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012A -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012A
KR20170065012A KR1020160163583A KR20160163583A KR20170065012A KR 20170065012 A KR20170065012 A KR 20170065012A KR 1020160163583 A KR1020160163583 A KR 1020160163583A KR 20160163583 A KR20160163583 A KR 20160163583A KR 20170065012 A KR20170065012 A KR 2017006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ensing area
user
fingerprint sensing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백범
임우택
김영민
김의섭
김재은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캔버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캔버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7006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K9/0001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26
    • G06K9/00067
    • G06K9/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35Combining adjacent partial images (e.g. slices) to create a composite input or reference pattern; Tracking a sweeping finger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지문을 검출하는 장치 및 검출된 지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FINGERPRINT SENSING APPARATUS AND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METHOD USING FINGERPRINT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지문을 검출하는 장치 및 검출된 지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문의 무늬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인 식별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지문은 개인 인증 수단으로서 금융, 범죄수사,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을 인식하여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지문 센서가 개발되었다. 지문 센서는 사람의 손가락을 접촉하고 손가락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문 인식 센서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광학방식, 열 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의 다양한 인식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인식 센서는 사람의 손가락 표면이 도전성 감지 패턴에 접촉될 때 지문의 골과 마루 형상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지문의 모양(지문 패턴)을 획득한다.
최근에는 휴대용 장치를 통해, 전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 아니라, 금융, 보안 등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의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 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지문 검출 방식은 크게 터치 방식(또는 에어리어(area) 방식)과 스와이프(swipe) 방식으로 나뉘는데, 터치 방식은 지문 센서에 일정시간 동안 손가락을 올려 놓으면 해당 지문 센싱 면적에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하는 방식이다. 한편, 스와이프 방식은 지문 센서에 손가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면, 지문 센서가 그 위에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하는 방식이다.
스와이프 방식은 지문 검출 시 손가락이 문질러지는 방향과 속도 등을 계산하여 지문 검출에 고려하여야 하는 제약이 따르나, 지문 센서가 차지하는 면적이 좁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터치 방식은 제한된 면적에서 충분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해야 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지문 센싱 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한 번의 터치만으로 충분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10번 이상의 터치를 통한 지문 센싱을 통해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문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 또는 컴퓨터 입력 장치의 경우, 스와이프 방식의 지문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와이프 방식의 지문 센서의 경우,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인증할 때마다 사용자가 스와이프 센서에 직접 지문을 입력해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지문 센서로부터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지문들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방법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활성화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지문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지문을 다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재입력 받는 경우, 재입력된 지문과 상기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는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지문 검출 장치는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획득하는 지문 센싱부;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싱부는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실시간을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상기 전자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문 검출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컴퓨터 입력 장치인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과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을 비교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복호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지문 검출 장치를 별도의 지문 인식 장치가 없는 전자 장치에 연결하여 지문을 이용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암호화 및 복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싱 영역이 지문 검출 장치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항상 획득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활성화 하고자 하는 경우 지문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므로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을 이용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한 지문 검출 장치를 컴퓨터 입력 장치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검출 장치에서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획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한 지문 검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한 지문 검출 장치를 컴퓨터 입력 장치에 적용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110)을 포함한 지문 검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입력 장치인 마우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지문 센싱 영역(110)은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으며, 지문 검출 장치(100)는 지문 센싱 영역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자 장치(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컴퓨터)는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정전용량 방식은 사람의 손가락 표면이 도전성 감지 패턴에 접촉될 때 지문의 골과 마루 형상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지문의 모양(지문 패턴)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문 센싱 영역(110)에서의 지문 검출 방식은 터치 방식(또는 에어리어(area)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터치 방식은 지문 센서에 일정 시간 동안 손가락을 올려 놓으면 해당 지문 센싱 면적에서 지문 이미지를 취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마우스 형태의 지문 검출 장치(100)에서 지문 센싱 영역(110)은 마우스의 왼쪽 클릭 버튼 위에 형성될 수 있지만, 왼손잡이용 마우스의 경우 오른쪽 클릭 버튼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문 센싱 영역(110)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빈도 수가 높은 버튼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빈도 수가 높은 버튼을 클릭 또는 더블 클릭을 하였을 때, 사용자의 지문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마우스에 스와이프 방식의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스와이프 방식의 지문 센서가 마우스의 손바닥이 접촉되는 지점이나 엄지손가락이 접촉되는 마우스의 옆면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의식적으로 긁어서 인식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문 센싱 영역(110)은 터치 방식(또는 에어리어(area) 방식)을 이용하고, 마우스에서 사용하는 빈도 수가 높은 버튼의 위에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경우, 지문 센싱 영역(110)을 통하여 버튼을 누르게 되기 때문에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거나 획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검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지문 센싱 영역(110)을 이용하여 지문 센싱 영역(110)에 접촉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획득하여 전자 장치에 등록한다(S210).
이 때, 전자 장치는 지문 검출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전자 장치에 등록하기 전에 지문 등록 장치에서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가 지문 센싱 영역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하기 전에는 지문 센싱 영역에 사용자의 지문이 접촉되더라도 실시간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전자 장치에 등록하기 전에 지문 등록 장치에서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게 지문 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지문 등록을 위해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순간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초기화면에서 사용자 지문을 등록하기 전까지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게 지문 등록을 위한 안내 문구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가 안내에 따라 지문 센싱 영역에 지문을 접촉하는 순간,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되도록 설정한 후, 사용자에게 사용자 지문 등록을 위한 안내 문구 등의 정보 제공을 디스플레이 한 직후,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지문 센싱 영역(11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한 명의 사용자 지문만 등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의 설정에 따라 등록할 수 있는 지문의 개수 및 등록 가능한 사용자의 수도 조절할 수 있다.
이 후,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 할 수 있다(S220).
즉, 이미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 하기 위하여 추가로 별도의 지문 등록 없이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모든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저장 날짜 별, 크기(용량) 별, 문서 종류(txt, hwp, doc 등) 별로 나누어 암호화할 수도 있다.
즉,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일일이 선택해서 암호화할 수도 있지만,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전체 또는 일부를 스스로 암호화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초기 전자 장치의 시작화면도 암호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센싱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등의 전자 장치에 USB등을 이용한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을 이용한 무선 연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고,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 및 복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싱 영역(110)은 마우스의 사용 빈도 수가 높은 버튼 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항상 사용 빈도 수가 높은 버튼 위에 형성된 지문 센싱 영역에 손가락이 위치하고 있어,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S230).
다른 실시예로는 평소에는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지 않고 대기모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암호화된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경우, 지문 센싱 영역을 활성 모드로 변환하여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지문을 실시간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고(S250), 지문 센싱 영역(110)에 접촉되어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등록된 지문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 일치하는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활성화 할 수 있다(S260).
즉, 전자 장치는 지문 센싱 영역(110)에 접촉되어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들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한다고 판단하고, 사용자가 활성화 하고자 선택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만약에,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지문 센싱 영역(110)에 접촉되는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계속 비교할 수도 있다.
지문 센싱 영역(110)은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하면서 해당 문서를 일반적인 암호화 방식이 아닌 등록된 지문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된 지문 정보를 전자 장치(컴퓨터) 내에 저장하여 지문 센싱 영역(110)을 가진 모든 마우스 또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연결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지문 센싱 영역(110)을 가진 모든 마우스 또는 지문 검출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등록된 지문 정보에 대한 생체 정보 대체 코드(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생성하여, 생성된 생체 정보 대체 코드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암호화할 수도 있다.
생체 정보 대체 코드는 인식된 생체 정보가 그대로 전자 장치의 외부로 전송하지 않고, 이를 고유한 코드로 변환한 값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생체 정보 대체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등록된 지문이 저장된 전자 장치가 아닌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등록된 지문의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싱 영역(110)을 포함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활성화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획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S250)에는 사용자가 활성화 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사용자에게 지문을 다시 요청하거나, 등록된 사용자가 아님을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즉, 지문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가 지문 센싱 영역(110)을 포함한 마우스(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우, 지문 센싱 영역(11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된 지문은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사용자는 사용자가 암호화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킬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한 지문 검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컴퓨터)의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100)는 지문 센싱부(410) 및 송신부(420)를 포함한다.
지문 센싱부(410)는 컴퓨터 입력 장치(100)의 입력 버튼 상에 형성되는 지문 센싱 영역(110)으로부터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이 때, 지문 센싱 영역(110)은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여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문 센싱 영역(110)은 컴퓨터 입력 장치(100)의 버튼 중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버튼 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문 센싱 영역(110)은 오른손 잡이용 컴퓨터 입력 장치(100)인 경우, 왼쪽 버튼과 오른쪽 버튼인 경우, 왼쪽 버튼 위에 형성되며, 왼손 잡이용 컴퓨터 입력 장치(100)인 경우, 오른쪽 버튼 위에 형성된다.
또는, 왼쪽 버튼과 오른쪽 버튼 위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 센서 영역들로부터 사용자의 지문들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송신부(420)는 지문 센싱부(410)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 정보들을 전자 장치(컴퓨터)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또한, 지문 센싱부(410)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송신부(420)는 암호화된 지문 정보들을 전자 장치(컴퓨터)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문 검출 장치
110: 지문 센싱 영역
410: 지문 센싱부
420: 송신부

Claims (8)

  1. 지문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으로서,
    (a)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암호화하는 단계;
    (c)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복호화하여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과 상기 등록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지문을 다시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재입력 받는 경우, 재입력된 지문과 상기 등록된 지문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지문 등록 장치에서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지문 등록 장치에서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지문 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지문 등록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이 활성화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6. 전자 장치의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컴퓨터 입력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 입력 장치의 입력 버튼 상에 형성되는 지문 센싱 영역으로부터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지문 센싱부; 및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 정보들을 상기 전자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지문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싱부는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센싱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지문 센싱 영역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들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검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 정보들을 암호화 하여 저장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암호화된 지문 정보들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검출 장치.
KR1020160163583A 2015-12-02 2016-12-02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20170065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0437 2015-12-02
KR1020150170437 2015-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12A true KR20170065012A (ko) 2017-06-12

Family

ID=5921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583A KR20170065012A (ko) 2015-12-02 2016-12-02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0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0294B2 (en) 2018-02-12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015288A (zh) * 2020-08-28 2020-12-01 广州市亚当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鼠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0294B2 (en) 2018-02-12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015288A (zh) * 2020-08-28 2020-12-01 广州市亚当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鼠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4842B2 (en)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or removing security on content
KR102356549B1 (ko) 디바이스 내의 폴더를 암호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125794B2 (ja) 指紋認識システム
Holz et al. Biometric touch sensing: Seamlessly augmenting each touch with continuous authentication
CN105320874B (zh) 用于对内容进行加密或解密的方法和装置
EP3482331B1 (en) Obscuring data when gathering behavioral data
US7884805B2 (en) Using touches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devices
TWI521374B (zh) 關於改變一電子裝置之一設定之使用者驗證
KR102409903B1 (ko)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7064578B2 (ja) 巧妙なユーザ認識
KR102093196B1 (ko) 지문 인식 기반 조작 방법 및 장치
KR20180027332A (ko) 디바이스의 독립적인 프로세서들을 통한 데이터 검증
CN104200145A (zh) 电子设备中的嵌入式验证系统
CN105531719A (zh) 利用指纹传感器的用户输入
CN104091106A (zh) 一种支持虹膜加密的鼠标和方法
TW201710939A (zh) 基於外部裝置上觸敏裝置的每一觸控基礎之使用者識別
KR20170065012A (ko) 지문 검출 장치 및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JP2013174955A (ja) セキュリティを解除するための情報の入力が要求される情報処理装置及びログイン方法
KR20180134047A (ko) 지문 검출 장치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002522A (ja) 情報端末装置
US10762182B2 (en) Detection system,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finger touch authentication thereof
KR102269085B1 (ko) 통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85754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CN204883718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存储装置
US11113376B2 (en) Detection system,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finger touch authent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