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919A -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 Google Patents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919A
KR20170071919A KR1020150180135A KR20150180135A KR20170071919A KR 20170071919 A KR20170071919 A KR 20170071919A KR 1020150180135 A KR1020150180135 A KR 1020150180135A KR 20150180135 A KR20150180135 A KR 20150180135A KR 20170071919 A KR20170071919 A KR 20170071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lactobacillus
acid bacteria
skin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메디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메디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메디쿱
Priority to KR102015018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919A/ko
Publication of KR2017007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icroorganisms
    • C12R1/22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팅시킨 유산균이 피부흡수를 통해 항염증 작용을 하여 피부질환과 같은 생리질환을 원천적으로 개선하는 유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함유된 유산균이 신생아나 유아의 피부에 흡수, 점막에 점착되도록 하는 유산균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는,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Diaper coated lactic acid bacteria for preventing baby and child skin diseases}
본 발명은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팅시킨 유산균이 피부흡수를 통해 항염증 작용을 하여 피부질환과 같은 생리질환을 원천적으로 개선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하면서 유산을 대사산물(metabolite)로서 많이 생성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세균들을 총칭하여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이라고 한다.
이들 유산균의 이용은 첫째, 유산발효에 의한 식품 보존성의 향상, 둘째, 유산을 비롯한 대사산물에 의한 풍미증진, 셋째, 길항물질 등의 생성으로 인체 유해미생물의 억제에 의한 건강증진, 넷째, 비타민과 같은 인체 유용물질의 합성에 의한 영양 및 건강 증진효과를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하여 오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은 열에 안정한 작은 펩타이드(peptide)로서 항미생물 작용을 하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을 생산한다. 박테리오신은 여러 종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항균성 단백질 또는 단백질계의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과의 형태, 계통학적으로 유사한 균종에 대하여 살균기작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그런데, 어떤 유산균은 발효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고 건강증진을 위하여 식품에 첨가되기도 한다.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생균활성제)이란 일반적으로 동물이나 사람에게 투여되어 여러 가지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미생물로 정의되고 있다.
한편, 신생아와 유아 때 관찰되는 피부병변은 크게 신생아시기에 일과성으로 관찰되는 병변, 모반 및 기타 피부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기타 피부질환으로 구분되는 질환인 땀띠, 기저귀피부염, 아토피피부염, 지루피부염 및 칸디다피부염 등은 처한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런데, 어린아이의 소화관 내에 유산균이 많으면 아토피질환이나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이 적었고 피부병이 있는 어린 아이한테 지속적으로 유산균을 투여했을 때 피부병이 개선되었으며, 이처럼 지속적인 유산균의 섭취는 장내에서 면역력을 키워 각기 피부질환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장내에 유해균이 많으면 그들이 내는 유해성분등으로 인해 피부염증, 여드름 등 악영향을 미치는데 유산균의 지속적인 섭취는 유기산과 박테리오신 생성과 함께 유해균을 퇴치하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쾌변을 유도한다. 곧 장내환경을 깨끗하게 하여 건강한 피부를 형성시켜 준다.
하지만, 발진, 아토피피부염 등 신생아 및 유아의 피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유산균과 같은 유용균을 기저귀에 적용시킨 제품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만약 기저귀에 코팅시킨 유산균이 피부흡수를 통해 항염증(anti-inflammation)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면, 신생아 및 유아의 피부질환과 같은 생리질환을 원천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KR 특허 1213530 (2012.12.12) KR 특허 1201447 (2012.11.08) KR 특허 0530279 (2005.1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산균의 피부흡수를 통해 항염증 작용을 하여 피부질환과 같은 생리질환을 원천적으로 개선하고 유산균과 항염증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의 피부 흡수, 이동과 점착성을 향상시킨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함유된 유산균이 신생아나 유아의 피부에 흡수, 점막에 점착되도록 하는 유산균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는,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에는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은 zinc aspartate, zinc aspartate citrate, zinc aspartate gluconate, allofer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된 유산균과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은 초음파 스프레이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신생아 등의 피부 점착성과 생존성 및 박테리오신 생산이 우수한 유산균주를 코팅하여 각종 피부질환에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산균총의 저감화를 방지하고 유산균총을 건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유산균에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을 혼합해서 코팅하여 유산균총의 항균활성을 유지하면서도 피부 염증과 아토피 발생을 방지 내지 완화할 수 있다.
셋째, 초음파 스프레이에 의해 유산균과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을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초미세하게 코팅하여 피부내 흡수, 이동과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산균의 사람 점막에의 점착능 및 뮤신 결합 측정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점막에의 고점착 특성을 갖는 유산균의 검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뮤신 결합 렉틴의 분리 및 L. brevis FSB-1로부터의 렉틴에 의한 뮤신에서의 가능한 인식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쥐 배설물 샘플에서의 L. brevis FSB-1의 농도 및 쥐 배설물 샘플(복용 기간 동안 L. brevis FSB-1의 경구 투여 24시간 후부터 매일 수집)에서의 L. brevis FSB-1의 중간 복구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경구 투여 기간 동안 수집된 쥐 배설물 샘플에서의 brevis FSB-1의 량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유산균의 사람 점막에의 점착능 및 뮤신 결합 측정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점막에의 고점착 특성을 갖는 유산균의 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기본적으로 함유된 유산균이 신생아나 유아의 피부, 특히 항문 등 엉덩이 부위에 흡수, 점막에 점착되도록 하는 유산균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유산균이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장내 점착성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대부분 인간의 대장내 상피세포 유래인 Caco-2 또는 HT-29 cells 등과 유산균간의 결합력을 기초로 한 균주의 선별이 그 주를 이루어 왔고, 국내에서의 점착성 연구도 대부분 인간의 Caco-2 cell에 대한 연구만이 일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인간의 대장내 구조는 상피세포를 점막층(mucin)이 평균 400㎛~1mm 이상의 두께로 덮고 있기 때문에, 유산균이 대장내에서 상재할 때는 상피세포와의 결합보다는 점막층 물질에 결합하여 분열 및 증식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상재성을 갖고 유용한 제반 효과들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점막층과의 유산균의 점착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직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의 피부에서 점착능(adhesion)이 우수한 유산균주를 선별할 목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내 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점막층을 구성하는 당단백질인 뮤신(mucin)과 유산균 표면의 렉틴(lectin)상 단백질(surface lect in-like protein, SLP) 간의 결합능을 측정하는 뮤신 결합 측정법(mucin-binding assay)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2종의 공시 균주와 생후 1주 및 3세의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um속 추정 균주 총 18종 등 총 50종의 유산균주를 대상으로 결장의 뮤신(colonic mucin)에 대한 결합능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유산균 공시 균주와 유아 분변 분리주 등 총 50종의 유산균주를 대상으로 뮤신(mucin)에 대한 결합능력을 측정한 결과인 결장의 뮤신(colonic mucin)에 대한 결합능력이 우수한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들을 선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상기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로,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사용한다.
도 3은 뮤신 결합 렉틴의 분리 및 L. brevis FSB-1로부터의 렉틴에 의한 뮤신에서의 가능한 인식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Lactobacillus brevis FSB-1이 갖는 우수한 점착성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동 균주로부터 뮤신(mucin)에 대한 결합 친화성(binding affinity)을 갖는 3개의 렉틴(lectin) 24, 55, and 75 kDa를 분리하고 이들의 점착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인간 장내 뮤신(mucin)의 당쇄(sugar chain)의 말단 주위를 인식하여 결합 분열함으로써 장내 상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는 쥐 배설물 샘플에서의 L. brevis FSB-1의 농도 및 쥐 배설물 샘플(복용 기간 동안 L. brevis FSB-1의 경구 투여 24시간 후부터 매일 수집)에서의 L. brevis FSB-1의 중간 복구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인체 장내에 높은 상재성을 규명하고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과 거의 유사한 장내 뮤신(mucin) 및 당쇄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위스터계 실험쥐(Wister rat)에 경구투여하고 Lactobacillus brevis FSB-1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체 투여 후, 8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분변 중 최대의 Lactobacillus brevis FSB-1가 검출되었으며, 투여기간 이후, 24시간 동안 프로바이오틱스(probotics)의 검출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도 5는 경구 투여 기간 동안 수집된 쥐 배설물 샘플에서의 brevis FSB-1의 량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50nm에서의 흡수도는 ELISA에 의해 측정되었고 3회 테스트의 mean±SD로 표시됨).
한편, Lactobacillus brevis FSB-1의 경구투여를 중지하고 분변 중 균체의 지속적인 검출여부를 투여종료 25일차까지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초기에는 감소를 보이지만 6일차를 지나면서 Lactobacillus brevis FSB-1의 재착생(recolonization)에 의해 약 15일차까지 꾸준히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내 뮤신(mucin) 점착성과 생존성 및 박테리오신 생산이 우수한 유산균주로 판명된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기저귀에 코팅하여 이용할 경우, 각종 신생아나 유아 질환에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산균총의 저감화를 방지하고 유산균총을 건장하게 유지함으로써, 이들 질환에 탁월한 예방 효과를 보이는 신기능 유아용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아연 아스파르테이트(zinc aspartate), 아연 아스파르테이트 시트레이트(zinc aspartate citrate), 아연 아스파르테이트 글루코네이트(zinc aspartate gluconate), 알로페론(allofer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항염증성 화합물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알로페론(alloferon)은 하기 일반구조식에 의해 대표되는 독특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선형펩티드(linear peptide)이다.
X 1 -His-Gly-X 2 -His-Gly-Val-X 3
상기 식에서,
X 1 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X 2 는 펩티드결합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X 3 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알로페론 1은 HGVSGHGQHGVHG의 서열(서열번호 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알로페론 2는 GVSGHGQHGVHG의 서열(서열번호 2)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로페론은 생체 내에서 항염증 작용(Anti-inflammatory effect)을 할 뿐만 아니라, 기타 항바이러스, 항알러지(항아토피), 항암 등의 작용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연(zinc)은 포유동물의 성장, 발달, 기능에 필요한 원소로, 항산화효소,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를 포함하는 200개가 넘는 금속효소들 중에서도 필수적인 것이며, 면역 체계나 세포 건강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아연(아연 화합물 포함)은 원치 않는 노화와 관련된 피부 증상들을 완화 내지 제거하고, 진피 내에서 콜라겐, 엘라스틴, 탄성 섬유 등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노화된 피부를 더 건강하고 젊어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알로페론과 아연 화합물로 이루어진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의 추가 코팅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유산균총의 항균활성을 유지하면서도 피부내 염증 내지 아토피 발생을 방지 내지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는 상기 혼합된 유산균과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을 초음파 스프레이에 의해 초미세하게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스프레이에 의해 유산균과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을 항문 등 엉덩이와 접촉하는 부위에 초미세하게 코팅하여 피부내 흡수, 이동과 점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5)

  1. 함유된 유산균이 신생아나 유아의 피부에 흡수, 점막에 점착되도록 하는 유산균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actobacillus 속(genus) 유래의 하나 이상의 균주는, Lactobacillus species FSB-1, Lactobacillus gavieae, Lactobacillus gasseri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는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은 zinc aspartate, zinc aspartate citrate, zinc aspartate gluconate, allofer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유산균과 항염증성 내지 항아토피 화합물은 초음파 스프레이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KR1020150180135A 2015-12-16 2015-12-16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KR20170071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35A KR20170071919A (ko) 2015-12-16 2015-12-16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35A KR20170071919A (ko) 2015-12-16 2015-12-16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919A true KR20170071919A (ko) 2017-06-26

Family

ID=5928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135A KR20170071919A (ko) 2015-12-16 2015-12-16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80A (ko) 2018-08-10 2020-02-19 (주)엠앤씨생명과학 유산균 천연 리포좀과 알로에 천연 리포좀을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용 패치,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80A (ko) 2018-08-10 2020-02-19 (주)엠앤씨생명과학 유산균 천연 리포좀과 알로에 천연 리포좀을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용 패치,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2297B2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およびプレバイオティクス構成要素ならびに無機塩をラクトフェリンとともに含む組成物
US971776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human health and nutrition
KR101918792B1 (ko) 박테리아성 감기에 대한 신규 락트산 박테리아 및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EP2197287B1 (fr) Utilisation d'une souche de bifidobacterium,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stinee a la prevention et/ou au traitement de manifestations de type allergique
RU2603059C2 (ru) Изолированные штаммы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lactobacillus plantarum mcc1 dsm 23881 и lactobacillus gasseri mcc2 dsm 23882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1640744B1 (ko) 고분자 다당 바인더에 컨쥬게이트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ht-3201, 및 이의 아토피 예방 및 치료 용도
CN116744806A (zh) 新型动物双歧杆菌乳亚种hem20-01菌株,以及包含上述菌株或其培养物的用于治疗抑郁症的组合物
EP1902720B1 (en) Fermented milk whey for an oral use in improving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xeroderma or psoriasis.
JP2023532093A (ja) 植物性コラーゲン及び植物性ムチン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11097B1 (ko) 초유의 호기성 발효산물
EP2233015B1 (fr) Composition symbiot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170071919A (ko) 신생아 및 유아 피부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기저귀
US8980289B2 (en) Intestine immunomodulator
JP2008255084A (ja) 抗花粉症剤または食品
KR20170071914A (ko) 여성질환 예방용 유산균 코팅 생리대
Figueiredo et al. Probiotics in human health
Nair et al. PROBIOTICS: A NOVEL NATURAL THERAPY FOR ORAL HEALTH.
KR102578409B1 (ko) 락티카제이바실러스 람노수스 lm1019 및 스타터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WO2023286754A1 (ja)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用組成物
Pal et al. Significance of probiotics in human health
Nautiyal et al. Current review on probiotics health benefits
SP Effects of Resveratrol in a Mouse Model of Alcohol Addiction
Gbadamosi et al. Probiotics as Agents of Health Improvement, Infection Control and Diseases Treatment: A Review
JP2020191831A (ja) 腸管バリア機能回復用食品組成物
US7470434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blocking microbial adherence to eukaryoti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