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499A -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499A
KR20150006499A KR20130079415A KR20130079415A KR20150006499A KR 20150006499 A KR20150006499 A KR 20150006499A KR 20130079415 A KR20130079415 A KR 20130079415A KR 20130079415 A KR20130079415 A KR 20130079415A KR 20150006499 A KR20150006499 A KR 20150006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charging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규
박래혁
김영선
류성한
한민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499A/ko
Publication of KR2015000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Wireless charging management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charging apparatus,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power charg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IT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IT 융합기술이란 종래의 에너지 기술에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IT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에너지-IT 융합 기술의 한 분야로서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이 있다. 무선전력전송이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전력선 대신 무선으로 가전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며, 종래에 가전기기 등을 충전하기 위해서 전원 콘센트로부터 가전기기 또는 충전기기로 유선으로 된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가전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 또는 연구 중인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4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고출력 마이크로파 방사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수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출력 전송이 가능하므로 원거리 전송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인체에의 유해성 및 직진성 등의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방사(radiative) 방식의 근거리 전송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RFID/USN 주파수 대역 또는 2.4 GHz ISM 대역을 이용한 RFID 서비스이며, 현재는 유통 및 물류 분야 등의 일정 분야에서 상용화된 상태이며, 방사 손실에 의해 최대 수십 mW의 전력 전송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도결합을 이용하는 접촉식 전송 방식은 수 mm ~ 수 cm 의 거리에서 접촉식으로 수 W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125kHz 또는 135kHz 등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교통카드, 무선 면도기, 전동 칫솔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비방사(non-radiated) 자기공명 방식은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다. 공진 결합이란, 자기공명의 경우에 두 매체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하게 되면 전자파가 근거리 자기장을 통해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 방식은 수 m 이내의 거리에서 수십 W의 대전력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공진기의 Q(Quality Factor)값을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종 전자기기의 동작에 의해 다양한 주파수의 교번 자기장이 대기 중에 형성된다. 이러한 교번 자기장에서는 자기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방사되어 낭비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대기 중의 교번 자기장을 상기의 유도 결합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포집한 후에, 포집된 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기 중의 교번 자기장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전원 콘센트나 전원 어댑터를 소지하지 못한 경우라도 교번 자기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충전 기기를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무선 충전 서비스 지역을 탐색하고,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 지역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에 저장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있을 수 있는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제어부와, 인증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부과하는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과금 제어부와, 상기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인증 결과 또는 상기 과금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정보는 무선 충전 시작 시각, 무선 충전 종료 시각, 무선 충전 시작 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최초 충전량, 및 무선 충전 종료시 상기 배터리의 최후 충전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동 통신사의 서버와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무선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내장하거나, 별도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전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에 저장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있을 수 있는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제어부; 인증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부과하는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과금 제어부; 상기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인증 결과 또는 상기 과금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정보는 무선 충전 시작 시각, 무선 충전 종료 시각, 무선 충전 시작 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최초 충전량, 및 무선 충전 종료시 상기 배터리의 최후 충전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동 통신사의 서버와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 장치,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무선 전력을 송전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사 서버와 연결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 충전을 위한 채널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에 접속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 대상인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무선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고 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전송받은 상기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충전 서비스 지역을 탐색할 수 있으며, 인증 단계를 거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고, 무선 전력 전송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 단말기 사이의 충전 조건이 변하는 경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고 임피던스를 가변시켜서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무효 전력을 제거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에 최적의 무선 전력 효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충전 기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장착하고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은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 및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200)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모듈(311) 및 배터리(312)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310)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전송 받을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가 자기장을 통해 수신 받은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11)은 무선 통신 단말기(310)가 무선 통신 충전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는 무선 통신 단말기(310)와 내부에 배치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는 무선 통신 단말기(310)의 하우징 또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변형예로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310)의 케이스나 하우징 외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는 무선 통신 단말기(310)의 외장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모듈(3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311)을 통해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 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모듈(311)을 통해 무선 충전 서비스의 가입자 정보, 무선 통신 단말기 정보, 무선 충전 정보, 및 과금 정보 등을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21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310)는 무선 충전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을 검색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310)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배터리(312)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고, 배터리(312)에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기(310) 주변에서 무선 충전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을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현재 배터리 상태, 충전 가능 지역뿐만 아니라, 충전 소요 시간, 충전 요금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로부터 무선 충전 요청이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무선 충전되도록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를 제어하고,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대한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인증 제어부(120), 과금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2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통신사 서버(ISP 서버)(400)와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정보, 단말기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이동 통신사 서버(400)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사 서버(400) 내에 저장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정보, 단말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210)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와,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 서버(400)에 저장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있을 수 있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2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해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 이동 통신사 서버(400)에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와 이동 통신사 서버(400) 각각으로 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가 무선 충전 서비스에 가입되어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동 통신사의 가입 고객인 경우, 가입자의 아이디, 성명 등과 같은 고객 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 일련번호, 단말기 유형 정보, 단말기 위치 정도 등일 수 있다.
과금 제어부(130)는 인증 제어부(120)에 의해 인증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가입자에게 부과하는 무선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인증 제어부(120)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에 의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며,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무선 충전 정보를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의 액세스 포인트(210)를 거쳐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과금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정보는 무선 충전 시작 시각, 무선 충전 종료 시각, 무선 충전 시작 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최초 충전량, 및 무선 충전 종료시 상기 배터리의 최후 충전량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에 전송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AP)(21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20)를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21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이동 통신사 서버(400) 사이에 배치되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인터넷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액세스 포인트(21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또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1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20)는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20)는 통신부(220), 송전 제어부(222), 및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무선 통신 모듈(311)과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이를 유선 네트워크 망에 연결하는바, 통신부(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통하는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송전 제어부(222)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송전 제어부(222)로부터의 신호를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액세스 포인트(210)에 전송할 수 있다.
송전 제어부(222)는 통신부(221)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인증이 완료되면,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무선 충전 개시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신호에 따라 송전 제어부(222)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이 무선 전력 송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로부터 배터리 완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에 따라 송전 제어부(222)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의 무선 전력 송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은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에 무선 전력을 송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은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 임피던스 매칭부(14), 제어부(15), 통신부(16), 송전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 외부 전원이 제공된다. 외부 전원은 정류부(11)로 입력되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은 전압 증폭부(12)에 의해 임의의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14)는 송전부(18)와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송전부(18)와 무선 전력 송신 회로부(13)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부(14)는 송전부(18)의 전단에 위치하여, 송전부(18)와 임피던스 매칭부(14) 전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부(14)는 가변 인덕터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패시터와 FET(Field effect transistor) 스위치가 직접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다수 연결된 병렬 어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가변 커패시터 또는 병렬 어레이는 송전부(18)와 직렬 연결되거나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하거나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이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나는 공진 주파수가 변할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는 무효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의 무효 전력을 제거하고,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가 요구하는 유효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5)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이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 사이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거리(또는 위치)에서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를 임피던스 매칭하여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며,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다.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이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송전부(18)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수전부(미도시)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의 영향으로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서 무효 전력이 발생하여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 발열이 발생하고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 자체를 변경하여 전력을 전송하였다. 그러나, 공진 주파수 자체를 변경하는 경우 외부 전원의 변화없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여 무효 전력을 최소화하는 경우 유효 전력 또한 감소하게 되어 외부 전원의 증가 없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 역시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는 송전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또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이 전력을 송신하여야 할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에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의 무효 전력이 최소가 되고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임피던스를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는 충전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6)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부터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는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 전송되는 전력(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 수전부(180)의 전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6)에서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로 전송되고, 제어부(15)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하고 무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피던스를 구하며, 이를 토대로 임피던스 매칭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송전부(18)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송전부(18)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전력은 RF(Radio frequency) 에너지 신호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송전부(18)와 수전부는 동일하거나 근사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전부(18)와 수전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최대 전력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송전부(18)의 구성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유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송전부(18)는 단일의 루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자기 공명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송전부(18)는 송전 코일과 송전용 공진 코일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전부(18)는 루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전부(18)는 스파이럴 루프 또는 헬리컬 루프의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7을 참조하면, 임피던스 매칭부(14)은 제1회로(14a), 제2회로(14c), 및 스위치들(도 7의 14aS1, 14aS2, ..., 14aSn, 14cP1, 14cP2, ..., 14c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로(14a)는 송전부(18)에 직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회로(14c)는 송전부(18)에 병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 각각은 제1회로(14a) 및 제2회로(14c) 각각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 각각을 구성하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각각에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킬 수 있다.
제어부(15)는 상기 스위치를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것을 제어하여 전체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제1회로(14a)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제1회로(14a)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가 모두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경우, 제1회로(14a)의 총 커패시턴스를 Cs, 제2회로(14c)의 총 커패시턴스를 Cp라고 하면, 제어부(15)는 다음과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를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R은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이고, L은 송전부(18)의 인덕턴스이다.
또한, 제어부(15)는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부터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구하고, 상기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회로(14c)는 송전부(18)에 병렬로 연결되는바, 유효 전력은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어부(15)는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 값을 제어하여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는 모니터링부(15a), 연산부(15b), 및 스위치 조작부(1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부(15a)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20)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무선 전력 송전 모듈(223)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a)는 수신 전력과 송신 전력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송신 전력을 수신 전력을 나누어 전력 전송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15b)는 모니터링부(15a)에서 산출된 전력 전송 효율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연산부(15b)는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제1회로(14a)의 임피던스와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스위치 조작부(15c)는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임피던스를 임피던스 매칭부(14)가 갖도록 임피던스 매칭부(14)의 제1회로(14a) 또는 제2회로(14c)의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회로(14a)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14aS1, 14aS2, ..., 14aS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14bS1, 14bS2, ...,14bS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회로(14c)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임피던스(14cP1, 14cP2, ..., 14cPn)와 이들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어 이들을 단락 또는 단선시키는 스위치(14dP1, 14dP2, ...,14dP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는 스위치(14bS1, 14bS2, ...,14bSn) 및 스위치(14dP1, 14dP2, ...,14dPn)를 제어함으로써 제1회로(14a)와 제2회로(14c)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접근을 파악하기 위해 브로드 캐시팅 신호(BCON)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BCON 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을 위한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또한 무선 충전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을 할당받은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에 무선 충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통신사 서버(400)에도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이동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가 무선 충전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서비스 사용 여부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가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무선 전력을 송전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면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의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에 무선 전력 전송의 중단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전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충전 장치(200)는 무선 충전 내역을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 관리 서버(100)는 무선 충전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산출하여 과금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 장치(300)와 이동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충전 관리 서버 200: 무선 통신 충전 장치
300: 무선 통신 단말 장치

Claims (40)

  1.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충전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에 저장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있을 수 있는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제어부;
    인증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가입자에게 부과하는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과금 제어부;
    상기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인증 결과 또는 상기 과금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정보는 무선 충전 시작 시각, 무선 충전 종료 시각, 무선 충전 시작 전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최초 충전량, 및 무선 충전 종료시 상기 배터리의 최후 충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동 통신사의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6.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무선 통신 충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18.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자기장을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무선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내장하거나, 별도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전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위치에서 공진 상태가 되는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회로;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전부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회로; 및
    상기 제1회로들 및 상기 제2회로들 각각에 배치되어 이들을 개폐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 합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전력에 대해 상기 전력 수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전력 전송 효율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의 합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상기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회로의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수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에 저장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받을 있을 수 있는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 제어부;
    인증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가입자에게 부과하는 충전 요금을 산출하는 과금 제어부;
    상기 가입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인증 결과 또는 상기 과금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충전 요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정보는 무선 충전 시작 시각, 무선 충전 종료 시각, 무선 충전 시작 전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최초 충전량, 및 무선 충전 종료시 상기 배터리의 최후 충전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동 통신사의 서버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6. 무선 통신 단말 장치,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무선 전력을 송전하는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사 서버와 연결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무선 충전을 위한 채널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에 접속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가 무선 충전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 대상인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무선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고 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전송받은 상기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무선 충전 서비스를 관리 운영하는 무선 충전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충전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송전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전 모듈은,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기 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KR20130079415A 2013-07-08 2013-07-08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KR20150006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415A KR20150006499A (ko) 2013-07-08 2013-07-08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415A KR20150006499A (ko) 2013-07-08 2013-07-08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499A true KR20150006499A (ko) 2015-01-19

Family

ID=5256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415A KR20150006499A (ko) 2013-07-08 2013-07-08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49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15A1 (ko) * 2016-04-21 2017-10-26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07598A (ko) * 2017-03-22 2018-10-02 강동연 자기공명 방식 무선 충전기,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WO2018226457A1 (en) * 2017-06-06 2018-12-13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ation and billing of users for wireless charging
WO2019035590A1 (ko) * 2017-08-17 2019-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 과금방법
WO2019054535A1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5199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오투오컨티뉴엄 정보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WO2019209080A3 (ko) * 2018-04-27 2019-12-19 주식회사 오투오컨티뉴엄 정보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그리고 개인정보를 매개로 하여 암호화폐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152672A (zh) * 2019-06-27 2020-12-29 细美事有限公司 无线电传输装置和无线电传输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15A1 (ko) * 2016-04-21 2017-10-26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07598A (ko) * 2017-03-22 2018-10-02 강동연 자기공명 방식 무선 충전기,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
WO2018226457A1 (en) * 2017-06-06 2018-12-13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ation and billing of users for wireless charging
WO2019035590A1 (ko) * 2017-08-17 2019-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 과금방법
WO2019054535A1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의 통신경로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5199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오투오컨티뉴엄 정보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WO2019209080A3 (ko) * 2018-04-27 2019-12-19 주식회사 오투오컨티뉴엄 정보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 그리고 개인정보를 매개로 하여 암호화폐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152672A (zh) * 2019-06-27 2020-12-29 细美事有限公司 无线电传输装置和无线电传输方法
US11258305B2 (en) 2019-06-27 2022-02-22 Seme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ethod
TWI784287B (zh) * 2019-06-27 2022-11-21 南韓商細美事有限公司 無線電力傳輸設備及無線電力傳輸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499A (ko) 무선 충전 관리 서버, 무선 통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US9496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y using resonant coupling and system for the same
US8816638B2 (en)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958396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tching in a source-target structure
US9780568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25629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EP2761724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00201310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1899161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
KR101171937B1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충전기기
KR20160145841A (ko) 로컬 컴퓨팅 환경에서의 무선 전력 이용
Wang et al. Enabling multi-ang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via magnetic resonant coupling
CN103248103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40210407A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power transceiving method
KR101805930B1 (ko) 안테나 자세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30102218A (ko) 멀티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US1177002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40159673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73947B1 (ko) 멀티노드 무선충전 스위칭 명령 전송 방법
KR101211062B1 (ko) 배터리 정보 기반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4012846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7112806B (zh) 无线电力传输装置以及无线电力传输系统
KR10192021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20077449A (ko)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한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10188365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