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469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469A
KR20140128469A KR20130045805A KR20130045805A KR20140128469A KR 20140128469 A KR20140128469 A KR 20140128469A KR 20130045805 A KR20130045805 A KR 20130045805A KR 20130045805 A KR20130045805 A KR 20130045805A KR 20140128469 A KR20140128469 A KR 20140128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impedance
power
power transmiss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박운규
류성한
한민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469A/ko
Publication of KR2014012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이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전력선 대신 무선으로 가전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이 필요한 장치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크게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및 마이크로파 방식이 있다. 자기유도방식은 근접한 코일 간의 자기유도결합을 이용한 기술로서, 2 개의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는 수 cm 이내이며 두 코일의 배열 조건에 의해서 전송 효율이 크게 좌우된다. 자기공진방식은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서로 떨어진 두 공진기 간에 비방사형 자기장 에너지가 전달되는 기술로서,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가 1~2m 정도에서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며, 자기유도방식에 비해 비교적 두 코일의 정렬이 유연하고, 중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충전 가능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파 방식은 마이크로파와 같은 초고주파의 전자파를 안테나를 통해 방사시켜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로서, 장거리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자파에 의한 안전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수신 장치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질 때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진 주파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전송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조건,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특정 거리 또는 위치를 만족하여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최대 전력이 전송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내에서 무효 전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9821호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여 전력을 전송하였다. 그러나, 공진 주파수 자체를 변경하는 경우 외부 전원의 변화없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9821호,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임피던스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충전 조건이 변함으로써 발생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무효 전력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효율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와,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와,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01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02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송전부의 인덕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력 신호를 송전부에 전송하여 상기 송전부 주위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자기장에 커플링되어 무선으로 상기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전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임피던스를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송전부 또는 상기 수전부가 상기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와,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와,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03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04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송전부 또는 상기 수전부의 인덕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의 송전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 또는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을 포섭하여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 상기 수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05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06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수전부의 인덕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충전 조건이 변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고 임피던스를 가변시켜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무효 전력을 제거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최적의 무선 전력 효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간의 거리에 따른 충전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충전 기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장착하고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 간에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외부의 입력 전원(13)으로부터 입력된 AC 전원을 정류부(미도시), 전압 증폭부(미도시) 등의 무전 전력 송신 회로(11)를 통해 전자파 신호로 변환한 후, 송전부(12)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수전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의 경우, 송전부(12)와 수전부(22)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송전부(12)와 수전부(22) 간에는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에너지 전달 채널이 형성된다. 송전부(12)로부터 방출된 전자파는 에너지 전달 채널을 통해 수전부(22)로 전송되며, 수전부(22)를 통해 입력된 전자파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 내부에서 임피던스 매칭부(미도시), 정류부(미도시) 등의 무선 전력 수신 회로(21)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에 연결된 부하 기기(30)로 전달되어 부하 기기(30)를 충전시키거나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송전부(12)와 수전부(22)의 공진 주파수가 거의 동일한 주파수일 필요는 없지만, 송전부(12)와 수전부(22)의 공진 주파수를 거의 동일하게 매칭시킴으로써 양단간의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간의 거리에 따른 충전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대해 다양한 위치와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최대 전력이 전송되는 공진 주파수 서로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제조사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거리(또는 위치)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한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사이의 거리(t0)인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각각 임피던스 매칭되어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를 t0에서 임의로 t1이나 t2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더 이상 임피던스 매칭 상태가 아니며, 즉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행하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이로 인하여 무효 전력이 증가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에 수신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약화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없는 거리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전압이 생성되지 않아서 충전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대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의 거리(또는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효율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서 발생하는 무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대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의 거리(또는 위치)가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에서 요구되는 유효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0), 임피던스 매칭부(140), 제어부(150), 통신부(160), 송전부(18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부(230) 및 수전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임피던스 매칭부, 제어부, 통신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외부 전원이 제공된다. 외부 전원은 정류부(110)로 입력되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은 전압 증폭부(120)에 의해 임의의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140)는 송전부(180)와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송전부(180)와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0)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부(140)는 송전부(180)의 전단에 위치하여, 송전부(180)와 임피던스 매칭부(140) 전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부(140)는 가변 인덕터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패시터와 FET(Field effect transistor) 스위치가 직접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다수 연결된 병렬 어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가변 커패시터 또는 병렬 어레이는 송전부(180)와 직렬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나는 공진 주파수가 변할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는 무효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무효 전력을 제거하고,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유효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5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거리(또는 위치)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며,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송전부(180)와 수전부(280)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으로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무효 전력이 발생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발열이 발생하고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 자체를 변경하여 전력을 전송하였다. 그러나, 공진 주파수 자체를 변경하는 경우 외부 전원의 변화없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여 무효 전력을 최소화하는 경우 유효 전력 또한 감소하게 되어 외부 전원의 증가 없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 역시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송전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무효 전력이 최소가 되고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충전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되는 전력(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 수전부(180)의 전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60)에서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제어부(150)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하고 무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구하며, 이를 토대로 임피던스 매칭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송전부(180)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송전부(180)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전력은 RF(Radio frequency) 에너지 신호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송전부(180)와 수전부는 동일하거나 근사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전부(180)와 수전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송전부(180)의 구성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유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송전부(180)는 단일의 루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공명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송전부(180)는 송전 코일과 송전용 공진 코일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전부(180)는 루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전부(180)는 스파이럴 루프 또는 헬리컬 루프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및 6를 참조하면, 임피던스 매칭부(140)은 제1회로(141), 제2회로(142), 및 스위치들(도 6의 141S1, 141S2, ..., 141Sn, 143P1, 143P2, ..., 143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로(141)는 송전부(180)에 직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회로(142)는 송전부(180)에 병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 각각은 제1회로(141) 및 제2회로(142) 각각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 각각을 구성하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각각에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스위치를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것을 제어하여 전체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제1회로(1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제1회로(1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가 모두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경우, 제1회로(141)의 총 커패시턴스를 Cs, 제2회로(142)의 총 커패시턴스를 Cp라고 하면, 제어부(150)는 다음과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fR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송전부(180)의 인덕턴스이다.
즉, 제1회로(141)의 Cs와 제2회로(142)의 Cp의 합이 일정하되, 제1회로(141)의 Cs와 제2회로(142)의 Cp의 합은
Figure pat00008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09
의 11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회로(141)의 Cs와 제2회로(142)의 Cp의 합이
Figure pat00010
의 90%보다 작거나
Figure pat00011
의 110%보다 크다면 전력 전송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회로(142)는 송전부(180)에 병렬로 연결되는바, 유효 전력은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 값을 제어하여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모니터링부(151), 연산부(152), 및 스위치 조작부(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부(15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1)는 수신 전력과 송신 전력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송신 전력을 수신 전력을 나누어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52)는 모니터링부(151)에서 산출된 전력 전송 효율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연산부(152)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제1회로(1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스위치 조작부(153)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140)가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0)의 제1회로(141) 또는 제2회로(142)의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회로(141)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141S1, 141S2, ..., 141S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142S1, 142S2, ...,142S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회로(142)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143P1, 143P2, ..., 143P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144P1, 144P2, ...,144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위치(142S1, 142S2, ...,142Sn) 및 스위치(144P1, 144P2, ...,144Pn)를 제어함으로써 제1회로(141)와 제2회로(1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0), 수전부(28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211), 정류부(210), 임피던스 매칭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수전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과는 임피던스 매칭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아닌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피던스 매칭부(240)는 수전부(280)와 정류부(210) 사이에 배치되어 수전부(280)와 정류부(210)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부(240)는 수전부(280)의 전단에 위치하여, 수전부(280)와 임피던스 매칭부(240) 전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부(240)는 가변 인덕터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패시터와 FET 스위치가 직접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다수 연결된 병렬 어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가변 커패시터 또는 병렬 어레이는 수전부(280)와 직렬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나는 공진 주파수가 변할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는 무효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무효 전력을 제거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전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5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거리(또는 위치)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며,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수전부(280)와 수전부(280)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으로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으로부터 유효 전력뿐만 아니라 무효 전력까지 전송이 되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발열이 발생하고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수전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전송되는 무효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26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되는 전력(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 송전부(180)의 전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60)에서 수신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250)로 전송되고, 제어부(250)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하고 무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구하며, 이를 토대로 임피던스 매칭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전부(28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전력은 RF(Radio frequency) 에너지 신호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전부(280)와 송전부는 동일하거나 근사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전부(280)와 송전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수전부(280)의 구성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유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수전부(280)는 단일의 루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공명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수전부(280)는 송전 코일과 송전용 공진 코일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전부(280)는 루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부(280)는 스파이럴 루프 또는 헬리컬 루프의 형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 및 10을 참조하면, 임피던스 매칭부(240)은 제1회로(241), 제2회로(242), 및 스위치들(도 10의 241S1, 241S2, ..., 241Sn, 243P1, 243P2, ..., 243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로(241)는 수전부(280)에 직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회로(242)는 수전부(280)에 병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 각각은 제1회로(241) 및 제2회로(242) 각각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 각각을 구성하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각각에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상기 스위치를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것을 제어하여 전체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50)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제1회로(2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제1회로(2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가 모두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경우, 제1회로(241)의 총 커패시턴스를 Cs, 제2회로(242)의 총 커패시턴스를 Cp라고 하면, 제어부(250)는 다음과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fR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수전부(280)의 인덕턴스이다.
즉, 제1회로(241)의 Cs와 제2회로(242)의 Cp의 합이 일정하되, 제1회로(241)의 Cs와 제2회로(242)의 Cp의 합은
Figure pat00013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14
의 11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회로(241)의 Cs와 제2회로(242)의 Cp의 합이
Figure pat00015
의 90%보다 작거나
Figure pat00016
의 110%보다 크다면 전력 전송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면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에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해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회로(242)는 수전부(280)에 병렬로 연결되는바, 유효 전력은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 값을 제어하여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모니터링부(251), 연산부(252), 및 스위치 조작부(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부(25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251)는 수신 전력과 송신 전력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송신 전력을 수신 전력을 나누어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252)는 모니터링부(251)에서 산출된 전력 전송 효율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연산부(252)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제1회로(241)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스위치 조작부(153)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240)가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240)의 제1회로(241) 또는 제2회로(242)의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회로(241)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241S1, 241S2, ..., 241S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242S1, 242S2, ...,242S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회로(242)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243P1, 243P2, ..., 243P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244P1, 244P2, ...,244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50)는 스위치(242S1, 242S2, ...,242Sn) 및 스위치(244P1, 244P2, ...,244Pn)를 제어함으로써 제1회로(241)와 제2회로(242)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정류부 120: 전압 증폭부
130: 임피던스 매칭부 160: 제어부

Claims (3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17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18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송전부의 인덕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전력 신호를 송전부에 전송하여 상기 송전부 주위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상기 자기장에 커플링되어 무선으로 상기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전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임피던스를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송전부 또는 상기 수전부가 상기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거리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19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20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송전부 또는 상기 수전부의 인덕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의 송전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 또는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간의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2.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을 포섭하여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
    상기 수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값의 합은
    Figure pat00021
    의 90%보다 크고
    Figure pat00022
    의 110%보다 작으며, 여기서 fR은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상기 수전부의 인덕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30045805A 2013-04-25 2013-04-25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40128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805A KR20140128469A (ko) 2013-04-25 2013-04-25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805A KR20140128469A (ko) 2013-04-25 2013-04-25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469A true KR20140128469A (ko) 2014-11-06

Family

ID=5245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805A KR20140128469A (ko) 2013-04-25 2013-04-25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4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303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US10020565B2 (en) 2015-08-20 2018-07-10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Band-type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module included therein
KR20180129410A (ko) * 2017-05-26 2018-12-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결합 방식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39045B1 (ko) * 2017-12-21 2019-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음파 가습장치
WO2019216536A1 (ko) * 2017-05-12 2019-1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캐비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303A (ko) * 2014-12-16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US10020565B2 (en) 2015-08-20 2018-07-10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Band-type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module included therein
WO2019216536A1 (ko) * 2017-05-12 2019-1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캐비닛
KR20180129410A (ko) * 2017-05-26 2018-12-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결합 방식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39045B1 (ko) * 2017-12-21 2019-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초음파 가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459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US9496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y using resonant coupling and system for the same
EP2502124B1 (en) Wireless power utilization in a local computing environment
KR101817194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800064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control in wireless charging system
US8378524B2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5430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646305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기생 디바이스들
US201701630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U2012306994B2 (en) Wireless electric field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KR101436063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101953913B1 (ko) 전송 코일 배열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515479B1 (ko) 멀티모드 무선전력 수신기기 및 그 무선전력 수신방법
KR20130102218A (ko) 멀티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101171937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충전기기
CN102113195A (zh) 用于包含寄生谐振储能电路的电子装置的无线功率发射
EP2754225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40120404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846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50006499A (ko)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KR101173947B1 (ko) 멀티노드 무선충전 스위칭 명령 전송 방법
KR102147550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2207998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46848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60148239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