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52A -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 Google Patents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52A
KR20170069552A KR1020150176899A KR20150176899A KR20170069552A KR 20170069552 A KR20170069552 A KR 20170069552A KR 1020150176899 A KR1020150176899 A KR 1020150176899A KR 20150176899 A KR20150176899 A KR 20150176899A KR 20170069552 A KR20170069552 A KR 2017006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apron
upper member
closed end
apron upp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915B1 (ko
Inventor
권오익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7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62D25/166Mounting devices by rods or other distance-kee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휀더 에이프런 어버 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있어서, 압출빔의 후방 일정구간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을 통하여 차체의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체결된다.

Description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FENDER APRON UPPER MEMBER}
본 발명은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입력되는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스몰 오버랩 충돌 시, 그 충돌 하중을 흡수, 전달 및 분산시켜 승객실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프론드 사이드 멤버와 전방 필러 사이에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방 필러에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플랜지의 형태로 접합되어 있어,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 시에 전방 필러와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간의 접합된 단면이 쉽게 분리되어 충돌 강성 또는 충돌 하중의 전달 및 분산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종래의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가 복수개의 단품이 결합되어 폐단면을 이루는 구조로, 금형투자비 등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상기 복수개의 단품을 결합하기 위해 적용되는 용접으로 인하여, 결합 강성이 약하고, 충돌 에너지가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어 스몰 오버랩 충돌 대응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압출빔의 후방 일정구간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이 차체의 전방 필러에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입력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 한 후, 상기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충돌 대응 성능을 향상시키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있어서, 압출빔의 후방 일정구간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을 통하여 차체의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체결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은 복수개의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 필러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빔은 3개의 폐단면을 자지며, 중앙의 폐단면의 양측이 폐단면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빔은 알루미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압출빔의 후방 일정구간의 상하방향으로 분리된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통하여 차체의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입력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하여 충돌 대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압출 성형을 통해 하나의 빔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공정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전방 필러에 장착한 장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충격 분산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에이필러에 장착한 장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충격 분산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는 압출성형을 통해 형성된 압출빔(1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빔(1a)은 3개의 폐단면을 가진다.
이때, 상기 압출빔(1a)의 3개의 폐단면은 중앙의 폐단면이 양측의 폐단면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압출빔(1a)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출빔(1a)으로 이루어진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는 후방 일정구간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은 "Y"자 형상으로 벌어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은 복수개의 볼트홀(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7)을 통하여 상기 차체 전방 필러에 볼트(B) 체결된다.
즉, 상기 상부 포밍단(3)은 차체 전방 필러(10)의 내측면과 볼트(B) 체결되며, 상기 하부 포밍단(5)은 차체 전방 필러(10)의 외측면과 볼트(B) 체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는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입력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한 후, 상기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을 통해 분산시켜 차체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압출성형을 통하여 3개의 폐단면을 갖는 압출빔(1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압출빔(1a)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압출빔(1a)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빔(1a)의 일측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홀(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볼트홀(7)은 피어싱 성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빔(1a)의 일단으로부터 일정구간까지 중앙의 폐단면 구간을 종방향으로 절개한다.
도4(D)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빔(1a)의 일단부에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은 상기 압출빔(1a)의 양측 폐단면 구간에 상하방향으로 포밍 성형을 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는 상부 포밍단(3)과 하부 포밍단(5)을 통하여 차체 전방 필러(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입력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충돌 대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1)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압출빔(1a)을 적용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차체에 조립하기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1a ... 압출빔
3 ... 상부 포밍단
5 ... 하부 포밍단
7 ... 볼트홀
10 ... 차체 전방 필러
B ... 볼트

Claims (7)

  1.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에 있어서,
    압출빔의 후방 일정구간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을 통하여 차체의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체결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은
    복수개의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 필러에 볼트 체결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빔은
    3개의 폐단면을 가지며, 중앙의 폐단면이 양측의 폐단면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빔은 알루미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멤버.
  5. 3개의 폐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압출빔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출빔의 일측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피어싱 성형을 통하여 복수개의 볼트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출빔 일단으로부터 일정구간까지 중앙의 폐단면 구간을 종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하는 단계;
    상기 압출빔의 양측 폐단면 구간을 상하방향으로 포밍 성형하여 상부 포밍단과 하부 포밍단을 성형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밍단 및 하부 포밍단은
    "Y" 자 형상으로 벌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빔은 3개의 폐단면을 가지며, 중앙의 폐단면이 양측의 폐단면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의 제조방법.
KR1020150176899A 2015-12-11 2015-12-11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KR10176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99A KR101767915B1 (ko) 2015-12-11 2015-12-11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99A KR101767915B1 (ko) 2015-12-11 2015-12-11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52A true KR20170069552A (ko) 2017-06-21
KR101767915B1 KR101767915B1 (ko) 2017-08-14

Family

ID=5928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899A KR101767915B1 (ko) 2015-12-11 2015-12-11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51B1 (ko) 2014-09-3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충돌 대응 차체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915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2675B2 (en) Automobile vehicle-body front structure
US918082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7735902B2 (en) Fron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US20130249245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1134946B1 (ko) 차량용 범퍼빔의 조립방법
US10300874B2 (en) Passenger vehicle having a front-end carrier
CN104326025B (zh) 车辆的前围板结构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KR20170070571A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438633B1 (ko) 차량용 멤버의 조립구조
US10773752B2 (en) Vehicle-body structure
KR10170361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2008678B1 (ko) 차체 프레임 유닛
CN111791819B (zh) 一件式载荷分配装置
KR101526398B1 (ko)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 조립체
US9637077B2 (en) Frontal impact energy absorption members
KR101456465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767915B1 (ko) 휀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CN109533029B (zh) 车辆及其车身结构
KR101220005B1 (ko) 엔진룸 보강 구조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689581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2054508B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및 그를 이용한 범퍼빔 유닛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CN102649410A (zh) 车辆保险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