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720A - 다기능 매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720A
KR20170074720A KR1020150184821A KR20150184821A KR20170074720A KR 20170074720 A KR20170074720 A KR 20170074720A KR 1020150184821 A KR1020150184821 A KR 1020150184821A KR 20150184821 A KR20150184821 A KR 20150184821A KR 20170074720 A KR20170074720 A KR 2017007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ide wall
base
air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리
건 태 김
김정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넥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넥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넥실
Priority to KR102015018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720A/ko
Publication of KR2017007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0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tegral, body-bearing projections or protube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 A61G7/0574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fluidised by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고, 노약자나 장애인이 매트로 사용하면서 별도의 움직임 없이 목욕을 할 수 있는 욕조 등의 다양한 용도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및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임장치은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돌출시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울임장치가 작동되면 기울임부재가 각운동을 수행하게 되어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의 인체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체의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압력이 해소되고 인체의 등 부분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환자를 움직여 자세를 바꾸어주는 작업이 기울임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간병인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매트{MULTI-FUNCTION MAT}
본 발명은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고, 노약자나 장애인이 매트로 사용하면서 별도의 움직임 없이 목욕을 할 수 있는 욕조 등의 다양한 용도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유발된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해진 시간마다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변경시켜 압박부위의 부담을 줄여주고 통풍시켜주는 방법이 대표적인 방안이다.
하지만, 환자의 욕창 방지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자를 움직여 자세를 바꾸어주는 작업은 힘이 많이 들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간병인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이 심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51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욕창 방지용 매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5149호에 따른 욕창 방지용 매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주머니 및 복수의 냉온풍부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주머니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압력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센서부; 상기 복수의 냉온풍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부; 피에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피에조 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스트레스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센서 겸 발전기; 상기 몸체의 일면의 상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주머니; 상기 복수의 공기 주머니를 상호 연결하며, 공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기 주머니에 제공하는 공기 통로부; 상기 몸체의 일면의 상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냉온풍부; 및 상기 제 1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 또는 무게를 근거로 상기 제 1 센서부에 인접한 공기 주머니 내의 공기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를 근거로 상기 제2 센서부에 인접한 냉온풍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피에조 센서 겸 발전기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피에조 센서 겸 발전기에 인접한 냉온풍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5149호에 따른 욕창 방지용 매트는 항온/항습 기능을 환자에게 제공하고 통풍성이 확보되므로 환자의 욕창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상기한 종래 욕창 방지용 매트는 공기주머니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누워 있는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없으므로 여전히 욕창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 욕창 방지용 매트는 플라스틱, 나무,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형성된 기본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서 취급과 사용이 불편하고, 기존 병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호환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본 프레임의 내부에 공기주머니가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통풍성의 결여로 욕창 완화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몸을 자주 씻어주어야 하지만, 종래 욕창 방지용 매트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의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누운 상태에서 움직일 수 없는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렵고, 장애인이나, 환자가 높이가 높은 욕조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전도되는 등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고, 욕창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욕조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매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5149호 "욕창 방지용 매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9627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02570호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누운 자세 변환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인이 매트로 사용하면서 별도의 움직임 없이 목욕할 수 있는 욕조 등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및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임장치은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돌출시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 및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시트; 상기 매트베이스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 상기 매트베이스에 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 상기 매트베이스에 상기 측벽매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측벽매트부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울임장치은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돌출시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매트베이스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매트부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의 표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의 표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베이스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매트부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시트는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 측벽매트부의 표면 및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매트베이스와 인접하는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와 인접하는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에 사이에 서로 연결되는 연결띠, 또는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의 표면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면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의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결속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베이스시트 모서리부분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제1 결속부재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를 덮는 상기 베이스시트 부분,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를 덮는 상기 베이스시트 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제1 결속부재와 접하여 설치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시트는 방수성 특성을 갖는 방수면상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기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로 형성된 연결층을 포함하는 복층직물지; 발포패드; 중공부를 갖는 패드 형태의 공기주입체; 및 탄성을 갖는 선사를 엮어 형성한 패드 형상의 망상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베이스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베이스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배기수단;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램프;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고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모듈;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매트본체에 배치되는 진동돌기와 상기 진동돌기에 진동력을 생성, 인가하기 위해 내장되는 진동기를 구비한 진동모듈; 수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센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울임장치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울임부재; 및 상기 기울임부재에 회동력을 인가되도록 설치되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임부재구동수단은, 상기 기울임부재의 저부에 배치되고 주름부를 갖는 공기주입체; 및 상기 공기주입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기울임장치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형성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기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공기주입체; 및 상기 공기주입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체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와, 상기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와 마주보는 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부용공기주입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다리 부위에 배치되는 하체용공기주입체와, 인체의 상체 부위에 배치되는 상체용공기주입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골반 부위에 배치되는 골반용공기주입체와, 인체의 척추 부위에 배치되는 척추용공기주입체, 인체의 머리 부위에 배치되는 머리용공기주입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는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주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부기밀층, 상기 하부기밀층의 상부에 포개지는 상부기밀층, 상기 상부기밀층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팽창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트베이스는 통풍성을 갖는 통풍성면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상기 공기주입체의 팽창시에 노출되는 주입체팽창공이 형성된 보조매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울임장치가 작동되면 기울임부재가 각운동을 수행하게 되어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의 인체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체의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압력이 해소되고 인체의 등 부분에 통풍성이 확보되어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환자를 움직여 자세를 바꾸어주는 작업이 기울임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간병인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의하면, 매트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욕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거동이 불가능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보호자가 직접 들어서 욕조로 이동시키지 않고 누워있는 상태에서 욕조로 변환하여 목욕을 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의하면, 온열 기능, 마사지 기능, 통풍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매트나 욕조 기능 외에도 놀이용매트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 등의 식품제조시 절임용 용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욕창 방지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도2a의 A부 확대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3b 및 도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공기주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적용할 수 있는 베이스시트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a 내지 도11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2b는 도2a의 A부 확대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사용자의 누운 자세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1)와,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매트베이스(1)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울임장치(2)는 매트로 사용시에 평평한 상태가 유지되고 인체의 누운 자세를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만 돌출되도록 출몰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자세의 변환동작이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울임장치(2)는 인체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트베이스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매트베이스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울임장치(2)는 매트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울임부재(21)와, 이 기울임부재(21)에 회동력을 인가되도록 설치되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울임부재(21)는 대략 부채꼴 형상을 공기주입형판이나 발포패드로 형성된 발포패드판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측 단부에는 매트베이스(1)에 접속되는 힌지돌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트베이스(1)는 발포패드나 공기주입체로 형성된 대략 사각판 형상의 부재로서, 양쪽 측부에 기울임부재(21)가 수납되는 수납홈(11)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울임부재구동수단(22)은 기울임부재(21)의 저부에 배치되고 주름부를 갖는 공기주입체(221)와, 이 공기주입체(221)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2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주입장치(222)는 공기주입체(221)에 연결된 에어호스(224)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같은 압축공기공급원(미도시)과, 이 압축공기공급원과 연결된 공기주입체(221)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고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분배기(222a)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공기공급원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요양병원 등과 같이 압축공기공급배관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분배기는 좌우측 공기주입체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압용 방향전환밸브(통상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라고 호칭함)가 내장되고, 이 공압용 방향전환밸브의 절환조작을 위한 조작부, 및 공기주입체(222)와 연결된 공압호스의 압축공기를 배기 시키는 배기밸브 등이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분배기는 공압분야의 통상적인 장치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기울임장치(2)는 기울임부재(21)를 각운동 시키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을 전술한 공기주입방식이 아니라 전기식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방식, 압축공기의 공급시에 전후진 되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조 기능을 갖는 매트는 펼쳐진 상태로 침대의 표면이나 바닥에 깔아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트의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 되면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유발되므로 간편한 조작을 통해 주기적으로 기울임장치(2)는 작동시켜 사용자의 자세를 변환시켜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장치(222)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일측 공기주입체(221)에 공급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팽창되고 이에 따라 매트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울임부재(21)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 기울임부재(21)가 각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의 인체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인체의 등 부분에 통풍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한 후 일측 공기주입체(221)의 공기를 배기시키고 압축공기를 타측 공기주입체(221,미도시)에 공급하게 되면 동일한 작용으로 타측 기울임부재(21)가 각운동을 수행하게 되면서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의 인체가 다른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기울임부재(21)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자연히 압박부위의 부담을 줄여주고 통풍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욕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를 움직여 자세를 바꾸어주는 작업이 기울임장치(2)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간병인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보호자의 경제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또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서로 간에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3b 및 도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공기주입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b는 공기주입체 중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의 사시도와 B-B선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c는 공기주입체 중 골반용 및 척추용공기주입체의 사시도와 C-C선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1)와,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매트베이스(1)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3)로 구성되고, 상기 기울임장치(3)는 매트베이스(1)에 형성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기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공기주입체(31)와, 이 공기주입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32)로 구성되되, 공기주입체(31)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기주입체(31)가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압축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시에 인체를 들어올려 자세를 변환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트베이스(1)는 통풍성을 갖는 통풍성면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통풍성면상체(1a)는 직물지와 같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직물지(여기서 직물지는 편물과 직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나, 망상구조로 형성된 면상의 망상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베이스는 직물지나 망상체 외에도 후술되는 복층직물지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31)는 매트에 1개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주입체(31)는 에어호스(34)를 매개로 공기주입장치(32)와 연결되는 것으로, 매트베이스(1)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311),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311)와 마주보는 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부용공기주입체(312), 인체의 다리부위에 배치되는 하체용공기주입체(313), 및 인체의 상체 부위에 배치되는 상체용공기주입체(3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공기주입체(311,312,313)는 도3b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주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공기주입체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주름형 팽창부(31a)가 돌출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주름형 팽창부(31a)는 1개씩 독립구조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팽창부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각 공기주입체는 도3b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성면상체(1a)에 설치되는 하부기밀층(31b), 하부기밀층(31b)의 상부에 포개지는 상부기밀층(31c), 상부기밀층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팽창부(31a)로 이루어져 있다. 도3b의 미설명부호 31d는 통풍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통되는 통풍공이다.
한편, 공기주입체(31)는 인체의 골반 부위에 배치되어 골반 부위를 떠받치거나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용공기주입체와, 인체의 척추 부위에 배치되어 척추 부위를 떠받치거나 마사지할 수 있는 척추용공기주입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골반용공기주입체와 척추용공기주입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3a에서는 골반용공기주입체와 척추용공기주입체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골반용 및 척추용공기주입체(315)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공기주입체(31)로서 인체의 머리부위에 배치되어 베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용공기주입체(316)가 구비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의 상면에 배치되는 보조매트(4)가 구성되어 있다.
보조매트(4)는 제1 및 제2 측부용공기주입체(311,312), 하체용공기주입체(313), 상체용공기주입체(314), 골반용 및 척추용공기주입체(315), 및 머리용공기주입체(316)의 팽창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주입체팽창공(41)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매트(4)는 쿠션 특성이 우수한 발포패드나 통풍 특성이 우수한 복층직물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매트베이스(1)의 상부에 보조매트(4)가 추가로 구성되면 공기주입체(3)의 수축시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이물감 없이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에 전원공급부(미도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 또는 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18)이 구성되어 있다.
발열수단(18)은 열전소자를 메인베이스(1)에 배치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열기를 발산할 수 있는 발열선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발열선은 미리 매트베이스(1)를 직조한 후 자수방식으로 가설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발열선은 조립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원가의 절감을 위해 매트베이스(1)의 직조시에 발열선을 직기에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발열선은 직기에 공급할 수 있고 직조과정에서 마찰력이나 인장력이 작용 되더라도 손상되지 않은 섬유기반 도전선을 적용한다. 이러한 섬유기반 도전선은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섬유기반 도전선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분리사시도, 도6는 욕조로 사용하기 위해 측벽매트부가 직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여기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A부)의 확대사시도 및 지시된 부분(B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a에서 베이스시트(5)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 박음질, 부착 등의 방법으로 매트베이스(1)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1), 인체를 기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2), 매트베이스(1)에 설치되는 베이스시트(5), 매트베이스(1)에 접하여 베이스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6)로 구성되어 있다.
매트베이스(1)는 매트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판 등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기울임장치(2)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매트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울임부재(21)와, 이 기울임부재(21)에 회동력을 인가되도록 설치되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22)으로 구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기울임장치(2)는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실시예에 기재된 구조와 유사하게 공기주입체와 공기주입장치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기재된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매트베이스에 팽창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도4의 보조매트에 형성된 주입체팽창공과 유사 방식으로 매트베이스에 주입체팽창공(미도시)을 형성한다.
측벽매트부(6)는 상기한 매트베이스(1)의 형상에 맞추어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62)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매트베이스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직립된 상태에서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각이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시트(5)는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표면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시트형 면상체로서, 한 겹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 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시트(5)가 한 겹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방수층이 코팅된 직물지나 방수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 면상체 등 방수특성을 갖는 방수면상체로 구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적용할 수 있는 베이스시트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5)는 다 겹으로 구성될 경우 직물지나 그물망 구조의 면상체와 같이 어느 정도 통풍성을 갖는 통풍면상체(51)와, 이 통풍면상체(51)에 탈부착되고 방수성특성을 갖는 방수면상체(52)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풍면상체(51)와 방수면상체(52)에는 필요에 따라 방수면상체(52)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53)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결속부재(53)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면상체(51)에 설치되는 수 벨크로화스너와 같은 제1 결속부재(531)과, 이 제1 결속부재(531)에 탈부착되도록 방수면상체(52)에 설치되는 암 벨크로화스너와 같은 제2 결속부재(532)로 구성될 수 있다.
매트베이스(1)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5) 중앙의 표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구속되는 구성요소로서, 크기와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표준 체형의 성인이나 아동이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는 매트베이스(1)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접하여 베이스시트(5)의 표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길이는 매트베이스의 길이와 일치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폭은 직립된 상태에서 목욕이나 샤워가 가능한 정도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매트베이스(1)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베이스시트(5)의 표면에 부착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폭방향 사이즈는 매트베이스(1)의 폭과 일치하고 길이방향 사이즈는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의 폭과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도6b의 확대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결속부재(7)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7)는 부착용 테이프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세워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부위를 테이핑하는 방식으로도 구속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이 제1 결속부재(71)와 제2 결속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결속부재(71)와 제2 결속부재(72)는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폭방향측벽매트부(62)가 매트베이스(1)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결속수단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결속부재(71)는 보다 안정적인 결속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6b의 확대부 A에 도시된 바와 베이스시트(5) 모서리부분의 외면(도6a에서는 저면에 해당됨)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결속부재(71)는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2 결속부재(72)는 제1 결속부재와의 결속을 위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2 결속부재(62)는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폭방향측벽매트부(62),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부분의 베이스시트(5) 표면, 폭방향측벽매트부(62) 부분의 베이스시트(5) 표면 중 어느 한 곳에 제1 결속부재(61)의 설치위치에 따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결속부재(71) 및 제2 결속부재(72)는 암 벨크로화스너 및 수 벨크로와스너, 암 스냅단추 및 수 스냅단추, 한 쌍의 결속띠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암,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구성하는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직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의 수압과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을 어느 정도 지탱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도6b의 확대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 다겹 구조를 갖는 복층직물지로 구성되어 있다.
복층직물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면직(151),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면직(151)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152), 상면직(151) 및 하면직(152)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로 형성된 연결층(1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복층직물지는 경편기 또는 벨벳직기로 호칭되는 직기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이격공간의 간격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사용, 보관, 및 취급성을 고려하여 3 내지 40 mm 범위가 되도록 직기의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직조한다.
그리고, 상면직(151) 및 하면직(152)을 형성하는 위사와 경사 및 연결사는 섬유사(유기 섬유사 및 무기섬유사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 금속사 등의 선사를 직기에 공급하여 동시에 직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되, 연결사(파일사라고 호칭됨)는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면직(151) 및 하면직(152)을 형성하는 선사(위사 및 경사)에 비해 탄성력이 큰 선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사를 탄성력이 큰 선사로 적용할 경우 상면직(151)에 안착되는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사는 탄성을 갖는 소재의 선사로서 모노필라멘트사와 같은 합성섬유사 계열의 섬유사가 적용되거나, 위사 및 경사에 비해 데니어(굵기)가 큰 섬유사가 공급되어 직조된다.
그리고, 상기한 복층직물지는 연결층(153)의 내부 이격공간에 완충재, 단열재, 기능성물질 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재는 발포폼 알갱이, 스티로폼 알갱이 등이 투입될 수 있고, 단열재는 에어로겔 알갱이, 스티로폼 알갱이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기능성물질 부재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루말린(전기석) 알갱이나 황토알갱이, 탈취 및 항균 작용을 수행하는 숯알갱이 등과 같은 기능성물질로 형성된 것이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발포우레탄폼과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발포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중공부를 갖는 공기주입체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주입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공기주입펌프와 같은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미도시)가 설치된다.
그 외에도, 상기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탄성을 갖는 선사를 엮어 형성한 패드 형상의 망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선사로는 낚시줄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모노필라멘트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 중에서 어느 한 곳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의 배기를 위한 배수구(16,56)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매트베이스(1)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하는 베이스시트(5)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구(16,56)에는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마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배수구(16)는 용수의 배수시에 침대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드레인 호스를 수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침대의 표면이나 바닥에 깔아서 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작용 설명부분에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로 매트의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편한 조작을 통해 주기적으로 기울임장치(2)는 작동시켜 사용자의 자세를 변환시켜 주게 되면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욕창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폭방향측벽매트부(62) 중 인체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는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내측으로 접어 베개 대용으로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리쪽에 위치하는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내측으로 접어 골절 환자가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의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목욕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6b의 확대부 A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내측으로 세워 직립 되도록 하고 베이스시트(5)의 모서리 부분을 포개어 접고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 사이 틈새로 빼내어 제1 결속부재(71) 및 제2 결속부재(72)를 서로 결속하게 되면 직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내부에 용수를 담을 수 있는 욕조 형태로 변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구(16,56)에 배수구마개(미도시)를 체결하여 막고, 목욕용 용수를 호스 등으로 공급하거나 용수운반용 용기를 이용하여 채워넣은 다음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목욕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거동이 불가능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보호자가 직접 들어서 욕조로 이동시키지 않고 누워 있는 상태에서 즉시 목욕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목욕이 완료되면 배수구(16,56)에 드레인 호스(미도시)를 결속하여 목욕용 용수를 배수하고 잔류하는 수분을 닦아낸 다음, 제1 및 제2 결속부재(71,72)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직립되어 있던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가 펼쳐져 원위치 되므로 다시 취침용 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에 전원공급부(미도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 또는 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18)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발열수단(18)은 매트베이스 외에도 길이방향측벽매트부(31)와 폭방향측벽매트부(32)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수단(18)은 열전소자를 매트베이스(1)에 배치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열기를 발산할 수 있는 발열선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발열선은 하면직(152)이나 연결층(153)에도 배치될 수 있지만 도8에서는 확대부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직(15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선은 미리 매트베이스(1)를 직조한 후 가설할 수도 있지만 조립성 및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원가의 절감을 위해 매트베이스(1)의 직조시에 발열선을 직기에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이를 위해 발열선은 직기에 공급할 수 있고 직조과정에서 마찰력이나 인장력이 작용 되더라도 손상되지 않은 섬유기반 도전선(18a)을 적용한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절연 피복된 도전성을 갖는 선사로 형성된 도전사(182)와, 도전사(182)의 외면에 엮어지거나 감김되는 외피사(183)를 포함한다.
여기서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도전사(182)를 섬유사와 혼사하는 방식으로 사가공함으로써 섬유사와 유사한 가요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갖도록 구성한 도전선을 의미한다.
특히,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직기에 의한 직조가 가능하도록 10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섬유기반 도전선(18a)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8의 확대부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181)와, 이 중심사(181)에 엮어지고 도전성을 갖는 선사로 형성된 복수 가닥의 도전사(182), 및 도전사(182)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18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사(181) 및 외피사(183)는 다양한 무기 섬유사 및 유기 섬유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전사(182)에 비해 인장강도가 큰 것을 적용하되 섬유기반 도전선이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절연 특성이 뛰어나고 내열특성을 갖는 선사를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동선 또는 스테인레스선이 적용되므로 고장력 섬유사, 세라믹 섬유사, 유리섬유사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장력 섬유사가 선택, 적용될 경우에는 내열 특성이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아라미드계 섬유사로서 케브라사(상품명)나 아라미드사(상품명)가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장력 섬유사는 공지된 케브라사나 아라미드사 정도의 인장강도를 갖는 섬유사를 의미한다.
상기 도전사(182)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사, 탄소사,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섬유사,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스테인레스, 티타늄, 동(Cu) 등으로 형성되고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도전성 금속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2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동선이나 스테인레스선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한 직경 범위의 동선이나 스테인레스선을 선택한 이유는 섬유기반 도전선로 구성한 상태에서의 전체 직경이 5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어야 직기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직기에 의한 직조시 장력이 걸린 상태로 공급되거나 직조과정에서 인장력이 작용 될 경우에도 파단되지 않도록 중심사(181) 또는 외피사(183)는 도전사(182)에 비해 인장 강도가 큰 선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섬유기반 도전선(18a, 도8에 은선으로 도시함)은 매트베이스(1)의 직조시 위사 및 경사 중 일부로 공급되어 직조되되 매트베이스(1)에 인가되는 하중, 충격력, 인장력과 같은 외력의 인가시 늘어나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굴곡부를 갖도록 직조된다. 이때, 굴곡부의 형상은 외력의 인가시에 늘어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 단부의 형상이 부드러운 사인파 형상의 파형구조로 직조된다. 여기서,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매트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열로 직조한 후 양단부를 서로 결속하여 직렬 회로가 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섬유기반 도전선(18a)은 외력의 인가시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수축될 수 있도록 중심사(181)가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도전사(182) 및 외피사(183)가 중심사(181)에 차례로 감겨진 감김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 고분자사는 통상 스판사로 호칭되는 섬유사로서 신축성 고분자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신축성 고분자 수지는 실리콘 계열의 고무,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소재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동절기나 추운 지방에서는 발열수단(18)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열기를 발산하여 온열작용을 수행하므로 난방 매트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발열수단은 내부에 수용된 용수가 식지 않도록 열기를 제공하여 장시간 동안 따뜻하고 편안하게 목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에 전원공급부(미도시, 통상의 AC 또는 DC 전원공급장치로 구성할 수 있음)와 연결된 전원라인(18b)에 접속되는 램프(17)가 더 구성되어 있다.
램프(17)는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거나 치료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원적외선 발광다이오드(원적외선 파장대의 광이 방출되는 LED)나, 살균 및 탈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자외선 파장대역의 광이 방출되는 LED)를 설치할 수 있다.
매트베이스(1)에는 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는 진동모듈(19)이 더 구성되어 있다. 진동모듈(19)은 도9의 확대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베이스(1)에 설치되어 진동되는 진동돌기(191)와, 이 진동돌기(191)에 진동력을 인가하는 진동기(192)로 구성된다. 진동기(192)는 휴대폰의 진동모드를 위해 설치되는 편심형 진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전과 같이 얇은 원형 구조로 형성된 코인형 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형 진동모터는 코인(동전) 형상을 갖는 케이스의 내부에 마그네트, 유도코일, 바이브레이터, 등이 내장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공지의 모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매트베이스(1)에는 저주파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저주파발생기는 저주파 전류를 생성하는 저주파발생기본체(미도시), 이 저주파발생기본체와 케이블를 매개로 연결되고 매트베이스에 배치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저주파발생기본체는 통상의 저주파발생기 또는 저주파자극기에서 적용되는 모듈로서 온오프스위치, 전압조절스위치, 시간설정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전압과 시간을 희망하는 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치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매트베이스(1)에는 전원라인(18b)에 접속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인체의 맥박, 혈압 등을 감지하는 통상의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매트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 외에도, 매트베이스(1)에는 배뇨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감지센서(미도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미도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미도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음이온발생장치, 온도센서는 통상의 감지소자나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램프, 저주파발생기, 생체신호 측정모듈, 진동모듈, 온도센서,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등은 전원공급부 및 제어부와 전원라인(18b)을 통해 접속되는 것으로, 이 전원라인(18b)은 통상의 전선으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인체와의 접촉시에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력, 인장력 등의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매트베이스(1)의 직조시에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전원라인(18b)은 직기에 공급, 직조될 수 있도록 도9의 확대부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원라인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18b)은 전원 및 전기신호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18a, 도8의 확대부 'B' 참조)에 비해 저항값이 낮게 제작된 것을 적용한다. 다시 말해서, 전원라인(18b)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은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18a)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현저히 작아지도록 도전사의 배치 가닥 수가 많게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매트베이스(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배기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되어 있다.
흡배기수단은 매트베이스(1)에 연결층(153)이 위치하는 이격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팬(fan)으로 구성된 것으로, 팬은 이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이격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급기)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팬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팬은 이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팬과, 이격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단일의 팬으로도 공기의 흡인 및 급기가 가능하다면 1개의 팬만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배기수단이 흡입 팬과 급기 팬으로 구성되면, 흡입 팬의 작동시 상면직(151)의 표면, 이격공간 및 외부로 이어지는 공기의 흡입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면직(151) 표면에 안착된 인체 부위에 충분한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급기 팬의 동작시 외부, 이격공간, 상면직(151) 표면으로 이어지는 공기의 급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면직 표면에 안착된 인체 부위로 공기가 분출됨에 따라 냉방 작용과 함께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흡배기수단으로 구성되는 팬에는 매트베이스(1)로부터 배출되거나 급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습모듈은 팬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습모듈은 전원의 공급시에 냉각되는 냉각기판부와 발열되는 발열기판부를 구비한 열전소자와, 이 열전소자의 발열기판부 부분에 결합되고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판, 이 냉각기판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제습모듈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제습모듈이 구비되면 팬의 작동으로 매트베이스(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냉각기판부 부분에서 응축되어 수집케이스로 낙하, 제거되므로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중심에 배치되는 매트베이스(1),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2), 매트베이스(1)에 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6), 매트베이스(1)에 측벽매트부(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8), 및 측벽매트부(6)의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시트(5')로 구성되어 있다.
매트베이스(1)는 매트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대략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등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기울임장치(2)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매트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울임부재(21)와, 이 기울임부재(21)에 회동력을 인가되도록 설치되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매트부(6)는 상기한 매트베이스(1)의 형상에 맞추어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매트베이스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62)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매트베이스(1)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직립된 상태에서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각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8)는 매트베이스(1)에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10에서는 매트베이스(1)와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인접부위에 설치되는 연결띠(81)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띠(81)는 직물지 띠와 같이 어느 정도의 가요성과 인장강도를 갖는 띠형상의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띠형부재에 벨크로화스너와 같은 결속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복층직물지, 발포패드, 공기주입체, 망상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베이스시트(5')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매트베이스(1)와 길이방향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1,62)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가 베이스시트(5')에 고정되는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가 별도의 연결부재(8)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베이스시트를 선택하여 필요에 따라 베이스시트를 설치 및 분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다기능 매트를 취침용이나 유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이스시트(5')를 담요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다기능 매트를 욕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수층이 코팅된 직물지나 방수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방수특성을 갖는 방수면상체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와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결속부재(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시트(5')에는 매트의 표면에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시트고정용결속부재(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고정용결속부재(9)는 암,수 벨크로화스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암 벨크로화스너(91)가 베이스시트(5')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면 대응하는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에 수 벨크로화스너(92)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여기서, 연결면상체(82)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 박음질, 부착 등의 방법으로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에 일체로 고정된 것이고, 베이스시트(5')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매트베이스(1)에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연결부재(8)로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연결면상체(82)가 구성되어 있다.
연결면상체(82)는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의 표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음질, 부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는 연결부재(8)가 매트베이스(1),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를 전체적으로 덮는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됨에 따라 길이방향측벽매트부(61) 및 폭방향측벽매트부(62)가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직립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매트베이스 11:수납홈
18:발열수단 2,3:기울임장치
21:기울임부재 22:기울임부재구동수단
221,31:공기주입체 222,32:공기주입장치
4:보조매트 41:주입체팽창공
5,5':베이스시트 51:통풍면상체
52:방수면상체 53,54,7:결속부재
6:측벽매트부 61:길이방향측벽매트부
62:폭방향측벽매트부 8:연결부재
81:연결띠 82:연결면상체
9:시트고정용결속부재

Claims (23)

  1.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및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임장치은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돌출시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 및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시트;
    상기 매트베이스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3. 다기능 매트에 있어서,
    면상구조로 형성된 매트베이스;
    인체를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기울임장치;
    상기 매트베이스에 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매트부;
    상기 매트베이스에 상기 측벽매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측벽매트부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장치는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돌출시에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매트부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의 표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시트의 표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매트부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폭방향측벽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시트는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의 표면 및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매트베이스와 인접하는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매트베이스와 인접하는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에 사이에 서로 연결되는 연결띠, 또는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의 표면에 설치, 고정되는 연결면상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와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의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결속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베이스시트 모서리부분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제1 결속부재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를 덮는 상기 베이스시트 부분,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를 덮는 상기 베이스시트 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제1 결속부재와 접하여 설치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는 방수성 특성을 갖는 방수면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 상기 길이방향측벽매트부, 및 상기 폭방향측벽매트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기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로 형성된 연결층을 포함하는 복층직물지;
    발포패드;
    중공부를 갖는 패드 형태의 공기주입체; 및
    탄성을 갖는 선사를 엮어 형성한 패드 형상의 망상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는,
    상기 매트베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배기수단;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램프;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고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모듈;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매트본체에 배치되는 진동돌기와 상기 진동돌기에 진동력을 생성, 인가하기 위해 내장되는 진동기를 구비한 진동모듈; 수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센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장치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울임부재; 및
    상기 기울임부재에 회동력을 인가되도록 설치되는 기울임부재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부재구동수단은,
    상기 기울임부재의 저부에 배치되고 주름부를 갖는 공기주입체; 및
    상기 공기주입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장치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형성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기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공기주입체; 및
    상기 공기주입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체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높이가 증가되는 내저외고(內低外高)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와, 상기 제1 측부용공기주입체와 마주보는 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부용공기주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다리 부위에 배치되는 하체용공기주입체와, 인체의 상체 부위에 배치되는 상체용공기주입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인체의 골반 부위에 배치되는 골반용공기주입체와, 인체의 척추 부위에 배치되는 척추용공기주입체, 인체의 머리 부위에 배치되는 머리용공기주입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주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상기 매트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부기밀층, 상기 하부기밀층의 상부에 포개지는 상부기밀층, 상기 상부기밀층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팽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베이스는 통풍성을 갖는 통풍성면상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체의 팽창시에 노출되는 주입체팽창공이 형성된 보조매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KR1020150184821A 2015-12-22 2015-12-22 다기능 매트 KR2017007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21A KR20170074720A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21A KR20170074720A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20A true KR20170074720A (ko) 2017-06-30

Family

ID=5927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821A KR20170074720A (ko) 2015-12-22 2015-12-22 다기능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7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41A (ko) * 2018-05-29 2019-12-10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냉온매트장치
KR20200038898A (ko) * 2020-03-30 2020-04-14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102505427B1 (ko) * 2022-12-05 2023-03-06 주식회사 우성바이오텍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141A (ko) * 2018-05-29 2019-12-10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냉온매트장치
KR20200038898A (ko) * 2020-03-30 2020-04-14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102505427B1 (ko) * 2022-12-05 2023-03-06 주식회사 우성바이오텍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349B2 (en) Patient support cover
US7469436B2 (en) Pressure relief surface
US7191482B2 (en) Patient support
US9566202B2 (en) Medical air mattress, method to inflate/deflate a medical air mattress and method to incline the bearing surface of a medical air mattress
US8006333B2 (en) Patient support surface with turn-assist
US20140316495A1 (en) Conformable heated mattress
US20100095461A1 (en) Patient support surface
WO1992002200A1 (en) Mattress assembl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ubitus ulcers
KR20070056928A (ko) 온도조정매트
KR20170074720A (ko) 다기능 매트
CA2878994A1 (en) Patient support
ES2320794T3 (es) Aparato colorifero amoldable.
JP2002126013A (ja) エアマット装置
KR20150025541A (ko) 쿨 매트
KR20170074721A (ko) 욕조 기능을 갖는 매트
KR20170087375A (ko) 욕조 기능을 갖는 매트
KR20140092595A (ko) 섬유기반의 능동형 스마트 패드
KR20150074464A (ko) 욕창방지용 매트
WO2011093762A1 (en) Overlay mattress and method of ventilating a bed using such a mattress
KR102050086B1 (ko) 욕창 방지용 다기능 매트리스 구조
KR20090009211U (ko) 복층구조의 에어매트리스
JP2005034392A (ja) 介護用マット
JP2000271188A (ja) 下半身部並びに下肢部サウナカバー
JP2005006939A (ja) エアマットレス
CN216725128U (zh) 一种新型多功能截石位体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