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591A -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591A
KR20170072591A KR1020150180940A KR20150180940A KR20170072591A KR 20170072591 A KR20170072591 A KR 20170072591A KR 1020150180940 A KR1020150180940 A KR 1020150180940A KR 20150180940 A KR20150180940 A KR 20150180940A KR 20170072591 A KR20170072591 A KR 2017007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crete
sculpture
waste
concre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지원
이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지원, 이용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to KR102015018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591A/ko
Publication of KR2017007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일정 형상으로 적층되는 폐콘크리트와, 상기 폐콘크리트가 상호 부착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조형부와; 상기 조형부가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형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와; 상기 형상유지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형부의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식부를; 구비함으로써, 철거 현장에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조형물을 기존 콘크리트 강도를 유지시키며 새롭게 형성하여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MOLDING MATERIAL USING WASTE CONCRETE}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을 통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산업화 이후 건설된 콘크리트 구조물 등은 최근의 도시재개발과 재건축사업으로 해체되는 건축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건축물은 그 양과 규모면에서 고층화,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골재는 연간 2억 6000천만톤(2000년 기준)이라는 매우 막대한 량을 사용하고 있지만, 골재 채취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자연 환경 보전과 천연 자원을 고갈로 인하여 골재 채취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해체된 건축물의 폐콘크리트는 2008년도 약 66,000(ton/일)이 발생하여 연간 약 2,000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양은 매년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막대한 양의 폐콘크리트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폐콘크리트에 대해서 적절한 재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여 단순히 로반재로만 이용되거나 최종매립지에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종매립지를 재활용한 순환골재에 대한 연구는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순환골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에 비해 사용량은 매우 적었으며, 또한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얻기 위하여 발생되는 부산물인 저품질 잔골재 및 미립분에 대한 사용 예는 매우 적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거 현장에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조형물을 기존 콘크리트 강도를 유지시키며 새롭게 형성하여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는, 제조하고자 하는 일정 형상으로 적층되는 폐콘크리트와, 상기 폐콘크리트가 상호 부착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조형부와; 상기 조형부가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형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와; 상기 형상유지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형부의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부표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된 순환유도판과, 상기 순환유도판의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된 이동판과, 일단이 상기 부표에 고정되고 상기 순환유도판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철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는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에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콘크리트를 적층시에 상기 폐콘크리트와 폐콘크리트 사이에는 별도의 앵커체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조형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철망 및 상기 철망을 결속시키는 결속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망 및 결속선의 설치완료 후에 상기 충진재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운반용 고리가 설치된 상기 조형물의 오목한 중앙 영역에는 상기 조형물의 운반이 완료된 후에 수목이나 초화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는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식부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의 외면에는 물결 무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은, 상기 충진재를 이용하여 상기 폐콘크리트가 일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를 적층시켜 조형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조형부의 외면에 상기 형상유지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형상유지부의 외면에 장식부를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조형물을 양생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폐콘크리트를 적층시에는 상기 폐콘크리트와 폐콘크리트 사이에 별도의 앵커체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 이후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가 상기 충진재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는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형물을 검은 비닐로 씌우고, 수분을 공급하면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은, 철거 현장에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조형물을 기존 콘크리트 강도를 유지시키며 새롭게 형성하여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의 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작업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의 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작업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는, 제조하고자 하는 일정 형상으로 적층되는 폐콘크리트(110)와, 상기 폐콘크리트(110)가 상호 부착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1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120)로 이루어지는 조형부(100)와, 상기 조형부(100)가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형부(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200)와, 상기 형상유지부(2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형부(100)의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폐콘크리트(110)는 건물의 철거 공사 현장에서 건물의 벽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일정 체적을 갖는 콘크리트 덩어리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폐콘크리트(110) 중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복수의 폐콘크리트(110)를 수집한 후에 이러한 복수의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킴으로써 조형물을 제조하게 된다.
조형물을 제조시에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가 상호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 사이에는 별도의 충진재(120)를 사용하게 된다.
충진재(120)는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충진재(120)에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됨으로써 제조자가 원하는 색상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20) 자체에 제조자가 원하는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색소가 포함됨으로써 조형물의 외면이 손상되어 벗겨지더라도 색상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부위가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충진재(120)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조형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데,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의 상호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 사이에 별도의 앵커체(130)를 설치할 수 있다.
앵커체(1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의 일정 길이가 폐콘크리트(110)에 삽입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의 일정 길이가 이웃하는 폐콘크리트(11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폐콘크리트(110)를 상호 적층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진재(120) 및 앵커체(130)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110)를 상호 적층시킴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을 완성한 후에는 폐콘크리트(11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상유지부(200)를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에 설치하게 된다.
형상유지부(200)는 조형부(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철망(210) 및 철망(210)을 결속시키는 결속선(2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폐콘크리트(110)를 상호 적층시에 바닥에 철망(210)을 깔고 철망(210)의 상면에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킬 후에 철망(210)의 주연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철망(210)의 주연부가 상호 접촉되는 영역은 별도의 결속선(220)을 이용하여 결속시킴으로써 철망(210)이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을 감싼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철망(210) 및 결속선(220)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써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을 용이하게 감싸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철망(210) 및 결속선(220)의 설치완료 후에 충진재(120)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140)가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조형물의 제작이 완료되면 조형물을 양생시킬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반용 고리(140)가 설치된 상기 조형물의 오목한 중앙 영역에는 상기 조형물의 운반이 완료된 후에 수목이나 초화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15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조형물이 장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장식부(300)는 형상유지부(200)의 설치가 완료된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조형물이 자연스러운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외면을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식부(300)는 충진재(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적층된 폐콘크리트(110)의 외면에 부착력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장식부(300)는 충진재(120)와 마찬가지로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장식부(300)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되어 있다.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장식부(300)에 색소가 포함됨으로써 조형물의 외면이 손상되어 벗겨지더라도 색상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부위가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식부(300)의 외면에는 물결 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조형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외관이 자연스러운 느낌이 들도록 함으로써 인공 폭포나 혹은 사면 장식재로 사용시에 미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300)의 외면에 물결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폐숟가락을 이용하여 장식부(300)의 외면을 긁어서 다양한 형태의 물결 무늬를 형성한 후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부가할 수 있도록 붓을 이용하여 장식부(300)의 외면을 쓸어주면 자연스러운 물결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200)의 철망(210)을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에 깔고, 그 상면에 충진재(120)를 일부 도포하여 철망(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폐콘크리트(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폐콘크리트(110)가 고정된 후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진재(120)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110)가 일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켜 조형부(100)를 형성(S1)하게 된다.
이때, 폐콘크리트(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 사이에 별도의 앵커체(130)를 연결한 후에 충진재(120)를 충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조형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깔려 있던 철망(210)의 주연부를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에 철망(210)의 주연부가 조형부(100)의 상측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하고 결속선(220)을 이용하여 철망(210)의 주연부가 상호 결속되도록 하여 형상유지부(200)를 설치(S2)하게 된다.
형상유지부(200)를 설치한 후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140)가 충진재(120)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조형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
형상유지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200)의 외면에 장식부(300)를 형성(S3)하게 되는데, 장식부(300)의 외면에 물결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폐숟가락을 이용하여 장식부(300)의 외면을 긁어서 다양한 형태의 물결 무늬를 형성한 후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부가할 수 있도록 붓을 이용하여 장식부(300)의 외면을 쓸어줘서 자연스러운 물결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은 사용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장식부(300)까지 형성이 완료되면 조형물을 양생시키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생과정은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조형물을 검은 비닐로 씌우고, 수분을 공급하면서 점진적으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원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은 철거 현장에 발생되는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조형물을 새롭게 형성하여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인공폭포나 사면 장식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조형부 110 : 폐콘크리트
120 : 충진재 130 : 앵커체
140 : 운반용 고리 200 : 형상유지부
210 : 철망 220 : 결속선
300 : 장식부

Claims (14)

  1. 제조하고자 하는 일정 형상으로 적층되는 폐콘크리트(110)와, 상기 폐콘크리트(110)가 상호 부착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1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120)로 이루어지는 조형부(100)와;
    상기 조형부(100)가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형부(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200)와;
    상기 형상유지부(2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형부(100)의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식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120)는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120)에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에 상기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 사이에는 별도의 앵커체(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200)는 상기 조형부(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철망(210) 및 상기 철망(210)을 결속시키는 결속선(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210) 및 결속선(220)의 설치완료 후에 상기 충진재(120)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140)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용 고리(140)가 설치된 상기 조형물의 오목한 중앙 영역에는 상기 조형물의 운반이 완료된 후에 수목이나 초화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300)는 몰탈과 접착재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300)는 무기 안료인 산화철 색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300)의 외면에는 물결 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충진재(120)를 이용하여 상기 폐콘크리트(110)가 일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켜 조형부(10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조형부(100)의 외면에 상기 형상유지부(200)를 설치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형상유지부(200)의 외면에 장식부(30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와;
    상기 조형물을 양생시키는 제4단계(S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폐콘크리트(110)를 적층시에는 상기 폐콘크리트(110)와 폐콘크리트(110) 사이에 별도의 앵커체(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는 별도의 운반용 고리(140)가 상기 충진재(120)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는 크랙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형물을 검은 비닐로 씌우고, 수분을 공급하면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KR1020150180940A 2015-12-17 2015-12-17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KR20170072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40A KR20170072591A (ko) 2015-12-17 2015-12-17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40A KR20170072591A (ko) 2015-12-17 2015-12-17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591A true KR20170072591A (ko) 2017-06-27

Family

ID=5951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40A KR20170072591A (ko) 2015-12-17 2015-12-17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0043A1 (en) Simulated Rock Panels
CN1067205A (zh) 带图案成型制品的生产方法
US20160130807A1 (en) Concrete-mosaic
KR20170072591A (ko)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조형물
US20160040367A1 (en) Processing of artifical turf
CN104179291B (zh) 一种生产建筑墙体的工艺方法及建筑墙体
KR200400438Y1 (ko)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KR101104311B1 (ko)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US20130305604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namental horticultural pot
RU244694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митирующих природный камень
KR101097120B1 (ko) 투수형 현무암 인조 판석과 그 제조방법
KR20160061717A (ko) 완성도가 높고 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CN107972400A (zh) 一种人造大型假山的制作方法
CN206467886U (zh) 一种仿木复合板材
KR101345355B1 (ko)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RU100758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CN207686203U (zh) 利用传统夯土制作的竹纹建筑装饰挂板结构
CN1264775A (zh) 永模预饰自固蚕进快速建筑技术
KR20060042495A (ko) 인조석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되는 인조석재
JP6748585B2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CN107953717B (zh) 一种利用天然彩色土制作建筑装饰挂板的方法
KR100976416B1 (ko) 자연석의 이미지를 갖는 블럭의 제조 방법
JP2012232524A (ja) 化粧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着色モルタル化粧層の形成方法
CN215790587U (zh) 一种仿石砖和制砖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