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527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527A
KR20170072527A KR1020150180773A KR20150180773A KR20170072527A KR 20170072527 A KR20170072527 A KR 20170072527A KR 1020150180773 A KR1020150180773 A KR 1020150180773A KR 20150180773 A KR20150180773 A KR 20150180773A KR 20170072527 A KR20170072527 A KR 2017007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inlet
outlet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956B1 (ko
Inventor
조영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9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입챔버 및 상기 청정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출챔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에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 및 출구와,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AIR PURIFIER}
본 출원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 내로 유입시켜 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를 사용함에 따라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공기청정기 사용 효과를 사용자가 인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지거나, 사용자가 사용 필요성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실정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 사용에 따른 공기질 개선 효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입챔버 및 상기 청정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출챔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에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 및 출구와,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공기 및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기청정기의 사용에 따른 공기질 개선 효과를 손쉽게 알 수 있고, 그 결과 공기청정기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입챔버의 일 구현예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입챔버 및 인출챔버의 장착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청정부(110), 송풍부(120), 제어부(130), 센서부(140), 흡입구(150), 토출구(160),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정부(110)는 공기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방식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정부(110)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공기청정기(100)의 흡입구(150)에 위치하거나, 공기청정기(100)의 흡입구(150)와 토출구(160)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필터는 예를 들어 전처리 필터(prefilter),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탈취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와 같은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부(120)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팬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속도(즉, 분당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공기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마이컴(Micom),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신호 또는 후술하는 센서부(14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청정기(10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거나,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공기청정기(100)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VOC 센서), 공기 중의 C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등과 같이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입구(150)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이고, 토출구(160)는 공기청정기(1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이다.
예를 들어, 흡기구(150)는 공기청정기(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토출구(160)는 공기청정기(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청정기(100)의 내부 구조 및 기능에 따라 흡기구(150) 및 토출구(16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는 각각 공기청정기(100)로 유입되는 공기 및 정화된 후 공기청정기(1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입자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구(150) 및 토출구(16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는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며 임의의 모양을 갖는 입체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체형상의 일 면과 타 면(예를 들어, 일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일 면에는 식별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0)의 본체에서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식별 구멍에 상응하는 위치에도 이에 상응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LED 등의 조명부가 구비되어 챔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사용자에 의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조명을 비추거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수동으로 조명을 비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내부 표면은 무반사 코팅처리 되어서, 조명부에 의한 빛이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의 내부 표면에 흡수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서만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공기청정기(100)가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기청정기(100)는 인입챔버(170) 및 인출챔버(17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입챔버의 일 구현예로서, 인입챔버(170)를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챔버(170)의 일 면과 이에 대향하는 면에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입구(171) 및 출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챔버(170)의 타 면, 예를 들어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수직인 일 면에는 식별구멍(173)이 형성될 수 있고, 인입챔버(170)의 내부에는 조명부(17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인입챔버(170)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인출챔버(170') 역시 도 2에 도시된 인입챔버(17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입챔버 및 인출챔버의 장착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챔버(170)는 공기청정기의 흡입구의 주변에 장착되며, 공기청정기로 유입된 공기는 입구(171)를 통해 인입챔버(170)의 내부로 들어가서 출구로 나오게 되고, 사용자는 식별구멍(173)을 통해 인입챔버(17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내의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출챔버(170')는 공기청정기의 토출구의 주변에 장착되며, 공기청정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입구(171)를 통해 인출챔버(170')의 내부로 들어가서 출구(172)로 나오게 되고, 사용자는 식별구멍(173)을 통해 인출챔버(17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내의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공기청정기
110: 청정부
120: 송풍부
130: 제어부
140: 센서부
150: 흡입구
160: 토출구
170: 인입챔버
171: 입구
172: 출구
173: 식별구멍
174: 조명부
170': 인출챔버

Claims (5)

  1.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입챔버 및 상기 청정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인출챔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에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입구 및 출구와,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 구멍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의 내부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챔버 또는 상기 인출챔버의 내부 표면은 무반사 코팅처리되는 공기청정기.
  5.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구 주변에 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제1 입구 및 제1 출구가 형성되며,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식별 구멍이 형성된 인입챔버; 및
    상기 청정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인 토출구 주변에 설치되고,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제2 입구 및 제 2 출구가 형성되며,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식별 구멍이 형성된 인출챔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50180773A 2015-12-17 2015-12-17 공기청정기 KR10249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773A KR102492956B1 (ko) 2015-12-17 2015-12-17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773A KR102492956B1 (ko) 2015-12-17 2015-12-17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527A true KR20170072527A (ko) 2017-06-27
KR102492956B1 KR102492956B1 (ko) 2023-01-30

Family

ID=5951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773A KR102492956B1 (ko) 2015-12-17 2015-12-17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9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52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50095491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459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52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50095491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459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956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JP6263381B2 (ja) 空気清浄機
KR1022875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8003B1 (ko) 공기청정 환기 장치
KR102563496B1 (ko) 인체 감지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463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0481427Y1 (ko)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WO2016013469A1 (ja) 空気清浄機
CN204787019U (zh) 通风设备
KR102558204B1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센서 보정 방법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180083113A (ko) 필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KR102492956B1 (ko) 공기청정기
KR20180056988A (ko) 공기청정기
KR20110059225A (ko) 공기 정화기
KR20180045570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20160027292A (ko) 공기청정기
KR20170072582A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토출 방향 제어 방법
KR101686220B1 (ko) 이끼필터 기반의 포터블 공기정화형 시스템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220043526A (ko) 공기 청정기
KR20050098150A (ko) 필터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