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837A -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 Google Patents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837A
KR20170072837A KR1020170055326A KR20170055326A KR20170072837A KR 20170072837 A KR20170072837 A KR 20170072837A KR 1020170055326 A KR1020170055326 A KR 1020170055326A KR 20170055326 A KR20170055326 A KR 20170055326A KR 20170072837 A KR20170072837 A KR 2017007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cutting board
board
inj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웰로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로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웰로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837A/ko
Publication of KR2017007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37A/ko
Priority to KR1020210118935A priority patent/KR10245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항균성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앞면 및 뒷면이 표면 처리가 되어 기능성이 향상된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은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하는 정유를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al plastic elastomer)에 흡수시켜 항균 소재로 만드는 단계; 상기 항균 소재를 숙성시켜 상기 피톤치드 성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숙성 항균 소재를 건조시켜 분쇄하여 입자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입자로부터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트배치를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출 성형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사출 성형품의 한쪽 면에 엠보싱 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A Method for Producing a Cutting Board with a Antibacterial Function and a Cutting Board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항균성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앞면 및 뒷면이 표면 처리가 되어 기능성이 향상된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에 관한 것이다.
도마는 음식을 만들기 전에 재료를 썰거나 다지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리 용구를 말하고 일반적으로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마는 음식 재료 및 수분에 항상 노출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균이 서식하기 쉽고, 이와 동시에 음식 재료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어 냄새가 표면 또는 다른 부분에 밸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도마의 항균 및 탈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항균성을 가지는 도마에 관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1969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항균 도마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분자량 60 ~ 400의 사슬 증량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경질부와, 분자량 600 ~ 4,000의 포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수득되는 연질부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및 콜로이드 상 은나노를 함유하는 도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항균성을 가지는 도마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9-0083256호 ‘측면 경사구조를 갖는 다기능성 항균성 양면도마’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은계 항균제 50 내지 200 ppm을 함유하는 항균성 중합체 복합소재를 사출하여 제조되고, 양쪽 도마 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도마 면에 고무 홀더가 부설되어 있고, 측면에 경사 구조가 형성된 항균성 양면 도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선행기술은 모두 항균작용을 위하여 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은 인체에 유해하고 다른 한편으로 나노 입자 형태로 함유되는 경우 음식 재료에 포함되어 인체로 섭취되면 다양한 형태의 위험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마는 판 형상을 가지고 이로 인하여 사용 과정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될 수 있고, 소재에 따라 쉽게 칼자국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미끄러짐의 방지 또는 칼자국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에 대한 수단 또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1969호(동양케미칼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오플러스, 2008년10월15일 공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항균 도마 및 그 제조방법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2009-0083256호((주)실빅스, 2009년08월03일 공개) 측면 경사구조를 갖는 다기능성 항균성 양면도마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기능을 가지면서 앞면과 뒷면의 표면 처리에 의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은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하는 정유를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al plastic elastomer)에 흡수시켜 항균 소재로 만드는 단계; 상기 항균 소재를 숙성시켜 상기 피톤치드 성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숙성 항균 소재를 건조시켜 분쇄하여 입자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입자로부터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트배치를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출 성형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사출 성형품의 한쪽 면에 엠보싱 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숙성 과정은 30 내지 50 ℃의 저온 숙성과 100 내지 120 ℃ 사이의 고온 숙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항균 도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의 몸체; 몸체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유도 홈; 몸체의 한쪽에 형성된 말림 고정 유닛; 및 몸체의 뒷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다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탄성 굴곡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천연 항균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도마 사용에 따른 유해 성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전자레인지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고온 살균에 의하여 탈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뒷면의 엠보싱 처리 및 전면의 칼자국 제거 코팅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인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마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마에 형성된 말림 고정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의 앞면 및 뒷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마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마의 제조 방법은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하는 정유를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al plastic elastomer)에 흡수시켜 항균 소재로 만드는 단계(P11); 상기 항균 소재를 숙성시켜 상기 피톤치드 성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P12); 상기 숙성 항균 소재를 건조시켜 분쇄하여 입자 형태로 만드는 단계(P13); 상기 입자로부터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는 단계(P14); 상기 마스트배치를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P15); 및 상기 사출 성형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시키는 단계(P16)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사출 성형품의 한쪽 면에 엠보싱 면이 형성된다.
도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al Plastic Elastomer: TPE) 소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는 예를 들어 스티렌 계, 올레핀 계, 아미드 계, 폴리에스테르 계 또는 이들의 혼합 소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출 성형이 가능한 TPE 소재가 될 수 있다. TPE 소재가 준비되면, TPE 소재에 항균 소재가 흡수될 수 있다(P11). 항균 소재는 예를 들어 피톤치드,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피톤치드는 예를 들어 편백나무 정유 또는 소나무 정유에 포함된 피톤치드 성분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균 소재의 흡수를 위하여 소나무 정유 또는 편백나무 정유가 증류수에 의하여 희석이 될 수 있고, 희석 용액에 TPE 소재가 침지될 수 있다. 예를 희석 용액의 온도를 30 내지 50 ℃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TPE 소재가 20 내지 35 시간 동안 침지될 수 있다. 이후 항균 소재가 흡수된 TPE 소재가 숙성될 수 있다(P12). 항균 소재의 숙성은 예를 들어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방치하는 저온 숙성 단계 및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방치하는 고온 숙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저온 숙성 단계와 고온 숙성 단계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 내지 6 회 반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온 숙성 과정은 0.3 내지 0.8 기압의 감압 조건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숙성 과정을 통하여 항균 성분이 TPE 소재 내부로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압 조건에 의하여 항균 성분이 안정적으로 TPE 소재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항균 소재의 숙성 공정이 완료되면(P12), TPE 소재가 건조되어 분쇄될 수 있다(P13). 건조는 열풍 건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100 ℃의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고온 건조를 통하여 TPE 소재의 경도가 증가될 수 있고, 쉽게 입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쇄는 밀링 공정 또는 분쇄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입자의 평균 직경이 10 내지 200 ㎛가 되도록 분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쇄 공정이 완료되면(P14), 분쇄가 된 TPE 입자가 펠릿(pellet)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P14). 펠릿 형성을 위하여 TPE 입자는 압출기로 투입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이 함께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량 비율로 TPE 소재 : 폴리프로필렌 = 100 : 3 내지 10의 폴리프로필렌이 압출기로 투입되어 펠릿이 만들어질 수 있다(P14). 폴리프로필렌의 첨가에 의하여 항균성이 높아지면서 제조된 도마의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이 제시된 양에 비하여 작아지면 전체 항균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고, 제시된 양에 비하여 커지면 제조된 도마의 탄성이 낮아질 수 있다. 펠릿이 만들어지면(P14), 펠릿이 금형에 투입되어 도마가 사출 성형이 될 수 있다(P15). 사출 성형 과정에서 성형물의 한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은 예를 들어 도마의 뒤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금형 자체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 면은 도마의 사용 과정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 엠보싱은 다수 부분이 도마의 뒤쪽 면에 분리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의 엠보싱 부분이 도마의 뒤쪽 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출 성형에 의하여 도마가 만들어지면(P15), 도마의 전면 또는 뒷면에 표면 처리가 될 수 있다(P16).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탄성 실리콘 또는 탄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성분에 의하여 도마의 앞쪽 또는 뒤쪽 면에 연속되는 골과 산이 형성되도록 코팅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연속된 산과 골은 도마의 사용 과정에서 칼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에 의하여 도마의 위쪽 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마는 다양한 제조 과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2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마(2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의 몸체(21); 몸체(21)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유도 홈(22); 몸체(21)의 한쪽에 형성된 말림 고정 유닛(23); 및 몸체(21)의 뒷면(3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돌기(42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1)의 적어도 일부는 다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탄성 굴곡 면(4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1)는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상이 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 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PE) 소재로 사출 성형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TPE는 예를 들어 피톤치드와 같은 항균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피톤치드는 도마(20)의 사용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몸체(21)의 가장자리 또는 둘레 면(211)을 따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정해진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도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홈(22)은 일정한 폭 및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마(2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 홈(22)은 적절한 폭 및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아래쪽 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도 홈(22)으로 이동된 액체가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도마(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의 위쪽 부분에 말림 고정 유닛(23)이 형성될 수 있다. 말림 고정 유닛(23)은 몸체(21)의 사각형상의 일부를 설정하고, 사각형상의 둘레를 따라 하나의 변을 제외하고 나머지 변이 절개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말림 고정 유닛(23)은 몸체(21)를 둥글게 만드는 경우 몸체(21)의 맞은 편 끝이 말림 고정 유닛(23)가 몸체(21)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몸체(21)은 탄성을 가진 신축성 TPE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와 같은 고온 조리 기기의 내부에서 살균되도록 둥글게 말려질 수 있다. 말림 고정 유닛(23)은 몸체(21)가 둥글게 말려진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몸체(21)의 다른 쪽 끝 부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말림 고정 유닛(2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말림 고정 유닛(23)은 한쪽 변이 몸체(21)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고, 아래쪽 면에 연속되는 걸림 주름(231)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말림 고정 유닛(23)에 삽입되는 몸체(21)의 아래쪽 부분의 뒷면에 걸림 주름(231)에 맞물리는 대응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말림 고정 유닛(23)에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21)의 아래쪽 부분에 삽입 홀이 형성되어 삽입 돌기와 삽입 홀의 결합에 의하여 몸체(21)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말림 고정 유닛(23)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의 앞면 및 뒷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몸체(21)의 한쪽 면 또는 앞면은 다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탄성 굴곡 면(4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굴곡 면(411)은 몸체(21)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형성되거나 예를 들어 탄성 실리콘 또는 탄성 폴리우레탄 소재로 코팅을 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 굴곡 면(411)은 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여유 홈이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여유 홈은 몸체(21)에서 조리물이 위치되어 칼질이 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유 홈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몸체(21)에서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쪽으로 돌출되는 계단 부분의 폭에 비하여 여유 홈의 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굴곡 면(411)의 구조로 인하여 몸체(21)의 바닥 면이 칼에 접촉되는 접촉 압력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조리물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몸체의 뒷면(31)에 미끄럼 방지 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미끄럼 방지 돌기(421)는 엠보싱 형상이 될 수 있고 뒷면(3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돌기(421)는 뒷면(31)의 서로 분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반구형 돌기, 박스 형상의 돌기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의 돌기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의 미끄럼 방지 돌기(421)가 몸체의 뒷면(3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천연 항균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도마 사용에 따른 유해 성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전자레인지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고온 살균에 의하여 탈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뒷면의 엠보싱 처리 및 전면의 칼자국 제거 코팅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인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도마 21: 몸체
22: 유도 홈 23: 말림 고정 유닛
31: 뒷면 211: 둘레 면
231: 걸림 주름 411: 탄성 굴곡 면
421: 미끄럼 방지 돌기

Claims (1)

  1.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하는 정유를 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al plastic elastomer)에 흡수시켜 항균 소재로 만드는 단계;
    상기 항균 소재를 숙성시켜 상기 피톤치드 성분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숙성 항균 소재를 건조시켜 분쇄하여 입자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입자로부터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트배치를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출 성형품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사출 성형품의 한쪽 면에 엠보싱 면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시키는 단계에서 다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탄성 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숙성 과정은 30 내지 50 ℃의 저온 숙성과 100 내지 120 ℃ 사이의 고온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KR1020170055326A 2017-04-28 2017-04-28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KR20170072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26A KR20170072837A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KR1020210118935A KR102455827B1 (ko) 2017-04-28 2021-09-07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26A KR20170072837A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493 Division 2015-12-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35A Division KR102455827B1 (ko) 2017-04-28 2021-09-07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37A true KR20170072837A (ko) 2017-06-27

Family

ID=595145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326A KR20170072837A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항균 도마
KR1020210118935A KR102455827B1 (ko) 2017-04-28 2021-09-07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35A KR102455827B1 (ko) 2017-04-28 2021-09-07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72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36B1 (ko) * 2021-02-02 2021-07-22 (주)코리아마그네슘 다기능 도마
KR102460950B1 (ko) * 2021-06-25 2022-11-01 주식회사 후레쉬메이트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위생 도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7516B1 (ko) * 2022-09-21 2024-03-14 이창현 폴리우레탄 양면디자인 도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413A (ko) 2022-03-25 2023-10-05 백두대간영농조합법인 나노옻칠을 도포한 목재 도마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목재 도마와 나노옻칠액 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20A (ko) * 1999-10-07 2001-05-07 신상국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도마
KR20010008095A (ko) * 2000-11-08 2001-02-05 강성은 해송잎을 이용한 미용팩 제조방법
KR100912265B1 (ko) 2007-04-10 2009-08-17 동양케미칼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항균 도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3256A (ko) 2008-01-29 2009-08-03 (주)실빅스 측면 경사구조를 갖는 다기능성 항균성 양면도마
KR101158686B1 (ko) * 2011-08-16 2012-06-22 (주)웰로스코리아 항균 및 탈취 기능이 향상된 기능성 도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7733B1 (ko) * 2012-05-23 2014-02-28 관 모 이 복합 기능 한지 도마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236B1 (ko) * 2021-02-02 2021-07-22 (주)코리아마그네슘 다기능 도마
KR102460950B1 (ko) * 2021-06-25 2022-11-01 주식회사 후레쉬메이트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위생 도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7516B1 (ko) * 2022-09-21 2024-03-14 이창현 폴리우레탄 양면디자인 도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61A (ko) 2021-09-23
KR102455827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827B1 (ko) 기능성 항균 도마의 제조 방법
ATE485717T1 (de) Antimikrobieller und antiviraler polymer- masterbat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em material mit diesem masterbatch sowie damit hergestellte produkte
US20160191095A1 (en) Cell phone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W200613385A (en)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absorbent polymers
WO2007027858A3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nonwoven materials for infection control
WO2011156603A3 (en) Articles having non-fouling surfa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without altering bulk physical properties
ATE410471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kontamination von kunststoffflakes
WO2005085347A8 (en) Resin molded article with reduced dielectric loss tang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1693403A4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MASTER MIXTURE, PROCESS FOR PRODUCING MOLDING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BTAINED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TE454424T1 (de) Heissvulkanisierbare polyorganosiloxanzusammensetzungen, die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elektrischen kabeln oder drähten verwendbar sind
WO2006015325A1 (en) Method of reducing stress relaxation in polymer articles and articles formed thereby
US20140138893A1 (en) Cutting board
DE69704570D1 (de)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und kassette mit einem mittel zur verhinderung von kalkablagerungen, sowie prozess zur verhinderung von kalkablagerungen in einem elektrischen haushaltsgerät
WO2001072095A3 (en) Polybutadiene and polyisoprene based theremosett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60034149A (ko) 천연 코르크 가죽
JP2010284300A (ja) 植物繊維強化ポリ乳酸箸の製造方法
EP1954172B8 (en) A glove for removing detachable material from an obje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love
KR101158686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이 향상된 기능성 도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6869A (ko) 접착성 폴리우레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DK1069153T3 (da) Fremstillingsproces til gummipropper
MXPA03011846A (es) Metodo para el procedimiento en fusion de material termoplastico reticulado.
CN207100671U (zh) 一种可降解一次性鞋套
KR101150517B1 (ko) 기능성 수지칩 및 기능성 수지칩 제조방법
JP2009302130A5 (ko)
KR102207657B1 (ko) 시온 안료를 포함하는 안전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