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830A - 홀로그램 백미러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830A
KR20170069830A KR1020150177559A KR20150177559A KR20170069830A KR 20170069830 A KR20170069830 A KR 20170069830A KR 1020150177559 A KR1020150177559 A KR 1020150177559A KR 20150177559 A KR20150177559 A KR 20150177559A KR 20170069830 A KR20170069830 A KR 2017006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projector
screen
image
rearview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5017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830A/ko
Publication of KR2017006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4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121La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기존의 백미러가 비춰야 되는 지점에 카메라를 형성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려고 하는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편한 곳으로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향하게 하며 프로젝터가 향하는 곳에 홀로그램으로 스크린을 형성하고 프로젝터로 홀로그램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영사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에 스크린의 영상인 홀로그램이 저장된 홀로그램 영사기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의 영상 크기와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홀로그램의 레이저로 참조광을 홀로그램에 조사하며 프로젝터의 상과 일치하도록 영사(映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백미러{Hologram rear view mirror}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홀로그램 기술과 영사기 기술로써 자동차의 백미러의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로써 백미러 기능을 하게 하는 것으로서
스크린의 종류로는 삼각대 스크린,벽걸이 스크린,화이트 스크린등이 있다.
최근에 홀로(전체)그래피(기록하다) 기술이 각 분야에서 응용되면서부터 홀로그래피라는 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나,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비교적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1948년 D.가보가 전자현미경의 분해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생각해낸 영상방법이 홀로그래피 기술이다.
홀로그래피 영상은 앞 뒤 전 후 좌 우 360도 전체에서 모든 영상을 찍기 때문에 영상을 안경을 끼지 않고도 앞뒤 옆면을 모두 볼 수 있다.
레이저에 의해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만드는데 레이저는 어떤 물체에 반사되면 회절이 되어서 다시 나온다. 이 회절이 되어서 나오는 그 영상에 모든 물체의 입체 영상이 담겨 있다. 그것을 화면에 기록해서 원래의 레이저를 비춰 주면 그 녹화되어 있는 입체 영상의 정보가 그대로 실물과 같이 똑같이 비춰 지는 그런 원리이다.
파동이 입자로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영역에 휘어져 도달하는 현상이 회절인데
현재의 기술 수준은 스틸(정지)영상은 액자 수준까지 가능하며 광고. 전시, 홍보등에 이용되고 있다. 유사 홀로그램으로서는 해외에서는 20인치(약 50.8cm)까지 구현이 된 사례가 있다.
Beam Splitter에 입사한 Laser는 기준광과 물체광으로 나누어 지고 물체광은 입력된 Data에 따라서 픽셀들이 이루는 명암의 2진 Data의 한 Page 단위로 공간 광변조기( SLM: Spatial Light Modulator)에 의해서 변조되고, 이때 각각의 Page에는 회전 거울( Rotating Mirror) 의 각도를 조금씩 달리하는 기준광이 상응하게 작성된다. 이후 물체광과 기준광은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 매체 내부에서 간섭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하는 간섭무늬의 강도에 따라서 저장 매체 내부의 운동전하( Mobile Charge)의 광유도 현상이 발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간섭무늬가 기록된다. 저장 매체에 기록된 Data를 읽어 내기 위해서는 기준광만을 저장 매체에 조사하면 간섭무늬는 기준광을 회절시켜 원래의 픽셀의 명암으로 구성되는 바둑판 무늬로 복원되고 이후 읽어진 상을 CCD(Charge Coupled Device) 위에 비추어 원래의 Data로 복원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기준광은 기록시와 동일하도록 회전 거울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시 기준광은 기록시 사용된 기준광과 반드시 정확히 일치하도록 해야 하므로 회전 거울을 회동시키는 기구의 각도 분해능에는 엄격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정밀도는 저장 물질인 Crystal의 두께에 크게 의존하는데 Crystal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더욱 정확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만약 Crystal의 두께가 1 Centimeter인 경우 재생시 회전 거울에 의한 기준광의 조사 각도가 기록시 기준광의 조사 각도에 비해서 1/1000 도만 편향되어도 재생 Image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게 된다. 기록시 Data의 첫Page를 Crystal에 기록한 후, 기준광의 각도를 첫번째 홀로그램의 재생 복원상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증가시키고 이때 다시 새로운 Data Page를 입력시켜 Crystal에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Angle Multiplex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Data를 Crystal 내부에 중첩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리얼 홀로그램이 등장한 것은 2006년 일본에서다. 당시 시연했던 리얼 홀로그램은 단색의 영상을 허공에 띄워 1초에 10~15 프레임 정도의 영상을 띄울 수 있는 방식이었다. 허공에 5만개 정도의 빛을 쏴서 점으로 이뤄진 영상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인데, 현재는 사실적 표현에 가까운 초당 24~30 프레임(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에서 완성된 영상을 구성하는 정지된 이미지 한 장 한 장을 '프레임'이라고 한다) 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하지만 트루컬러로 실물과 같은 영상을 보여주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인다.
리얼 홀로그램은 아니지만 공중에 영상을 띄우는 기술은 이미 미국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상용화가 되어 사용되고 있다.
*헬리오 디스플레이라는 방식이 있는데 공기 중에 초음파 가습기와 비슷한 방식으로 제트 수증기를 쏘고 그 위에 프로젝터로 영상을 쏘는 방식이다. 3D 콘텐츠를 띄우면 입체적으로 보이며 영상도 상당히 실제적이다. 정면으로 봐야만 제대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늘 물이 필요하고 정해진 공간에서만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유리막이나 투명 필름처럼 공간을 막고 있는 방식이 아니라서 패션쇼나 뮤지컬 공연 등의 분야에서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존의 백미러가 비춰야 되는 지점에 카메라를 형성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려고 하는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편한 곳으로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향하게 하며 프로젝터가 향하는 곳에 홀로그램으로 스크린을 형성하고 프로젝터로 홀로그램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영사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에 스크린의 영상인 홀로그램이 저장된 홀로그램 영사기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의 영상 크기와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홀로그램의 레이저로 참조광을 홀로그램에 조사하며 프로젝터의 상과 일치하도록 영사(映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가 오는 경우등에 백미러에 물방울이 묻어서 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데 백미러에 물이 묻지 않으며 홀로그램 스크린을 자유롭게 실내 또는 실외에 형성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고자 했던 상을 볼 수가 있으며 백미러 상의 크기도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과제의 해결 수단은 자동차의 기존의 백미러가 비춰야 되는 지점에 카메라를 형성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려고 하는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편한 곳으로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향하게 하며 프로젝터가 향하는 곳에 홀로그램으로 스크린을 형성하고 프로젝터로 홀로그램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영사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에 스크린의 영상인 홀로그램이 저장된 홀로그램 영사기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의 영상 크기와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홀로그램의 레이저로 참조광을 홀로그램에 조사하며 프로젝터의 상과 일치하도록 영사(映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비가 오는 경우등에 백미러에 물방울이 묻어서 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데 백미러에 물이 묻지 않으며 홀로그램 스크린을 자유롭게 실내 또는 실외에 형성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고자 했던 상을 볼 수가 있으며 백미러 상의 크기도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게 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 백미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백미러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는 본인이 2013.09.04에 출원한 출원번호 10-2013-0106358를 기본으로 한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자동차의 기존의 백미러가 비춰야 되는 지점에 카메라를 형성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려고 하는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편한 곳으로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향하게 하며 프로젝터가 향하는 곳에 홀로그램으로 스크린을 형성하고 프로젝터로 홀로그램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영사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에 스크린의 영상인 홀로그램이 저장된 홀로그램 영사기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의 영상 크기와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홀로그램의 레이저로 참조광을 홀로그램에 조사하며 프로젝터의 상과 일치하도록 영사(映射)하는 것이며 홀로그램 영사기와 프로젝터는 일체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이며 도 2는 홀로그램 영사기와 프로젝터가 마주 보게 형성이 되는 것이다.
1 : 카메라
2 : 홀로그램 영사기
3 : 프로젝터(일반 또는 레이저)
5 : 홀로그램 스크린(백미러)

Claims (7)

  1. 홀로그램 백미러에 있어서 자동차의 기존의 백미러가 비춰야 되는 지점등에 카메라를 형성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기존의 백미러로 보려고 하는 이미지 동영상을 보기 편한 곳으로 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향하도록 형성하며 프로젝터가 향하는 곳에 홀로그램으로 스크린을 형성되도록 홀로그램 영사기를 형성하고 프로젝터로 홀로그램으로 형성된 스크린에 영사하기 위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에 스크린의 영상인 홀로그램이 저장된 홀로그램 영사기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로젝터나 각종 영사기의 영상 크기와 일치하도록 조정해서 홀로그램의 레이저로 참조광을 홀로그램에 조사하며 프로젝터의 상과 일치하도록 영사(映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레이저로 홀로그램을 영사할 때에 스크린의 크기를 다양하게 저장하여 필요한 스크린의 크기를 영사함으로써 스크린의 허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투명화 영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램의 저장은 Angle Multiplexing방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램의 재생시 기준광은 기록시와 동일하도록 회전 거울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영사기가 아닌 프로젝터는 일반 또는 레이저 프로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영사기와 프로젝터는 마주 보게 형성이 되거나 일체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영사기와 프로젝터는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 좌우의 회전이 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백미러.

KR1020150177559A 2015-12-12 2015-12-12 홀로그램 백미러 KR20170069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559A KR20170069830A (ko) 2015-12-12 2015-12-12 홀로그램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559A KR20170069830A (ko) 2015-12-12 2015-12-12 홀로그램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830A true KR20170069830A (ko) 2017-06-21

Family

ID=5928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559A KR20170069830A (ko) 2015-12-12 2015-12-12 홀로그램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417B2 (en) Three-dimensional integral imaging and display system using variable focal length lens
US1118802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apparatus for reconstructing holograms
GB1586096A (en) System for synthesizing holograms
JPS63234239A (ja) 四次元画像をうる装置
CN106773469B (zh) 现场再现全息投影显示系统
KR20160066942A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3394149B2 (ja) 立体像再生装置
KR20010053563A (ko) 홀로그래피 스크린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 및방법
JP2001034148A (ja) 立体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Yamaguchi Ray-based and wavefront-based holographic displays for high-density light-field reproduction
JP2001056450A (ja) 光フィルターを用いた立体像再生装置
JP2000066568A (ja) 視差画像列撮像装置
KR20170069830A (ko) 홀로그램 백미러
KR20170091269A (ko) 홀로그램 백미러
KR20170070769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에 의한 자동차등의 계기판과 내비게이션
KR20170069874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스크린
KR20130021868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30011421A (ko) 홀로그래픽 3차원 영상 표시장치
Denisyuk et al. Three-dimensional image projection with aspect-focused-in-spots display
KR20190027693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20190028627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20190029104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20190110397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20190065900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20210000005U (ko) 홀로그래피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