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65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651A
KR20170072651A KR1020150181084A KR20150181084A KR20170072651A KR 20170072651 A KR20170072651 A KR 20170072651A KR 1020150181084 A KR1020150181084 A KR 1020150181084A KR 20150181084 A KR20150181084 A KR 20150181084A KR 20170072651 A KR20170072651 A KR 2017007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area
focus
item area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희진
변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651A/ko
Priority to US15/338,551 priority patent/US20170177174A1/en
Publication of KR2017007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화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는,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화면 이동 없이 다양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것은,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 1 아이템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여 변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 1 아이템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이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상기 포커스가 이동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이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3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여 표시함으로써, 한 화면에서 많은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축소된 제 1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아이콘처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겹쳐서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3-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내지 제 3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어 장치(150)가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15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5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에 복수의 아이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아이템 영역(101) 및 제 2 아이템 영역(10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 영역(1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카테고리 리스트(110)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들이 분류된 목록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아이템 영역(102)은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리스트(120)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제 1 아이템 영역(101)에 카테고리 리스트(110)가 표시되고, 제 2 아이템 영역(102)에는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리스트(120)가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제 2 아이템 영역(102)이 제 1 아이템 영역(101)의 하위 레벨인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영역이라면, 아이템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하위 레벨은 제 1 아이템 영역(101)의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세부적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아이템 영역(101)에서 현재 포커스의 위치에 있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120)를 제 2 아이템 영역(102)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제 2 아이템 영역(102)에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120)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현재 포커스의 위치는 색상 변경, 굵은 글씨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현재 포커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101)에서 현재 포커스가 Live TV 아이템(111)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ive TV 아이템(111)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Live TV 아이템(111)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120)를 제 2 아이템 영역(102)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ive TV 아이템(111)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채널 목록, 가이드 및 녹화된 컨텐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한정된 공간을 고려하여,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함으로써 화면 이동 없이 다양한 카테고리 및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의 제어 장치(150) 대신 화면에 표시된 방향키(250)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장치(150)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여 방향키(250)가 화면에 도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201)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하면서 제 1 아이템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2 아이템 영역(202)을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하게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위치는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첫 번째 위치이고, 제 2 아이템 영역(202)은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201)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방향키(2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아이템 영역(201)에 표시된 영화 아이템(211)이 포커스 위치로 이동되도록 카테고리 리스트(2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영화 아이템(2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220)가 제 2 아이템 영역(202)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영화 아이템(211)에 대응하는 특정 영화 썸네일(221)로 포커스를 이동한 경우, 더 많은 카테고리를 표시하기 위해 카테고리 리스트(210)가 변형될 수 있다. 제 1 아이템 영역(201)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변형되는 일 예는 도 2b 내지 도 2d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축소된 제 1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커스가 제 2 아이템 영역(202)의 아이템으로 이동되면,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포커스가 영화 아이템(211)에서 특정 영화 썸네일(221)로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 영화 썸네일(221)에 재생 버튼을 표시하고,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카테고리 리스트(212)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a와 비교하여 제 1 아이템 영역(201)은 화면 이동 없이 더 많은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아이콘처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커스가 제 2 아이템 영역(202)의 아이템으로 이동되면,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아이템들을 아이콘처럼 표시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화 아이템(211)에 대응하는 특정 영화 썸네일(221)로 포커스가 이동된 경우, 특정 영화 썸네일(221)에 재생 버튼을 표시하고,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카테고리 리스트(213)를 아이콘처럼 표시할 수 있다.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겹쳐서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커스가 제 2 아이템 영역(202)의 아이템으로 이동되면,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아이템들을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화 아이템(211)에 대응하는 특정 영화 썸네일(221)로 포커스가 이동된 경우, 특정 영화 썸네일(221)에 재생 버튼을 표시하고, 제 1 아이템 영역(201)의 카테고리 리스트(214)를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 1 아이템 영역(301)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302)을 세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테고리 리스트(310)가 화면 하단에 가로로 배열되고, 포커스가 위치한 영화 아이템(3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320)가 영화 아이템(311)에 인접하여 세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가 영화 아이템(311)에서 특정 영화 썸네일(321)로 이동하면, 특정 영화 썸네일(321)에 재생 버튼이 표시되고, 제 1 아이템 영역(3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310)가 축소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리스트(410)가 화면 하단에 가로로 배열되고, 포커스가 위치한 영화 아이템(4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420)가 카테고리 리스트(410)의 상단에 인접하여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가 영화 아이템(411)에서 특정 영화 썸네일(421)로 이동하면, 특정 영화 썸네일(421)에 재생 버튼이 표시되고, 제 1 아이템 영역(4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410)는 축소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2-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및 제 2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1 아이템(503)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503)의 위치로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제 2 아이템 영역(502)을 제 1 아이템(503)의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501)과 수직으로 배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포커스를 영화 아이템(511)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포커스를 영화 아이템(511)으로 이동시키고, 영화 아이템(5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520)를 영화 아이템(511)과 인접하면서 수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가 특정 영화 썸네일(521)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특정 영화 썸네일(521)에 재생 버튼을 표시하고, 제 1 아이템 영역(5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510)를 축소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 리스트(510)는 슬라이딩 되지 않고, 제 2 아이템 영역(502)의 위치는 포커스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3-레벨 구조를 갖는 제 1 아이템 영역 내지 제 3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 1 아이템 영역(601) 및 제 2 아이템 영역(602)뿐 아니라,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이 표시된 제 3 아이템 영역(603)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리스트(610)에서 영화 아이템(611)으로 포커스가 이동된 경우, 영화 아이템(6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62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가 특정 영화 썸네일(621)로 이동하면, 제 1 아이템 영역(6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610)는 축소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영화가 복수의 에피소드를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특정 영화 썸네일(621)에 복수의 에피소드가 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영화 썸네일 리스트(620) 상단에 제 3 아이템 영역(60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3 아이템 영역(603)은 특정 영화의 에피소드 리스트(63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 3 아이템 영역(603)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 3 아이템 영역(603)으로 포커스가 이동한 경우, 포커스가 위치한 아이템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포커스가 영화 아이템(611)에 대응하는 특정 영화의 한 에피소드 썸네일(633)로 이동한 경우, 제 3 아이템 영역(603)에 표시된 에피소드 리스트(632)는 확대되고, 포커스가 위치한 에피소드 썸네일(633)에는 해당 에피소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아이템 영역(6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610)는 축소될 수 있고, 선택된 영화 썸네일(622)은 색상이 변경되고, 제 2 아이템 영역(602)에 표시된 다른 영화 썸네일 리스트(620)는 흐릿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7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디스플레이부(710) 및 제어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700)에는 실시예들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1 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710)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1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7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디스플레이부(7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7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720)는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것은,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제 1 아이템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위치는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일 수 있고, 제어부(720)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포커스를 이동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출력부(1200), 제어부(1300) 및 통신부(1500) 이외에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도 7의 디스플레이부(710)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도 7의 제어부(720)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부(1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동 통신부(15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아이템 영역은 화면에서 세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101)이 화면 왼쪽에 세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102)이 화면 하단에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3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310)가 화면 하단에 가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302)에 표시된 영화 썸네일 리스트(320)가 화면 왼쪽에 세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아이템 영역이 가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4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410)가 화면 하단에 가로로 배열되고, 제 2 아이템 영역(402)에 표시된 영화 썸네일 리스트(420)가 카테고리 리스트(410)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제 1 아이템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위치는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일 수 있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커스의 위치는 제 1 아이템 영역(101)의 첫 번째 위치이고, 포커스가 이동하면 제 1 아이템 영역(101)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Live TV 아이템(111)에서 영화 아이템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아이템 영역(101)의 첫 번째 위치에 영화 아이템이 위치하도록 카테고리 리스트(110)가 이동되고, 포커스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영화 썸네일 리스트(12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포커스가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이동되고, 제 2 아이템 영역은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501)에 표시된 카테고리 리스트(510)는 고정되고, 포커스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2 아이템 영역(502)은 제 1 아이템 영역(501)에서 포커스 위치에 있는 제 1 아이템(503)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거나, 아이템들을 간단한 아이콘으로 대체하거나, 겹쳐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3 아이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아이템 영역(601)의 영화 아이템(611)에 포커스를 이동시키면, 영화 아이템(611)에 대응하는 영화 썸네일 리스트(620)가 제 2 아이템 영역(602)에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영화 썸네일 리스트(620)에서 특정 영화 썸네일(621)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만약, 포커스가 복수의 에피소드를 갖는 특정 영화 썸네일(621)로 이동하면, 제 3 아이템 영역(603)에 특정 영화의 에피소드 썸네일 리스트(63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의미하고, 제 2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리스트는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본 개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것은,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세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 1 아이템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배열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을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1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1 아이템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2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를 축소하여 변형하는 단계인,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은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세로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 리스트가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 1 아이템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이 이동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첫 번째 위치이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로 상기 포커스가 이동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의 위치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과 수직으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이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은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의 상단에 가로로 배열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제 2 아이템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아이템의 하위 레벨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제 3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리스트는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 10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81084A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84A KR20170072651A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5/338,551 US20170177174A1 (en) 2015-12-17 2016-10-31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84A KR20170072651A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51A true KR20170072651A (ko) 2017-06-27

Family

ID=5906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84A KR20170072651A (ko) 2015-12-17 2015-12-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77174A1 (ko)
KR (1) KR201700726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3171B2 (en) * 2018-02-06 2019-12-3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Method for dynamic sound equalization
CN112363651B (zh) * 2018-06-01 2022-04-12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控件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683793B (zh) * 2018-12-24 2022-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翻转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70516S1 (en) * 2019-06-20 2022-11-22 Yandex Europe A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2499S1 (en) * 2019-12-23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1968A (en) * 1998-06-17 2000-09-19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menus
US7191411B2 (en) * 2002-06-06 2007-03-13 Moehrle Armin E Active path menu navigation system
JP3897774B2 (ja) * 2004-06-09 2007-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20060059425A1 (en) * 2004-09-14 2006-03-16 Anspach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select hierarchically arranged data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1669843A1 (de) * 2004-12-13 2006-06-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nüeinträge in Drop-Down Menüs grafischer Bedienoberflächen
US7743341B2 (en) * 2006-09-11 2010-06-22 Apple Inc. Rendering icons along a multidimensional path having a terminus position
US20100179876A1 (en) * 2007-05-04 2010-07-15 Bjorn Holte Computer-accessible medium,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in navigating the internet
US8689139B2 (en) * 2007-12-21 2014-04-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Expandable user interface menu
JP5315415B2 (ja) * 2009-08-31 2013-10-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gui)環境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に対するメニュー選択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1975906B1 (ko) * 2012-01-09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42080B2 (en) * 2012-04-25 2017-01-10 Vmware, Inc. User interface virtualization of context menus
KR102107491B1 (ko) * 2012-08-27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7174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6031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10739966B2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05367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57312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21040583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displayed in a region of a display and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variously
US201601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US952590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ed thereto
KR201700726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1997945A (zh) 移动终端中的显示设备和控制该显示设备的方法
US20140071288A1 (en) Head mou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the same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3837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545633B2 (en) Imag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
US10524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2019117633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117843A (ko) 멀티 스크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31190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741357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209203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20140253595A1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70056833A (ko) 이동단말기
KR101828298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70094576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102834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