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065A - 콜레스테롤 저하 캡슐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저하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065A
KR20170070065A KR1020177010748A KR20177010748A KR20170070065A KR 20170070065 A KR20170070065 A KR 20170070065A KR 1020177010748 A KR1020177010748 A KR 1020177010748A KR 20177010748 A KR20177010748 A KR 20177010748A KR 20170070065 A KR20170070065 A KR 2017007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weight
ester
capsul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이비 쿠시스토
잉마르 베스테르
레나 코포넨
야리 엑블롬
요우니 니에멜래
Original Assignee
라이시오 뉴트리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시오 뉴트리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이시오 뉴트리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75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 및 충전제로 이루어진 캡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충전제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캡슐은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 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콜레스테롤 저하 캡슐{CHOLESTEROL LOWERING CAPSULES}
본 발명은 영양 및 건강 분야, 특히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캡슐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서방 국가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이의 발생은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증가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개개 위험 인자는 상승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이며, 따라서 LDL 콜레스테롤의 혈청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유효한 치료 둘 다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단일 조치이다.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를 위한 가장 중요한 약물은, 주로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에 의해 주로 작용하는 스타틴이다. 스타틴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이다. 기타 다른 덜 흔한 부작용은 두통, 현기증, 발진 및 수면장애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스타틴은 간 손상과 근육 장애를 둘 다 야기할 수 있고, 이는 II형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콜레스테롤 저해 약물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상기 약물에 추가적으로, 또한 생활 방식 변화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신체 운동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정부 또는 비정부 협회에 의해 권장되는 보건식을 채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영양적 방법은 임의의 통상적인 식이요법의 부분으로서 소비될 수 있는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성 식품의 사용이다. 이 대안은 소비자에 의해 크게 환영받았다.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갖는 성분이 풍부한 식료품은 거의 20 년 동안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성 식료품은 보통 활성 성분으로서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특히 이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식물성 스테롤이 1950년대 초부터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6 174 560은 식물성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기재한다. 식물성 스탄올의 1 일 당 2 g의 섭취는 14%까지 인간에서의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베네콜(Benecol)은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함유 제품의 널리 알려진 상표이며, 오늘날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다양한 식료품에서 사용된다. 다수의 이들 제품, 예를 들어 마가린형 스프레드 및 음용 가능한 그리고 스푼으로 뜰 수 있는 요구르트는 지속적 냉장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수의 소비자는, 그들이 어딜 가든, 예를 들어 식품 보충물로서 운반할 수 있는 제품으로 1 일 용량의 이용 가능한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을 갖는 것을 선호한다.
식품 보충물의 가장 통상적인 유형 중 하나는 소위 연질젤 캡슐로 불리는 캡슐, 예컨대 연질 젤라틴 캡슐이다. 캡슐은 쉘(shell), 및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충전제로 이루어진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연질젤 캡슐은 이미 개시되었다. 이들 연질젤 캡슐을 이용하여 수행된 임상 시험으로 변화 가능한 결과를 수득하였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연질젤 캡슐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임상 연구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기능성 식료품을 이용하는 상응하는 임상 시험에 비해 예상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Ottestad외 다수의 최근의 연구에서(Atherosclerosis 2013 June; 228(2):421-5),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연질젤 캡슐(2 g/d 식물성 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잉혈증 대상체에서 혈청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지 않았다. 상기 저자들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의 이러한 전달 시스템(연질젤 캡슐)이 예상된 LDL 콜레스테롤 감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캡슐 소모의 임상적 관련성은 불확실하게 남아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또는 현재 시판 중인 연질젤 캡슐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있는 그대로 함유하거나 또는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80%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20% 식물성 오일과 혼합된다. 보통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의 1 일 권장량은 2 g인데, 이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최소 필요량이 약 3.4 g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캡슐의 크기는 크며, 각각의 연질 젤라틴 캡슐 내에서 약 1 g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전달한다. 최적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위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캡슐은 식사와 함께 소모할 것이 권장된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캡슐의 임상적 관련성이 의심되기 때문에, 권장된 바와 같이 소모할 때 예상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전달할 개선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캡슐에 대한 필요가 남아있다.
본 발명은 쉘과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충전제는 적어도 85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추가로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위한 그리고/또는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기 위한 캡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쉘; 및 적어도 85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를 함유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38℃에서 인공 위액 시험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일부 선행의 알려진 캡슐 충전제의 붕해는 최적이 아니며, 매우 느리고 비효율적인 것이 현재 발견되었다. 추정하건대, 느리고 비효율적인 붕해는 이들 캡슐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방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쉘; 및 다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을 제공하며, 여기서 캡슐 충전제는 위 내에서 또는 위의 조건과 비슷한 조건에서 빠르게 붕해된다. 이제 놀랍게도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특정 양으로 함유하는 캡슐 충전제가 인공 위액 시험에서 빠르게 붕해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의 빠른 붕해는 이 충전제를 함유하는 캡슐의 양호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에 기여한다는 가설을 세운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의 이점은 고농도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1 일 유효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얻기 위해 1 일 당 소수의 캡슐만을 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에서 사용되는 모든 성분은 식품 등급이다. 바람직하게는, 적당량 원칙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이 사용된다. 이는 성분이 우수 의약품 제조 관리 기준에 따라 사용될 수 있고, 캡슐 제품의 소모에 어떠한 제한도 부과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쉘; 및 적어도 85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양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충전제로 이루어진 캡슐에 관한 것이다.
"캡슐"은 본 개시내용에서 다양한 형상의 경질 또는 연질 쉘 및 충전 용적, 그리고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충전제로 이루어진 제형을 의미한다. 캡슐은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다. 경질 캡슐은 2 개의 원통형 섹션으로 이루어진 쉘을 가지며, 상기 섹션의 한쪽 말단은 둥글고 폐쇄되어 있고, 다른 한쪽 말단은 개방되어 있다. 충전제는 섹션 중 하나에 넣어지며, 이어서 그 위로 다른 섹션이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폐쇄된다. 충전제가 액체 또는 반고체라면, 캡슐 절반은 함께 밀봉된다. 경질 쉘은 보통 착색제 및 불투명화제와 함께 젤라틴 및 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특히 "연질젤 캡슐"로도 불리는 연질 캡슐에 관한 것이다. "연질젤 캡슐"은 1 조각의, 밀봉 밀폐된 캡슐을 의미한다. 연질젤 캡슐 쉘은 보통 젤라틴, 물 및 가소제(들), 및 선택적으로 또한 착색제 및 불투명화제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글리세롤 및/또는 솔비톨 또는 그의 유도체는 가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분 및/또는 카라기난을 함유하는 다당류계 연질젤 캡슐 쉘이 있다. 연질젤 캡슐은 소위 회전-다이(rotary-die) 캡슐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충전제의 캡슐화는 캡슐 쉘의 형성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리본으로 불리는 처음 2 개의 가소 필름은 쉘 덩어리로부터 형성된다. 각각의 리본은 다이 위로 통과하며, 2 개의 다이가 만나는 한편 동시에 충전되는 지점에서 다른 리본에 대해 밀봉된다. 이어서, 충전 캡슐이 건조된다.
"충전제", 즉 "캡슐 충전제"는 캡슐 쉘 내부의 충전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충전제는 활성 성분, 즉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olid fat content; 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고체 지방 함량은, 예를 들어 10℃에서 시작하는 일련의 템퍼링(tempering)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인 NMR 기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붕해"는 본 개시내용에서 인공 위액 시험에서 캡슐 충전제의 붕해를 의미한다. 시험에서, 인공 위액이 액체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는 낮은 pH(예를 들어, 1 내지 2)를 가진다. 캡슐 충전제의 붕해 속도는,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캡슐 충전제는 처음 생성되고 나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형에서 적어도 70 시간 동안 실온에서 결정화시킨다. 이어서, 캡슐 충전제를 38℃에서 혼합하면서(예를 들어, 150 회 내지 160 회 진동/분) 인공 위액에 넣고, 이의 붕해를 시각적으로 관찰한다. 캡슐 충전제가 붕해되는(즉, 몇몇 붕해 입자로 파괴되고/파괴되거나 혼탁한 액체를 형성함) 시간을 붕해 속도의 척도로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바와 같은 붕해의 정의는 캡슐 쉘의 붕해는 고려하지 않지만, 캡슐 충전제의 붕해는 고려한다. 그러나, 최적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위해, 또한 캡슐 쉘은 가능한 빠르게 붕해할 것이다. 캡슐 쉘의 붕해 시간의 결정은 미국 약전 USP29-NF24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쉘은 바람직하게 15 분 내에 붕해된다. 이와 같은 쉘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붕해 시험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붕해된 입자"는 인공 위액 시험에서 충전제로부터 붕해된 충전제의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조각 및/또는 점적을 의미한다. 붕해된 입자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인간에서 효과적인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를 제공하기 위해 위에서 빠르게 붕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몇몇 붕해된 입자 및/또는 혼탁한 액체는 20 분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분 내에 인공 위액 시험에서 캡슐 충전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7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2 중량%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캡슐 충전제는 99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8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이하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을 지칭한다. 용어 "식물성 스테롤"은 4-데스메틸 스테롤 및 4-모노메틸 스테롤을 포함하고, 용어 "식물성 스탄올"은 4-데스메틸 스탄올 및 4-모노메틸 스탄올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4-데스메틸 스테롤은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22-데하이드로-브라시카스테롤 및 δ5-아베나스테롤이다. 통상적인 스탄올은 시토스탄올, 캄페스탄올 및 이들의 C24-에피머이다. 용어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은 명명된 스테롤 및/또는 스탄올의 모든 가능한 혼합물뿐만 아니라 임의의 개개 스테롤 및/또는 스탄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은 카복실산에 의해 또는 카복실산의 배합물에 의해 에스테르화되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로 불린다. 적합한 카복실산의 예는 지방산이다. 지방산은 지방족이며, 4 개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포화,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물리적 특성은 분자의 지방산 모이어티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은 식물성 오일계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된다. 평지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및 옥수수유의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식물성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중량%이고, 적어도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식물성 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뿐만 아니라 이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6,174,560에 개시되어 있다. 분명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는 또한 미국 특허 6 174 560에 개시된 생성 방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당업계에 개시된 임의의 적합한 식품 등급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 예를 들어 라이시오 뉴트리션사(Raisio Nutrition) 또는 BASF사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캡슐 충전제 중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함량은, 예를 들어 루비누스(Lubinus) 등에 의해(Eur. J. Nutr. 2013, 52(3):997-1013) 또는 에셔(Esche) 등에 의해(J. Agric. Food Chem. 2012, 30;60(21):5330-9)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1.0 중량% 유화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유화제"는 식품법(규정(EC) 1333/2008호)에서 유화제로서 분류된 물질을 지칭한다. 유화제의 특징적 특성은 분자의 일부가 극성(친수성)이고 나머지는 비극성(소수성)인 구조이다. HLB(친수성 친유성 밸런스) 척도는 유화제의 특성을 일반적으로 기재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유화제는 식품 등급 물질이며, 식품 보충물에서 이의 용법은 규정에 의해 허용된다(규정(EC) 1333/2008호).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캡슐 내에서, 예컨대 연질젤 캡슐 내에서 "적당량" 원칙을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농도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인공 위액 조건에서 훨씬 빠른 붕해를 갖는 캡슐 충전제는 특정 농도에서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의 유화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는 1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하의 유화제를 함유한다.
1 종의 유화제 또는 적어도 2 종의 유화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의 통상적인 예는 모노글리세라이드, 예컨대 증류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예컨대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아세트산,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예컨대 리소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솔비탄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락트산, 시트르산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디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모노글리세라이드에 의해 놀랍게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고, 가장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로 본질적으로(즉, 적어도 95 중량%) 이루어진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와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되,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유화제의 총량의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용융 온도는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용융 온도는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완전히 용융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특히 적합한 캡슐 충전제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특정 중량비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적어도 6: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1,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50: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1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87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4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90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2.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9: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4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충전제는 0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의 양은 충전제의 0.1 중량% 내지 2.0 중량%, 추가로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이다.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은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이 유리 형태, 즉 알코올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탄소 원자수 3에서 하이드록실기가 없고, 에스테르 또는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다수의 상업적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제품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제품에 함유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이 젤라틴 캡슐의 장기간 저장(예를 들어, 6 개월) 동안, 젤라틴 쉘 아래에 경질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층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붕해를 늦출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의 양이 충분히 낮은 캡슐 충전제를 제공한다.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의 양을 제한하는 것은, 특히 캡슐의 장기간 저장 후에 캡슐 충전제의 더 빠른 붕해에 기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87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유화제 및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4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90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및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9: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4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식용 지방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식용 지방"은 본 명세서에서 주로(적어도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중량%) 트리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지고, 인간 소비에 적합한 식용 지방 및 오일을 의미한다. 식용 지방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식물성 오일 및/또는 지방일 수 있다. 이는 천연 유래, 즉 비변형일 수 있지만, 정제, 표백 및 냄새 제거 또는 변형, 예를 들어 수소화, 분획화, 에스테르 교환될 수 있거나 또는 구조화된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할 수 있다. 식용 지방은 또한 상이한 식용 지방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용 지방은 식물성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의 배합물이다. 적합한 식물성 오일의 예는 카놀라/평지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및 옥수수유이다.
특히 적합한 캡슐 충전제는 식용 지방의 함량이 낮게 유지될 때 또는 특히 본질적으로 어떠한 식용 지방도 충전제 중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식용 지방을 함유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는 0.1 중량% 내지 8.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4.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식용 지방을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어떠한 식용 지방도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즉, 0 중량% 내지 0.1 중량% 미만의 식용 지방). 캡슐 충전제가 식용 지방을 함유한다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10:1 초과이다. 더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적어도 11:1,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1,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1, 추가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1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87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유화제, 0.1% 내지 2.0%의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및 0.1 중량% 내지 4.0 중량%의 식용 지방을 포함한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50: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1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적어도 22:1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캡슐 충전제는 적어도 87 중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유화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및 0 중량% 내지 0.1 중량% 미만의 식용 지방(즉, 본질적으로 식용 지방 없음)을 포함한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는 연질젤 캡슐 충전제이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또한 유리한 건강 효과를 지니는 기타 다른 성분, 특히 지용성 성분, 예컨대 지용성 비타민(예를 들어, 비타민 D), 토코페롤, 토코트리엔올, 코엔자임 Q10, 비타민 K, 항산화제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물을 함유하지 않는다(즉, 이는 0.1 중량% 이하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캡슐 충전제에는 바람직하게 부형제가 없다. 이들은 종종 약제학적 캡슐 및 정제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형제의 예는 이산화규소, 미정질 셀룰로스, 전분, 말토덱스트린 및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모두 정의된 유화제, 선택적 식용 지방뿐만 아니라 선택적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부형제로부터 명확하게 제외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a) 맑은 용액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용융시키고, 상기 용융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이 온도에서 적어도 10 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b) 유화제가 실온에서 이미 액체가 아니라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유화제를 용융시켜 맑은 용액을 얻는 단계,
c)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적어도 40℃의 온도에서 적어도 1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유지시키는 단계,
e)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이 맑아지는 온도보다 적어도 10℃ 더 높은 온도에서 캡슐 제조 라인에 투입하는 단계,
f) 용융 혼합물을 사용하여 캡슐, 바람직하게는 연질젤 캡슐을 충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그것이 전체적으로 용융되고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가열된다.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이 사용된다면, 그들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로 현탁될 수 있다. 종종 상업적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와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을 둘 다 함유한다. 용융은 40℃ 내지 80℃에서 적어도 약 10 분 동안 여전히 유지되어 소위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결정 메모리(crystal memory)를 파괴한다. 또한, 유화제는, 실온에서 액체가 아니라면, 용융된다. 식용 지방이 사용된다면, 실온에서 액체가 아닌 경우, 이는 또한 용융된다. 이어서, 모든 성분(선택적인 기타 다른 성분을 포함함)이 혼합된다. 또한 먼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유화제와 혼합할 수 있고, 이어서 혼합물의 용융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먼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용융하고, 이어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융될 때까지 유화제를 첨가하고, 용융 공정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c)는 단계 a) 전에, 단계 b) 전에,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계 b)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그의 결정 메모리를 파괴하기에 충분히 긴 용융 형태라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성분을 함께 혼합한 후에, 혼합물을 적어도 약 10 분 동안 부드럽게 교반시키면서 용융 형태로 여전히 유지하여 혼합물이 균질한 것을 보장한다. 이어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이 혼합물이 맑아지는(즉, 완전히 용융되는) 온도 초과인 적어도 10℃ 근처의 온도에서 캡슐 제조 라인에 투입된다. 최종적으로, 캡슐은 캡슐화 라인에서 투입 혼합물 주위에 쉘을 생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캡슐 충전제는 높은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함량을 갖기 때문에,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유효 용량은 약간의 캡슐에 혼입될 수 있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1 일 용량은 적어도 0.8 g,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용량은 적어도 3.4 g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1 일 용량은 10 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 g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7 g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6 g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g 이하이다.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용량은 바람직하게 0.8 g 내지 13 g의 캡슐 충전제에 의해 제공되며, 즉 캡슐 충전제의 1 일 용량은 바람직하게 0.8 g 내지 13 g이다. 더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용량은 1.4 g 내지 10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8 g 내지 9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6 g 내지 8 g, 가장 바람직하게는 3.6 g 내지 6 g의 연질젤 캡슐 충전제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용량은 1 개 내지 15 개의 캡슐에 의해 제공되고, 즉 권장되는 1 일의 캡슐 개수는 1 개 내지 15 개이다. 더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1 일 용량은 1 개 내지 12 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 개 내지 10 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 개 내지 7 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개 내지 4 개의 캡슐에 의해 제공된다. 연질젤 캡슐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장 통상적인 연질젤 캡슐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일 뿐만 아니라, 특별한 형상, 예컨대 동물 모양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쉘; 및 캡슐 충전제의 87 중량%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1.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및 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식용 지방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이다. 본 구현예에서, 캡슐은 바람직하게 연질젤 캡슐이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적어도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의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식용 지방이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에 존재한다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11:1 초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쉘; 및 캡슐 충전제의 87 중량%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및 0.1 중량% 내지4.0 중량%의 양으로 식용 지방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이다. 본 구현예에서, 캡슐은 바람직하게 연질젤 캡슐이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바람직하게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적어도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50: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1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바람직한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이다.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양은 캡슐 충전제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이다. 식용 지방이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에 존재한다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2:1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쉘; 및 캡슐 충전제의 87 중량%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2.0 중량% 내지 13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 및 0.1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식용 지방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이다. 본 구현예에서, 캡슐은 바람직하게 연질젤 캡슐이다. 바람직하게 캡슐 충전제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적어도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이다.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이다. 본 구현예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50: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1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이다. 본 구현예에서, 유화제는 바람직하게 HLB 값이 1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락트산, 시트르산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디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다. 식용 지방이 본 구현예의 캡슐 충전제에 존재한다면,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2:1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특히 혈청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기 위한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위한 앞서 언급한 캡슐이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은 질환 또는 질환의 위험 인자를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킴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활성적인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저하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혈청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은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이에 의해 대상체는 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효량의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가 섭취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을 섭취한다.
본 설명에서 백분율로 주어지는 양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캡슐 충전제의 중량 백분율(중량%)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것과 함유하는 것은 둘 다 본 내용에서 "적어도 ~를 함유하는"을 의미한다. "~로 이루어진"은 폐쇄된 제한적인 정의 및 의미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비교
두 기준 캡슐 충전제(R1 내지 R2)를 제조하였다. 캡슐 충전제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있는 그대로(R1) 또는 식물성 오일(R2)과 혼합하여 함유하였다. 이들 충전제의 붕해를 인공 위액 중에서 시험하였다.
상업적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인 베네콜 클래식(Benecol Classic)을 사용하였다. 이는 0.4% 유리 스탄올 및 99.6%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하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평지씨 오일 지방산을 이용하여 에스테르화하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을 60℃에서 용융시키고 나서, 용융이 완료된 후에 이 온도에서 15 분 동안 유지시켰다. R1의 경우에, 용융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을 1 g의 고형화된 충전제를 제공하는 주형 내로 있는 그대로 투입하였다. R2의 경우에, 평지씨 오일을 용융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과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1 g의 고형화된 충전제를 제공하는 크기의 주형 내로 투입하였다. R1과 R2를 둘 다 냉각시키고 나서, 70 시간 동안 실온(22℃)에서 고형화시켰다.
Figure pct00001
인공 위액(pH 1.2)을 인공 위액 TS에 대한 미국 약전의 지침에 따라 제조하였다. 염화나트륨(2 g)을 염산(7 ml) 및 물(987.8 ml) 중에 용해시켰다. 유체를 진탕 수욕에서 38℃에서 템퍼링하고 나서, 펩신(3.2 g의 정제된 펩신 2000 FIR-U/g, EC 3.4.23.1 머렉(Merck))을 첨가하였다. 유체를 수욕에서 2 분 동안 정화시켰다. 300 ml의 유체를 템퍼링 보틀에 옮겼다. 1 g의 충전제(R1 또는 R2)를 주형으로부터 내보내고 나서, 보틀 내 인공 위액에 첨가하고, 보틀을 진탕 수욕에 넣었다(38℃, 155 회 진동/분으로 진탕). 충전제의 붕해를 20 분의 기간 동안 시각적으로 연속해서 관찰하였다.
Figure pct00002
기준 캡슐 충전제 중에서 인공 인간 위액 시험에서 20 분 후속 기간 동안 붕해된 것은 없었다. 20 분의 연속적 후속 기간 후에, 충전제를 38℃에서 인공 인간 위액 중에 넣고, 시험의 시작으로부터 3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30 분마다 관찰하였다. 이 3 시간 기간 동안조차 충전제는 붕해되지 않았다(붕해 시험에서 단계 3 또는 4에 도달됨). 따라서 앞서 알려진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캡슐 충전제를 나타내는 이들 충전제의 붕해는 인공 위액 중에서 매우 느리고 비효율적이었다. 인공 위액 시험 중의 이러한 느린 붕해는 이들 충전제가 위에서 효과적으로 붕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연질젤 캡슐을 이용하는 공개된 임상 시험에서 얻어지는 예상된 혈청 LDL 콜레스테롤 저하 결과보다 좋지 않거나 또는 더 낮음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실시예 2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캡슐 충전제(T1 내지 T3)를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농도는 높고(89.6%), 실시예 1의 충전제 R2의 농도와 비슷하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 및 유화제를 60℃에서 용융시키고, 함께 혼합하였다.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증류 모노글리세라이드, 용융 온도 45℃, 요오드 값 105), 모노-디글리세라이드의 락트산 에스테르(용융 온도 45℃), 레시틴(해바라기 레시틴, 실온에서 유체) 및 PGE(테트라글리세롤 에스테르, 용융 온도 40℃)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비는 9:1이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1 g의 고형화된 충전제를 제공하는 크기의 주형 내로 투입하였다. 각각의 혼합물을 2 개의 주형 내로 투입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나서, 실온(22℃)에서 70 시간 동안 고형화시켰다. 이어서, 2 개의 주형 중 하나를 비우고 나서, 충전제의 붕해를 후속 기간 20 분으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나머지 복제 주형을 실온에서 6 개월 동안 저장하고, 이후에 붕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3
모든 시험 캡슐 충전제(T1 내지 T4)를 인공 위액(pH 1.2) 중에서 20 분 동안 붕해시켰다. 충전제 T1(10%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은 4 분 후에 이미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몇몇 입자로 붕해하였다. 인공 위액은 11 분 후에 혼탁하게 바뀌었는데, 이는 충전제가 유체 전체적으로 분포되는 미세 입자로 붕해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충전제 T2는 다소 상이하게 붕해하여 11 분 후에 몇몇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작은 입자를 산출하지만, 20 분의 후속 기간에 혼탁한 유체는 없었다. T3은 7 분 후에 2 개의 큰 입자로만 붕해하였다. 그러나, 인공 위액이 20 분 후에 혼탁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또한 일부 더 작은 입자는 20 분의 후속 기간 동안 갈라져야 한다. T4는 몇몇 입자로 붕해하였고, 인공 위액은 15 분 경과시 동시에 혼탁하게 바뀌었다.
놀랍게도, 모든 시험 충전제(T1 내지 T4)의 붕해는 실시예 1에서 대응하는 기준 충전제 R2의 붕해보다 더 빨랐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또한 레시틴을 제외한 모든 유화제(처방 T3)는 실시예 1의 처방 R2에서 사용한 평지씨유와 달리 4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가진다. 모든 충전제(T1 내지 T4)는 붕해 시험 전에 실온에서 고체였다. 또한 모든 충전제는 몇몇 입자로 빠르게 붕해되고/붕해되거나 혼탁한 유체를 형성하였다. 가장 효율적인(시험에서 단계 3 및/또는 4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붕해는 충전제 T1에 의해 달성되었는데, 이는 유화제로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였다.
6 개월 후에, 충전제 T1 내지 T4를 실온에서 저장된 2 개의 주형으로부터 배출시키고, 인공 위액 시험을 상기 기재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결과는 70 시간 고형화시킨 후에 시험한 충전제 T1 내지 T4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와 상이하지 않았다.
실시예 3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89.6 %), 유화제 및 식용 지방을 함유하는 캡슐 충전제를 시험하였다.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성분 및 유화제(모노글리세라이드)를 60℃에서 용융시키고 나서, 함께 혼합하였다. 평지씨유를 60℃에서 이 혼합물에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주형에 투입하고 나서, 냉각시키고, 실온(22℃)에서 70 시간 동안 고형화시켰다. 충전제의 붕해를 후속 기간 20 분으로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시험하였다.
Figure pct00004
90%의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6% 내지 8%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2% 내지 4%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충전제 T5 및 T6은, 실시예 2의 충전제 T1과 비슷하게 몇몇 입자로 매우 빠르게(4 분) 붕해하였다. 8%의 평지씨유 및 2%의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충전제 T4는 다소 상이하게 붕해하여 단지 15 분 후에 몇몇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작은 입자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더 작은 입자는 충전제로부터 이미 더 빠르게 갈라져야 하는데, 이는 이미 10 분 후에 혼탁한 유체가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실시예 4
유화제로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89.6%), 식물성 오일(8%) 및 상이한 종류의 모노글리세라이드(2%)를 함유하는 충전제.
앞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모노글리세라이드에 추가적으로, 다른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캡슐 충전제에서 시험하였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디모단(Dimodan) BP-PEL/B(증류된 모노글리세라이드, 적점 60℃, 요오드 값 40)이었다. 충전제를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나서, 붕해 시험을 후속 기간 20 분으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5
충전제 T7은 2%의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8%의 평지씨유를 함유하였다. 이는 20 분의 후속 기간 동안 2 개의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큰 입자로 붕해하였지만, 10 분 후에 이미 혼탁한 유체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더 작은 입자가 충전제로부터 갈라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더 높은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농도(91.6% 및 94.6%),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선택적으로 또한 식물성 오일(T10)을 함유하는 충전제. 상기 충전제는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붕해 시험을 후속 기간 20 분으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6
충전제 T8 내지 T10은 92%(T8, T10) 또는 95%(T9)의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함유하지만, 이들은 몇몇 입자로 빠르게 붕해하였고/붕해하였거나 혼탁한 유체를 형성하였다.

Claims (27)

  1. 쉘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캡슐로서, 상기 충전제는 적어도 85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양은 상기 충전제의 적어도 87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2 중량%인, 캡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의 양은 상기 충전제의 99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8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이하인, 캡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의 양은 상기 충전제의 적어도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인, 캡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의 양은 상기 충전제의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하인,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식품 등급인, 캡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50:1 이하, 바람직하게는 45:1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 이하인, 캡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유화제의 중량비는 적어도 6: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인, 캡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 예컨대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아세트산,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솔비탄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바람직하게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락트산, 시트르산 또는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레시틴; 변형 레시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임의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더 바람직하게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및/또는 디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노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캡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HLB 값이 12 미만,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캡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의 양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캡슐.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의 양으로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캡슐.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인, 캡슐.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용융 온도가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인, 캡슐.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요오드 값이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인, 캡슐.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0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유리 식물성 스테롤 및/또는 유리 식물성 스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캡슐.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0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식용 지방을 더 포함하는 것인, 캡슐.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본질적으로 식용 지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캡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지방은 식물성 오일인, 캡슐.
  20.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대 식용 지방의 중량비는 10:1 초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1,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1인, 캡슐.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연질젤 캡슐인, 캡슐.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양으로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캡슐.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olid fat content; SFC)이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인, 캡슐.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20℃에서 고체 지방 함량(SFC)이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인, 캡슐.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20 분 내에,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분 내에 38℃에서 인공 위액 중에서 붕해하는 것인, 캡슐.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a) 맑은 용액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용융시키고, 상기 용융된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를 이 온도에서 적어도 10 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b) 유화제가 실온에서 이미 액체가 아니라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유화제를 용융시켜 맑은 용액을 얻는 단계,
    c) 식물성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식물성 스탄올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적어도 40℃의 온도에서 적어도 1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유지시키는 단계,
    e)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이 맑아지는 온도보다 적어도 10℃ 더 높은 온도에서 캡슐 제조 라인에 투입하는 단계,
    f) 상기 용융 혼합물을 사용하여 캡슐, 바람직하게는 연질젤 캡슐을 충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위한 그리고/또는 혈청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것인, 캡슐.
KR1020177010748A 2014-10-17 2014-10-17 콜레스테롤 저하 캡슐 KR20170070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02817 WO2016058623A1 (en) 2014-10-17 2014-10-17 Cholesterol lowering caps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065A true KR20170070065A (ko) 2017-06-21

Family

ID=5190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48A KR20170070065A (ko) 2014-10-17 2014-10-17 콜레스테롤 저하 캡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8086B2 (ko)
EP (1) EP3206663B1 (ko)
KR (1) KR20170070065A (ko)
CA (1) CA2963881C (ko)
PH (1) PH12017500704A1 (ko)
WO (1) WO20160586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9640A1 (en) 1991-05-03 1992-11-12 Raision Margariini Oy A substance for lowering high cholesterol level in serum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030203854A1 (en) * 2002-04-23 2003-10-30 Ivo Pischel Composition for effecting serum cholesterol levels
US20060093661A1 (en) * 2002-05-07 2006-05-04 Kapac, Llc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and gastro-intestinal bioavailability of hydrophobic drugs
US20030212046A1 (en) * 2002-05-07 2003-11-13 Kapac, Llc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and gastro-intestinal bioavailability of hydrophobic drugs
MXPA06005593A (es) 2003-11-20 2007-02-12 Zomanex Llc Metodos y formula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condiciones medicas relacionadas con la dihidrotestosterona elevada.
FI20041302A0 (fi) * 2004-10-08 2004-10-08 Raisio Benecol Oy Alhaisen energian omaava elintarvike
US20080124387A1 (en) 2006-11-27 2008-05-29 Kapac, Llc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and decreasing the absorption vari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drugs, vitamins and nutrients
WO2008113796A1 (en) * 2007-03-21 2008-09-25 Dsm Ip Assets B.V. Cholesterol lowering protein hydrolysates
US20090088393A1 (en) * 2007-09-28 2009-04-02 Zomanex, Llc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converting intravenous and injectable drugs into oral dosage 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6663B1 (en) 2018-09-19
US20170224707A1 (en) 2017-08-10
WO2016058623A1 (en) 2016-04-21
US10668086B2 (en) 2020-06-02
EP3206663A1 (en) 2017-08-23
CA2963881A1 (en) 2016-04-21
PH12017500704A1 (en) 2017-10-09
CA2963881C (en)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160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edible oils and vitamins and/or minera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compositions
RU2376782C2 (ru) Мас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одержащие ее пищевые продукт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KR20150020985A (ko) 츄어블 연질 캡슐 쉘 및 츄어블 연질 캡슐
JP7282068B2 (ja) ステロール及び可溶化剤を含有するゲルカプセル
WO2015031657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having lipophilic compounds with improved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US10993456B2 (en) Oil blend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ir use in formulas
JPWO2005011672A1 (ja) 生活習慣病予防・改善用の油脂加工組成物
JP2022517271A (ja) モノアシルグリセリド油およびモノアシルグリセリド油を含有する食品の製造方法
Wang et al. Effects of food formulation on bioavailability of phytosterols: phytosterol structures, delivery carriers, and food matrices
US10668086B2 (en) Cholesterol lowering capsules
EP3361883B1 (en) Capsules for lowering serum cholesterol
US10695313B2 (en) Edible composition suitable for lowering serum cholesterol
CA2839529C (en)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sterol
US20200146307A1 (en) Method of making monoacylglyceride oils and food products containing monoacylglyceride oils
AU2015226505B2 (en) Serum cholesterol lowering edible product
NZ735207B2 (en) Oil blend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ir use in formul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