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29A - 결합식 코받침 - Google Patents

결합식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29A
KR20170072729A KR1020150181253A KR20150181253A KR20170072729A KR 20170072729 A KR20170072729 A KR 20170072729A KR 1020150181253 A KR1020150181253 A KR 1020150181253A KR 20150181253 A KR20150181253 A KR 20150181253A KR 20170072729 A KR20170072729 A KR 2017007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insertion groove
hook
present
no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지
Original Assignee
홍영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지 filed Critical 홍영지
Priority to KR102015018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729A/ko
Publication of KR2017007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식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코받침이 결합되는 구조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코받침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결합식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결합식 코받침은, 삼지창 형상의 삽입홈을 후방 중앙에 구비한 안경테; 상기 안경테와 고정 결합되며 삼지창 형상의 후크를 구비한 코받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결합식 코받침{LATCH NOSE SUPPORT}
본 발명은 결합식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코받침이 결합되는 구조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코받침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결합식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와 핸드폰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고, 그에 따라 안경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개성이 있는 패션 연출을 위해 안경을 찾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안경을 사용하던 도중에 일부 파손이 발생하면 새로 구입하거나 수리를 해야 한다.
그런데 요즈음 같은 저소득 고물가 시대에 모든 것을 빠르게 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안경이 파손되었을 때에 새로 구입하지 않고 부품 교체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며 저가로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의 렌즈 지지부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어 안경 착용자의 콧등 양쪽 부위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안경의 안정적인 착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 고정부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받침부가 마련된 것도 있지만 안경테 고정부의 후방에 하나의 받침부가 마련된 것도 있다.
한 쌍의 받침부를 갖는 것은 안경테의 한 쌍의 렌즈 지지부 사이에 하나만이 설치되고, 하나의 받침부를 갖는 것은 각 렌즈 지지부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안경 코받침은 안경테의 재질 및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금속철사형의 안경테라면 금속철사형의 안경 코받침이 안경테에 용접 설치될 수 있고, 별도의 플라스틱재질의 안경 코받침이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재질의 안경테라면 플라스틱재질의 안경 코받침이 안경테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플라스틱재질의 안경 코받침이 안경테에 분해 가능하게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테와 일체로 형성된 코받침은 파손시 안경테까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안경 코받침은 안경의 프론트 중심부에서 코받침을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한 후 용접공정을 거쳐서 조립하였기 때문에 코받침의 용접불량으로 인한 불량률도 높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와 코받침이 결합되는 구조를 상온에서 쇄기 모양의 강제 압입 방법으로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결합식 코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코받침과 안경테의 결합 부분을 좁고 가를게 구성하여 얇은 디자인을 갖는 안경테에도 결합이 용이한 결합식 코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을 구비한 안경은, 삼지창 형상의 삽입홈을 후방 중앙에 구비한 안경테; 상기 안경테와 고정 결합되며 삼지창 형상의 후크를 구비한 코받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받침은, 상기 삽입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와, 상기 후크와 일체로 연결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과 일체로 연결되며 패드가 고정 설치되는 패드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은, 후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절곡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기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결합식 코받침은, 안경테와 코받침이 결합되는 구조를 상온에서 쇄기 모양의 강제 압입 방법으로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받침과 안경테의 결합 부분을 좁고 가를게 구성하여 얇은 디자인을 갖는 안경테에도 결합이 용이한 안경 코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안경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안경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을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을 구비한 안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을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을 구비한 안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코받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결합식 코받침(20)을 구비한 안경(1)은, 삼지창 형상의 삽입홈(11)을 후방 중앙에 구비한 안경테(10)와, 상기 안경테(10)와 고정 결합되며 삼지창 형상의 후크(21)를 구비한 코받침(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받침(20)과 상기 삽입홈(11)은 스테인레스 등의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코받침(20)은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강제로 변형시킨 경우 변형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약한 외부 하중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받침(20)은 일정 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펀칭하여 따낸 후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또한 작은 직경의 금속봉을 절곡 성형하는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받침(20)은, 상기 삽입홈(11)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22)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21)와, 상기 후크(21)와 일체로 연결되는 기둥(23) 및 상기 기둥(23)과 일체로 연결되며 패드(25)가 고정 설치되는 패드 삽입홈(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크(21)는 중앙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중앙 돌기(2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코받침(20)에서 기둥(23)은 후크(21)의 후방에 패드 삽입홈(24)이 마련된 형태이다.
즉, 기둥(23)은 후크(21)의 후단에서 하부방향으로 패드 삽입홈(24)이 절곡 형성된 형태이다.
또한, 패드 삽입홈(24)의 하단부에 실리콘재질의 패드(25)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고정부(26)가 마련된 형태이다.
따라서 안경(1) 착용자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자신의 코 부위에 패드(25)가 가장 편안하게 안착되어 편안한 안경(1)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끔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받침(20)은 후크(21) 삽입홈(11)에 결합 고정된다.
코받침(20)이 장착되는 안경테(10)는 한 쌍의 렌즈 지지부(미도시)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미도시)의 후면 양측에 후크(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 삽입홈(11)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상기 돌기(22)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21)는 상기 삽입홈(11)에 상기 돌기(22)가 끼워져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삽입홈(11)에 끼워지는 후크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마름모 형상의 중앙 돌기(27)가 삽입홈(11)에 결합될때 상기 삽입홈(11)은 상기 중앙 돌기(27)의 형태로 변형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돌기(27)가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중앙돌기(27)의 외측 테이퍼면을 따라 삽입홈(11)이 외측으로 이격되고, 삽입홈(11)의 반대측면이 인접하는 돌기(22)에 밀착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11)에 끼워지는 돌기(22)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기계 또는 사용자가 강제 압입하여 외관손상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상기 삽입홈(11)은 상기 후크(21)가 결합 고정될 경우, 후크의 소정 길이에 맞춰 팽창 변형되어 상기 돌기(22)가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안경테(10)에서 코받침(20)이 분리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코받침(20)에 있어서 후크(21)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받침(20)에 있어서 후크(21)의 재질은 가볍고 저렴하며 사출성형으로 대량생산에 유리한 TR(Tetoron/Rayon)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밖의 다른 사출성형에 유리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20)은 안경테(10)의 후방에서 안경테(10)의 연결부에 마련된 후크 삽입홈(11)에 후크(21)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안경테(10)와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립 상태의 코받침(20)을 분해하고자 할 때는 후크(21)의 후방에 일체로 마련된 기둥(23)을 잡고 안경테(10)의 후방으로 힘껏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면 안경테(10)의 삽입홈(11)에서 후크(21)가 인출되므로 안경테(10)에서 코받침(20)을 쉽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20)은 안경테(10)와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파손시에 손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코받침(20)을 보유하는 경우 안경테(10)에 맞추어 교체 사용하거나 착용자의 심리상태, 취향 등에 맞추어 교체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자신의 얼굴 구조, 코 부위 형태 또는 취향에 맞추어 가장 편안한 안경(1) 착용이 될 수 있도록 코받침(20)을 피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안경
10 : 안경테 11 : 삽입홈
12 : 끼임홈
20 : 코받침 21 : 후크
22 : 돌기 23 : 기둥
24 : 패드 삽입홈 25 : 패드
27 : 중앙 돌기

Claims (4)

  1. 삼지창 형상의 삽입홈을 후방 중앙에 구비한 안경테;
    상기 안경테와 고정 결합되며 삼지창 형상의 후크를 구비한 코받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코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은,
    상기 삽입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와, 상기 후크와 일체로 연결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과 일체로 연결되며 패드가 고정 설치되는 패드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코받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후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절곡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코받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구비하는 삼지창 형상의 후크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돌기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코받침.
KR1020150181253A 2015-12-17 2015-12-17 결합식 코받침 KR20170072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53A KR20170072729A (ko) 2015-12-17 2015-12-17 결합식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53A KR20170072729A (ko) 2015-12-17 2015-12-17 결합식 코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29A true KR20170072729A (ko) 2017-06-27

Family

ID=5951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253A KR20170072729A (ko) 2015-12-17 2015-12-17 결합식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7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4190A1 (en) * 2019-10-29 2021-04-29 Visottica Industrie Spa Optimised pad holder and spectacle moun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optimised pad holder
KR20220111439A (ko) * 2021-02-02 2022-08-09 (주)빅스타아이엔지 일체형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4190A1 (en) * 2019-10-29 2021-04-29 Visottica Industrie Spa Optimised pad holder and spectacle moun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optimised pad holder
KR20220111439A (ko) * 2021-02-02 2022-08-09 (주)빅스타아이엔지 일체형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420B2 (en) Eyeglass with a soft sleeving element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CN104115055B (zh) 辅助透镜嵌入式眼镜
KR101378769B1 (ko) 안경 코받침
KR20170072729A (ko) 결합식 코받침
US20110317123A1 (en) Coupling structure for eyeglasses
TWI721124B (zh) 支架臂及製造支架臂的方法
US6296356B2 (en) Pair of spectacles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 pair of spectacles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101696512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KR101378767B1 (ko) 안경 코받침
KR20160121428A (ko)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는 안경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CN220752430U (zh) 一种镜架结构、眼镜框架及眼镜
JP2015203722A (ja) 金属材の柱とプラスチック材の挿入固定体が一体に成形された眼鏡のノーズ柱
JP6560066B2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KR200335222Y1 (ko) 안경 코받침 지지구
KR20110117849A (ko)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KR102251466B1 (ko) 코받침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CN218350640U (zh) 一种方便更换镜片的眼镜
CN213544974U (zh) 眼镜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2125533B1 (ko) 안경테용 탄성 힌지 조립체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