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104B1 -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104B1
KR101893104B1 KR1020110083072A KR20110083072A KR101893104B1 KR 101893104 B1 KR101893104 B1 KR 101893104B1 KR 1020110083072 A KR1020110083072 A KR 1020110083072A KR 20110083072 A KR20110083072 A KR 20110083072A KR 101893104 B1 KR101893104 B1 KR 10189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unit
perio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437A (ko
Inventor
여성구
조규형
박세호
김세기
이영민
최준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104B1/ko
Priority to US13/588,609 priority patent/US10063099B2/en
Publication of KR2013002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4B5/7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Abstract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무선 전력을 직류 파형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무선 전력 수신부 및 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기간 동안 무선 전력 수신부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제 2 기간 동안 무선 전력을 정류부로 전달하여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전력 조정부 및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 공진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종래의 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된 교류 파형을 직류 파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 및 정류된 직류 파형 전력을 출력단의 기설정된 전압 값으로 조정하는 DC-DC 컨버팅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DC-DC 컨버팅 회로는 외부 값이 큰 수동 소자를 반드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출력 및 고효율성을 가지면서 작은 실장 면적을 가지도록 회로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가 휴대폰과 같이 이동 통신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실장 면적이 증가한다는 것은 장치 전체의 박육화에 악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DC-DC 컨버팅 회로는 외부 패키지된 능동 소자라는 점에서 통산 수 MHz 이하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신한 무선 전력을 제어하여 그 크기를 조정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 전력을 직류 파형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제 2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정류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전력 조정부 및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내에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출력하지 않으며, 제 2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전력을 출력하여 정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스위치의 주기적인 단락 및 단선에 의하여 수신한 무선 전력의 크기가 조정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DC-DC 컨버팅 회로와 비교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수동 소자 및 집적회로의 개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와 더불어 공진형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직류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출력 전력 및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의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안정적인 직류 전력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수신부로 입력되는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조정부에 의하여 조정된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도 1d는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부에 의하여 정류된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기 및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4a 및 4b는 전력 조정부의 실시 예들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 일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전력 수신부(110), 전력 조정부(120), 정류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10)는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공진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루프 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10)는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자기장에 공진하는 경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110)가 루프 코일로 구현되는 경우,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L)는 변경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의 전자기파, 즉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루프 코일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전력 조정부(120)는 전력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입력받아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전력 조정부(120)는 입력받은 무선 전력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조정부(120)는 무선 전력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력 조정부(120)는 전력 수신부(110) 및 정류부(1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부(120)는 제 1 기간 동안에는 무선 전력 수신부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기간 동안 전력 수신부(110) 및 전력 조정부(120)가 폐쇄 루프를 형성함에 따라서, 제 1 기간 동안에는 무선 전력이 폐쇄 루프에만 계류하면서 정류부(13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전력 조정부(120)는 제 1 기간 동안 계류하는 무선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전력 조정부(120)는 제 1 기간이 경과된 이후, 제 2 기간 동안에는 상기의 폐쇄 루프를 단선하면서, 전력 수신부(110)를 정류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이 전력 수신부(110)로부터 정류부(1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전력 조정부(120)는 제 2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제 1 기간 동안 전력 수신부(110) 및 전력 조정부(120)가 폐쇄 루프를 형성하여 무선 전력을 폐쇄 루프에서 계류하게 하는 동작 및 다시 제 2 기간 동안 무선 전력을 정류부(130)로 전달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서, 무선 전력은 제 1 기간 동안에는 정류부(130)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제 2 기간 동안에만 정류부(1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류부(130)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의 평균 전압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1b 내지 1d에 도시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수신부(110)로 입력되는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은 소정의 주기 및 진폭(Vdd)을 가진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조정부(120)에 의하여 조정된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여기에서 제 1 기간은 무선 전력의 주기의 2.5배의 기간일 수 있으며, 제 2 기간은 무선 전력의 주기의 0.5배의 기간일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무선 전력은 제 2 기간 동안에만 출력되며, 제 1 기간 즉, 주기의 2.5배의 기간 동안에는 출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부(130)에 의하여 정류된 무선 전력의 파형이다. 전압의 측면에서, 출력되는 무선 전력들은 정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의 평균 전압의 크기(Va)는 진폭(Vdd) 및 rms 값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류부(130)에서 출력되는 정류된 무선 전력의 전압 크기는 최초 수신된 무선 전력의 전압 크기에 비하여 강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b 내지 1d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키면 폐쇄 루프에서 계류되는 무선 전력이 증가하면서 출력되는 무선 전력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정류된 무선 전력의 전압 크기를 더욱 강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가 제 1 기간의 지속 기간을 감소시키면 폐쇄 루프에서 계류되는 무선 전력이 감소하면서 출력되는 무선 전력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을 결정함에 따라서 출력되는 정류된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무선 전력 수신기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 소형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류부(130)는 전력 조정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조정된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조정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조정된 전력은 제 2 기간 동안에만 출력되고 제 1 기간 동안에는 출력되지 않는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정류부(130)는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서로 연결하여 직류 파형을 가지는 정류된 무선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130)는 공지된 정류 수단, 예를 들어 다이오드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류를 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일정한 기간 즉 제 2 기간 동안에만 무선 전력이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이와 같이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정류함으로써 DC-DC 컨버터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무선 전력의 전압 강하를 구현할 수 있다. 전력 조정부(120)는 DC-DC 컨버터와 대조적으로, 전력 전달 제어 수단만을 포함함으로써 전체 무선 전력 수신기의 두께 및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전력 수신부(251), 전력 조정부(252), 정류부(255), 레귤레이터부(256), 피드백 회로부(257), 제어부(258), 동기 신호 검출부(261) 및 통신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조정부(252)는 전력 저장부(253) 및 스위치부(2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58)는 비교부(259) 및 프로세싱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a의 구성 요소 중 일부 도 1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전력 조정부(252)는 전력 수신부(251)로부터 무선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전력 조정부(254)에 포함되는 스위치부(254)는 제어부(258)의 제어를 받아 제 1 기간 동안 단락되어 전력 수신부(251)과 전력 저장부(253) 사이에 폐쇄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여, 무선 전력이 전력 저장부(253)에 저장되도록 한다. 스위치부(254)는 제 2 기간 동안 단선되어 무선 전력을 정류부(255)로 전달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스위치는, 예를 들어 프리 휠링(free-wheeling) 스위치일 수 있다. 전력 조정부(252)의 구체적인 회로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254)는, N타입 모스펫(N type MOS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부(253)는 인덕터 및 커패시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전력 조정부(252)는 인덕터 및 N타입 모스펫 및 커패시턴스의 순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N타입 모스펫은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게이트 입력단 신호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기간 동안에는 단락되며, 제 2 기간 동안에는 단선될 수 있다. 제 1 기간 동안에는 무선 전력이 인덕터 및 커패시턴스로 구성되는 LC회로에 저장될 수 있다. 스위치부(254)와 관련된 회로 구성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정류부(255)는, 도 1a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간 동안 전력 조정부(252)로부터 무선 전력을 입력받으며, 교류 파형의 무선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파형의 무선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255)는 제 2 기간 동안에만 무선 전력을 입력받으므로, 출력되는 무선 전력의 전압은 최초 무선 전력의 전압보다 강하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regulator)부(256)는, 정류부(255)로부터 입력된 정류된 무선 전력로부터 리플(ripple)을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256)는 일 실시 예로, LC 필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류된 무선 전력을 더욱 직류 파형에 가깝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부(256)는, 출력단으로 무선 전력이 출력됨에 있어, 오버플로우(overflow)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선 전력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레귤레이터부(256)에 의하여 출력되는 무선 전력은 외부로 출력되어 로드(load)로 인가되거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피드백 회로부(257)는 레귤레이터부(256)로부터 출력되는 레귤레이트된(regulated) 무선 전력을 피드백하여 제어부(258)로 출력할 수 있다. 피드백 회로부(257)는 전류의 도통을 위한 전압 강하를 위하여, 예를 들어 도선 및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8)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58)는 제 1 및 제 2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b 내지 1d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58)에 의하여 결정된 제 1 및 제 2 기간의 지속 기간에 따라서 정류부(255)에서 출력되는 정류된 무선 전력의 전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레귤레이터부(256)로부터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은 무선 전력 수신기(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200)를 탑재하는 로드에서 이용하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출력 전압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여야만 하고, 출력 전압의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258)는 이를 조정하여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교부(259)는 피드백 회로부(257)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된 무선 전력의 전압 값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부(259)는, 예를 들어 OP-AMP 등의 공지된 비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피드백된 무선 전력 및 기설정된 전압 값 중 어느 것에 대한 여부와, 양자의 차이의 정도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교 결과를 프로세싱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260)는 비교부(259)에서 수행되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부(260)는 비교 결과가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켜, 출력 전압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싱부(260)는 비교 결과가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 2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켜, 출력 전압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부(260)는 결정된 제 1 및 제 2 기간 동안 전력 조정부(252), 특히 스위치부(254)를 제어할 수 있는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부(254)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254)가 N타입 모스펫인 경우에는, 프로세싱부(260)는 N타입 모스펫의 게이트 인가 전압을 생성하여 N타입 모스펫의 게이트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 검출부(261)는 전력 수신부(251)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기 신호는 전력 수신부(251)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의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검출부(261)는 검출된 동기 신호를 프로세싱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260)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부(260)는 무선 전력의 주파수가 2.78MHz이라는 동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2.78MHz의 클록을 생성하며, 클록 중 제 1 기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값이 0으로 설정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62)는 무선 전력 공급기와 기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8)는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무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62)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62)는 입력된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공급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공급기는 입력된 무선 전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하는 무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식별자(ID) 정보, 전력 수신 관련 정보, 위치 정보, 환경 설정 정보, 안전 관련 정보 및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는, 무선 전력 공급기의 인가 전압, 전력 공급 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duty cycle)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기는 입력받은 무선 전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공급기의 인가 전압, 전력 공급 신호의 주파수 또는 듀티 사이클을 변경하여 공급하는 무선 전력의 크기 또는 효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부(259)의 비교 결과 출력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어부(258)는 전력 공급을 감소할 것을 요청하는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62)가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무선 전력 공급기는, 전력 공급을 감소할 것을 요청하는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면, 무선 전력 공급기의 인가 전압을 감소하는 등의 동작으로 전력 공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기 및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무선 전력 공급기(290)는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10)는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수신부(210)는 무선 전력 공급기(290)로부터 발진되는 전자기파와 공명을 형성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코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10)의 일단에는 커패시터(22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220)는 소정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커패시터(220)의 타단은 전력 조정부(252)의 일단 및 정류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정부(252)는 커패시터, 스위치 및 코일이 직렬로 연결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는 제 1 기간 동안 단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수신부(210), 커패시턴스(220) 및 커패시터와 코일로 구성되는 폐쇄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직렬 LC회로에 무선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정류부(240)는 공지된 풀-브리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 2 기간 동안에 스위치는 단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수신부(210), 커패시터(220) 및 정류부(240)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달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의 회로도 중 도 2b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b와 비교하여서, 추가적으로 커패시터(350), 레귤레이터부(360), 제어부(370), 동기 신호 검출부(380)를 더 포함한다.
무선 전력 공급기(300)는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310)의 일단에는 커패시터(32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320)의 타단은 전력 조정부(330)의 일단 및 정류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부(330)는 코일(331), N타입 모스펫(332) 및 커패시터(333)이 직렬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커패시터(333)의 N타입 모스펫(332)과 연결된 일단의 타단은 노드(322)로 연결될 수 있으며, 노드(322)는 전력 수신부(31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노드(322)는 정류부(34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정류부(340)의 일단은 노드(3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정류부(340)의 타단은 노드(342)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350)는 양단이 노드(341)와 노드(342)에 각각 연결되어, 정류부(34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350)에는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전압 값, 예를 들어 5V가 인가될 수 있다.
노드(341)는 레귤레이터부(36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노드(342)는 레귤레이터(36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360)는 코일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360)의 출력단은 노드(361)에 연결되어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노드(361)는 소정의 저항을 사이에 두고 노드(362)로 연결될 수 있다. 저항에 의하여 전압 강하가 생기며, 출력 전압은 피드백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비교부(371) 및 프로세싱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371)는 OP-AMP로 구현될 수 있으며, 비교부(371)의 제 1 입력단은 노드(362)에 연결될 수 잇으며, 제 2 입력단은 기설정된 전압(Vref)과 연결될 수 있다. 비교부(371)의 출력단은 프로세싱부(372)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부는 동기 신호 검출부(38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생성된 전력 조정 신호를 N타입 모스펫(332)의 게이트 입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380)는 전력 수신부(31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검출된 동기 신호를 프로세싱부(37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전력 조정부의 실시 예들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4a의 전력 조정부는 커패시터(412) 및 스위치(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의 전력 조정부는 두 개의 커패시터(422,426)와 두 개의 스위치(423,4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a의 전력 조정부 및 도 4b의 전력 조정부는 전기적으로 등가일 수 있다.
도 4b의 전력 조정부의 커패시터(422)의 일단은 커패시터(421)과 연결되며, 타단은 스위치(423)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423)의 타단은 노드(4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노드(424)는 접지될 수 있다. 노드(424)는 또한 스위치(42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425)의 타단은 커패시터(42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b의 커패시터(422 또는 426)의 커패시턴스는 도 4a의 커패시터(412)의 커패시턴스의 2배일 수 있다. 도 4b와 같은 병렬 구조 전력 조정부는 낮은 ESR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 일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b와 같은 병렬 구조의 전력 조정부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풀-브리지 다이오드의 2개의 하단측(low-side)은 각각 서로 동기되는 FET 스위치를 포함한다.
전력 수신부(510)의 일단은 커패시터(52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510)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200nH일수 있으며, 커패시터(520)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3nF일 수 있다. 커패시터(520)의 타단은 두개의 커패시터(540,55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커패시터(540,550)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6nF일 수 있다. 두 개의 커패시터(540,550)는 각각 스위치(541,551)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541,551)의 타단은 전력 수신부(51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풀-브리지 다이오드의 하단측(low-side)는 다이오드가 아닌 스위치(533,5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33,534)의 단락 및 단선은 동기화될수 있다. 또한 풀-브리지 다이오드는 다이오드(531,532)를 포함할 수 있다. 풀-브리지 다이오드에는 커패시터(560)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로도이다.
무선 전력 공급기의 노드(601)는 외부로부터 직류 전압(VDD), 예를 들어 20V의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20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류는 예를 들어 180mA로 도통될 수 있다. 노드(601)는 코일(60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602)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1mH일 수 있다. 코일(602)의 타단은 노드(603)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603)는 스위치(60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604)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603)은 또한 커패시터(60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605)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노드(603)은 아울러 코일(60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606)의 타단은 코일(607)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607)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300nH일 수 있으며, 코일(607)과 전력 수신부(651)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는 예를 들어, 0.17일 수 있다. 코일(607)의 타단은 커패시터(608)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608)의 타단은 노드(609)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609)는 커패시터(6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610)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2nF일 수 있다. 커패시터(610)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노드(609)는 또한 스위치(61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611)는 접지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6.78MHz의 펄스의 입력단(6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노드(609)는 또한 코일(612)의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코일(612)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1mH일 수 있다. 코일(612)의 타단은 노드(6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노드(613)에는 예를 들어 20V의 직류 전압(VDD)가 인가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651)의 일단은 커패시터(65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651)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200nH일수 있으며, 커패시터(652)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3nF일 수 있다. 커패시터(652)의 타단은 커패시터(65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654)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3nF일 수 있다. 커패시터(654)는 스위치(655)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655)의 타단은 전력 수신부(65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풀-브리지 다이오드의 하단측(low-side)는 다이오드가 아닌 스위치(661,6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661,660)의 단락 및 단선은 동기화될수 있다. 또한 풀-브리지 다이오드는 다이오드(655,656)를 포함할 수 있다. 풀-브리지 다이오드에는 커패시터(658)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공급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회로도이다.
무선 전력 공급기의 노드(701)는 외부로부터 직류 전압(VDD), 예를 들어 20V의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20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류는 예를 들어 180mA로 도통될 수 있다. 노드(701)는 코일(70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702)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1mH일 수 있다. 코일(702)의 타단은 노드(703)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703)는 스위치(70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704)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703)은 또한 커패시터(70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705)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노드(703)은 아울러 코일(70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706)의 타단은 코일(707)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707)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300nH일 수 있으며, 코일(707)과 전력 수신부(751)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는 예를 들어, 0.15일 수 있다. 코일(707)의 타단은 커패시터(708)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708)의 타단은 노드(709)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709)는 커패시터(7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710)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2nF일 수 있다. 커패시터(710)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노드(709)는 또한 스위치(71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711)는 접지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6.78MHz의 펄스의 입력단(7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노드(709)는 또한 코일(712)의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코일(712)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1mH일 수 있다. 코일(712)의 타단은 노드(7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노드(713)에는 예를 들어 20V의 직류 전압(VDD)가 인가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751)의 일단은 커패시터(75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수신부(751)의 인덕턴스는 예를 들어, 200nH일수 있으며, 커패시터(752)의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3nF일 수 있다. 커패시터(752)는 스위치(754)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754)의 타단은 전력 수신부(75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풀-브리지 다이오드는 다이오드(755,756,761,762)를 포함할 수 있다. 풀-브리지 다이오드에는 커패시터(758)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풀-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단에는 코일(759)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코일(759)의 타단은 출력단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커패시터(760)의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커패시터(760)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한편, 출력단은 추가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도선을 통하여 저항(764)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저항(764)의 타단은 노드(765)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765)는 타단이 접지되는 저항(76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노드(765)는 비교기(770)의 제 1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드(765)는 비교기(767)의 제 1 입력단에도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770)의 제 2 입력단에는 기설정된 전압 값이 인가될 수 있으며, 비교기(770)의 출력단은 LC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770)의 출력단은 또한 통신부(772)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비교기(767)의 제 2 입력단은 기설정된 전압 값에 오프셋 전압값을 더한 값을 가지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아울러 비교기(767)의 출력단은 LC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비교기(767)의 출력단은 비교기(769)의 제 1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769)의 제 2 입력단은 접지될 수 있으며, 비교기(769)의 출력단은 스위치(75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715)는 통신부(772)로부터 전력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전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제공부(716)에서 인가되는 전압(VDD)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S810). 무선 전력의 수신 방식과 관련한 설명은 상세하게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 1 기간 동안(S820-Y)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 내에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여 무선 전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S830).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 2 기간 동안(S840-Y)에는, 무선 전력을 출력하여 정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50).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정류된 무선 전력을 피드백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은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은,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의 전압값을 기설정된 비교 전압값과 비교한 결과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 동안 각각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제어하는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 동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으로부터, 전력 조정 신호와의 동기를 위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의 제어에 대한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무선 전력 공급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전력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식별자(ID) 정보, 전력 수신 관련 정보, 위치 정보, 환경 설정 정보, 안전 관련 정보 및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특히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는, 무선 전력 공급기의 인가 전압, 전력 공급 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duty cycle)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정류된 무선 전력으로부터 리플(ripple)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전력 수신부 120 : 전력 조정부
130 : 정류부 200 : 무선 전력 수신기
251 : 전력 수신부 252 : 전력 조정부
253 : 전력 저장부 254 : 스위치부
255 : 정류부 256 : 레귤레이터부
257 : 피드백 회로부 258 : 제어부
259 : 비교부 260 : 프로세싱부
261 : 동기 신호 검출부 262 : 통신부

Claims (22)

  1.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 전력을 직류 파형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기간 동안 상기 전력 수신부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제 2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전력을 상기 정류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전력 조정부; 및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부로 전송될 상기 무선 전력의 크기의 증감(increase or decrease)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증감 여부에 대한 결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조정부는,
    상기 전력 수신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기간 동안 단락되며, 상기 제 2 기간 동안 단선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접지;
    상기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기간 동안 단락되며, 상기 제 2 기간 동안 단선되는 제 2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피드백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의 전압값을 기설정된 비교 전압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수행되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을 결정하여, 상기 전력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무선 전력으로부터, 상기 전력 조정 신호와의 동기를 위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와 기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의 제어에 대한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에 상기 무선 전력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제어 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식별자(ID) 정보, 전력 수신 관련 정보, 위치 정보, 환경 설정 정보, 안전 관련 정보 및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 제어 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기의 인가 전압, 전력 공급 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duty cycle)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무선 전력으로부터 리플(ripple)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풀-브리지 다이오드(full-brid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브리지 다이오드의 2개의 하단측(low-side)은 각각 서로 동기되는 FET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10083072A 2011-08-19 2011-08-19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89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72A KR101893104B1 (ko) 2011-08-19 2011-08-19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US13/588,609 US10063099B2 (en) 2011-08-19 2012-08-17 Wireless power receiver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by us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72A KR101893104B1 (ko) 2011-08-19 2011-08-19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37A KR20130020437A (ko) 2013-02-27
KR101893104B1 true KR101893104B1 (ko) 2018-08-31

Family

ID=4771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072A KR101893104B1 (ko) 2011-08-19 2011-08-19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63099B2 (ko)
KR (1) KR101893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7826B2 (ja) 2011-09-28 2016-06-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9531441B2 (en) * 2012-02-21 2016-12-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thereof
CN104508945B (zh) * 2012-07-30 2016-09-0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供电装置
TWI593207B (zh) * 2012-09-11 2017-07-21 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無線電力發射器和用於接收無線電力的遠方裝置及其控制方法
CN103442103A (zh) * 2013-08-13 2013-12-11 深圳市宝捷讯电子有限公司 一种无需采用蓄电池的手机
US10236720B2 (en) * 2013-09-26 2019-03-1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95566B1 (ko) * 2013-09-26 2020-12-28 온세미컨덕터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9735584B2 (en) * 2013-10-17 2017-08-1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EP2940830B1 (en) * 2014-04-30 2020-03-04 WITS Co., Lt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US9635222B2 (en) 2014-08-03 2017-04-25 PogoTec, Inc.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eyewear camera
TWI645230B (zh) 2014-08-03 2018-12-2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穿戴式照相機系統與用於將照相機系統或其他電子裝置附接至穿戴式製品之設備及方法
MX2017008519A (es) 2014-12-23 2018-06-27 Pogotec Inc Sistema y metodos de camara inalambrica.
TWI580150B (zh) * 2015-05-15 2017-04-2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諧振式無線電源接收電路及其控制電路與無線電源轉換方法
US10481417B2 (en) 2015-06-10 2019-11-19 PogoTec, Inc. 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AU2016274951A1 (en) 2015-06-10 2018-01-04 PogoTec, Inc. Eyewear with magnetic track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WO2017003299A1 (en) * 2015-06-29 2017-01-05 Powerbyproxi Limited Inductive power receiver
KR20170036297A (ko) 2015-09-24 2017-04-03 한국과학기술원 무인 항공기, 베이스 스테이션, 무인 항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7075405A1 (en) 2015-10-29 2017-05-04 PogoTec, Inc. Hearing aid adapt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US11558538B2 (en) 2016-03-18 2023-01-17 Opkix, Inc. Portable camera system
EP3539285A4 (en) 2016-11-08 2020-09-02 Pogotec,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TELLIGENT BOX
CN106849297A (zh) * 2017-03-16 2017-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电路、无线充电器及无线充电系统
KR20190041754A (ko) * 2017-10-13 2019-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방법 및 장치
US11300857B2 (en) 2018-11-13 2022-04-12 Opkix, Inc.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219A1 (en) * 2007-07-17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90127937A1 (en) * 2007-11-16 2009-05-21 Nigelpower, Llc Wireless Power Bridge
US20100109445A1 (en) * 2008-09-27 2010-05-06 Kurs Andre B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00194206A1 (en) * 2009-02-05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US20110053500A1 (en) * 2009-09-02 2011-03-03 Qualcomm Incorporated De-tuning in wireless power re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137B2 (en) * 2003-09-30 2007-06-19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system
US7283851B2 (en) * 2004-04-05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ode for receiver circuit blocks based on transmitter activity
US7521890B2 (en) * 2005-12-27 2009-04-21 Power Scienc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transfer of radio frequency power
JP4355711B2 (ja) * 2006-04-20 2009-11-04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icカード,携帯型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71737B1 (ko) * 2007-11-30 2010-07-21 정춘길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135204B2 (ja) 2008-12-26 2013-0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該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負荷装置
US8547057B2 (en) 2009-11-1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896921B1 (ko) * 2011-05-17 201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9425629B2 (en) * 2011-07-14 2016-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219A1 (en) * 2007-07-17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90127937A1 (en) * 2007-11-16 2009-05-21 Nigelpower, Llc Wireless Power Bridge
US20100109445A1 (en) * 2008-09-27 2010-05-06 Kurs Andre B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00194206A1 (en) * 2009-02-05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US20110053500A1 (en) * 2009-09-02 2011-03-03 Qualcomm Incorporated De-tuning in wireless power re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3737A1 (en) 2013-02-21
US10063099B2 (en) 2018-08-28
KR20130020437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104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933462B1 (ko) 무선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US11303135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43856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87123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91535B2 (en) Received power conversion device for resonant wireless charging system
US914300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US943806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CN112448484A (zh) 非接触供电装置
EP3024120B1 (en) Resonant power transfer system
US11146111B2 (en) Power receiver,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receiving meihod
KR102084427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79152B1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7006591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