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898A -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898A
KR20200038898A KR1020200038082A KR20200038082A KR20200038898A KR 20200038898 A KR20200038898 A KR 20200038898A KR 1020200038082 A KR1020200038082 A KR 1020200038082A KR 20200038082 A KR20200038082 A KR 20200038082A KR 20200038898 A KR20200038898 A KR 20200038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micro
unit
curren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980B1 (ko
Inventor
전승덕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제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스타 filed Critical (주)제니스타
Priority to KR102020003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9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1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ionised ga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를 탐지하여 인체로 정해진 방식으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에 관한 것이다.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는 중심 유닛(11) 및 중심 유닛(11)에 대하여 경사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모듈; 중심 유닛(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 서로 다른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에 대하여 미세전류의 인가를 설정하는 분배 유닛(17); 및 분배 유닛(17)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A Healthy Bed with a Structure of Applying a Micro Curren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를 탐지하여 인체로 정해진 방식으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전류는 1000 ㎂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 ㎂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를 흐르는 생체 전류는 신체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약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강 상태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체를 흐르는 인체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미세전류가 강제적으로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에 인가되는 미세전류는 신체 능력의 회복을 도우면서 미세전류는 아데노신3인산 생성 증가, 골절치유 촉진, 혈액순환 개선, 통증완화, 당뇨치료, 골다공증 치료, 관절염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세전류는 탈모 예방 또는 수면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침대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면 수면 장애의 치료 또는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침대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17955호는 양자파를 생성하면서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미세전류를 활용한 치료효과와 양자파를 활용한 치료 효과를 하나로 통합해서 보다 광범위하게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적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전류 침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30938호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모듈 및 적외선 모듈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적외선 모듈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기능성 침대에 개시한다.
침대는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미세전류가 인가되면서 필요에 따라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지는 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침대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17955호(김춘기, 2015년10월21일 공개) 미세전류 침대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30938호(주식회사 인스웰코리아, 2017년03월20일 공개) 근적외선 기능성 침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구조 또는 용도를 가지는 침대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는 중심 유닛 및 중심 유닛에 대하여 경사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모듈; 중심 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전류 전극; 서로 다른 미세전류 전극에 대하여 미세전류의 인가를 설정하는 분배 유닛; 및 분배 유닛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에 형성된 둘레 바닥 면에 배치된 작동 개시 전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둘레 바닥 면에 대한 접촉을 탐지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접촉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기가 작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면서 원형 터널 형상의 기능 돔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침대에 그에 적합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기능성 침대의 효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온도를 조절하면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전류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는 중심 유닛(11) 및 중심 유닛(11)에 대하여 경사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모듈; 중심 유닛(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 서로 다른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에 대하여 미세전류의 인가를 설정하는 분배 유닛(17); 및 분배 유닛(17)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8)를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은 전체적으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사람의 몸통 부분이 위치하는 평면 형상의 중심 유닛(11), 중심 유닛(11)의 한쪽에 연결되어 머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1 연결 유닛(12) 및 중심 유닛(11)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다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2 연결 유닛(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 유닛(11)은 평면 형상이 되고, 1, 2 연결 유닛(12, 13)은 각각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경사가 조절되도록 중심 유닛(11)에 결합될 수 있다. 1, 2 연결 유닛(12, 13)은 기어, 브래킷 또는 이와 유사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심 유닛(11) 및 1, 2 연결 유닛(12, 13)에 각각 미세전류 전극(ME1, ME21 내지 ME32)이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내지 ME32)은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미세전류 전극(ME1, ME21 내지 ME32)은 베이스 모듈에 대한 인체의 접촉 형태를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심 유닛(11) 및 1, 2 연결 유닛(12, 13)의 바닥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한 형태로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내지 ME3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유닛(11)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에 각각 미세전류 전극(M21, M22)이 띠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1 연결 유닛(12)의 중간 부분에 띠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세전류 전극(ME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다리가 위치하는 2 연결 유닛(13)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미세전류 전극(ME31, ME32)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전극(ME1, ME21 내지 ME32)이 인체의 접촉 형태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개수 또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심 유닛(11), 1 연결 유닛(12) 및 2 연결 유닛(13)에 배치된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은 독립적으로 작동되거나,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독립적인 작동은 중심 유닛(11) 및 1, 2 연결 유닛(12, 13)에 배치된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이 다른 부위에 관계없이 작동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중심 유닛(11)에 배치된 미세전류 전극(ME1)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1 연결 유닛(12)과 2 연결 유닛(13)에 배치된 미세전류 전극(ME21, ME22, ME31, ME32)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중심 유닛(11), 1 연결 유닛(12) 및 2 연결 유닛(13)에 접촉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접촉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이 작동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모듈의 아래쪽 면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작동 설정 유닛(14); 분배 유닛(17) 및 스위치 모듈(16)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8)가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설정 유닛(14)은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의 작동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 설정 유닛(14)은 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미세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에 형성된 둘레 바닥 면(15)에 배치된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 바닥 면(15)은 베이스 모듈의 측면 바닥에 형성될 수 있고, 바닥 면을 사각 판 형상으로 구획하거나 사각 판 형상의 바닥 형성 판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둘레 바닥 면(15)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이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분배 유닛(17)과 연결될 수 있다.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의 작동을 개시시키거나 중단시키는 기능을 가지면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압력의 인가에 따른 접촉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발바닥의 접촉에 의하여 접촉 부분이 접촉이 되면서 접촉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분배 유닛(17)은 접촉 부분의 접촉 상태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 또는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ME31, ME32)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상태가 장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으로 미세전류를 인가하면서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를 제한할 수 있다. 인체의 치료 또는 마사지를 위하여 둘레 바닥 면(15)이 사용되는 경우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으로 미세전류가 인가되면 마사지를 하는 사람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베이스 모듈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으로 미세전류가 인가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접촉 상태가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되고, 이후 접촉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으로 미세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및 ME31, ME32)으로만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ME31, ME32)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를 제한하거나 개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둘레 바닥 면에 다수 개가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선형 띠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이 분배 유닛(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유닛(17)은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 또는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ME31, ME32)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 여부를 결정하면서, 필요에 따라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주기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둘레 바닥 면(15)은 베이스 모듈의 둘레 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사람이 베이스 모듈로 접근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은 서로 분리된 형태 또는 단일 형태로 둘레 바닥 면(15) 전체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18)로부터 1 내지 1,000 ㎂ 크기의 미세전류가 발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가 발생되어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 또는 미세전류 전극(ME1; ME21, ME22; ME31, ME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18)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는 조절 모듈(16)을 통하여 분배 유닛(17)으로 전송될 수 있다. 조절 모듈(16)은 스위치 기능을 가지면서 접촉 상태에 따라 또는 분배 유닛(17)의 요청에 따라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주기를 제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모듈 또는 둘레 바닥 면(15)에 대한 미세전류의 작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침대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전극 모듈(241); 침대 또는 침대 주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모듈(242); 인체에 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한 자기 모듈(243) 또는 음이온의 발생을 위한 음이온 모듈(2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유용한 적외선, 피톤치드 또는 성분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모듈의 작동은 제어 모듈(2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은 각각의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의 작동 조건을 설정하는 작동 설정 모듈(22)로 각각의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의 작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작동 설정 모듈(22)은 연결 설정 모듈(23)의 작동을 조절하여 각각의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전극 모듈(241)은 위에서 설명된 작동 개시 전극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미세전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설정 모듈(23)은 각각이 미세전류 전극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연결 설정 모듈(23)은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또는 접촉 센서(2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에 대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접촉 센서(25)는 침대 또는 침대 주위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접촉 센서(25)에서 탐지된 정보는 제어 모듈(21) 및 연결 설정 모듈(23)로 전송될 수 있다. 연결 설정 모듈(23)은 접촉 센서(25)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제어 모듈(2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접촉 센서(25)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는 미세전류 데이터 유닛(27)을 경유하여 제어 모듈(21)로 전송될 수 있다. 미세전류 데이터 유닛(27)은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접촉 센서(2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세전류 데이터 유닛(27)은 전극 모듈(241)을 형성하는 각각의 미세전류 전극에 인가되는 미세전류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기능 모듈(241, 242, 243, 244)의 작동 상태는 연관성을 가질 있고, 예를 들어 전극 모듈(241)의 작동 수준은 온도 조절 모듈(242)의 작동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자기 모듈(243)의 작동 수준이 전극 모듈(241) 및 온도 조절 모듈(242)의 작동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능 모듈의 작동 상태가 탐지 모듈(26)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탐지 모듈(26)에서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21) 또는 작동 설정 모듈(22)로 전송될 수 있다.
미세전류 데이터는 서로 다른 기능 모듈(241, 242, 243, 244)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미세 전류 데이터는 작동 설정 모듈(22)로 전송되어 저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탐지 모듈(26)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미세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 모듈(23)의 연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침대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강 침대는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면서 원형 터널 형상의 기능 돔(3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돔(31)은 터널 형상 또는 반-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능 돔(31)은 유도 가이드(311a, 311b)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위쪽 부분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듈(35)의 작동에 의하여 기능 돔(31)은 베이스 모듈의 길이 방향을 이동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베이스 모듈에 누워 있는 사람의 인체의 다른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돔(31)은 유도 가이드(311a, 311b)를 따라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기능 돔(31)의 안쪽 면을 따라 음이온 발생 유닛, 피톤치드 발생 유닛, 적외선 발생 유닛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 유닛(32_1 내지 32_N)이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모듈의 바닥 면(B)에 니오븀 또는 게르마늄과 같은 자기장 발생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모듈의 바닥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열선(331, 33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면(B)에 적어도 하나의 온도 탐지 유닛(261a, 261b)이 배치될 수 있고, 온도 탐지 유닛(261a, 261b)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21)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미세발생 전극이 베이스 모듈의 바닥 면(B)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은 온도 탐지 유닛(261a, 261b)에서 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기(18)에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미세전류의 공급에 따라 인체의 온도가 변할 수 있고, 인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어 모듈(21)은 히터(34)의 작동을 조절하여 열선(331, 33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능 유닛(32_1 내지 32_N) 또는 자기장 발생 유닛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기능 돔(31)은 다양한 작동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 면(B)의 위쪽에 배치 층(42)이 배치될 수 있고, 배치 층(42)의 내부에 미세전류 전극(E1, E2)과 미세전류 발생기(18)를 연결시키는 연결 배선(43)이 배치될 수 있고, 배치 층(42)의 위쪽에 분리 층(44) 및 미세전류 전극(E1, E2)이 배치될 수 있다. 배치 층(42)과 분리 층(44)은 예를 들어 세라믹, 실리콘, 황토,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절연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 전극(E1, E2)은 선형으로 연장되는 판형 구조가 될 수 있고, 분리 층(44)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인체에 접촉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닥 면(B)에 위치하는 인체의 상태에 적합한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하여 온도/전류 테이블 유닛(41)에 의하여 온도/전류 테이블이 생성될 수 있다. 온도 전류 테이블은 인체에 유리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온도-전류 상관 데이터로 경험적 또는 실험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 센서(25)에 의하여 미세전류 전극(E1, E2)에 대한 인체의 접촉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접촉 센서(25)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21)로 전송될 수 있다. 온도/전류 테이블 유닛(41)에 의하여 생성된 온도/전류 테이블이 미세전류 작동 유닛(18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센서(25)에 의하여 탐지된 접촉 정보가 미세전류 작동 제어 유닛(18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미세전류 작동 제어 유닛(181)은 온도/전류 테이블과 접촉 센서(25)에 의하여 탐지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기(1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 발생기(18)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과정에서 바닥 면(B)의 위쪽 부분의 공기 순환이 순환 제어 유닛(26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순환 제어 유닛(261)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돔의 천정에 배치될 수 있고, 순환 제어 유닛(261)은 예를 들어 구동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 유닛이 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다양한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인가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세전류 전극은 단자 그룹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전극 단자(55_1 내지 55_K)가 관련성을 가지도록 배치된 전극 단자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그룹 전극 단자(55_1 내지 55_K; 또는 56_1 내지 56_N)는 각각 절연체 소재의 그룹 기판(541, 542)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그룹 전극 단자(55_1 내지 55_K; 또는 56_1 내지 56_N)에 대한 미세전류의 인가는 분배기(531, 532)에 의하여 분배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펄스 형태로 그룹 전극 단자(55_1 내지 55_K; 또는 56_1 내지 56_N)에 인가될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기는 펄스 발생 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 펄스 발생 유닛(52)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 구조는 자극 데이터 유닛(5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자극 데이터는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5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펄스가 인가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고, 펄스는 주기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기(T)에 적어도 두 개의 자극 펄스가 인가되고, 자극 펄스 사이에 역치 방지 펄스가 인가될 수 있다. 자극 펄스는 동일 극성이 되면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고, 역치 방지 펄스는 자극 펄스와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작은 크기 및 짧은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자극 데이터 유닛(51)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극 데이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침대에 그에 적합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기능성 침대의 효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온도를 조절하면서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미세전류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중심 유닛 12, 13: 1, 2 연결 유닛
14: 작동 설정 유닛 15: 둘레 바닥 면
16: 스위치 모듈 17: 분배 유닛
18: 미세전류 발생기 21: 제어 모듈
22: 작동 설정 모듈 23: 연결 설정 모듈
25: 접촉 센서 26: 탐지 모듈
27: 미세전류 데이터 유닛 31: 기능 돔
32_1 내지 32_N: 기능 유닛 34: 히터
35: 구동 모듈 41: 온도/전류 테이블 유닛
42: 배치 층 43: 연결 배선
44: 분리 층 51: 자극 데이터 유닛
52: 펄스 발생 유닛 55_1 내지 55_K: 전극 단자
181: 미세전류 작동 제어 유닛 241: 전극 모듈
242: 온도 조절 모듈 243: 자기 모듈
244: 음이온 모듈 261: 순환 제어 유닛
261a, 261b: 온도 탐지 유닛 311a, 311b: 유도 가이드
331, 332: 열선 531, 532: 분배기
541, 542: 그룹 기판 B: 바닥 면
E1, E2: 미세전류 전극 ME1 내지 ME32: 미세전류 전극
ME41, ME42, ME43: 작동 개시 전극

Claims (1)

  1. 중심 유닛(11) 및 중심 유닛(11)에 대하여 경사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모듈;
    중심 유닛(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12, 13)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
    서로 다른 미세전류 전극(ME1 내지 ME32)에 대하여 미세전류의 인가를 설정하는 분배 유닛(17);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면서 원형 터널 형상이 되는 기능 돔(31); 및
    분배 유닛(17)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8)를 포함하고,
    베이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바닥에 형성된 둘레 바닥 면(15)에 배치된 작동 개시 전극(ME41, ME42, ME43) 및 둘레 바닥 면(15)에 대한 접촉을 탐지하는 접촉 센서(25)를 더 포함하고, 접촉 센서(25)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기(18)가 작동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1020200038082A 2020-03-30 2020-03-30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10221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82A KR102219980B1 (ko) 2020-03-30 2020-03-30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82A KR102219980B1 (ko) 2020-03-30 2020-03-30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981A Division KR20190068810A (ko) 2017-12-11 2017-12-11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98A true KR20200038898A (ko) 2020-04-14
KR102219980B1 KR102219980B1 (ko) 2021-02-25

Family

ID=7029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082A KR102219980B1 (ko) 2020-03-30 2020-03-30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9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16U (ko) * 2007-08-20 2009-02-25 최동환 접이식의 캡슐형 덮개가 구비된 복합 기능 온열치료기
KR20100129703A (ko) * 2009-06-01 2010-12-09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150117955A (ko) 2014-04-11 2015-10-21 김춘기 미세전류 침대
KR20170030938A (ko) 2015-09-10 2017-03-20 김효석 근적외선 기능성 침대
KR20170074720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코넥실 다기능 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16U (ko) * 2007-08-20 2009-02-25 최동환 접이식의 캡슐형 덮개가 구비된 복합 기능 온열치료기
KR20100129703A (ko) * 2009-06-01 2010-12-09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150117955A (ko) 2014-04-11 2015-10-21 김춘기 미세전류 침대
KR20170030938A (ko) 2015-09-10 2017-03-20 김효석 근적외선 기능성 침대
KR20170074720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코넥실 다기능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980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11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kin treatment by muscle stimulation
JP3218105U (ja) カスタマイズ型複合刺激が加えられる肌の機能改善用の立体陰圧複合刺激器モジュール
JP5872741B2 (ja) 美容器
KR101622143B1 (ko) 피부 조직의 치료 또는 피하 지방 제거를 위한 고주파 자극 장치
US9827437B2 (en)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US9205249B2 (e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odes in a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KR100804733B1 (ko) 에어 마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A2410248A1 (en) Vestibular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34177B1 (ko) 안면 리프팅기
KR10112585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3396A (ko) 복합 치료 장치
KR20110002648U (ko) 고주파 치료기
KR102219980B1 (ko)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20200043554A (ko) Ems를 이용한 led 온열치료기
WO2001003638A1 (en) Massage and to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90068810A (ko)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대
KR20040095637A (ko) 발바닥치료장치
CN214807890U (zh) 一种微电流触头及美容仪
KR101071382B1 (ko) 고주파 침봉기
KR200489895Y1 (ko)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KR20090013126U (ko) 휴대용 온혈 자극기
KR100302145B1 (ko) 온열효과를 갖는 저주파 치료기
US2023017327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itching
KR102080839B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