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4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49A
KR20170072749A KR1020150181315A KR20150181315A KR20170072749A KR 20170072749 A KR20170072749 A KR 20170072749A KR 1020150181315 A KR1020150181315 A KR 1020150181315A KR 20150181315 A KR20150181315 A KR 20150181315A KR 20170072749 A KR20170072749 A KR 2017007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hinge
moving me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404B1 (ko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04B1/ko
Priority to US15/348,795 priority patent/US10371435B2/en
Priority to EP20152433.7A priority patent/EP3674634B1/en
Priority to EP16200476.6A priority patent/EP3182042B1/en
Priority to CN201611145057.6A priority patent/CN106895638B/zh
Priority to CN201910863054.3A priority patent/CN110542268B/zh
Publication of KR2017007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49A/ko
Priority to US16/519,807 priority patent/US110092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토퍼를 갖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고,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지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기도 하고,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근에는 저장실의 일부만 개방되도록 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즉,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메인 저장실의 일부 영역으로 메인 저장실과는 적어도 일부분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를 DID(door in door)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라 할 수 있다. 서브 도어를 개방하면 메인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와 같은 저장물은 서브 저장실에 저장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냉장고는 본체(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본체(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메인도어힌지(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본체(10)에 서브도어힌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 접근이 하게 된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는 메인도어(100)에 서브도어(200)가 포개지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의 전면을 덮는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메인도어(100)의 전면 면적이 서브도어(200)의 전면 면적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사용 형태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어서 메인 저장실(11)을 이용하는 것과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서브 저장실을 이용하는 것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도어(100)과 서브도어(2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상기 메인도어(100)가 닫힐 때, 관성에 의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세게 닫는 경우,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시킨 후 갑작스럽게 회전이 정지되도록 할 때, 관성에 의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분리되어 서브도어(200)만 더욱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00)를 개방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괘적에 벗어나도록 몸을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100)를 닫을 때 본체 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를 닫았다고 생각하면서 몸을 냉장고의 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킴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안 닫혀 사용자의 몸이 도어와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부지불식간에 메인도어(100)의 회전만을 고려하지, 메인도어(100)에 대한 서브도어(200)의 상대적인 회전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의 회전 괘적 및 회전 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메인도어(100)만 닫히고 서브도어(20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때, 또는 메인도어(100)가 빠른 속도로 열린 후 정지될 때, 사용자가 상기 서브도어(200)와 부딪히는 문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인도어(100)가 닫혀 있는 경우에만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 즉 개방되도록 하고, 메인도어(100)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도어의 특성상 이러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되어 냉장고 전체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장 크게 대변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금장치가 냉장고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잠금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별도의 공간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외부 충격이나 외부 사물들에 의해서 이러한 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우려가 생기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잠금장치는 안전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잠금 설정 및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면서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장고의 외부 특히 메인도어(100)나 서브도어(200)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냉장고의 도어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벽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잠금장치로 인해 단열벽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장고 외형의 디자인적 요소, 도어의 단열벽 기능, 잠금장치 자체의 신뢰성 그리고 냉장고 도어와의 신뢰성이 있는 연동관계을 만족시킬 수 있는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관성에 의해서 제2도어가 제1도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제1도어가 닫힐 때 및/또는 제1도어가 열린 후 급격히 정지할 때, 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에 의한 디자인 훼손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잠금장치 및 이의 작동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용이하게 기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본체 사이의 도어 가스켓에 의한 밀착력을 훼손시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로 인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잠금장치로 인해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구속 및 구속 해제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이동할 때, 외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2도어가 제1도어의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의 도어 인 도어 냉장고에서, 제1도어의 힌지와 제2도어의 힌지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제2도어만 닫힐 때,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용이하게 제2도어의 회전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개폐 상태가 즉각적으로 잠금장치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토퍼를 갖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고,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도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위해 구비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제2도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 축; 상기 제2도어와 결합하는 힌지 브라켓; 그리고 상기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축, 상기 힌지 브라켓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 축에서 소정 반경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도어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 축 및 스토퍼가 수용되는 힌지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도어가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 수용부 내부에서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도어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제1도어 외부에서 상기 스토퍼를 볼 수 없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상태와 연동되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기준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기준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준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기준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인 변위를 갖게 된다.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제1도어의 회동을 위해 구비되는 메인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힌지는, 상기 메인 힌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메인 힌지 브라켓과 상기 메인 도어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상기 수평 브라켓과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브라켓이 상기 기준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중심과 소정 반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제1도어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평 브라켓을 타고 올라고 상기 수평 브라켓 상부에서 상기 수평 브라켓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는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평 브라켓을 타고 내려와 상기 수평 브라켓과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는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평 브라켓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말단 양쪽으로 경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이동부재와 수평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메인 힌지와 힌지 사이의 상하좌우 위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의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구속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구속하는 구속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해제위치를 상기 걸림부재의 제1위치라 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위치를 상기 걸림부재의 제2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한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강하여 해제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한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강하여 구속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의 상승을 상기 걸림부재의 하강으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강을 상기 걸림부재의 상승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과 연동되어 승강되는 제1연장부; 그리고 상기 중심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상승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강 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심축에 구비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 방향을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이와 아울러, 상기 전환부재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 즉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도어 조작 시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만 닫힐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환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전환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재는 시소 형태로 형성되며, 특정 상황에서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전환부재를 타고 넘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는 구속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걸림부재는 다시 해제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러한 구속위치로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의 말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어의 외부로까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힌지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힌지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의 힌지 축과 스토퍼는 상기 힌지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도 상기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와 걸림부재의 연결 및 분리는 모두 제1도어 내부에서 발생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잠금장치의 메커니즘이 매우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의 회전축 방향과 상기 제2도어의 회전축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내부에서 상기 제2도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과 연동되어 구속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제1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구속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전 구속에 의해서 상기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 기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서 개폐됨에 따라 상기 기준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진다. 아울러, 이러한 상대적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준부재에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메인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서브 힌지를 통해 상기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서브 힌지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과 연동되어 구속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가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도 실질적으로 상기 제1도어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부재를 상기 제1도어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재 전체도 상기 제1도어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1도어에 대해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만 닫힐 때,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걸림부재가 구속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구속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의 방향은 걸림부재의 승강 방향일 수 있다. 즉, 수직 상부와 하부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은 제1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힘의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수직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1도어의 밀폐력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탄성 복원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도어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관성에 의해서 제2도어가 제1도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제1도어가 닫힐 때 및/또는 제1도어가 열린 후 급격히 정지할 때, 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에 의한 디자인 훼손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잠금장치 및 이의 작동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용이하게 기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본체 사이의 도어 가스켓에 의한 밀착력을 훼손시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로 인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잠금장치로 인해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구속 및 구속 해제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이동할 때, 외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2도어가 제1도어의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의 도어 인 도어 냉장고에서, 제1도어의 힌지와 제2도어의 힌지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제2도어만 닫힐 때,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용이하게 제2도어의 회전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개폐 상태가 즉각적으로 잠금장치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도어 냉장고 또는 DID 도어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에 대한 제2도어의 회전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에 대한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잠금장치가 제1도어의 개폐와 연동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도시된 냉장고 외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나 하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 등 메인도어(제1도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서브도어(제2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아웃사이드 타입 DID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메인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서브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310)가 마련된 메인도어(300, 이하 제1도어라 한다)와 상기 제1도어(300)의 개구부(310)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400, 이하 제2도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도어(400)가 닫힐 때 제1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도어(400)의 전후 폭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도어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도어(4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제1도어(300)에 삽입되어 닫히는 냉장고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인사이드 타입 DID 냉장고 또는 인사이드 타입 이중 냉장고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도어(3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315)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3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3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300)에는 서브도어(40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310)와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3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의 개구부(3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후자의 개구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어(300)의 배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1도어(300)의 가스켓(3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0)을 통해 상기 제1도어(300)와 본체 내부의 저장실 사이의 냉기가 실링된다.
상기 두 개의 개구부(310, 315)의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가스켓 밀착부(312)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밀착부(312)는 제1도어(300)에 형성되는 가스켓 밀착부(412)와 대응된다.
상기 두 개의 가스켓 밀착부(412, 312)는 서로 대응되며, 어느 하나에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켓 밀착부들(412, 312)을 통해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이러한 가스켓 밀착부들(412, 31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서브저장실(311)이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0)를 열면 상기 제1도어(300)의 개구부(315)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300)를 열지 않고도 제2도어(4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311)과 메인저장실(11)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0)의 개구부(3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3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도어(400)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3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에는 도어 프레임(305)이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300) 자체가 도어 프레임(305)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0)는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 수용되면, 상기 제2도어(400)가 닫힌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4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도어(400)가 열린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2도어(400)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도어(400)에는 손잡이(40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300)에도 손잡이(301)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어(300)의 손잡이(301)는 도어 프레임(305)의 외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305)의 측면 외각이나 하면 외각 중 어느 곳에 이러한 제1도어 손잡이(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들(301, 401)의 형상이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잡이들이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도어의 손잡이(301)는 제1도어의 개폐를 위해 그리고 제2도어의 손잡이(401)는 제2도어의 개폐를 위해,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정상적인 제1도어(300)의 개방시 사용자는 제1도어의 손잡이(301)를 잡고 제1도어(300)를 개방한다. 이때, 제1도어(300)와 본체(10) 사이에 발생되는 자력을 이기고 제1도어(3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자력은 일반적으로 고무자석 가스켓에 의해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제2도어(400)의 개방시 사용자는 제2도어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고무자석 가스켓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이기고 제2도어(400)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제1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무자석 가스켓의 자력을 이기고 개방될 수 있다. 즉, 양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힘이 배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제1도어(300)에서 제2도어(400)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제1도어(300)가 세게 닫히면, 제2도어(400)의 관성력이 양자 사이의 자력 내지는 밀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도어(300)가 제2도어(400)에서 분리되어 제1도어(300)만 닫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도어(300)를 세게 연 후 급속히 정지시키면, 제2도어(400)의 관성력이 양자 사이의 자력 내지는 밀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서 분리되어 제2도어(300)만 더욱 열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도어(300)에 대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50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잠금장치(500)는 제1도어(300)에 대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이라 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의 회동을 허용하고,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잠긴 상태되어, 제2도어(400)의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잠금장치(500)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경우에 제2도어(400)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0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의 가스켓에 의한 자력만을 극복하고 제2도어(40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물론, 힌지 등에 의한 마찰력 등에 의한 방해 요소는 무시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는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경우에 제2도어(400)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하려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00)에 의한 구속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세게 닫힐 때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서 분리되는 상황(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열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개폐 시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는 우측에 구비되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는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축(3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미도시된 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회전 방향 관계에 의해서, 제1도어(300)가 닫힐 때 제2도어(400)가 관성에 의해 제1도어(300)에서 분리될 우려가 발생되는 것이다. 물론, 제1도어(300)를 세게 연 후 급격히 정지시킬 때 제2도어(400)가 관성에 의해 제1도어(300)에서 분리된 우려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잠금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잠금장치의 구성 및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 4에는 잠금장치에 의해 제2도어의 회전이 허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잠금장치에 의해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잠금장치(500)는 걸림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스토퍼(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30)가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30)가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제2도어(4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00)의 회전과 일체로 상기 스토퍼(63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스토퍼(630)의 회전 구속은 제2도어(400)의 회전 구속을 의미하며, 스토퍼(630)의 회전 허용은 제2도어(400)의 회전 허용을 의미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630)는 제2도어(400)를 제1도어(3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6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400)의 힌지와 구분되기 위하여, 이러한 힌지(600)는 제2힌지 또는 서브힌지라 할 수 있다.
상기 힌지(600)는 힌지축(6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600)는 제2도어(400)와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6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어(400)는 상기 힌지축(610)을 기준으로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힌지(6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힌지(6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힌지축(610)과 소정 반경을 갖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힌지축(610)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축(610)과 스토퍼(600)는 상기 제1도어(300)의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축(610)과 스토퍼(600)는 제1도어(300)의 도어 프레임(305)에 형성된 힌지 개구부(330)를 통해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개구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 브라켓(620)은 제1도어(300) 외부에서 상기 제2도어(400)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610)은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서 상기 제1도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1도어(300)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6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 즉 힌지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521)가 스토퍼(630)를 구속하지 않는 위치를 제1위치라 할 수 있다. 즉, 걸림부재(521)가 제1위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태는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일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521)가 스토퍼(630)를 구속하는 위치를 제2위치라 할 수 있다. 즉, 걸림부재(521)가 제2위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태는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500)는 걸림부재(521)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스토퍼(600)를 구속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걸림부재(521)의 이동 변위 내지는 이동 위치는 제1도어(3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달라져야 할 것이다. 즉, 제1도어(300)의 개폐 여부와 연동되어 상기 걸림부재(521)가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500)는 이동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위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제1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510)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걸림부재(521)도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이동부재(510)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걸림부재(521)도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의 변위 방향과 걸림부재의 변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이동부재가 제1도어(300)의 개폐 상태에 직접 영향을 받는 위치와 상기 걸림부재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위치는 걸림부재(521)가 하강된 위치이며 이동부재(510)가 상승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제2위치는 걸림부재(521)가 상승된 위치이며 이동부재가 하강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521)와 이동부재(510)의 변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재(510)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521)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전환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재의(510)의 하강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521)의 상승 변위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부재의(510)의 상승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521)의 하강 변위로 전환하는 전환부재(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520)는 시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축(523)과 상기 중심축은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522)는 상기 이동부재(510)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10)의 상승 및 하강이 상기 제1연장부(522)의 상승 및 하강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10)가 상승하면 상기 제1연장부(522)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의해서 위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부재(510)가 하강하면 상기 제1연장부(522)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의해서 아래로 잡아 당겨져 내려갈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장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심축(52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22)가 상승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522)를 상승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즉 상기 이동부재(510)가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연장부(522)가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520)를 시소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2연장부(521)의 승강은 상기 제1연장부(522)의 승강과 반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522)를 상기 걸림부재(521)라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500)의 대부분은 제1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의 개폐 상태와 연동되어야 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521)의 변위를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동부재(510)의 양단의 위치는 상하좌우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이동부재(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힌지와 상기 힌지(600) 사이의 위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510)에는 복수 개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수직 절곡부와 수평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두 개의 수직 절곡부와 하나의 수평 절곡부가 형성된 이동부재(5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510)는 상기 이동부재(5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동부재(510)의 변위를 가이드하는 하우징(51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하우징(515)도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300)의 내부 공간에 발포제가 충진되더라도 상기 발포제는 상기 하우징(515)의 외부에만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15) 내부에서 상기 이동부재(510)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잠금장치(500)의 이동부재(510)가 제1도어(300)의 개폐와 연동됨을 설명한바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이동부재(510)가 제1도어(300)의 개폐와 연동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6에는 본체(10)에 대해서 제1도어(300)가 메인 힌지(110)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제1위치는 상승된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1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기준부재(112)와 접촉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112)와 접촉되어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어(30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2위치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제2위치는 하강된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1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기준부재(112)와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112)와 접촉이 해제되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기준부재(112)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가 상기 본체(10)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준부재(11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도어(30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510)가 메인 힌지(110)의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도어(300)가 상기 회전축(113)과 0도 각도를 이룰 때를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라 할 때, 상기 제1도어(300)의 열림 각도와 동일하게 상기 이동부재(510)도 상기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제1도어(300)가 조금 열리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510)의 말단(511)도 마찬가지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510)와 상기 기준부재(112)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재(510)의 하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도어(400)의 회전 구속을 의미하게 된다.
반대로, 제1도어(300)가 닫히는 순간에는 상기 이동부재(510)가 상기 기준부재(112)와 접촉하여 상승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510)가 상기 기준부재(112)를 타고 올라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기 기준부재(112)를 타고 올라가거나 타고 내려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510)와 기준부재(112)의 접촉 및 접촉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510)의 말단(511) 양쪽에는 경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준부재(112)는 상기 본체(112)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힌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힌지(110)는 본체에 상기 메인 힌지(110)를 결합시키는 메인 힌지 브라켓(111)과 상기 메인 도어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브라켓(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브라켓(112)는 상기 제1도어(300)의 하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 도어에 가해지는 수직 상부 또는 하부 방향의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힌지 회전축은 상기 수평 브라켓(112)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브라켓(112)은 상기 메인 힌지 브라켓과 상기 메인 힌지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기준부재(112)는 상기 수평 브라켓(112)과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는 제1도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메인 힌지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메인 힌지와 연동되는 이동부재(51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부 메인 힌지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가 닫힐 때 하강하고 제1도어(400)가 열릴 때 상승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510)의 말단은 상기 제1도어(30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기준부재(1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도어(300)의 개폐 방향과 상기 이동부재(510)의 이동 방향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도어(300)의 전후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51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탄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과 탄성복원력의 방향은 제1도어(300)의 개폐 방향과는 무관하다.
이는 상기 제1도어(300)의 밀폐력과 관련이 있다. 즉, 상기 탄성력과 탄성복원력의 방향은 도어의 밀폐력 방향과는 무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탄성복원력이 도어의 밀폐력 방향과 반대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제1도어(300)를 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의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더 큰 자력을 갖는 도어 가스켓이 필요함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복원력은 도어의 개폐 방향 내지는 밀폐 방향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잠금장치(500)로 인한 도어 밀폐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630)과 잠금장치(500)의 대부분 구성은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의 말단(511)의 일부분만 제1도어(300) 외부로 연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511)은 제1도어(300)의 하면이나 상면으로 일부 노출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잠금장치(500)의 구성이나 작동 메커니즘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잠금장치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10)와 걸림부재(521)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스토퍼(630)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서 구속되지 않는다. 즉,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위치는 이동부재(510)이 상승된 위치이며 상기 걸림부재(521)가 하강한 위치이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걸림부재(521)의 상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10)와 걸림부재(521)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스토퍼(630)의 이동은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서 구속된다. 즉,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위치는 이동부재(510)가 하강한 위치이며 상기 걸림부재(521)가 상승한 위치이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걸림부재(521)에 의해서 더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630)의 회전 구속에 의해서 제2도어(400)의 회전 구속이 발생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500)는 제1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500)는 제2도어(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도어(300)의 개방을 구속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제2도어(400)만 연 상태에서 다시 제1도어(300)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도어(300)를 닫고 나서 제2도어(400)를 닫는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용자는 제1도어(300)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제2도어(400)를 닫을 수도 있다. 이때, 제1도어(300) 자체는 열려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재(5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2도어(400)가 닫힐 때,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걸림부재(521)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52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는, 상기 스토퍼(630)가 힌지축(61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스토퍼(630)가 전환부재(520)의 오른쪽에 위치된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제1도어(300)가 열려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재(521)는 상승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 제2도어(400)만 닫히는 경우, 제2도어(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전환부재(520)를 타고 넘어가 전환부재(520)의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스토퍼(630)는 상기 걸림부재(52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토퍼(630)가 걸림부재(521)를 넘어서 지나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521)는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즉, 제2도어(40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다시 도 5에 도시된 모습으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재(520)의 상면은 상기 스토퍼(630)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토퍼(630)가 상기 전환부재(520) 상면에서 원활히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30)는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630)에 대해서 전환부재(520)의 상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왜냐하면, 전환부재(520)는 일측의 걸림부재(521)가 상승하고 타측은 하강한 시소 형태를 갖기 때문이다.
스토퍼(520)가 전환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걸림부재(521)는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원활히 하강하게 되고, 다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520)를 통해서 이동부재(510)의 변위를 걸림부재(521)의 변위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개방 순서를 비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 : 본체(캐비닛) 300 : 제1도어
305 : 도어 프레임 400 : 제2도어
500 : 잠금장치 510 : 이동부재
520 : 전환부재 521 : 걸림부재(제1연장부)
600 : (서브)힌지 630 : 스토퍼
110 : 메인힌지 112 : 기준부재(수평 브라켓)

Claims (29)

  1.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토퍼를 갖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고,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도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위해 구비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2도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 축;
    상기 제2도어와 결합하는 힌지 브라켓; 그리고
    상기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축, 상기 힌지 브라켓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 축에서 소정 반경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도어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도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 축 및 스토퍼가 수용되는 힌지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힌지 수용부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제1도어의 회동을 위해 구비되는 메인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힌지는, 상기 메인 힌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메인 힌지 브라켓과 상기 메인 도어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브라켓과 접촉되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상기 수평 브라켓과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하강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중심과 소정 반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제1도어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평 브라켓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말단 양쪽으로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메인 힌지와 힌지 사이의 상하좌우 위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절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구속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구속하는 구속위치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한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강하여 해제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한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강하여 구속위치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승을 상기 걸림부재의 하강으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강을 상기 걸림부재의 상승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과 연동되어 승강되는 제1연장부; 그리고
    상기 중심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상승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강 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며, 힌지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힌지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회전축 방향과 상기 제2도어의 회전축 방향은 서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내부에서 상기 제2도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과 연동되어 구속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제1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구속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전 구속에 의해서 상기 제2도어의 회전이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메인 힌지를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서브 힌지를 통해 상기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서브 힌지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릴 때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과 연동되어 구속위치와 해제위치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가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1도어에 대해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만 닫힐 때,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걸림부재가 구속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구속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81315A 2015-12-17 2015-12-17 냉장고 KR10239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15A KR102391404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US15/348,795 US10371435B2 (en) 2015-12-17 2016-11-10 Refrigerator
EP20152433.7A EP3674634B1 (en) 2015-12-17 2016-11-24 Refrigerator
EP16200476.6A EP3182042B1 (en) 2015-12-17 2016-11-24 Refrigerator
CN201611145057.6A CN106895638B (zh) 2015-12-17 2016-12-13 冰箱
CN201910863054.3A CN110542268B (zh) 2015-12-17 2016-12-13 冰箱
US16/519,807 US11009285B2 (en) 2015-12-17 2019-07-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15A KR102391404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49A true KR20170072749A (ko) 2017-06-27
KR102391404B1 KR102391404B1 (ko) 2022-04-27

Family

ID=5739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315A KR102391404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371435B2 (ko)
EP (2) EP3674634B1 (ko)
KR (1) KR102391404B1 (ko)
CN (2) CN1068956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04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0760B1 (ko) * 2016-01-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278845A (zh) * 2018-03-27 2018-07-13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可调节空间的冰箱门中门
KR102573779B1 (ko) *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1692828A (zh) * 2019-03-13 2020-09-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12444067B (zh) * 2019-08-28 2022-08-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可切换铰链组件的冰箱
CN112444091B (zh) * 2019-08-28 2022-03-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辅助开门的嵌入式冰箱
CN112444064B (zh) * 2019-08-28 2023-02-1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嵌入式冰箱
CN115200304B (zh) * 2021-04-14 2024-01-2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839583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240002586A (ko) 2022-06-29 2024-01-05 블루닉스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181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232250A1 (en) * 2013-02-21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KR20150099024A (ko) * 2014-02-21 201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170045B2 (en) * 2010-01-04 2015-10-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458A (en) * 1887-09-06 Lever-catch for double doors
US172106A (en) * 1876-01-11 Improvement in self-acting door-bolts
US2150064A (en) * 1933-02-08 1939-03-07 Boots Refrigerator
US2204053A (en) * 1934-03-08 1940-06-11 William F Dart Refrigerator latch
US2565891A (en) * 1947-09-12 1951-08-28 Wilbur G Sherman Magnetic door lock
US2942438A (en) * 1955-11-23 1960-06-2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US3086830A (en) * 1960-06-09 1963-04-23 Malia John Peter Compartmentalized refrigerator
JPS63142682A (ja) 1986-12-05 1988-06-15 Fujitsu Ltd 電界効果半導体装置
JPS63142682U (ko) * 1987-03-09 1988-09-20
JP2003302150A (ja) 2002-04-05 2003-10-24 Toshiba Corp 冷蔵庫
US7267379B2 (en) * 2005-03-17 2007-09-11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Flush bolt
JP2010203695A (ja) * 2009-03-04 2010-09-16 Panasonic Corp 冷蔵庫
KR101307690B1 (ko) * 2009-07-2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833974A (zh) * 2011-06-15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JP2013053843A (ja)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EP2613112B1 (en) * 2012-01-03 2019-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20140001465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217750A1 (en) * 2013-02-07 2014-08-07 Thase Enterprise Co., Ltd. Latch combination for door or window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8309B1 (ko) *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608614B1 (en) * 2013-12-23 2022-10-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576740B1 (ko) * 2014-06-20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3640B1 (ko) * 2014-08-2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404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29352B1 (ko) * 2016-01-05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67513B1 (ko) *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181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170045B2 (en) * 2010-01-04 2015-10-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20140232250A1 (en) * 2013-02-21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KR20140104640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99024A (ko) * 2014-02-21 201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42268A (zh) 2019-12-06
US20170176087A1 (en) 2017-06-22
CN106895638B (zh) 2019-10-18
EP3674634A1 (en) 2020-07-01
EP3674634B1 (en) 2024-04-24
US20190346196A1 (en) 2019-11-14
KR102391404B1 (ko) 2022-04-27
EP3182042B1 (en) 2020-03-04
US10371435B2 (en) 2019-08-06
US11009285B2 (en) 2021-05-18
EP3182042A1 (en) 2017-06-21
CN106895638A (zh) 2017-06-27
CN110542268B (zh)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749A (ko) 냉장고
US10054360B2 (en) Refrigerator
EP2886982B1 (en) Refrigerator
EP2770284B1 (en) Refrigerator
EP2843326B1 (en) Refrigerator
KR101618129B1 (ko) 냉장고
KR101042473B1 (ko) 냉장고
AU2020319113B2 (en) Refrigerator
KR101758284B1 (ko) 냉장고
EP3674640A1 (en) Refrigerator
KR20210046859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333514A1 (en) Refrigerator
AU2020316325B2 (en) Refrigerator
KR101952679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210027913A (ko) 냉장고
JP200617762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