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678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678A
KR20170072678A KR1020150181151A KR20150181151A KR20170072678A KR 20170072678 A KR20170072678 A KR 20170072678A KR 1020150181151 A KR1020150181151 A KR 1020150181151A KR 20150181151 A KR20150181151 A KR 20150181151A KR 20170072678 A KR20170072678 A KR 2017007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rame
opening
cabl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465B1 (ko
Inventor
구유회
박재홍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465B1/ko
Priority to EP16178019.2A priority patent/EP3182194B1/en
Priority to CN201610620257.6A priority patent/CN106898631B/zh
Priority to US15/237,757 priority patent/US9980397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678A/ko
Priority to US15/974,974 priority patent/US105826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1L51/56
    • H01L2251/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슬림한 외형과 동시에 강성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슬림한 두께를 지니는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베젤의 너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이 내장되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a side)에서 연장되는 전선;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a side)에 위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자성체 또는 접착력을 지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좌측 일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우측 일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PCB;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장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장변에서 연장되는 제1 전선;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PCB; 상기 제1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1 케이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에서 연장되는 제2 전선; 상기 제2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PCB; 그리고, 상기 제2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제어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좌측의 일부와 상기 프레임의 우측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판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판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면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과 동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림한 두께를 지니는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젤의 너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이 내장되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및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양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일방향이 전방 또는 전면이 될 수 있다. 이때, 타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타방향이 후방 또는 후면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관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서 타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관측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 및 후면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양면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화상을 후면의 화상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라 칭할 수 있다. 타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 또는 벽에 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천장에 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커넥터(160)에 의해 천장에 매달려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이 관측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은 화상(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 그리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젤(bezel)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엣지(edge)에 위치할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이 관측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은 화상(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 그리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젤(bezel)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엣지(edge)에 위치할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20)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박형(slim type) 또는 초박형(ultra-slim type) 금속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모듈커버라 칭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20)은 센터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20)은 서포터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평판부(120P, plate portion), 그리고 측벽(side wall, SW)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0P)는 금속재질일 수 있고, 박형 또는 초박형 금속일 수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평판부(120P)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평판부(120P)에 결합될 수도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고, 평판부(120P)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다. 프레임(120)은 프레스 되어 평판부(120P)와 측벽(SW)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0P)의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측벽(SW)은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 제2 장변(120LS2), 제1 단변(120SS1), 또는 제2 단변(120SS2)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SW)은 사이드 커버일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프레임(1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프레임(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을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미들 캐비넷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한 강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평판부(120P)의 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한 강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장변(110L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의 길이 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단변(110S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에 접착되거나 프레임(12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제1 장변(130L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의 길이 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제1 단변(130S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에 접착되거나 프레임(120)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예로 설명하되,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FPCB(FP)를 구비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를 FPCB(FP)가 공급하는 전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FPCB(F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전선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케이블(SC)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를 제어하는 전기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FPCB(F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PCB(SP)를 구비할 수 있다. PCB(SP)는 복수개의 FPCB(F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케이블(S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FPCB(FP) 및/또는 케이블(S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PCB(SP)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서 일정한 부피를 차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CB(SP)는 source PCB일 수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개구부(opening portion, 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2 장변(120LS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을 관통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직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개구부(OP2)는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연속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는 제2 장변(120LS2) 및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가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제2 장변(120LS2)을 따라 길게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2 개구부(OP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0 개구부(OP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개의 개구부(OP) 중 몇몇은 확장된 개구부(OP5,OP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OP5,OP6)의 확장은 앞서 설명한 FPCB(FP) 및 PCB(SP)의 개수 또는 연결방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개구부(OP5,OP6)는 2개의 개구부(OP1,OP2)를 통합한 크기일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FPCB(FP)에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일측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SP)와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일측이 FPCB(FP)와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블(SC)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즉, PCB(SP)가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두께를 지닐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CB(SP)는 전자소자의 구성에 따라서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PCB(SP)의 두께는 PCB(SP)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종류 또는 전자소자의 배열 또는 전자소자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또는 일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이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으로 굽어질 수 있다. 즉,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프레임(120)의 사이로 휘어지며 들어갈 수 있다.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되,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삽입될 수 있다. 즉, PCB(SP)가 개구부(OP)에 위치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프레임(120)의 전체 두께는 변화가 없거나 변화가 아주 미약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PCB(SP)로부터 프레임(120)의 상부 또는 상측을 향하여 길게 놓여질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SC)은 플랫 케이블(SC,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예를 들어, LVDS 케이블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PCB(SP)는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돌출부(SPP)가 삽입될 수 있는 홈(OP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PCB(SP)의 형상에 따라서 프레임(120)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이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는 PCB(SP)의 음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120)의 전면에 결합부재(142,144)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재(142,144)는, 예를 들면, 접착테잎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결합부재(142)는 프레임(120)의 전면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44)는 프레임(12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2)와 결합부재(144)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은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42,144)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2,144)의 전면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접촉할 수 있고, 결합부재(142,144)의 후면은 프레임(12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결합부재(142,144)에 의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어 프레임(120)의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개구부(OP)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2)와 결합부재(14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2,144)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 또는 갭(gap)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결합부재(142,144), 그리고 프레임(120)의 두께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결합부재(142,144)의 측면을 프레임(120)의 측벽(SW)이 커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측벽(SW)의 두께일 수 있다. 즉, FPCB(FP), PCB(SP), 또는 케이블(SC)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upper frame)을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측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 unit or timing control board) 또는 브릿지 제어부(bridge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제어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제어부(15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개구부(opening portion, 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장변(120LS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을 관통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직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개구부(OP2)는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연속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는 제1 장변(120LS1) 및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가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120LS1)을 따라 길게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2 개구부(OP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0 개구부(OP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개의 개구부(OP) 중 몇몇은 확장된 개구부(OP5,OP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OP5,OP6)의 확장은 앞서 설명한 FPCB(FP) 및 PCB(SP)의 개수 또는 연결방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개구부(OP5,OP6)는 2개의 개구부(OP1,OP2)를 통합한 크기일 수 있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FPCB(FP)에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일측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SP)와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일측이 FPCB(FP)와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블(SC)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즉, PCB(SP)가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두께를 지닐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CB(SP)는 전자소자의 구성에 따라서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PCB(SP)의 두께는 PCB(SP)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종류 또는 전자소자의 배열 또는 전자소자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 또는 일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이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으로 굽어질 수 있다. 즉,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프레임(120)의 사이로 휘어지며 들어갈 수 있다.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되,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삽입될 수 있다. 즉, PCB(SP)가 개구부(OP)에 위치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프레임(120)의 전체 두께는 변화가 없거나 변화가 아주 미약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PCB(SP)로부터 프레임(120)의 상부 또는 상측을 향하여 놓여질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SC)은 플랫 케이블(SC,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예를 들어, LVDS 케이블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PCB(SP)는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돌출부(SPP)가 삽입될 수 있는 홈(OP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PCB(SP)의 형상에 따라서 프레임(120)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이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는 PCB(SP)의 음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PCB(SP)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반면에,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PCB (SP)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FPCB (FP)또는 케이블(SC)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공정의 편의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부재(146)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재(146)는, 예를 들면, 접착 테잎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결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고,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결합부재(146)의 일면은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146)의 타면에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6)의 타면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접촉할 수 있고, 결합부재(146)의 일면은 프레임(12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결합부재(146)에 의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어 프레임(120)의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개구부(OP)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6)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결합부재(146)의 측면을 프레임(120)의 측벽(SW)이 커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측벽(SW)의 두께일 수 있다. 즉, FPCB(FP), PCB(SP), 또는 케이블(SC)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upper frame)을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측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 unit or timing control board) 또는 브릿지 제어부(bridge unit or bridge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제어부(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제어부(152)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도 22 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일정한 강성을 지니기 위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그리고, 개구부(OP)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예를 들어, 접착부재(142,144)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전면에 붙고, 접착부재(142,144)의 타면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붙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다른 예를 들어, 접착부재(142,144)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착부재(142,144)의 타면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는 제2 접착부재(144)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와 제2 접착부재(144)의 사이에 제1 케이블(SC1)이 놓여질 수 있다. 즉, 프레임(12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제1 접착부재(142), 제1 케이블(SC1), 그리고 제2 접착부재(144)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접착부재(142,144)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142,144)에 의해서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FPCB(FP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FPCB(FP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PCB(SP1)는 제1 FPCB(FP1)가 휘어지거나 접히면서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놓여질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PCB(SP1)와 제1 제어부(1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으로부터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를 향해서 길게 놓여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레임(120)의 후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예를 들어, 접착부재(146)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후면에 붙고, 접착부재(146)의 타면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붙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다른 예를 들어, 접착부재(146)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착부재(146)의 타면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을 대부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접착부재(146)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접착부재(146)에 의해서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FPCB(FP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FP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화상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제2 FPCB(FP2)가 휘어지거나 접히면서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놓여질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PCB(SP2)와 제2 제어부(1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을 향해서 놓여질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 제2 장변(120LS2), 제1 단변(120SS1), 그리고 제2 단변(120S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172a,172b)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커버(174)는 프레임(120)의 제2 단변(120S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커버(176)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사이드 커버(178)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각각이 별개로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되어 벤딩되면서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프레임(120),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의 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142,144)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접착부재(146)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상개구부(OPU), 그리고 하개구부(OP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 및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형성된 홈일 수도 있다. 상개구부(OPU) 및 하개구부(OPD)가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개구부(OPD)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마주할 수 있고, 상개구부(OPU)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제1 FPCB(FP1)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PCB(SP1)는 하개구부(OPD)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하개구부(OPD)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PCB(S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개구부(OPD)에서 상개구부(OPU)를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 또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접착부재(142,14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제2 FPCB(FP2)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상개구부(OPU)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상개구부(OPU)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PCB(S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레임(120)의 상판(120U)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접착부재(14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양면으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슬림한 두께를 지닐 수 있다.
도 25및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60)는 파이프(16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케이블(CA10)은 파이프(16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에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은 파이프(161)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160)는 홀더(16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63)는 파이프(161)의 일단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3)는 삽입부(163I)와 플렌지(163P)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63I)는 파이프(16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렌지(163P)는 파이프(161)의 일단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63I)의 외경(D2)은 파이프(161)의 내경(D2)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플렌지(163P)의 외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파이프(161)의 일단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파이프(161)의 일단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63)는 홀(163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사각형의 형상인 경우, 홀(163H)은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끼워지도록 음각되면서 홀더(16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63H)은 케이블(CA10)의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케이블(CA10)이 파이프(16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홀더(163)는 복수개의 케이블(CA1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홀(163H)을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160)는 고정링(16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부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링(165)은 파이프(161) 외측에 압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측에 끼워지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압입되는 경우, 고정링(165)의 내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접착되는 경우, 고정링(165)의 내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커넥터(160)는 결합링(167)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링(167)은 링바디(167B), 스토퍼(167S), 그리고 암나사부(167G)를 구비할 수 있다. 링바디(167B)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링바디(167B)는 파이프(161)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고, 파이프(161)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링바디(167B)는 고정링(165)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고, 고정링(165)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바디(167B)의 내경(D4)은 파이프(161)의 외경(D1)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링바디(167B)의 내경(D4)은 고정링(165)의 외경(D5) 보다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내경(D4)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7S)의 내경(D6)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거의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스토퍼(167S)의 내경(D6)은 고정링(165)의 외경(D5)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67S)는 파이프(161) 외부에 끼워지고, 파이프(161)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고정링(165)에 걸림될 수 있다. 암나사부(167G)는 링바디(167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167G)는 일정한 크기의 홈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높이 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60)는 결합바디(1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케이블(CA20)은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에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은 결합바디(162)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하부에 플렌지(162P)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바디(162)의 플렌지(162P)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수나사부(162G)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링(167)의 암나사부(167G)와 결합될 수 있다. 원통부(162B)의 외경(D4)은 결합링(167)의 내경(D4)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링(167)은 결합바디(162)에 나사 끼움 될 수 있다.
커넥터(160)는 홀더(16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64)는 원통부(162B)의 일단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4)는 삽입부(164I)와 플렌지(164P)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64I)는 결합바디(16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렌지(164P)는 결합바디(162)의 일단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64I)의 외경(D7)은 결합바디(162)의 내경(D7)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플렌지(164P)의 외경(D4)은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경(D4)과 동등하거나 작을 수 있다.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결합바디(162)의 일단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결합바디(162)의 일단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64)는 홀(164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사각형의 형상인 경우, 홀(164H)은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끼워지도록 음각되면서 홀더(16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64H)은 케이블(CA20)의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케이블(CA20)이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홀더(164)는 복수개의 케이블(CA2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홀(164H)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6 및 28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홀더(163,164)는 2개의 홀(163H,164H)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케이블(CA)의 일단이 2개의 홀(163H,164H)에 각각 끼워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홀더(163,164)는 4개의 홀(163H,164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4개의 케이블(CA)의 일단이 4개의 홀(163H,164H)에 각각 끼워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고, 다른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다. 4개의 홀(163H,164H)은 홀더(163,164)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0 내지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파이프(161)에 홀더(163)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파이프(161) 내부에 케이블(CA1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케이블(CA10)은 홀더(163)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은 홀더(16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결합바디(162)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20)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된 제어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예를 들면, 브릿지부(151b)와 타이밍컨드롤부(151a)를 구비할 수 있다. 브릿지부(151b)는 케이블(CA10)에서 케이블(CA2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부(151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2)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화상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1)는 제어부(15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각각이 독립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합바디(162)에 홀더(164)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케이블(CA2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케이블(CA20)은 홀더(164)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은 홀더(16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결합링(167)은 파이프(161)에 끼워질 수 있다. 결합링(167)은 파이프(161)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결합링(167)은, 고정링(165)을 파이프(161) 일단에 결합하기 위하여, 파이프(16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끼워지고, 접착제를 통해서 파이프(16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와 별도로 형성되어 설명과 같이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커넥팅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결합바디(162)가 파이프(16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홀더(163)는 홀더(163)와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A10)은 케이블(CA2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결합바디(162)가 파이프(161)와 결합됨과 동시에, 케이블(CA10)은 케이블(CA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결합링(167)이 회전하여 결합바디(16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링(167)이 회전하면서, 결합링(167)에 형성된 암나사부(167G)가 결합바디(162)에 형성된 수나사부(162G)를 타고 회전할 수 있다. 즉, 결합링(167)은 결합바디(162)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결합링(167)의 회전이 종료되면, 결합바디(162)는 파이프(16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결합링(167)의 회전이 종료되어, 결합링(167)이 결합바디(162)에 물림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때, 홀더(163)는 홀더(164)와 마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CA10)의 일단은 복수개의 케이블(CA20)에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고정되고, 결합링(167)의 일단이 고정링(165)에 걸리고, 결합링(167)의 타단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바디(162)에 맞물리게 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파이프(161)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CA10,CA20)들이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130), 그리고 제어부의 일부(151,152)는 천장 또는 벽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어부의 나머지(170)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메인제어부(170), 그리고 서브제어부(151,152)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72,174), 그리고 통신모듈(171,17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제어부(151,152)는 제1 제어부(151), 그리고 제2 제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제어부(151,152)는 브릿지유닛(151b,152b), 그리고 타이밍컨트롤유닛(151a,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브릿지유닛(151b), 그리고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브릿지유닛(152b), 그리고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2,17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172,17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2,174)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72,174)는 제1 전원공급부(172), 그리고 제2 전원공급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172)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174)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모듈(171,17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상 표시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71,173)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71,173)은 제1 통신모듈(171), 그리고 제2 통신모듈(17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71)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173)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천장라인(CL) 또는 벽면라인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1)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52)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제어부(170)는 서브제어부(151,152)로부터 천장라인(CL) 또는 벽면라인을 기준으로 격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서브제어부(151,152)는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고, 파이프(161)에 내장된 케이블(CA)을 통해 메인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비된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브릿지유닛(151b), 그리고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릿지유닛(151b)은 메인제어부(170)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화상신호를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구비된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브릿지유닛(152b), 그리고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브릿지유닛(152b)은 메인제어부(170)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화상신호를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상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상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PCB;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장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장변에서 연장되는 제1 전선;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PCB;
    상기 제1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1 케이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에서 연장되는 제2 전선;
    상기 제2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PCB; 그리고,
    상기 제2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2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제어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좌측의 일부와 상기 프레임의 우측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판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면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과 동등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a side)에서 연장되는 전선;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PCB;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자성체 또는 접착력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좌측 일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우측 일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사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50181151A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151A KR102455465B1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6178019.2A EP3182194B1 (en) 2015-12-17 2016-07-05 Display device
CN201610620257.6A CN106898631B (zh) 2015-12-17 2016-08-01 显示装置
US15/237,757 US9980397B2 (en) 2015-12-17 2016-08-16 Display device
US15/974,974 US10582621B2 (en) 2015-12-17 2018-05-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151A KR102455465B1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78A true KR20170072678A (ko) 2017-06-27
KR102455465B1 KR102455465B1 (ko) 2022-10-17

Family

ID=5951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151A KR102455465B1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56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0491A (ko) * 2012-03-29 201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56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0491A (ko) * 2012-03-29 201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465B1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98631B (zh) 显示装置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KR10247629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7272238B (zh) 显示装置
US9292042B2 (en) Display device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KR20180071657A (ko)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10031008A (ko)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1700319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432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55624B1 (en) Display device
KR20180022309A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KR1025643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54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31439B2 (en) Display device
KR102489000B1 (ko)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13415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765922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502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09283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01630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2230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20146883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