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553A -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 Google Patents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553A
KR20170074553A KR1020150183968A KR20150183968A KR20170074553A KR 20170074553 A KR20170074553 A KR 20170074553A KR 1020150183968 A KR1020150183968 A KR 1020150183968A KR 20150183968 A KR20150183968 A KR 20150183968A KR 20170074553 A KR20170074553 A KR 2017007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upport object
support
connection ho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997B1 (ko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2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지지구는 제1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1 캡과, 상기 제1 캡과 마주하며 제2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2 캡과,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나선형으로 꼬이도록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사이에 연장되어 두 개의 마주하는 지지 대상체를 지지한다.

Description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DEVICE FOR SUPPORTING TWO OPPOSITE OBJECTS}
본 발명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들을 서로 밀착시켜 지지하거나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제품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외적인 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의 조립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내부 부품들을 덮는 커버가 조립된다.
일반적인 부품들의 결합에 주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들의 경우에는, 너트를 고정하고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볼트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과, 너트를 펜치 등의 공구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제품의 커버를 결합시키는 경우, 외측 공간에서는 자유롭게 조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내측 공간은 커버에 의해 덮이게 되어 조립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일 방향에서의 조립 동작에 의해 대상물을 견고하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 특허 공개 공보 제10-2014-0126315호 (2014. 10. 3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지지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탄성 연결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대상체들의 외측에서 지지 대상체들을 밀착시켜 지지하거나 지지 대상체들 사이에서 지지 대상체들을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는 두 개의 마주하는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로서, 제1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1 캡; 상기 제1 캡과 마주하며 제2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2 캡; 및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나선형으로 꼬이도록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사이에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는 서로 밀착되는 패널로서, 각각을 관통하는 연결공을 각각 구비하고, 정렬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 내측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꼬여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내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캡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를 가압하고,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지지 대상체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캡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도록 관통 방향으로 형성된 유도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암 또는 수의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의 나사산은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 내측에서 체결되며, 상기 제2 캡의 가장자리는 나사산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외측 표면상의 상기 연결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캡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캡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를 밀어 내고, 상기 제2 캡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밀어 내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지지구가 지지 대상체들의 연결공 내에 삽입된 상태와, 삽입된 후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구의 일 사용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지구의 또 다른 사용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100)는 제1 캡(110)과, 제2 캡(120)과, 탄성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서로 마주하며, 각각 제1 지지 대상체(10a)와 제2 지지 대상체(10b)를 지지한다. 지지 대상체들(10a, 10b)은 각종 전자, 기계 제품들의 커버, 패널, 플레이트 등 판형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지지 대상체들(10a, 10b)은 그밖에 전자, 기계 장치에 포함되어 밀착되도록 지지되거나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다양한 부품일 수도 있다.
제1 캡(110)은 지지 대상체들(10a, 10b)에 형성된 연결공(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캡(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연결공(11)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캡(110)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113)를 구비한다. 제1 캡(110)이 연결공(11)을 통과할 때, 걸림부(113)는 연결공(11) 내벽에 관통 방향으로 형성된 유도홈(12)을 따라서 이동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110)은, 지지 대상체들(10a, 10b)의 연결공들이 정렬되고 걸림부(113)가 유도홈(12)과 나란하게 정렬될 경우 연결공(11)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110)은 걸림부(113)가 유도홈(12) 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경우 연결공(11)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때, 제1 캡(110)은 걸림부(113)만 연결공(11)의 가장자리에 접한 채로 연결공(1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캡(110)은 걸림부(113)를 통해 지지 대상체(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걸림부(113)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고려하여 걸림부(113)의 크기, 형상, 개수 등을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캡(110)에 두 개의 걸림부(113)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더 많은 걸림부(113)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걸림부(113)는, 제1 캡(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지지 대상체에 힘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캡(110)은 제1 면(111)과, 그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면(112)을 가진다. 제1 캡(110)의 제1 면(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 제1 캡(11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면(111)에는 십자 또는 일자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캡(120)은 제1 캡(110)과 나란히 배치된다. 제2 캡(120)의 제1 면(121)은 제1 캡(110)의 제2 면(112)과 대면하고, 제2 캡(120)의 제2 면(122)은 그 반대쪽에 위치한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나란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거나,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 각각은, 각 면들(111, 112, 121, 122)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서로 어긋나게 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의 힘 전달 효율이 감소하므로, 개별적인 수평 방향 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캡(110)은 제2 면(1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암 또는 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캡(120)은 제1 면(12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암 또는 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서로 다른 나사산을 구비함으로써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로 가까워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로 멀어진다. 이로써,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지지 대상체(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을 수 있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 각각의 나사산은 연결공(11) 내측에서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이로써, 연결공(11) 내측의 견고한 밀폐를 통해 지지 대상체(10)의 양측 간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시 지지 대상체(10)와 접촉하게 되는 제1 캡(110)의 제1 면(111) 또는 제2 면(112)과, 제2 캡(120)의 제1 면(121) 또는 제2 면(122)은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캡(110)과 제2 캡(120)이 지지 대상체(10)와 미끄러짐 없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 대상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지지 대상체(10a)의 외측 표면 상의 연결공(11) 가장자리에는 걸림부(13)가 회전하며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부(13)가 걸리도록 형성된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탄성 연결부재(130)를 감기 위해 제2 캡(120)을 회전시키는 동안, 제1 캡(110)이 제2 캡(120)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탄성 연결부재(130)가 감기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탄성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 연결부재(130)의 양단은 각각 제1 캡(110)의 제2 면(112)과 제2 캡(120)의 제1 면(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캡(110), 제2 캡(120) 및 탄성 연결부재(130)는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캡(110)과 제2 캡(120)에는 이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연결부재(130)에 의한 탄성력이 동시에 가해질 수 있다.
탄성 연결부재(130)는 제1 지지 대상체(10a)와 제2 지지 대상체(10b) 각각의 연결공(1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캡(110)이 제1 지지 대상체(1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캡(120)이 제2 지지 대상체(10b)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탄성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공(11)의 양측 개방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이하에서 설명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탄성 연결부재(130)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달리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면이 아닌 그 전체가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탄성 연결부재(130)는 제1 캡(110)과 제2 캡(120)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린다. 즉, 탄성 연결부재(130)는 나선형으로 꼬이도록 제1 캡(110)과 제2 캡(120) 사이에 연장된다.
예를 들면, 탄성 연결부재(130)가 풀려있는 경우, 제1 캡(110)과 제2 캡(120) 각각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 연결부재(130)는 감기게 된다. 탄성 연결부재(130)가 이미 감겨있는 경우, 탄성 연결부재(130)는 제1 캡(110)과 제2 캡(120) 각각이 이미 감겨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더 감기게 되고, 감겨있는 방향의 반대로 회전되면 풀리게 된다.
탄성 연결부재(130)가 감기는 경우, 탄성 연결부재(130)는 제1 캡(110)과 제2 캡(120)을 탄성 연결부재(130) 측으로 당긴다. 탄성 연결부재(130)는 더 많이 감길수록 제1 캡(110)과 제2 캡(120)을 더 큰 힘으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연결부재(130)에 의한 탄성력은, 탄성 연결부재(130)가 아무런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더 긴 상태로 있을 때 제1 캡(110)과 제2 캡(120)에 전달될 수 있는 점은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반대로, 탄성 연결부재(130) 풀리는 경우, 탄성 연결부재(130)는 제1 캡(110)과 제2 캡(120)을 탄성 연결부재(130) 반대측으로 밀어낸다. 이 경우, 탄성 연결부재(130)에 의한 탄성력은, 탄성 연결부재(130)가 아무런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더 짧은 상태로 있을 때 제1 캡(110)과 제2 캡(120)에 전달될 수 있는 점은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연결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힘을 지지 대상체(1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캡(110)의 제1 면(111)과 제2 캡(120)의 제2 면(122)이 지지 대상체(10)에 접하여 지지 대상체(10)에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거나, 제1 캡(110)의 제2 면(112)과 제2 캡(120)의 제1 면(121)이 지지 대상체(10)에 접하여 지지 대상체(10)에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 대상체(10)가 제1 캡(110)과 제2 캡(120)의 사이에 오는 경우의 지지구(100)의 예시적인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지지 대상체(10)가 제1 캡(110)의 제2 면(112)과 제2 캡(120)의 제1 면(121)에 의해 고정된다.
먼저, 제1 캡(110)을 지지 대상체(10)의 연결공(11)에 삽입하여 통과시킨다. 제1 캡(110)의 걸림부(113)는 연결공(11)의 유도홈(12)을 따라 통과한다. 이때, 탄성 연결부재(130)는 느슨하게 감긴 상태이며, 제1 캡(110)과 제2 캡(120) 사이의 거리는 지지 대상체(10)의 전체 두께 보다 크다.
그 다음으로, 걸림부(113)가 유도홈(12)이 없는 연결공(11)의 가장자리에 오도록 제1 캡(110)을 회전시키고, 걸림부(113)의 제2 면(112)을 지지 대상체(10)에 접촉시킨다.
지지 대상체(10)에 접촉된 걸림부(113)가 헛돌지 않도록 제2 캡(120)을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상태에서, 탄성 연결부재(130)가 감기도록 제2 캡(120)을 회전시킨다. 탄성 연결부재(130)가 감기면서 제1 캡(110)과 제2 캡(120)을 당기는 탄성력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제1 캡(110)과 제2 캡(120)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혀진다.
제2 캡(120)을 회전시킬수록 점점 제2 캡(120)이 지지 대상체(10)에 접근함에 따라, 탄성 연결부재(130)가 제2 캡(120)을 당기는 힘이 커짐으로써, 마침내 제1 캡(110)과 제2 캡(120)은 지지 대상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캡(12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제1 면(121)은 지지 대상체(10)에 접하여, 제1 캡(110) 측으로 지지 대상체(10)를 가압하며, 탄성 연결부재(130)가 감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풀리려는 힘을 지지 대상체(10)와의 마찰력으로써 상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연결부재는(130)는 캡들(110, 120)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꼬일수록 점점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탄성 연결부재(130)가 꼬임에 따라 꼬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풀리려는 힘의 크기보다 제1 캡(110) 및 제2 캡(120) 각각과 지지 대상체(10) 간의 마찰력의 크기가 크도록, 지지 대상체(10)와 접하는 제1 캡(110)의 제2 면(112) 및 제2 캡(120)의 제1 면(121)의 재질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제1 캡과 제2 캡이 서로 멀어지면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200)는 제1 캡(210)과, 제2 캡(220)과, 탄성 연결부재(23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의 개별적인 특징은 도 1의 지지구(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2 캡(220)을 연결공(11)에 삽입한다. 이때, 제2 캡(220)은 하나의 지지 대상체(10)를 완전히 통과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 대상체(10) 상에 접한 상태로 위치한다. 즉, 제2 캡(220)의 제2 면(222)은 하나의 지지 대상체(10)에 접한다.
이때, 제1 캡(210) 또한 연결공(11)에 삽입된다. 제1 캡(210)의 제1 면(211)의 일부가 하나의 지지 대상체(10)의 연결공(11)을 통과한다. 이때, 제1 캡(210)의 탄성 클립(213)은 약간 눌려 연결공(11)을 통과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지지 대상체(10a)를 고정한다. 한편, 삽입 시 탄성 연결부재(230)는 조금 감겨있는 상태로 삽입된다.
통과 후, 제1 캡(210)은 중앙 부분이 지지 대상체(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면(211)에 홈이 형성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재(230)가 풀리는 방향으로 제1 캡(21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캡(220)으로부터 제1 캡(210)이 점점 멀어진다. 이때, 제2 캡(220)의 제2 면(222)은 하측 지지 대상체(10)에 접하여 지지구(200)를 상측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 클랩(213)이 상측 지지 대상체(10)를 점점 들어올린다.
한편, 제1 캡(210)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삽입과 함께 탄성 연결부재(230)가 압축됨으로써 제1 캡(210)의 탄성 클립(213)에 의해 지지 대상체(10a)가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 대상체(10a)는 또 다른 지지 대상체(10b)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 제1 캡
111 : 제1 캡의 제1 면
112 : 제1 캡의 제2 면
113 : 걸림부
120, 220 : 제2 캡
121 : 제2 캡의 제1 면
122, 222 : 제2 캡의 제2 면
130, 230 : 탄성 연결부재
213 : 탄성 클립
100, 200 : 지지구
10a, 10b : 지지 대상체
11 : 연결공
12 : 유도홈

Claims (8)

  1. 두 개의 마주하는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로서,
    제1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1 캡;
    상기 제1 캡과 마주하며 제2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제2 캡; 및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연결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나선형으로 꼬이도록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사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는 서로 밀착되는 패널로서, 각각을 관통하는 연결공을 각각 구비하고,
    정렬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 내측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꼬여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내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캡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를 가압하고, 상기 제2 캡이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지지 대상체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도록 관통 방향으로 형성된 유도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암 또는 수의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이 나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의 나사산은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의 연결공 내측에서 체결되며,
    상기 제2 캡의 가장자리는 나사산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의 외측 표면상의 상기 연결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캡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를 밀어 내고, 상기 제2 캡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밀어 내어,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 대상체와 상기 제2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KR1020150183968A 2015-12-22 2015-12-22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KR10258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68A KR102581997B1 (ko) 2015-12-22 2015-12-22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68A KR102581997B1 (ko) 2015-12-22 2015-12-22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553A true KR20170074553A (ko) 2017-06-30
KR102581997B1 KR102581997B1 (ko) 2023-09-21

Family

ID=5927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68A KR102581997B1 (ko) 2015-12-22 2015-12-22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08B1 (ko) * 2004-05-31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140126315A (ko) 2012-01-25 2014-10-3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08B1 (ko) * 2004-05-31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140126315A (ko) 2012-01-25 2014-10-3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97B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773B2 (en) Photovoltaic mounting system
US9653839B2 (en) Industrial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70229796A1 (en) Ground connection structure and ground terminal fitting
US20150035319A1 (en) Cooling Line Grommet Sealing Passage Through Multiple Vehicle Panels
KR102590971B1 (ko) 압축 쐐기
US9702388B2 (en) Axially adjustable threaded mounting snap fit connector
JP5722701B2 (ja) ケーブルクランプ
US8800242B2 (en) Fascia bracket with quarter turn locking nut
US8905692B2 (en) Device for fastening a first component on a second component
US20110011219A1 (en) Screwdriver
US20160273240A1 (en) Methods, systems, and assemblies for covering an end of a post
KR20170074553A (ko)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TW201604425A (zh) 避免鬆脫之螺栓
CA2784872A1 (en) Furniture assembly modules
JP2014001849A (ja) 取付装置
JP6423237B2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装置
KR101693894B1 (ko)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JPH04136515A (ja) 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状材の結合構造
KR102532610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
WO2018237360A1 (en) NUT FIXING CLAMP AND NUT FIXING CLAMP
KR102545409B1 (ko) 축력 측정이 가능한 체결 장치
JP7471631B2 (ja) 接続部材及び温室用カーテン開閉装置
JP6874931B2 (ja) リードスルー・システムのためのウェッジ
US20120079867A1 (en) Tool for deforming threads at a particular location on a fastener
KR20140004779U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블록, 그 체결블록의 조립구조, 및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