구들에 대한 정의를 내려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포함(include, comprise)"이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들은 어떤 제한이 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or)"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서, "및/또는(and/or)"'을 의미한다. "~과 관련(연관)된(associated with 및 therewith)"이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들은 "~을 포함한다, ~내에 포함된다, ~과 서로 연결된다, ~을 함유한다, ~내에 함유된다, ~에(또는 ~과) 연결된다, ~에(또는 ~과) 접속된다, ~과 통신 가능하다, ~과 협동한다, ~을 끼워 넣다(interleave), 병치하다(juxtapose), ~에 근접하다, ~에 구속된다, ~을 갖는다, 또는 ~의 특성을 갖는다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컨트롤러(controll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그의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그것들 중의 적어도 두 개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떤 특정 컨트롤러와 연관된 기능은 중앙집중 방식으로 또는 분산 방식으로, 근거리(locally) 또는 원거리(remotely)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어떤 단어들 및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명세서를 통하여 제공되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들이라면, 그러한 정의들은,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더라도 많은 부분에서, 그렇게 정의된 단어들 및 용어들의 미래에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서의 용도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개시와 그 장점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들과 결합하여 후술하는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도면 중, 같은 참조기호들은 같은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에 의해 수신 노드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과정의 일례에 수반되는 과정들을 묘사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개시에 따른 송신기 측과 수신기 측의 동작들의 예를 각각 묘사하는 흐름도들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4a 내지 4h는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C 서브헤더의 프레임 포맷들의 상이한 예를 예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도 1 내지 4h 및 본 특허출원 서면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여러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 방식으로 제시되는 것으로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개시의 원리들이 임의의 적절한 구성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 예들과 그의 여러 가지의 특징들 및 바람직한 세부사항들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기술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예시되어 있는 비-한정적인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더 완전히 설명된다. 공지의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싱 기법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 예들을 불필요할 정도로 불명료하게 만들지 않도록 생략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예들은, 본 실시 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이 그 실시 예들을 실시하는 것을 더한층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단지 제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예들은 본 실시 예들의 영역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사이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이제 도면들, 더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4h를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예시하는바, 그 도면들 중 유사한 참조기호들은 그 도면들 전체를 통해서 상응한 특징들을 일관되게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를 블록도로 예시한다. 통신 네트워크(네트워크)(100)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노드(101a)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 노드(101b)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101a)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이고, 상기 수신 노드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송신 노드(101a)는 BS이고, 상기 수신 노드는 UE이다. 상기 네트워크(100)에서, 사용자 장치(101a)는 BS(101b)와 접속(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으로도 지칭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상에서 BS(101b)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향 링크 방향에서 상기 UE(101a)는 BS(101b)에 송신한다. 하향 링크 방향에서 BS(101b)는 UE(101a)에 송신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들이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기한 UE(101a)와 BS(101b) 사이에 형성된다. 네트워크(100)에서 UE(101a)는 휴대폰,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태블릿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들의 개수뿐만 아니라 그 네트워크의 구조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그 구조, 구성요소들의 개수, 또는 어떤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관점에서 어떠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UE(101a)는 네트워크(1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건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101a)는 대용량(large)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접속 설정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한 RRC 시그널링 중, 데이터 전송 요건을 식별하고 그것을 송신 노드(101a)에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노드(101a)는 다수의 MAC 서브헤더 포맷들로부터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각각의 MAC 서브헤더 포맷은 상이한 크기의 길이 필드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MAC SDU에 대한 MAC 서브헤더 포맷의 결정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무선자원제어(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 및 상기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송신 노드(101a)는 상기 선택된 서브헤더 포맷에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고, 그리고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를 전달하는 MAC PDU를 상기 수신 노드(101b)로 전송한다.
수신 노드(101b)는 송신 노드(101a)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서브헤더 포맷에 따라서, 송신 노드(101a)로부터 MAC PDU를 수신하고, 사용된 MAC 서브헤더 포맷을 결정하고, 그리고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MAC CE)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에 의해 수신 노드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를 전송하는 과정의 예에 수반되는 과정들을 묘사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송신 노드(101a)는 수신 노드(101b)에 하나 또는 다수의 MAC SDU(들)를 전송한다. 각각의 MAC SDU는 상이한 크기로 되어 있다. 각각의 MAC SDU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양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그리고 임의의 표준 절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는 송신 노드(101a)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고 수신 노드(101b)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송신 노드(101a)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바이트 또는 비트 단위로 된 데이터의 양과 같은)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MAC 서브헤더와 그에 상응하는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는MAC PDU에서 전송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MAC SDU들 또는 MAC 제어 요소들은 MAC PDU에서 전송되는데, 여기서 MAC 서브헤더가 하나 또는 다수의 MAC SDU들 또는 MAC 제어 요소들의 각각에 대하여 포함된다.
송신 노드(101a)는 먼저 다수의 MAC 서브헤더 포맷들로부터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과정 202)]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각각의 MAC 서브헤더 포맷은 상이한 크기의 길이 필드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MAC SDU에 대한 MAC 서브헤더 포맷의 결정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 및 상기MAC SDU의 크기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또는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large)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또한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한편, RRC 시그널링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다수의 MAC 서브헤더 포맷들로부터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 노드(101a)는 수신 노드(101b)로 전송될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먼저 결정한다. 상기 임계치는 네트워크(100)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미리 정의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송신 노드(101a)와 수신 노드(101b) 간의 접속 설정 중 상기한 임계치를 구성한다. 만일 수신 노드(101b)로 전송될 MAC SDU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송신 노드(101a)는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한다. 만일 수신 노드(101b)로 전송될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송신 노드(101b)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하나 또는 다수의 MAC SDU(들) 또는 MAC 제어 요소들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 노드(101a)는 RRC 시그널링에서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하나 또는 다수의 MAC SDU(들) 또는 MAC 제어 요소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송신 노드(101a)가 상기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된다고 결정하면, 송신 노드(101a)는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한다. 만일 상기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다면, 송신 노드(101a)는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을 선택한다.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길이 필드의 크기는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의 길이 필드보다 더 작다.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길이 필드의 크기는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의 길이 필드보다 더 작다.
따라서 송신 노드(101a)는 상기 선택된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를 인코딩한다(과정 204). 선택된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를 인코딩 하는 동작은 선택된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길이 필드들에서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의 크기를 인코딩하는 동작, 다른 MAC 서브헤더 포맷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MAC 서브헤더 포맷을 구별하는 선택된 MAC 서브헤더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필드들을 인코딩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한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와 같은 다른 정보가 선택된 MAC 서브헤더 포맷에 또한 인코딩된다. 따라서, 송신 노드(101a)는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 또는 MAC 제어 요소를 운반하는 MAC PDU를 수신기에 전송한다(과정 206).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송신 노드 및 수신 노드들(101)에 의해 채택될 수 있는 제안된 발명의 여러 가지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실시 예에서, 송신 노드(101a)와 수신 노드(101b)는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이 실시 예(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에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지시되거나 또는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에서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부재는 그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송신단(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송신 노드(101a)는 먼저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를 확인한다(과정 302). 만일(과정 304에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128바이트와 같은) 미만이라면,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은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7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과정 306),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7비트의 길이 필드에서 표시된다. MAC SDU 또는 MAC CE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만일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상기 임계치(예컨대, 128바이트) 이상이라면(~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송신 노드(101a)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과정 308), 그것은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 또는 존재/부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만일(과정 310에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다면,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이 선택되어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를 표시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은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15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한다.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과정 312), 또한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15비트의 길이 필드로 표시된다. MAC SDU 또는 MAC CE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된다면,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은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X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의 길이 필드의 크기는 16비트이다. 상기한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과정 314), 또한 MAC SDU의 크기는 X 비트의 길이 필드에서 표시되는데, 여기서 X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X의 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MAC SDU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X의 값은 '15+N'이며, 여기서 'N'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N'의 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N'의 절대값은 시그널링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 'N'의 다양한 값들이 인덱스 되고 그 인덱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수신단(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수신 노드(101b)는 송신 노드(101a)에 의해 전송된 MAC PDU를 수신한다. 수신 노드(101b)는(과정 316에서) 포맷 비트(F)의 값을 확인한다. 만일(과정 318에서) F의 값이 수신된 MAC PDU의 MAC 서브헤더에서 0과 같다면, 상기 수신 노드는 MAC 서브헤더가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가 7비트 길이인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되어있다고 확인하고, 그리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7비트를 읽는다(과정 320). F의 값이 1이라면, 수신 노드(101b)는,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부재 또는 값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 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과정 322에서). 만일(과정 324에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지원된다면, 수신 노드(101b)는 MAC 서브헤더가 MAC 서브헤더의 길이 필드가 X비트 길이인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되어 있다고 확인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 'X' 비트의 길이 필드를 읽는다(과정 326).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다면, 수신 노드(101b)는 MAC 서브헤더가 MAC 서브헤더의 길이 필드가 15비트 길이인 제3 MAC 헤더 포맷으로 되어 있다고 식별하고, 그리고 MAC SDU또는 MAC CE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 '15' 비트의 길이 필드를 읽는다(과정 328).
다양한 MAC 서브헤더 포맷들과, 본 실시 예에서 송신기 노드에 의해 이러한 포맷들의 각각에서의 필드들의 인코딩 및 선택 기준들은 아래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시그널링 파라미터 전송될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 MAC 서브헤더 포맷 필드
0(주: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0'으로도 취급됨) < 128 bytes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set to 0, Length(7 bit)
0 >= 128 bytes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set to 1, Length(15 bit)
1 >= 128 bytes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set to 1, Length(X bits)
수신기 노드에 의해 MAC 서브헤더 포맷을 결정하고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들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시그널링 파라미터 포맷
비트 값
MAC SDU 크기 결정
0(주: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0'으로도 취급됨) 0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길이(7 bit)를 갖는 MAC 서브헤더 포맷에 따라서 MAC 서브헤더를 디코딩/파싱함. 길이는 MAC SDU의 크기를 나타냄.
0 1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길이(15 bit)를 갖는 MAC 서브헤더 포맷에 따라서 MAC 서브헤더를 디코딩/파싱함 . 길이는 MAC SDU의 크기를 나타냄.
1 1 R1(1 bit), R2(1 bit), E(1 bit), LCID(5 bit), F(1 bit), 길이(X bits)를 갖는 MAC 서브헤더 포맷에 따라서 MAC 서브헤더를 디코딩/파싱함. 길이는 MAC SDU의 크기를 나타냄.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아니면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RRC 시그널링에서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송신단에서, 송신 노드(101a)는 먼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송신 노드는 포맷 비트와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들을 아래 언급된 것과 같이 설정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고 또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128바이트 미만이라면, 상기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이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7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 포맷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7비트의 길이 필드로 표시된다. MAC SDU 또는 MAC CE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고 또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128바이트 이상이라면, 상기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이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15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 포맷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15비트의 길이 필드로써 표시된다. MAC SDU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고, 또한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2(x) 바이트 미만이라면,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이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X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 포맷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상기한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X비트의 길이 필드에 표시된다. MAC SDU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상기한 'X'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X'의 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X'의 절대값은 시그널링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다양한 값의 'X'가 인덱스 되고 그리고 그 인덱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X는 8과 같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X비트 길이 필드가 두 개의 길이 필드들(L 및 EL)(도 4h에 도시된 것과 같은)을 이용하여 MAC 서브헤더에 추가되는데, 여기서 어떤 최상위 비트(MSB)들의 길이는 EL 필드에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L필드에 설정된다. 포맷 비트는 영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EL은 1비트이고 L은 7비트이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고, 그리고 MAC SDU 또는 MAC CE의 크기가 2(x) 바이트 이상이라면,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이 각각 1비트 크기의 두 개의 유보된 필드, 하나의 연장 비트 필드,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 1비트의 포맷 비트 필드 및 Y비트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 포맷을 사용하여 표시되며, 여기서 'Y'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Y'의 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Y'의 절대값이 시그널링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다양한 값의 'Y'가 인덱스 되고 그리고 그 인덱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상기한 포맷 비트(F)는 영으로 세트 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 포맷의 Y비트의 길이 필드로써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Y는 16과 같다. MAC SDU와 연관되는 논리적 채널을 위한 논리적 채널 식별자는 5비트의 논리적 채널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Y비트 길이 필드가(도 4h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개의 길이 필드들(L 및 EL)을 이용하여 MAC 서브헤더에 추가되는데, 여기서 어떤 최상위 비트(MAB)들의 길이는 EL 필드에 그리고 나머지 비트들은 L필드에 설정된다. 포맷 비트는 영으로 세트 된다. 일 실시 예에서, EL은 1비트이고 L은 15비트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다중 세트의 두 개의 길이 필드들(X, Y)가 존재한다. 네트워크는 어느 세트가 MAC 서브헤더에서의 포맷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지를 시그널링 한다. 수신단에서, 수신 노드(101b)는 송신 노드(101a)에 의해 전송된 MAC PDU를 수신하고, 또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따라서, 포맷 비트(F)가 수신된 MAC PDU의 MAC 서브헤더에서 영과 같다면, 수신 노드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가 7비트 길이인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의 7비트 길이 필드를 읽는다. 그리고, 포맷 비트(F)가 수신된 MAC PDU의 MAC 서브헤더에서 1과 같다면, 수신 노드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가 15비트 길이인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의 15비트 길이 필드를 읽는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어 있다면, 따라서, 포맷 비트(F)가 수신된 MAC PDU의 MAC 서브헤더에서 영과 같다면, 수신 노드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가 X비트 길이인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 X비트 길이 필드를 읽는다. 여기서 상기한 'X'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100)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X'는 8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기 노드는 두 개의 길이 필드들 EL 및 L을 이용하여 X비트의 길이를 읽는다. 최상위 비트(MSB)들은 EL에 존재하고 나머지 비트들은 L 필드에 존재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포맷 비트(F)가 수신된 MAC PDU의 MAC 서브헤더에서 1과 같다면, 상기 수신 노드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가 Y비트 길이인 제4 MAC 서브헤더 포맷이라는 것으로 확인하고, 또한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AC 서브헤더에서 Y비트 길이 필드를 읽는다. 상기한 'Y'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100)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Y'는 16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기 노드는 두 개의 길이 필드들 EL 및 L을 이용하여 Y비트의 길이를 읽는다. 최상위 비트들은 EL에 존재하고 나머지 비트들은 L 필드에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 포맷(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제안된다. 상기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는 논리적 채널 ID(LCID) 위치가 종전의(레거시) MAC 서브헤더에서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것에서도 동일하게끔 정의된다. 상기 제안된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아니면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RRC 시그널링에서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한편,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100)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으면, 종전의 MAC 서브헤더(7비트 및 15비트의 길이 필드를 갖는 MAC 서브헤더 포맷들과 같은)가 사용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100)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면, 이러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가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의 2비트 포맷 필드를 이용하여, 상이한 크기의 길이 필드들이 4개까지 표시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어떤 비트들은 미래의 확장을 위해 유보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포맷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크기들은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 포맷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크기들은 구성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 포맷(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제안된다. 상기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는 LCID 위치가 새로운 그리고 종전의 MAC 서브헤더에서도 같도록 정의된다. 길이 필드의 크기는 네트워크에 의해 고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아니면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RRC 시그널링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으면, 기존의(레거시) MAC 서브헤더가 사용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면, 이러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가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 포맷(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제안된다. 만일 MAC SDU 또는 MAC CE의 길이가 기존의 MAC 서브헤더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길이보다 더 길다면, 상기 송신 노드(101a)는 하나의 MAC SDU 또는 MAC CE에 대한 MAC PDU에서 두 개의 MAC 서브헤더들을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한 새로운 서브헤더는 기존의 서브헤더를 따른다. 최상위 비트들(또는 최하위 비트들)의 길이는 기존의 서브헤더에서 전달되고, 또한 최하위 비트들(또는 최상위 비트들)은 이러한 새로운 서브헤더에서 전달된다. 기존의 서브헤더에서의 LCID는 DRB와 연관된 논리적 채널의 LCID인 반면, 새로운 서브헤더에서의 LCID는 이러한 새로운 서브헤더에 대해 특히 예약되는 유보(reserved) LCID이다. 이러한 새로운 서브헤더에서 확장된 길이 비트의 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아니면 네트워크에 의해 DRB 설정 시에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포맷 비트가 확장 비트들의 다양한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이러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에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확장 비트들을 갖는 다수의 MAC 서브헤더들이 추가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는,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아니면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RRC 시그널링에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가 이용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 길이 필드의 확장이 표시된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에서의 F 및 R1(또는 R2) 비트들 모두가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에서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If F == 0 이면, 그것은 7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그 외에
If F == 1 && R1(또는 R2) == 0 이면, 그것은 15 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그 외에
If F == 1 && R1(또는 R2) == 1 이면, 그것은 'X' 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내고, 여기서 'X'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X' = 15 + 'N'이고, 여기서 'N'은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 'N'은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된다.
송신 노드(101a)는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며, 그리고 그 크기가 128바이트 미만이라면, 그것은 MAC 서브헤더에서 F가 0과 같도록 세트하고 7비트 길이 필드에서 MAC SDU의 크기를 인코딩한다. 만일 MAC SDU의 크기가 128바이트 이상이지만 그것이 32768 바이트 미만이라면, 그것은 F는 1과 같게, R1(또는 R2)은 영과 같도록 세트하고, 그리고 15비트 길이 필드에서 MAC SDU의 크기를 인코딩한다. 만일 MAC SDU의 크기가 32768 바이트 이상이라면, 그것은 F는 1과 같고, R1(또는 R2)은 1과 같도록 같도록 세트하고, 그리고 X비트 길이 필드에서 MAC SDU의 크기를 인코딩한다. 일 구현 예에서 X는 16비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또는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RRC 시그널링에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가 이용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표시된다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기존의 MAC 서브헤더에서의 F 및 R1, R2 비트들 모두가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에서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If F == 0 이면, 그것은 7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If F == 1 && R1R2 == 00 이면, 그것은 15 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If F == 1 && R1R2 == 01 이면, 그것은 'X' 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If F == 1 && R1R2 == 10 이면, 그것은 'Y' 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If F == 1 && R1R2 == 11 이면, 그것은 'Z' 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X', 'Y', 'Z'는 미리 정의된다.
상기한 송신 노드(101a)는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MAC 서브헤더에서 길이 필드, F, R1, R2 비트들의 크기를 인코딩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또는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RRC 시그널링에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가 이용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에서 표시된다면, 하나의 MAC SDU에 대한 같은 LCID에 대하여 두 개의 MAC 서브헤더들이 전송된다(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SDU의 길이는 서브헤더들 양자가 조합된 길이인데, 여기서 L1은 길이의 MSB들, L2는 길이의 LSB들이고, 그리고 L1 및 L2는 제1 및 제2 서브헤더에서 각각 표시되거나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선택적으로는, MAC SDU의 길이 L = 제1 서브헤더의 길이 필드의 값 + 제2 서브헤더의 길이 필드의 값이다. 네트워크(100)는 DRB 설정 또는 접속 설정 중에 이 방법을 구성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또는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RRC 시그널링에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가 이용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가 정의된다. 상기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는 LCID 위치가 새로운 MAC 서브헤더와 이전의 MAC 서브헤더에서 같도록 정의된다. 이 방법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 또는 MAC 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구성되지 않는다면, 종전의 MAC 서브헤더가 사용되는데, 여기서 F = 1은 15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내고, 또한 F = 0은 7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구성된다면, 이러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도 4f)]가 사용되는데, 여기서 F = 0은 7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내고, F = 1은 16비트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16비트 길이 필드의 15 LSB들은 그 F 필드에 후속하는 L필드에서 인코딩된다. 16비트 길이 필드의 MSB는 MAC 서브헤더의 EL 필드에서 인코딩된다. EL 필드는 MAC 서브헤더의 제1 또는 제2 비트에 존재한다. 상기 송신 노드(101a)는 MAC SDU의 크기를 결정하며, 그리고 만일 MAC SDU 크기가 128바이트 이하라면, MAC 서브헤더에서의 F비트는 영으로 설정되고, MAC SDU의 크기는 7비트 길이 필드에 인코딩된다. 만일 MAC SDU 크기가 128바이트 이상이고,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구성/지원되고, 표시가 네트워크로부터의 시그널링에서 수신된다면, F 비트는 1로 설정되고 MAC SDU의 크기는 MAC 서브헤더의 L 및 EL 필드에 인코딩된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100)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된다면, 이러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가 사용되는데(도 4h), 여기서 F = 0은 8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내고, F = 1은 16비트의 길이 필드를 나타낸다. 만일 F가 1과 같다면, 16비트 길이 필드의 15 LSB들은 F 필드에 후속하는 L필드에 인코딩된다. 16비트 길이 필드의 MSB는 MAC 서브헤더의 EL 필드에 인코딩된다. EL 필드는 MAC 서브헤더의 제1 또는 제2 비트에 존재한다. 만일 F가 0과 같다면, 8비트 길이 필드의 7 LSB들은 F 필드에 후속하는 L필드에 인코딩된다. 8비트 길이 필드의 MSB는 MAC 서브헤더의 EL 필드에 인코딩된다. EL 필드는 MAC 서브헤더의 제1 또는 제2 비트에 존재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extendedLength 와 같은)이 더 높은 계층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 또는 가변형 크기의 MAC 제어 요소가 128바이트 미만이라면, F필드는 0으로 세트 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extendedLength 와 같은)이 더 높은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그리고 MAC SDU의 크기 또는 가변형 크기의 MAC 제어 요소가 256바이트 미만이라면, F필드는 0으로 세트 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1로 세트 된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extendedLength 와 같은)이 더 높은 계층에 의해 구성되면, L필드는 해당하는 MAC 서브헤더의 EL 필드로써 확장된다. EL 필드는 길이 필드(Length field)에 대하여 최상위 비트로써 추가된다.
확장된 길이(EL) 필드는, 더 높은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다면, L 필드 확장 비트를 위해 사용된다. 만일 확장된 L 필드가 더 높은 계층들에 의해 구성되지 않는다면, EL 필드는 "0"으로 세트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101)은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 실시 예에에서, 만일 대용량의 MAC SDU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100)는 DRB 생성 또는 접속 설정 중, 그것을 노드들(101)에 시그널링 한다. 네트워크(1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컨트롤(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다.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해 표시되거나, 또는 그것은 모든 데이터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시그널링 파라미터는 1비트 값이며, 여기서 "1"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고, 그리고 "0" 값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는, 만일 RRC 시그널링에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한편, RRC 시그널링에서 이 파라미터의 부재는 대용량의 MAC SDU(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가 구성/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만일 대용량의 MAC SDU 또는 MAC 서브헤더에서의 길이 필드의 확장이 네트워크에 의한 시그널링에서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MAC 서브헤더가 사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실시 예에 있어서, 새로운 MAC 서브헤더(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은)가 정의된다. 상기한 새로운 MAC 서브헤더는 LCID 위치가 새로운 MAC 서브헤더와 이전의 MAC 서브헤더에서 같도록 정의된다. MAC SDU의 크기 또는 가변형 크기의 MAC 제어 요소가 32768바이트를 초과한다면, F2필드의 값은 1로 세트 되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0으로 세트 된다. F2필드가 0으로 세트 되면, 상기 F 필드는 7비트와 15비트 사이의 길이 필드의 크기를 나타내도록 사용되며, 그리고 F2필드가 1로 세트 되면, 그 F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MAC서브헤더에서, F2 = 1은 16비트 길이 필드가 MAC 서브헤더에서의 LCID필드에 후속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방법(300)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제시된 순서로,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도 3에 열거된 어떤 동작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상에서 동작하고 네트워크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일 수도 있는 블록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 개시된 실시 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및 수신 노드들 사이의 통신을 동기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지정한다. 상기 메커니즘은 데이터의 동기화된 부호화 및 복호화, 또한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그러한 시스템에 까지, 그리고 확장 시, 그 시스템에서의 메시지를 갖는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수단에 까지 확장되며, 상기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수단은 상기 방법의 하나 또는 다수의 과정들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그 프로그램은 서버 또는 이동 장치 또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예컨대, 초고속 집적회로 하드웨어 기술언어(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VHDL)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함께,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VHDL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여러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의해 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함께,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상기한 하드웨어 장치는 서버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 예컨대, 하나의 프로세서와 두 개의 FPGA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예컨대, ASIC과 같은 하드웨어 수단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수단의 조합일 수도 있는 수단, ASIC과 FPGA,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소프트웨어 모듈들이 배치되어 있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겸 소프트웨어 수단이다. 상기한 방법의 개시된 실시 예들은 완전히 하드웨어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실시 예는 다른 하드웨어 장치들, 예를 들면, 다수의 CPU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 예로써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과 변형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제안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변경과 변형들을 총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4)

  1.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로 상기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무선 자원 컨트롤(RRC) 메시지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상기 RRC 메시지에 존재한다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상기 RRC 메시지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은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RRC 메시지와 함께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이 1과 같으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이 0과 같으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은:
    두 개의 유보된 필드들,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1크기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제1크기의 길이 필드에 MAC SDU의 길이를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0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은:
    제1 길이 필드, 유보된 필드,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2 길이 필드를 포함하되, 제1 길이 필드와 제2 길이 필드의 크기의 합은 제3크기인 것인,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의 상기 제1 길이 필드에 상기 MAC SDU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비트(MSB)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의 제2 길이 필드에 상기 MAC SDU의 길이의 최하위 비트들(LSB)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1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는 과정은:
    두 개의 유보된 필드들,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3크기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제3크기의 길이 필드에 MAC SDU의 길이를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1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전송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128 바이트 미만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F) 필드를 0으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256 바이트 미만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F) 필드를 0으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적어도 256 바이트 이상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F) 필드를 1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된다면, 길이의 최상위 비트(MSB)를 확장된 길이 필드에 길이 필드의 남아있는 비트들을 길이 필드에 설정하는 과정;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지 않으면, 확장된 길이 필드에 0의 값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전송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라면,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고;
    상기한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고, 상기 MAC SDU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라면,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로 상기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무선 자원 컨트롤(RRC) 메시지에서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상기 RRC 메시지에 존재한다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상기 RRC 메시지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송신 노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RRC 메시지와 함께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이 1과 같다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이 0과 같다면, 상기 대용량의 MAC SDU가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시그널링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대용량의 MAC SDU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송신 노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두 개의 유보된 필드들,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1크기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제1크기의 길이 필드에 MAC SDU의 길이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0으로 설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송신 노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제1 길이 필드, 유보된 필드,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2 길이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길이 필드와 상기 제2 길이 필드의 크기의 합은 제3크기인 것인,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의 상기 제1 길이 필드에 상기 MAC SDU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최상위 비트(MSB)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의 상기 제2 길이 필드에 상기 MAC SDU의 길이의 최하위 비트들(LSB)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1로 설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2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송신 노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두 개의 유보된 필드들, 확장 필드, 논리적 채널 식별(LCID) 필드, 포맷 지시 필드, 및 제3크기의 길이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의 상기 제3크기의 길이 필드에 MAC SDU의 길이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 비트 지시 필드를 1로 설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3 MAC 서브헤더 포맷으로 상기 MAC SDU의 길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송신 노드.
  14.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될 MAC SDU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128 바이트 미만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F) 필드를 0으로 설정하고;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256 바이트 미만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상기 포맷(F) 필드를 0으로 설정하고;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MAC SDU의 크기가 적어도 256 바이트 이상이면, MAC 서브헤더 포맷에서 포맷(F) 필드를 1로 설정하고;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면, 길이의 최상위 비트(MSB)를 상기 확장된 길이 필드에 그리고 길이 필드의 남은 비트들을 길이 필드에 설정하고;
    상기 확장된 길이가 구성되지 않으면, 상기 확장된 길이 필드에 0의 값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MAC 서브헤더와 함께 상기 MAC SDU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수신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노드.
KR1020177013376A 2014-10-22 2015-10-22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347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5275CH2014 2014-10-22
IN5275/CHE/2014 2015-09-30
PCT/KR2015/011204 WO2016064221A1 (en) 2014-10-22 2015-10-22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tocol data unit in communication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924A true KR20170074924A (ko) 2017-06-30
KR102347769B1 KR102347769B1 (ko) 2022-01-07

Family

ID=5576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376A KR102347769B1 (ko) 2014-10-22 2015-10-22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0057033B2 (ko)
EP (4) EP3836517B1 (ko)
KR (1) KR102347769B1 (ko)
CN (2) CN111565371B (ko)
ES (1) ES2909761T3 (ko)
WO (1) WO20160642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052A (ko) * 2018-05-09 2021-01-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통신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6517B1 (en) 2014-10-22 2022-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tocol data unit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170273072A1 (en) * 2016-03-21 2017-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data indication
EP3537686B1 (en) 2016-11-04 2023-05-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rotocol data unit (pdu) pack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484908B2 (en) * 2017-05-0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Indication for a transport block
CN110622553A (zh) * 2017-08-11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WO2019028872A1 (zh) 2017-08-11 2019-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AU2017428944A1 (en) * 2017-08-23 2020-02-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terminal device
EP3782343B1 (en) * 2018-04-19 2023-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data packets
JP7119052B2 (ja) * 2020-11-18 2022-08-16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pdu)パケッ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WO2024071760A1 (en) * 2022-09-27 2024-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nit without length fiel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822A1 (en) * 2008-12-19 2010-06-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b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44698A1 (en) * 2011-02-14 2013-02-21 Riikka Susitaival Backwards-compatible approach to fields of a protocol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67A (ko) *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와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EP1921807A1 (en) * 2006-11-13 2008-05-14 Alcatel Lucent Method for forwarding MAC protocol data unit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communication end point and relay station
KR20080045548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근 제어 헤더의 송/수신 장치및 방법
TWI466518B (zh) 2006-12-12 2014-12-21 Interdigital Tech Corp 經高速下鏈封包存取傳送及接收封包方法及裝置
US8228915B2 (en) * 2007-06-25 2012-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handling residual space in packet data transmissions
KR20100061762A (ko) 2007-09-28 2010-06-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레이어 2 프로세싱 및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2927B2 (en) * 2007-10-01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control header format
US20090092076A1 (en) * 2007-10-04 2009-04-09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system overhead
EP3145240B1 (en) * 2008-02-20 2019-04-10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dding buffer status reports
CN102301672B (zh) * 2009-03-13 2014-07-0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演进多媒体广播组播业务分组传输方法、网关和基站
US20100232356A1 (en) 2009-03-16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Layer two segmentation techniques for high data rate transmissions
KR101147777B1 (ko) * 2009-04-14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체접속제어 프로토콜데이터 유닛 전송방법
KR101646942B1 (ko) * 2009-07-13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길이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98317B1 (ko) * 2009-09-02 2016-02-26 애플 인크. 무선 시스템들의 mac 패킷 데이터 유닛 구성
KR101216100B1 (ko) * 2009-11-18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편화 패킹 확장헤더를 수반하는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879474B2 (en) 2010-02-10 2014-1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having a fragmentation and packing extended header
CN103875224B (zh) 2012-08-17 2018-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3836517B1 (en) * 2014-10-22 2022-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tocol data unit in communica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822A1 (en) * 2008-12-19 2010-06-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b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44698A1 (en) * 2011-02-14 2013-02-21 Riikka Susitaival Backwards-compatible approach to fields of a protocol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052A (ko) * 2018-05-09 2021-01-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통신 기기
US11570837B2 (en) 2018-05-09 2023-01-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3936A1 (en) 2018-11-08
EP3162038B1 (en) 2020-04-15
US11664949B2 (en) 2023-05-30
US11750348B2 (en) 2023-09-05
CN106797546A (zh) 2017-05-31
US20210376986A1 (en) 2021-12-02
EP3675464B1 (en) 2021-03-03
EP4068845A1 (en) 2022-10-05
KR102347769B1 (ko) 2022-01-07
CN111565371A (zh) 2020-08-21
US20210367737A1 (en) 2021-11-25
EP3162038A4 (en) 2018-02-21
ES2909761T3 (es) 2022-05-10
US10057033B2 (en) 2018-08-21
US20160119102A1 (en) 2016-04-28
EP3836517B1 (en) 2022-03-02
CN106797546B (zh) 2020-05-29
US20230261842A1 (en) 2023-08-17
CN111565371B (zh) 2022-02-25
EP3675464A1 (en) 2020-07-01
EP4068845B1 (en) 2024-01-03
US11121841B2 (en) 2021-09-14
EP3836517A1 (en) 2021-06-16
WO2016064221A1 (en) 2016-04-28
EP3162038A1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769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시스템
EP2666248B1 (en) Ue capability report methods and apparatus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73346A (ko) 전송 블록에서의 제어 정보의 효율적인 다중화
WO2016029485A1 (zh) 一种天线信息的发送、接收方法和设备
EP4336904A1 (en) Resource allocation
JP2016535531A (ja) 多ユーザアップリン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096194B2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to logical channel,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CN103081542A (zh)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上行链路数据的方法和装置
CN107710846A (zh) 数据传输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US10749549B2 (en) Method and device i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80131640A1 (en) Technique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ple acknowledgement signals in new radio
US8938028B2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882476B2 (en) Configuration of user plane functions for wireless systems
EP417535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180136841A (ko) Mac 계층 헤더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48651A (ko) 캠핑 셀에 따른 무선랜 망 연동 방법 및 장치
WO2016029486A1 (zh) 一种天线信息的发送、接收方法和设备
WO2023070392A1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4260652A1 (en) Network coding with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