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884A -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884A
KR20170064884A KR1020150170899A KR20150170899A KR20170064884A KR 20170064884 A KR20170064884 A KR 20170064884A KR 1020150170899 A KR1020150170899 A KR 1020150170899A KR 20150170899 A KR20150170899 A KR 20150170899A KR 20170064884 A KR20170064884 A KR 2017006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grooves
groove
rear en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624B1 (ko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핏
Priority to KR102015017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6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 관절 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되는 제 2 지점(160), 및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되는 제 3 지점(170)에 대해, 제 2 지점(160)과 제 3 지점(170) 사이에 함몰 형성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경사홈(210);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1 경사홈(220a); 제 1 지점(150)과 제 4 지점(18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2 경사홈(220b); 및 제 4 지점(180)과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3 경사홈(220c);을 포함하고, 각 제 2-1, 2-2, 2-3 경사홈(220a, 220b, 220c)은 수평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Outsole with Inclined Groove According To a Foot Join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의 용도에 따라 등산화, 조깅화, 트랙킹화와 같은 레져용 신발, 런닝화, 축구화와 같은 스포츠신발, 관절화, 당뇨화와 같은 의료용 신발, 패션화 등 종류가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신발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밑창을 구비하게 되며, 이러한 용도들중 대표적인 것이 미끄럼 방지일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신발 밑창은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보행을 편하게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최근 들어 신발의 기능성이 강조되면서 조깅화는 뛰는데 편한 반면 걷는 속도에서는 최적화되지 못했고, 워킹화는 그 반대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보행자가 고령화될 수록 점점 팔자걸음이 심해지는데 이러한 보행 습관을 충족시켜줄 만한 신발은 개발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발바닥 관절위치에 대응하는 경사홈을 형성하여 맨발처럼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천천히 걷는 서행과 빠르게 걷거나 뛰는 속보에서도 맨발처럼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보행시 발바닥의 내측을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옳바른 보행 습관을 유도하는 발바닥 관절위치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되는 제 2 지점(160) 및 상기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되는 제 3 지점(17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경사홈(210);을 포함하고, 각 제 1 경사홈(210)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 및 후단부(130)부터 85% ~ 90% 지점에 정의되는 제 4 지점(180)에 대해, 후단부(130)로부터 상기 제 1 지점(15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1 경사홈(220a); 제 1 지점(150)으로부터 제 4 지점(18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2 경사홈(220b); 및 제 4 지점(180)으로부터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3 경사홈(220c);을 포함하고, 각 제 2-1, 2-2, 2-3 경사홈(220a, 220b, 220c)은 중심선에 수직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도 가능하다. 제 2-1 경사홈(220a)은 제동력을 최대화하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톱니 모양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2-3 경사홈(220c)은 추진력을 최대로 하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제 2-1 경사홈(220a)과 반대방향의 톱니모양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되는 제 2 지점(160), 및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되는 제 3 지점(170)에 대해, 제 2 지점(160)과 제 3 지점(170) 사이에 함몰 형성되고,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경사홈(210);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1 경사홈(220a); 제 1 지점(150)과 제 4 지점(18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2 경사홈(220b); 및 제 4 지점(180)과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3 경사홈(220c);을 포함하고, 각 제 2-1, 2-2, 2-3 경사홈(220a, 220b, 220c)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도 가능하다.
여기서, 후단부(130)로부터 제 2-1 경사홈(220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과 제 2-3 경사홈(220c)과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홈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2-2 경사홈(220b) 사이의 간격은 제 2-1 경사홈(220a) 사이의 간격 및 2-3 경사홈(220c) 사이의 간격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제 2-3 경사홈(220c)은 1°~ 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4 지점각(θd)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지점(150)에서 제 2-2 경사홈(220b)은 1°~ 1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1 지점각(θa)을 형성하고, 제 4 지점(180)에서 제 2-2 경사홈(220b)은 1°~ 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4 지점각(θd)을 형성하고, 제 1 지점(150)과 제 4 지점(180) 사이의 제 2-2 경사홈(220b)은 제 1 지점각(θa)과 제 4 지점각(θd)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각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단부(140)와 후단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선(190)을 따라 형성된 제 1 중심홈(270); 및 제 1 중심홈(270)으로부터 내측(120) 방향으로 평행 이격된 제 2 중심홈(2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 1 중심홈(270)과 제 2 중심홈(260) 사이에는 제 3 중심홈(30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중심홈(270), 제 2 중심홈(260), 제 3 중심홈(300)은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로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과 후단부(130)로부터 85% ~ 90% 지점에 정의되는 제 4 지점(18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밑창(100)의 아치부(400)는 외측(100)에서 내측(120)을 향해 하향 경사진 아치경사면(41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단부(140)와 상기 후단부(130) 사이의 연결하는 중심선(190) 방향으로 형성된 제 6 중심홈(280)을 포함하고, 제 6 중심홈(280)은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제 1 지점(15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되며, 전단부(140)와 제 3 지점(17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제 3 지점(17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대응하는 경사홈을 형성하여 맨발처럼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밑창은 천천히 걷는 서행과 빠르게 걷거나 뛰는 속보에서도 맨발처럼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더욱이 보행시 발바닥의 내측을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옳바른 보행 습관을 유도한다. 따라서, 중년, 고령자, 환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편안한 보행 뿐만 아니라 옳바른 보행으로 관절과 근육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7은 도 6중 A-A 단면의 단면도,
도 8은 도 6중 B-B 단면의 단면도,
도 9는 보행중 발바닥의 압력중심궤적(지면반력중심의 궤적)을 골격 상에 표시한 설명도,
도 10은 신발을 신었을 때 신발과 발바닥 관절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왼쪽 신발만의 밑창 평면도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대칭되는 오른쪽 신발 밑창이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신발의 밑창(100)중 맨뒤쪽은 후단부(130)로 지칭하고, 맨앞쪽은 전단부(140)로 지칭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의 중심선(190)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밑창(100)의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내측(120)과 외측(110)으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도 10은 신발을 신었을 때 신발과 발바닥 관절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는, 후단부(130)로부터 전단부(140)까지의 밑창(100)의 전체길이를 100%라고 가정하고, 후단부(130)를 기준으로 전체길이를 세분하여 다음과 같이 구간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A로 표시되는 제 1 지점(150)은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으로 정의된다.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는 보행시 처음 지면에 닿는 영역을 나타낸다.
B로 표시되는 제 2 지점(160)은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된다. 이러한 제 2 지점(1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꿈치의 길이(일명 Seat 길이)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로 표시되는 제 3 지점(170)은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된다. 이러한 제 3 지점(1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번째 발가락 외측 돌출점에 해당한다.
D로 표시되는 제 4 지점(180)은 후단부(130)부터 약 85% ~ 90% 지점에 정의된다. 이러한 제 4 지점(18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발가락의 내측 돌출점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 밑창(100)과 제 1, 2, 3, 4 지점(150 ~ 180)을 기준으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홈(210)은 제 2 지점(160)과 제 3 지점(170)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한다.
제 1 경사홈(210)은 내측(120)으로부터 외측(110)으로 형성된 홈으로서, 홈의 폭이 3mm ~ 10mm이고, 홈의 깊이는 3mm ~ 10mm 범위이다. 이러한 경사홈의 형성으로 인해 보행시 밑창(100)이 경사홈을 따라 쉽게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경사홈(210)은 5개 내지 8개 범위에서 균등하게 또는 일정한 방법(예, 점점 넓어지는 간격 또는 점점 좁아지는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제 1 경사홈(210)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10°~ 15°가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14°가 좋다.
제 1 실시예의 제 1 경사홈(210)은 특히 걷기와 같이 서행일 때 도 10에 도시된 관절경사선(70)과 평행이거나 대략 일치하도록 하여 제 2, 3, 4, 5 발가락(60)과 중족골(50) 관절의 구부러짐을 밑창(100)의 구부러짐과 자연스럽게 일치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천천히 걷는 보행자는 마치 신발을 신지 않은 듯한 자연스러움으로 피로감없이 보행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경사홈(220)은 후단부(130)와 전단부(140) 사이에 위치하며, 제 2-1 경사홈(220a), 제 2-2 경사홈(220b), 제 2-3 경사홈(220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경사홈(220)의 홈의 폭과 깊이는 제 1 경사홈(210)과 유사하다.
제 2-1 경사홈(220a)은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지점각(θa)을 형성한다. 제 1 지점각(θa)은 바람직하게는 1°~ 15°가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10°가 좋다.
이러한 제 2-1 경사홈(220a)은 2개 내지 5개 범위에서 균등하게 또는 일정한 방법(예, 점점 넓어지는 간격 또는 점점 좁아지는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는 보행시 처음으로 지면에 닿는 영역을 나타내므로 제 2-1 경사홈(220a)은 안정된 접촉을 유도하고 이후에 일어나는 아치뼈(거골, 40)의 움직임과 제 1, 2 관절뼈(50, 60)의 운동에 관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2-1 경사홈(220a)은 보행자가 정상적인 팔자걸음을 걷도록 한다. 참고로 정상적인 팔자걸음은 보행방향과 중심선(190)이 이루는 각도가 0°~ 15°이다.
제 2-2 경사홈(220b)은 제 1 지점(150)과 제 3 지점(170)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각을 형성한다. 제 1 지점각(θa)이 1°~ 15°범위의 값을 갖고, 제 4 지점각(θd)이 1°~ 5°범위의 값을 가지므로 제 2-2 경사홈(220b)은 제 1 지점각(θa)과 제 4 지점각(θd) 사이의 값을 갖거나 제 1 지점각(θa)으로부터 제 4 지점각(θd)까지 연속적으로 변하는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2 경사홈(220b)의 간격은 제 2-1 경사홈(220a)의 간격 또는 제 2-3 경사홈(220c)의 간격 보다 더 넓다.
제 2-3 경사홈(220c)은 제 4 지점(180)과 전단부(140)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4 지점각(θd)을 형성한다.
제 2 경사홈(220a, 220b, 220c)은 특히 빠른 걷기를 하거나 뛸 때 도 10에 도시된 제 1, 2 발가락 뼈(60)-중족골(50)이 주로 사용된다는 점을 착안하여 자연스러운 밑창(100)의 구부러짐이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1 실시예(도 1 참조)에서와 같이 천천히 걸을 때 움직이는 발 골격의 메카니즘과 제 2 실시예(도 2 참조)에서와 같이 빨리 걷거나 뛸 때 움직이는 발 골격의 메카니즘이 서로 상이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 1 경사홈(210)과 제 2 경사홈(220)을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반대되도록 설계하였다.
제 3 실시예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합쳐놓은 기술사상이다. 다시 말해 제 3 실시예는 천천히 걷기용과 빠른 걷기나 뛰기를 겸할 수 있는 신발 밑창이다. 제 1 경사홈(210)과 제 2 경사홈(220)의 구성은 제 1, 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 1 경사홈(210)과 제 2 경사홈(220)을 배치할 때 내측(120)상에서 제 1, 2, 3 내측지점(230, 240, 250)에서 서로 만나거나 교차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3개의 내측지점(230, 240, 250)만을 도시하였으나 내측(120)을 따라 더 많은 지점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에 제 1, 2 중심홈(270, 260)이 더 부가된 구성이다. 제 1 중심홈(270)은 중심선(190)을 따라 형성된 홈이고, 제 2 중심선(260)은 제 1 중심선(270)으로부터 내측(120)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된채 평행하게 형성된 홈이다.
이러한 제 1, 2 중심홈(270, 260)은 보행시 내외측 관절중 내측을 더 유연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힘의 작용점이 외측이 아닌 내측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보다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보행이 유도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2 중심홈(270, 260)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3개 이상의 중심홈 추가도 가능하다.
제 5 실시예의 구성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보행중 발바닥의 압력중심궤적(지면반력중심의 궤적)을 골격 상에 표시한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중 발바닥의 압력중심궤적(10)은 뒷꿈치뼈(30)에서 시작하여 아치뼈(40)에서 외측(110)으로 편향된 후 엄지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로 빠져 나가는 발바닥 압력중심점의 궤적(90)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중심점의 궤적(90)에 부합할 수록 편안한 보행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중심홈(280)은 대략 중심선(190)을 따라 형성되지만,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제 1 지점(15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된다. 제 6 중심홈(280)은 전단부(140)와 제 3 지점(17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제 3 지점(17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중심홈(280)은 밑창(100)의 중간 위치에서 꺾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편향 각도는 1°~ 15°범위에서 가능하다.
제 6 실시예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중 A-A 단면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중 B-B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는 제 4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경사홈과 중심홈 사이를 함몰형성시켜 힘의 작용점을 더욱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도 6에서 빗금친 영역은 밑창(100)으로부터 함몰된 영역을 나타낸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A-A 단면에서와 같이, 제 1 중심홈(270)과 제 2 중심홈(260) 사이에 밑창(100)의 앞뒤 길이 방향을 따라 제 3 중심홈(300)이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중심홈(300)은 중심선(190)의 내측(120)에 있기 때문에 힘의 작용점이 내측을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 2, 3 내측지점(230, 240, 250)을 삼각형의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홈을 더 형성하고 이를 제 3 중심홈(300)까지 연장하여 연결된 홈을 이룬다. 따라서, 다수개의 삼각형상의 홈이 내측(120) 방향에 함몰 형성되고 반대로 중심선(190)의 외측(110)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8은 밑창(100)의 아치부(400)에 대한 단면 형상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400)에서만 아치경사면(410)이 형성된다. 즉, 아치경사면(410)은 외측(110)으로부터 내측(120)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룬다. 이로써 아치부(400)는 외측(110)에서 지면에 닿고 내측(120)에서는 지면과 떨어지게 되어 더 많은 변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6 실시예에서는 중심선(190)의 외측(110)에 아치부(400)만을 형성하고, 내측(120)에는 다수의 홈을 함몰 형성하여 내측 관절을 더 유연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힘의 작용점이 내측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고령이 될수록 점점 심해지는 팔자걸음을 바로잡거나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0 : 발바닥,
30 : 뒷꿈치뼈,
40 : 아치뼈,
50 : 제 1 관절뼈,
60 : 제 2 관절뼈,
70 : 제 1 관절경사선,
80 : 제 2 관절경사선,
90 : 발바닥 압력중심점(지면반력중심점)의 이동궤적
100 : 신발 밑창,
110 : 외측,
120 : 내측,
130 : 후단부,
135 : 발뒷꿈치
140 : 전단부,
150 : 제 1 지점(A),
160 : 제 2 지점(B),
170 : 제 3 지점(C),
180 : 제 4 지점(D),
190 : 중심선,
210 : 제 1 경사홈,
220a : 제 2-1 경사홈,
220b : 제 2-2 경사홈,
220c : 제 2-3 경사홈,
230 : 제 1 내측지점,
240 : 제 2 내측지점,
250 : 제 3 내측지점,
260 : 제 2 중심홈,
270 : 제 1 중심홈,
280 : 제 6 중심홈,
300 : 제 3 중심홈,
400 : 아치부,
410 : 아치경사부,
θo : 관절각,
θa : 제 1 지점각,
θb : 제 2 지점각,
θc : 제 3 지점각,
θd : 제 4 지점각,
θe : 제 5 지점각.

Claims (11)

  1.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되는 제 2 지점(160) 및 상기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되는 제 3 지점(17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경사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경사홈(210)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2.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 및 상기 후단부(130)부터 85% ~ 90% 지점에 정의되는 제 4 지점(180)에 대해,
    상기 후단부(130)로부터 상기 제 1 지점(15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1 경사홈(220a);
    상기 제 1 지점(150)으로부터 상기 제 4 지점(18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2 경사홈(220b); 및
    상기 제 4 지점(180)으로부터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3 경사홈(220c);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2-1, 2-2, 2-3 경사홈(220a, 220b, 220c)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3. 밑창(100)의 전체길이에 대해 후단부(130)부터 10% ~ 15% 지점에 정의되는 제 1 지점(150), 상기 후단부(130)부터 30% ~ 40% 지점에 정의되는 제 2 지점(160), 및 상기 후단부(130)부터 75% ~ 80% 지점에 정의되는 제 3 지점(170)에 대해,
    상기 제 2 지점(160)과 상기 제 3 지점(170) 사이에 함몰 형성되고,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0°~ 30°만큼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제 2 지점각(θb)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경사홈(210);
    상기 후단부(130)와 상기 제 1 지점(15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1 경사홈(220a);
    상기 제 1 지점(150)과 상기 제 4 지점(18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2 경사홈(220b); 및
    상기 제 4 지점(180)과 전단부(14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 2-3 경사홈(220c);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 2-1, 2-2, 2-3 경사홈(220a, 220b, 220c)은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1°~ 15°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 경사홈(220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1 경사홈(220a) 사이의 간격 및 상기 2-3 경사홈(220c) 사이의 간격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3 경사홈(220c)은 1°~ 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4 지점각(θ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150)에서 상기 제 2-2 경사홈(220b)은 1°~ 1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1 지점각(θa)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지점(180)에서 상기 제 2-2 경사홈(220b)은 1°~ 5°범위에서 기울어진 제 4 지점각(θd)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지점(150)과 상기 제 4 지점(180) 사이의 제 2-2 경사홈(220b)은 상기 제 1 지점각(θa)과 상기 제 4 지점각(θd)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부(140)와 상기 후단부(130) 사이의 연결하는 중심선(190)을 따라 형성된 제 1 중심홈(270); 및
    상기 제 1 중심홈(270)으로부터 내측(120) 방향으로 평행 이격된 제 2 중심홈(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심홈(270)과 상기 제 2 중심홈(260) 사이에는 제 3 중심홈(3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아치부(400)는 외측(100)에서 상기 내측(120)을 향해 하향 경사진 아치경사면(410)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부(140)와 상기 후단부(130) 사이의 연결하는 중심선(190) 방향으로 형성된 제 6 중심홈(280)을 포함하고,
    상기 제 6 중심홈(280)은 후단부(130)와 제 1 지점(15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제 1 지점(15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되며,
    상기 전단부(140)와 제 3 지점(170) 사이에서는 내측(120)으로 편향되고, 상기 제 3 지점(170)을 지나서는 외측(110)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2, 3 내측지점(230, 240, 250)을 삼각형의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삼각형상의 홈은 상기 제 3 중심홈(300)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KR1020150170899A 2015-12-02 2015-12-02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KR10182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899A KR101824624B1 (ko) 2015-12-02 2015-12-02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899A KR101824624B1 (ko) 2015-12-02 2015-12-02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22A Division KR101833886B1 (ko) 2017-03-10 2017-03-10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884A true KR20170064884A (ko) 2017-06-12
KR101824624B1 KR101824624B1 (ko) 2018-03-14

Family

ID=5921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899A KR101824624B1 (ko) 2015-12-02 2015-12-02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6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624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0168B (zh) 具有改进型鞋底的鞋
US10548369B2 (en) Shoe sole
US1189608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nal support member
JP5350566B1 (ja) ウィンドラスメカニズムに着目した靴底
US850521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directional sole structure
US20190000180A1 (en) Shoe having shoe sole with divided rear foot portion
JP5808934B2 (ja) ハイヒール靴用インソール及びハイヒール靴
KR20140134261A (ko)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US10568390B2 (en) Outsole structure for shoes and cleated shoe using same
US20110214314A1 (en) Cleat Assembly
CN112469301B (zh) 鞋用鞋垫
KR101833886B1 (ko)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US9743706B2 (en) Hallux alpine boot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JPH09140405A (ja) 外反母趾対策用履物および靴中敷き
WO2017204738A1 (en) Insole for footwear
KR101824624B1 (ko) 발 관절위치와 발 골격 움직임에 따른 경사홈을 갖는 신발밑창
JP7402230B2 (ja) シューズ
WO2017217176A1 (ja) 中敷き
JP6811495B1 (ja) アウトソール、及び履物
US20240000184A1 (en) Sole structure and shoe with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shapes
WO2022137384A1 (ja) アウトソール、及び履物
JP5438932B2 (ja) 靴のつま革
KR20220108894A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신발
JP2023505422A (ja) 靴ソ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