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911A -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911A
KR20170070911A KR1020150178280A KR20150178280A KR20170070911A KR 20170070911 A KR20170070911 A KR 20170070911A KR 1020150178280 A KR1020150178280 A KR 1020150178280A KR 20150178280 A KR20150178280 A KR 20150178280A KR 20170070911 A KR20170070911 A KR 2017007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femur
hip joint
artificial hip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만
이창우
주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스
Priority to KR102015017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911A/ko
Publication of KR2017007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62Femo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hip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인공고관절용 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대퇴골두 또는 비구가 손상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대퇴골에 1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스템; 및 상기 제1스템 내에 삽입되며 제1스템에 삽입 과정에 제1스템을 확장시키는 제2스템;을 포함하며, 대퇴골에 삽입되는 스템을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대퇴골에 삽입시 스템에 외부 충격을 최소로 발생할 수 있게 하고 제거시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A stem for artificial hip joint and stem install method}
본 발명은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고관절 중 대퇴골에 삽입되는 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템이 분리 가능하고 축소 및 확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대퇴골에 삽입시 스템을 통해 대퇴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로 발생할 수 있게 하고 제거시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 골반의 관골구와 대퇴골두 사이에 끼어 있는 관절로 상지의 견관절에 해당되며, 둥근 대퇴골두가 관골구에 끼여 있으므로 저구과절에 속한다.
이러한 고관절은 많은 사용에 따라 대퇴골두와 관골구 사이에 있는 연골이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 가는 빈번한 형태로 통상 고관절 골관절염이라고 한다.
현재의 고관절 골관절염의 치료에는 고관절의 윤활을 보조하고, 고관절 수술을 통해 고관절의 부분을 인공 기관으로 교체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NSAID dir, 히알루론산 또는 당질코르티코이드의 국부적 주입이 포함된다.
또한 고관절의 골절이나 퇴화 등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관절 대체술(joint replacement surgery)을 이용해 치료하게 되는데, 해부학상으로 둔부는 구상관절이고, 여기서 "볼(ball)" 즉, 대퇴골 관절은 골반의 컵 형상의 소켓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뼈들이 역화되거나 부러지는 경우 고관절 임플란트가 외과적으로 삽입되어 고관절의 손상된 천연 뼈와 연골을 대체한다.
본질적으로 고관절 임플란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4개의 다른 부분들을 구비한다.
천연 관골구(힙 소켓)를 대체하는 비구 "캡" 또는 "셀"로도 알려진 비구 삽입 임플란트, 컵의 내면을 덮고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라이너, 천연 대퇴골의 샤프트 속으로 삽입되어 대퇴골 경부를 대체하여 재건된 관절을 위한 안정성과 이동을 제공하는 금속 스템, 천연 대퇴골의 경부를 대체하는 금속 또는 세라믹 볼 등이다.
이러한 인공고관절은 기존의 대퇴골두 및 비구를 대체하기 위하여 스템은 대퇴골두를 일부 절단하여 그 절단된 대퇴골두에 구멍을 뚫어 스템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쉘 또한 골반골의 비구를 일부 절단하여 대체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스템을 대퇴골에 삽입할 때에는 스템의 외경보다 대퇴골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대퇴골에 스템을 억지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템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대퇴골에 스텝을 고정할 경우 억지 끼움에 의해 대퇴골에 강한 충격을 주어 노인 등과 같이 대퇴골의 골 밀도가 약한 경우 스템 삽입 과정에 대퇴골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공고관절이 초기 강한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퇴골과의 밀착력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스템의 직경 보다 대퇴골의 구멍을 작게 형성하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또한 인공고관절은 그 사용 시기에 따라 향 후 재수술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설치된 인공고절관절 제거를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나 종래의 경우 이미 설치된 인공고관절을 제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설치된 인공고관절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뼈의 성장에 의해 상호 고착화되거나 또는 골용해 문제로 인공고관절을 시술한 환자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 인공고관절을 분리하기 매우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2-0085239호, 공개특허 제10-2012-0062706호 및 공개특허 제10-2014-0128939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앞선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 제10-2012-0085239호
선행기술문헌 2 : 제10-2012-0062706호
선행기술문헌 3 : 제10-2014-01289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공고관절 중 대퇴골에 삽입되는 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템이 분리 가능하고 축소 및 확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대퇴골에 삽입시 스템을 통해 대퇴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로 발생할 수 있게 하고 제거시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된 스템을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수술시 분리되는 부분만을 제거하여 시술할 수 있거나 인공고관절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용이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더불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고통과 부작용을 감소할 수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대퇴골두 또는 비구가 손상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대퇴골에 1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스템; 및 상기 제1스템 내에 삽입되며 제1스템에 삽입 과정에 제1스템을 확장시키는 제2스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템은 하단의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 상부에 절개홈에 의해 분리된 형태로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확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몸체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고 제2스템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와 한쌍의 확장몸체 사이에는 확장몸체의 확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탄성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템은 인공고관절의 헤드가 고정되는 헤드 고정부와, 상기 제1스템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삽입대와, 상기 삽입대의 양측에서 삽입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한쌍의 슬롯마감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 고정부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거나 또는 상기 삽입대는 상기 헤드 고정부 하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만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공고관절용 스템에는 상기 제1스템을 대퇴골에 1차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보조스템이 더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인공고관절용 스템을 이용한 인공고관절용 스템 설치 방법으로써, 1) 제1스템 내에 보조스템을 삽입하는 단계; 2) 제1스템을 천공된 대퇴골에 삽입하는 단계; 3)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으로부터 보조스템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 내에 제2스템을 삽입하여 제2스템의 삽입으로부터 제1스템이 확장되며 대퇴골에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4)단계는 제2스템의 경사진 삽입부에 의해 제1스템의 삽입공이 확장되며, 삽입공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확장몸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고관절 중 대퇴골에 삽입되는 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템이 분리 가능하고 축소 및 확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대퇴골에 삽입시 스템을 통해 대퇴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로 발생할 수 있게 하고 제거시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된 스템을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수술시 분리되는 부분만을 제거하여 시술할 수 있거나 인공고관절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용이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더불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고통과 부작용을 감소할 수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공고관절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제2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제2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고관절용 스템(100)은 제1스템(110)과 제2스템(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스템(110)과 제2스템(12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퇴골에 삽입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재수술 등에 의해 재거시 대퇴골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스템(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11)와, 상기 지지몸체(111) 상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절개홈(113)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확장몸체(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몸체(112)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고 삽입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장몸체(112) 상부에는 제2스템과의 결합시 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삽입공(11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111)와 한쌍의 확장몸체(112) 사이에는 확장몸체가 좌우로 확장시 탄력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탄성부(1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15)는 지지몸체(111) 상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함몰 형태는 곡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확장몸체가 확장시 확장몸체에 탄성을 부여하고 확장시 탄성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확장몸체의 확장시 탄성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스템(120)은 인공고관절에 이용되는 헤드(미도시)가 설치되는 헤드 고정부(121)와, 상기 헤드 고정부(121)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스템(110)의 삽입공(114)에 삽입되는 삽입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고정부(121) 하부에는 제1스템의 확장몸체에 형성된 밀착면(116)과 대응되는 형태의 밀착면(1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22)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삽입대(122a)와 상기 삽입대(122a)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슬롯마감대(122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대(122a)와 슬롯마감대(122b)는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고정부(12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뿔 형태를 하고 있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고정부(121) 하면에서 삽입대(122a)의 상면(122a')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22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스템(130)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스템(130)은 상기 제1스템(110)을 대퇴골에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헤드 고정부(131)와 삽입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32)는 상기 제1스템(110)에 형성된 삽입공(114)과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공고관절용 스템을 이용한 인공고관절용 스템 설치 방법은, 1) 제1스템 내에 보조스템을 삽입하는 단계; 2) 제1스템을 천공된 대퇴골에 삽입하는 단계; 3)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으로부터 보조스템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 내에 제2스템을 삽입하여 제2스템의 삽입으로부터 제1스템이 확장되며 대퇴골에 밀착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4)단계는 제2스템의 경사진 삽입부에 의해 제1스템의 삽입공이 확장되며, 삽입공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확장몸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1)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템(110) 내부에 보조스템(130)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제1스템을 대퇴골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스템(130)이 결합된 상태의 제1스템을 천공된 대퇴골(F)에 삽입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해머 등을 이용해 보조스템을 타격하여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스템(130)은 제1스템의 삽입공과 대응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있어서 제1스템의 확장 없이 삽입하게 된다. 이때 대퇴골의 천공은 제1스템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스템의 천공에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1스템을 삽입시 천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삽입되게 때문에 보조스템에 타격을 가는 정도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할 수 있어서 타격에 의해 대퇴골 손상이나 환자의 고통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스템이 천공과 대응되는 크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스템 없이 제1스템만을 천공에 직접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3)단계는 천공에 삽입된 제1스템으로부터 보조스템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제1스템에 제2스템을 삽입하기 위한 전 단계이다.
4)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에 삽입된 제1스템의 삽입공 내에 제2스템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스템(120)의 삽입부(122)가 제1스템(110)의 삽입공(114)보다 외주가 상대적으로 확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부(122)의 삽입에 따라 제1스템(110)의 확장몸체(112)가 지지몸체(111)와 사이에서 탄성부(115)에 의해 탄력적으로 확장되어 천공 내벽을 가압하며 밀착하게 되므로 강한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이때 삽입부(122)의 삽입에 따라 확장된 상태의 확장몸체(112)는 절개홈(113)이 초기 보다 확장된 만큼 벌어지게 되므로 벌어진 공간을 통해 대퇴골의 성장에 의해 제1스템이 뼈와 엉켜 향 후 재수술 등이 필요할 경우 제1스템의 제거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122)의 삽입대(122a)는 삽입공(114)에 삽입되지만 슬롯마감대(122b)는 확장몸체(112)를 분리하는 절개홈(112) 내에 삽입되어 절개홈(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롯마감대(122b)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균일한 두께로 연결되는 구조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마감대(122b)는 삽입대와 마찬가지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어서 확장에 의해 벌어진 절개홈의 경사각만큼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확장몸체(112)의 확장에 따른 절개홈(113)의 간격 벌어짐은 작은 범위(1mm 이하)에서 이루어지므로 슬롯마감대를 균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1스템의 삽입공과 제2스템의 삽입대 외주면 상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요홈들을 등간격 배치하여 제1스템에 삽입된 후에 요홈들이 서로 결속되어 제1스템과 제2스템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템을 이용할 경우 분리되고 상호 결합에 의해 확장되는 형태의 제1스템과 제2스템을 통해 대퇴골에 삽입시 대퇴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에게 전해지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수술시 스템의 제거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수술시간 단축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스템 110 : 제1스템
111 : 지지몸체 112 : 확장몸체
113 : 절개홈 114 : 삽입공
115 : 탄성부 116 : 밀착면
120 : 제2스템 121 : 헤드 고정부
122 : 삽입부 122a : 삽입대
122b : 슬롯마감대 122c : 경사면
130 : 보조스템 131 : 헤드 고정부
132 : 삽입부

Claims (10)

  1. 대퇴골두 또는 비구가 손상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대퇴골에 1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스템; 및
    상기 제1스템 내에 삽입되며 제1스템에 삽입 과정에 제1스템을 확장시키는 제2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템은 하단의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 상부에 절개홈에 의해 분리된 형태로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확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몸체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고 제2스템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와 한쌍의 확장몸체 사이에는 확장몸체의 확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탄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템은 인공고관절의 헤드가 고정되는 헤드 고정부와, 상기 제1스템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삽입대와, 상기 삽입대의 양측에서 삽입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한쌍의 슬롯마감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헤드 고정부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대는 상기 헤드 고정부 하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만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고관절용 스템에는 상기 제1스템을 대퇴골에 1차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보조스템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고관절용 스템을 이용한 인공고관절용 스템 설치 방법으로써,
    1) 제1스템 내에 보조스템을 삽입하는 단계;
    2) 제1스템을 천공된 대퇴골에 삽입하는 단계;
    3)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으로부터 보조스템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대퇴골에 삽입된 제1스템 내에 제2스템을 삽입하여 제2스템의 삽입으로부터 제1스템이 확장되며 대퇴골에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설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제2스템의 경사진 삽입부에 의해 제1스템의 삽입공이 확장되며, 삽입공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확장몸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설치 방법.
KR1020150178280A 2015-12-14 2015-12-14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KR20170070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80A KR20170070911A (ko) 2015-12-14 2015-12-14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80A KR20170070911A (ko) 2015-12-14 2015-12-14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911A true KR20170070911A (ko) 2017-06-23

Family

ID=5928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80A KR20170070911A (ko) 2015-12-14 2015-12-14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9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32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앰플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KR102459323B1 (ko) * 2021-11-19 2022-11-07 주식회사 탑에프티 확장 고정형 인공고관절 대퇴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333A (ja) * 1996-06-28 1998-05-26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プロテーゼ
JP2000051251A (ja) * 1998-07-01 2000-02-22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プロテ―ゼ構成部品
US20080039950A1 (en) * 2006-08-11 2008-02-14 Howmedica Osteonics Corp. Expanding trial stem for orthopaedic surgery
JP4233700B2 (ja) * 1998-08-20 2009-03-04 デピュイ・オーソピーデ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係合プロテーゼ
JP2014014652A (ja) * 2006-03-20 2014-01-30 Zimmer Technology Inc 人工股関節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333A (ja) * 1996-06-28 1998-05-26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プロテーゼ
JP2000051251A (ja) * 1998-07-01 2000-02-22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プロテ―ゼ構成部品
JP4233700B2 (ja) * 1998-08-20 2009-03-04 デピュイ・オーソピーデ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係合プロテーゼ
JP2014014652A (ja) * 2006-03-20 2014-01-30 Zimmer Technology Inc 人工股関節インプラント
US20080039950A1 (en) * 2006-08-11 2008-02-14 Howmedica Osteonics Corp. Expanding trial stem for orthopaedic surge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233700호(2009.03.04.)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32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앰플 고관절용 임플란트 장치
KR102459323B1 (ko) * 2021-11-19 2022-11-07 주식회사 탑에프티 확장 고정형 인공고관절 대퇴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2853B1 (en) Concave resurfacing glenoid prosthesis with dome-shaped stem
US10350076B2 (en) Convertible pre-partial knee replacement
US11141280B2 (en) Artificial hip joint stem and stem providing method
EP2777626B1 (en) System for implanting a secondary glenoid prosthesis
JP4248968B2 (ja) 関節の人工器官、股関節の人工器官、関節の人工器官用のベアリング
CN102421390B (zh) 用于fai手术的方法和设备
JP6147024B2 (ja) 関節窩拡張ブロック
US20080004711A1 (en) An external proximal femoral prosthesis for total hip arthroplasty
US20070173880A1 (en) Osteochondral implant fixation procedure and bone dilator used in same
KR20170070911A (ko) 인공고관절용 스템 및 스템 설치 방법
US10016288B2 (en) Shoulder arthroplasty system with combination humeral sizer, trial, and guide
RU2117460C1 (ru) Эндопротез тазовой кости с тазобедренным суставом
AU2008200827B2 (en) Concave resurfacing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