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910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910A
KR20170065910A KR1020150172272A KR20150172272A KR20170065910A KR 20170065910 A KR20170065910 A KR 20170065910A KR 1020150172272 A KR1020150172272 A KR 1020150172272A KR 20150172272 A KR20150172272 A KR 20150172272A KR 20170065910 A KR20170065910 A KR 20170065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ries
mosfet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협
허진영
윤부용
안찬권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910A/ko
Publication of KR2017006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7/00
    • H02J7/025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충전 기술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상기 공진 주파수를 통해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각각 전, 후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호간에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MOSFET; 상기 MOSFET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중단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The Apparatus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수 대의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전력 공급 효율이 감소되지 않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이란, 전력 송신 장치가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전력 수신 장치에게 전력을 공급하는데, 상기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전력 수신 장치가 상호 유선 연결을 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상호간 송수신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핸드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선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충전하였으나, 최근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이 상용화되면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크게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 등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고, 자기 공명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일정한 공명 주파수가 발생하면, 상기 공명 주파수가 일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실어 전송하는 것이다.
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에 1차 코일이 내장되어 있고, 1차 코일에 전기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그리고 전력 수신 장치에는 2차 코일이 내장되어 있다. 1차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2차 코일 내부에서 흐르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2차 코일에 전기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송된다. 이러한 자기 유도 방식은 높은 충전 효율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두 코일의 중심이 일치해야 하며 전송 거리가 수 mm에 불과하므로 전력 송신 장치와 전력 수신 장치가 실질적으로 접촉해야 전력이 전송된다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우선 전력 송신 장치 내에 1차 코일이 내장되어 있고, 전력 송신 장치 내에 내장된 전기 소자들에 전기가 흐르면 1차 코일에서 고유 주파수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고유 주파수가 일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 내에 상기 고유 주파수를 전달하게 되면 2차 코일에서 공명 현상이 발생하면서 전력이 전송된다. 이러한 자기 공명 방식은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력 전송 과정에서 손실되는 전력이 많아 충전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자기 공명 방식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전력 수신 장치가 수 개 존재한다면 임피던스 매칭점이 달라지므로 공진 주파수가 변경된다. 따라서 충전의 효율이 급격히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전송 장치에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수동으로 스위칭하여 변경을 해야 하거나, 자동으로 변경이 되더라도 스위칭 과정에 있어서 릴레이의 작동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의 접점 접촉 및 이탈의 과정에서 전류의 단락이 발생할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436063호 한국공개공보 제2015-01170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 가운데 자기 공명방식에 있어서,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복수 대의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전력 공급 효율이 감소되지 않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파수 변경 과정에서 모스펫(MOSFET)이 스위칭의 역할을 하여 소음 및 진동, 단락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충전 기술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상기 공진 주파수를 통해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각각 전, 후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호간에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MOSFET; 상기 MOSFET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중단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고,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상기 공진 주파수를 통해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각각 전, 후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호간에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MOSFET을 포함하되, 차량에 장착된 전자 제어 유닛(ECU)이 상기 MOSFET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중단함으로써 상기 공진 주파수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복수 대의 전력 수신 장치가 하나의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공급받더라도, 전력 송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공급 효율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반 릴레이 방식의 스위치가 아니라 상기 주파수 변경 과정에서 모스펫(MOSFET)이 스위칭의 역할을 하여 소음 및 진동, 단락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 자기 공명 방식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모스펫(MOSFET) 가운데 N-Type 인 엔모스펫(NMOSFET)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의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외부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11),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미도시), 외부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Power Transmission Unit)(12),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11)는 외부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과 같은 실내의 경우에는 220V AC의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가 전원 공급부(1)가 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는 12V DC이므로 이미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미도시)는 불필요하고, 같은 직류 전압에서 크기만을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미도시)가 필요하다. 전원 공급부(1)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전력 송신 방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2)는 상기 정류기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로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를 전송한다.
전력 송신부(12)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부(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2)는 인버터(121), 전력 센싱부(122), 공진 형성부(123), 송신 코일(Tx coil)(124)을 포함한다.
인버터(121)는 정류기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킨다. 인버터(121)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송신 코일(124)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송신 코일(124)에서 자기장이 형성된다.
전력 센싱부(122)는 외부로부터 송신 코일(124)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럼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센싱부(1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센싱부(122)의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송신 코일(124)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공진 형성부(123)는 캐패시터(Capacitor)가 포함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그리고 송신 코일(Tx coil)(124)은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송신 코일(124) 및 공진 형성부(123)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인버터(121)는 전력 송신부(12)로 인가된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교류 전류가 송신 코일(124) 및 공진 형성부(123)에 인가된다. 이 때, 송신 코일(124)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1
) 및 공진 형성부(123)의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02
)를 기초로 특정한 제1 진동 주파수가 결정되며, 이 제1 진동 주파수가 본 회로의 공진 주파수이다. 공진 형성부(123)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전력 송신부(12)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 형성부(123)는 제1 및 제2 캐패시터(1231, 1232),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을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전력 송신부(12) 내의 구성요소들 만을 제어하도록 전력 송신부(12) 내에 제어 유닛이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다른 제어 유닛과 통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인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무선 전력 송신 장치(1)가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면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등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의 제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게이트로 일정한 신호를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모스펫(MOSFET)의 채널 형성을 조절한다.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채널이 형성되거나 소멸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변경된다.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력 송신부(12)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 측의 조건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 측의 조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장치 식별 정보,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요구 전력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전력 송신부(12)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현재 충전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개수가 두 개라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 수신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가 두 개가 되고, 두 개의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기기 식별 정보가 서로 상이하다. 이를 통해 현재 충전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파악한 후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 외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부(14)를 통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전력 송신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미도시)를 통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23)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 내에도 포함되어 있어, 상호 무선 전력 신호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4)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등 다양한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가 차량에 설치된다면, 차량의 콘솔박스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원 공급부(11)는 차량의 배터리이고,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므로 차량의 콘솔박스 내에 설치되는 것은 전력 송신부(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에 상기 전력 송신부(12)가 단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21)(Power Reception Unit),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을 포함한다.
전력 수신부(2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공진 형성부(212) 및 수신 코일(Rx coil)(211)을 포함하고, 전력 수신부(21)로 인가된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력 센싱부(214)를 포함한다.
공진 형성부(212)는 상기 전력 송신부(12)에 포함된 공진 형성부(123)와 마찬가지로, 캐패시터(Capacitor)가 포함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수신 코일(Rx coil)(211)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3
)와 공진 형성부(212)의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04
)를 기초로 특정한 제2 진동 주파수가 결정되며, 이 제2 진동 주파수가 본 회로의 공진 주파수이다. 이러한 제2 진동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서 형성된 제1 진동 주파수와 동일할 때 공진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진 형성부(212)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력 송신부(12)가 공진이 일어 날 수 있도록 공진 주파수는 상호 동일하여야 한다.
전력 수신부(2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Rectifier) 및 조정기(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전력 수신부(21)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게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송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부(23)를 통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는 전력 수신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미도시)를 통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4)는 상기 기술한 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 내에도 포함되어 있어, 상호 무선 전력 신호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등 다양한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1)는 충전부(24) 및 배터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1)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전력으로 배터리(25)를 충전한 후 배터리(25)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 유닛(22)은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 자기 공명 방식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개념도이다.
우선 공진(또는 공명, 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으면 진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진폭이 급격히 증가하는 공진이 발생한다. 공진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난다.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진한다. 이 때,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공진 회로를 만들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전력 송신부(12)에는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서 공진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 내에서도 공진이 발생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 전력 전송 효율이 낮고, 전자기파의 방사성(Radiative) 및 전자파 노출에 의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공명 방식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체들이 전자기적으로 상호 공진하면,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이외의 주변 물체들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력 전송 효율이 매우 높다. 이렇게 전자기적으로 상호 공진하는 복수의 진동체들 사이에는 전력이 전송될 수 있는 에너지 터널(Tunnel)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을 에너지 커플링(Coupling)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사용할 수 있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파의 단일 파장 내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거의 자기장 만이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를 자기적 결합(Magnetic Coupling) 또는 자기적 공진(Magnetic Resonance)이라고 한다. 이러한 자기적 공진은 상기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의 단일 파장 내에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위치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가 전기장에는 민감하고 자기장에는 둔감하므로 상기와 같이 자기적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면 전자파 노출에 의한 인체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진 현상으로 인한 에너지 커플링(Energy Coupling)이 형성되어 전력 전송형태가 비방사성(Non - Radiative)을 띄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송하여 전력을 전송함에 의해 흔히 발생될 수 있는 방사성(Radiative)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자기 공명 방식은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송신 코일(124)은 원칙적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 또는 전자기파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 자기 공명 방식에 대해서는 자기장 공진(Magnetic Resonance)측면, 즉, 자기장에 의한 전력 전달의 측면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6
)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07
) 및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08
)에 의하여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
Figure pat00009
)는 상기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0
)는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외에 용량성 공진 형성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에서의 제1 진동 주파수는 인덕턴스(
Figure pat00011
) 및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2
)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진동 주파수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인덕턴스(
Figure pat00013
) 및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4
)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획득된 제2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에서는 공진이 일어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제1 및 제2 진동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제1 및 제2 진동 주파수가 동일하면 전력 전송의 효율이 최대가 되나, 제1 및 제2 진동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면 상호 에너지 전달이 없거나 전력 전송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제1 진동 주파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제2 진동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외부의 여러 요인들로 인해 진동 주파수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부터 동시에 충전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매칭점이 달라져 전력 전송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고, 나아가 전력 자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동 주파수가 달라지더라도 일반적인 경우에는 인덕턴스(
Figure pat00015
)나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6
)의 자동 조정 기능이나, 추가 조정 기능 없이 효율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에너지 전송을 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진동 주파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7
)와 인덕턴스(
Figure pat00018
)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19
) 또는 인덕턴스(
Figure pat00020
)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커패시터와 인덕터는 수동 소자이므로 능동적으로 그 값을 변화시키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동 소자를 능동 소자로 바꾸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스펫(MOSFET)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공진 주파수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5는 일반적인 모스펫(MOSFET) 가운데 N-Type 인 엔모스펫(NMOSFET)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부(12)의 공진 형성부와 송신 코일(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캐패시터(1231, 1232), 송신 코일(124),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 제1 및 제2 다이오드(Diode)(1235, 1236)를 포함한다.
캐패시터란 전기 회로에서 전기 용량을 얻기 위해 다량의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 형성부에는 캐패시터가 복수로 형성되며, 우선 캐패시터가 두 개 있는 것을 설명한다.
모스펫(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와 드레인이 형성되는 N형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의 재료와 게이트 사이에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다. 반도체의 재료에 따라 엔모스펫(NMOSFET), 피모스펫(PMOSFET), 씨모스펫(CMOSFET)으로 구분된다.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면 (+) 또는 (-) 전하가 게이트에 모이게 되는데,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어 소스 및 드레인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그러나 게이트에 모인 전하 때문에 반도체 재료에는 게이트가 위치한 방향으로 채널이 형성된다. 이러한 채널에 의해 소스와 드레인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다이오드(Diode)란 전류가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p-n 접합을 통해 형성되며, 전류는 애노드(P형 반도체: Anode)에서 캐소드(N형 반도체: Cathode)로만 흐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가 두 개일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코일(124)의 전, 후측에 각각 제1 캐패시터(1231)와 제2 캐패시터(1232)가 직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캐패시터(1231)는 송신 코일(124)의 전 측에, 제2 캐패시터(1232)는 송신 코일(124)의 후 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나의 캐패시터에는 두 개의 모스펫(MOSFET)이 연결된다. 특히, 제2 캐패시터(1232)와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병렬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다. 이 때, 제1 모스펫(MOSFET)(1233)과 제2 모스펫(MOSFET)(1234) 은 서로 소스와 드레인의 방향이 대향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모두 N형 반도체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N-Type 모스펫(엔모스펫(NMOSFET))이며, 서로 소스가 마주보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모스펫(MOSFET)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이 모두 P-Type 모스펫(피모스펫(PMOSFET))이라면,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서로 드레인이 마주보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이 N-Type 모스펫(엔모스펫(NMOSFET))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제1 및 제2 다이오드(1235, 1236)와 각각 병렬 연결된다. 즉, 제1 모스펫(MOSFET)(1233) 은 제1 다이오드(1235)와, 제2 모스펫(MOSFET)(1234)은 제2 다이오드(1236)와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다이오드(1235, 1236)의 방향은 서로 대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1235, 1236)의 애노드(Anode)가 각각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소스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의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는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과 연결되어 있다.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게이트로 일정한 신호를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모스펫(MOSFET)의 채널 형성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현재 충전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의 개수를 파악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한 대로 파악된 경우에는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에서 일정한 (+) 전압이 출력된다. 이러한 전압은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된다. 게이트에 (+) 전압이 인가되면 게이트는 (+)의 전하를 띠게 된다. 다만 상기 기술한 바, 게이트는 산화막에 가로막혀 (+)의 전하들이 소스 또는 드레인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못한다. P형 반도체 재료에는 (-) 전하를 띤 전자들이 게이트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소스와 드레인의 사이에는 N 채널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엔모스펫(NMOSFET)이므로 전류는 드레인에서 소스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는, 엔모스펫(NMOSFET)에서는 N 채널을 통해 소스에서 전자가 공급되며 드레인으로 전자가 배출되나, 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흐름 방향과 반대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모스펫(MOSFET)(1233)과 제2 모스펫(MOSFET)(1234)의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으로 인해 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이 상기 공진 형성부로 진입하여 제1 캐패시터(1231)와 송신 코일(124)을 거쳐 제2 모스펫(MOSFET)(1234)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전류는 제2 모스펫(MOSFET)(1234)의 드레인 및 제2 다이오드(1236)의 캐소드(Cathode)와 동시에 만나게 된다. 전류는 다이오드의 캐소드로 인가되어 흐를 수가 없으므로 전류는 오로지 제2 모스펫(MOSFET)(1234)으로만 흐르게 된다. 제2 모스펫(MOSFET)(1234)을 지나면 전류는 제1 모스펫(MOSFET)(1233)의 소스 및 제1 다이오드(1235)의 애노드(Anode)와 동시에 만나게 된다. 전류는 제1 모스펫(MOSFET)(1233)의 소스로는 흐를 수가 없으므로 전류는 오로지 다이오드의 애노드로만 흐르게 된다.
상기 전원은 교류 전원이므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며 왕복한다. 따라서 전류는 다시 상기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전류는 제1 모스펫(MOSFET)(1233)의 드레인 및 제1 다이오드(1235)의 캐소드(Cathode)와 동시에 만나게 된다. 전류는 제2 다이오드(1236)의 캐소드로 인가되어 흐를 수가 없으므로 전류는 오로지 제1 모스펫(MOSFET)(1233)으로만 흐르게 된다. 제1 모스펫(MOSFET)(1233)을 지나면 전류는 제2 모스펫(MOSFET)(1234)의 소스 및 제2 다이오드(1236)의 애노드(Anode)와 동시에 만나게 된다. 전류는 제2 모스펫(MOSFET)(1234)의 소스로는 흐를 수가 없으므로 전류는 오로지 제2 다이오드(1236)의 애노드로만 흐르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결국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과 제1 및 제2 다이오드(1235, 1236)가 있는 부분은 단락(Short Circuit)이 되는 것과 동일한 결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류는 제2 캐패시터(1232)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고, 본 회로에서의 총 캐패시터는 오직 제1 캐패시터(1231)이다. 제1 캐패시터(1231)의 캐패시턴스를 이라 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제1 진동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의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전력 송신부(12)의 일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반대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두 대로 파악된 경우에는 전력 송신 제어 유닛(13)에서 전압을 더 이상 인가하지 않고 차단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채널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만, 제1 모스펫(MOSFET)(1233)과 제2 모스펫(MOSFET)(1234)의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 때문에 상호 전위차 레벨이 동일해지며, 제1 및 제2 모스펫(MOSFET)(1233, 1234)은 하나의 캐패시터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제3 캐패시터라 하고 제3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이라 한다면, 본 회로에서의 총 캐패시턴스(
Figure pat00022
)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3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의 제1 진동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4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가 하나가 아닌 두 개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로부터 동시에 충전되더라도 임피던스의 매칭점을 변화시켜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릴레이 방식의 스위치가 아니라 상기 주파수 변경 과정에서 모스펫(MOSFET)이 스위칭의 역할을 하여 소음 및 진동, 단락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1: 전원 공급부 12: 전력 송신부
13: 전력 송신 제어 유닛 21: 전력 수신부
22: 전력 수신 제어 유닛 24: 충전부
121: 인버터 124: 송신 코일
211: 수신 코일 1231: 제1 캐패시터
1232: 제2 캐패시터 1233: 제1 모스펫(MOSFET)
1234: 제2 모스펫(MOSFET) 1235: 제1 다이오드
1236: 제2 다이오드

Claims (14)

  1.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충전 기술에 있어서,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상기 공진 주파수를 통해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각각 전, 후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호간에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MOSFET;
    상기 MOSFET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중단함으로써 상기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제1 및 제2 다이오드와 각각 병렬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와 드레인의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직렬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모두 N-Type으로 형성되며, 서로 소스가 마주보도록 직렬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가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모두 P-Type으로 형성되며, 서로 드레인이 마주보도록 직렬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가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차량에 설치되고,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켜 상기 공진 주파수를 통해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송신 코일의 각각 전, 후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며, 상호간에는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MOSFET을 포함하되,
    차량에 장착된 전자 제어 유닛(ECU)이 상기 MOSFET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중단함으로써 상기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제1 및 제2 다이오드와 각각 병렬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와 드레인의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직렬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모두 N-Type으로 형성되며, 서로 소스가 마주보도록 직렬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가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모두 P-Type으로 형성되며, 서로 드레인이 마주보도록 직렬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MOSFET은,
    소스가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50172272A 2015-12-04 2015-12-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70065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72A KR20170065910A (ko) 2015-12-04 2015-12-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72A KR20170065910A (ko) 2015-12-04 2015-12-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10A true KR20170065910A (ko) 2017-06-14

Family

ID=5921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272A KR20170065910A (ko) 2015-12-04 2015-12-04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7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숨비 자기공명방식 무선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7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숨비 자기공명방식 무선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93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power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893104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US10069340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djust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KR102042094B1 (ko) 교차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를 배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949674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96083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917838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8401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tuning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680336B2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EP3347966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EP2720341B1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US20190089199A1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142861A (ko)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CN110121827B (zh) 非接触供电装置
EP3024120B1 (en) Resonant power transfer system
WO2017094387A1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4012846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90051056A (ko) 비접촉 급전 장치
KR2017006591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70047768A (ko)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부하 전류에 따른 정류 전압 가변 방법
KR101305657B1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102117869B1 (ko) 능동 정류기를 구비한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79152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US20230100393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power control techniques
KR102084427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