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783A -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783A
KR20170064783A KR1020150170679A KR20150170679A KR20170064783A KR 20170064783 A KR20170064783 A KR 20170064783A KR 1020150170679 A KR1020150170679 A KR 1020150170679A KR 20150170679 A KR20150170679 A KR 20150170679A KR 20170064783 A KR20170064783 A KR 2017006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ines
dummy
lin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049B1 (ko
Inventor
권향명
안수창
차제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0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되는 터치라인 및 인접된 두 개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되는 더미라인이 구비된,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은,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IN CELL TYPE DISPLAY PANEL AND IN CELL 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패널이 내장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터치여부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이 별도로 제조된 후 합착되는 애드온(Add-On) 방식, 및 터치패널이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에 내장되는 인셀(in-cell) 방식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해, 인셀 방식을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패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셀타입 표시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인셀타입 표시장치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셀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셀타입 표시패널은, 셀프캡(Self Cap) 방식과, 뮤추얼(Mutual)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는,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10)이 도시되어 있다.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10)의 표시영역(11)에는 복수의 터치전극(12)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전극(12)들로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에 부착된 드라이버IC(30)로부터 터치구동신호 또는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터치전극(12)들로는, 터치라인(13)들을 통해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터치감지기간에, 상기 터치전극(12)들로는 상기 터치라인(13)들을 통해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드라이버IC(30)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D1 to Dd)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한다.
상기 터치라인(13)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터치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터치라인(13)의 길이는 상기 터치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전극(12)과 상기 드라이버IC(3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드라이버IC(30)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터치전극(12)에 연결된 터치라인의 길이는, 상기 드라이버IC(30)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된 터치전극(12)에 연결된 터치라인의 길이보다 짧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터치라인(13)들의 길이는 동일하지 않다.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에는 게이트 라인들(G1 to Gg)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게이트 드라이버(20)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로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셀타입 표시패널(10)에서는, 터치라인(13)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터치전극(12)에 공급되는 터치전압들 간에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터치라인(13)이 하나의 컨택부(M)를 통해 터치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터치전극(12)에 의해 커버되는 픽셀들로 인가되는 공통전압들 사이에도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타입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게이트 클럭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펄스들을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각 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은, 특정 타이밍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라인(13)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터치라인(13)들이 중첩되는 형태가, 인셀타입 표시패널(10)의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각 영역에서, 공통전압에 미치는 게이트 펄스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영역에서 공통전압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을 따라 어두운 줄무늬가 나타나는, 가로 딤(Dim)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로 딤 불량은 터치전극(12)들의 경계면에서 심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되는 터치라인 및 인접된 두 개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되는 더미라인이 구비된,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에 구비된 터치전극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터치 드라이버 및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은,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전극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들과 중첩된다.
상기 터치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라인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모두와 중첩된다.
상기 제1터치라인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더미라인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드라이버가 내장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의 영상표시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셀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의 일부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에서 생성되는 게이트 펄스들의 파형들 및 공통전압들의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영역을 확대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K-K'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L-L'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셀타입 표시패널(100),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00),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에 구비된 터치전극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터치 드라이버,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터치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 드라이버(40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은, 상기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D1 to Dd),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G1 to Gg),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터치전극(TE)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TL)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TL)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DL)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전극(TE)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들과 중첩된다.
상기 터치라인(TL)들은, 상기 터치전극(TE)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모두와 중첩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중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치라인(TL)은, 터치컨택부(TP)를 통해 상기 터치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더미라인(DL)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의 제1기판(TFT기판)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들 및 상기 터치전극(TE)들이 구비되고, 제2기판(CF)에는 컬러필터 및 블랙메트릭스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는 액정이 주입된다.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제1기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픽셀들 각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상기 터치전극(TE)과 함께 상기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전극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의 교차 구조에 의해 상기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픽셀들 각각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픽셀전극 및 상기 터치전극(TE)을 구성하는 터치전극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은 액정패널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전극(TE)으로는, 터치감지기간에 터치구동신호가 공급되며, 영상표시기간에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전극은 공통전극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터치전극(TE)들은,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110)에 구비된다.
상기 터치전극(TE)들은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상기 터치전극(TE)에는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터치전극(TE)에 충전된 전압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방전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전극(TE)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충전 전압이 방전되는 시간 또는 방전되는 량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전극(TE)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충전 전압이 방전되는 시간 또는 방전되는 량과 다르다.
따라서, 상기 충전 전압이 방전되는 시간의 변화량 또는 상기 충전 전압이 방전되는 량의 변화량 등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드라이버는 상기 터치라인(TL)들을 통해 상기 터치전극(TE)들로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터치전극(TE)들로부터 상기 터치라인(TL)들을 통해 전송되는 감지신호들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터치 드라이버는, 상기 감지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직접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은 또 다른 구성요소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제어 드라이버(400)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g)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G1 내지 Gg)들로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집적회로(IC)로 형성된 후,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 중 상기 표시영역(110)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1 to Gg),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 상기 터치전극(TE)들, 상기 터치라인(TL)들 및 상기 더미라인(DL)들의 제조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게이트 인 패널(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라 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비표시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으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비표시영역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터치 드라이버는,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상기 터치전극(TE)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TE)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한다.
넷째,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1)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후,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하나의 구동드라이버로 구성된 후,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터치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가 통합되어 구성된 구동 드라이버(300)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상기 터치라인(TL)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한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터치라인(TL)들을 통해 상기 터치전극(TE)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터치전극(TE)들로부터 상기 터치라인(TL)들을 통해 전송되는 감지신호들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상기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은 또 다른 구성요소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집적회로(IC)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연성필름(5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성필름(500)은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장착된다. 상기 연성필름(500)을 통해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 및 상기 터치라인(TL)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다섯째, 상기 제어 드라이버(400)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터치 드라이버를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터치 드라이버가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드라이버(400)는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드라이버(400)는 인쇄회로기판(6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성필름(500)은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1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00)에 부착된다. 상기 제어 드라이버(400)는 상기 연성필름(500)을 통해 상기 구동 드라이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의 일부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S영역을 확대시킨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장치에서 생성되는 게이트 펄스들의 파형들 및 공통전압들의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특히, 도 4의 (a)는 제1터치전극(TE1)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의 파형들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제1터치전극(TE1) 및 제2터치전극(TE2)에 공급되는 공통전압들의 파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b)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공통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3에서, X는 터치라인(TL)들을 나타내며, Y는 더미라인들, 특히, 제2더미라인(DL2)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은, 상기한 설명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D1 to Dd),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G1 to Gg),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TE)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TL)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TL)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DL)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전극(TE)들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G)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TL)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DL)들과 중첩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터치전극들이 서로 인접되어 있을 때, 가운데에 배치된 터치전극을 제1터치전극(TE1)이라 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TE1)의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을 제2터치전극(TE2)이라 하며, 상기 제1터치전극(TE1)의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을 제3터치전극(TE3)이라 한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은, 터치전극들의 배열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터치전극들이 서로 인접되어 있을 때,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2터치전극(TE2)과 중첩되어 있는 더미라인을 제1더미라인(DL1)이라 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3터치전극(TE3)과 중첩되는 더미라인을 제2더미라인(DL2)이라 하며,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2터치전극(TE2)과 중첩되는 더미라인을 제3더미라인이라 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라인(TL)들은, 상기 터치전극(TE)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모두와 중첩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중 제1터치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상기 터치라인(TL)들 중 어느 하나는 터치컨택부(TP)를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연결되고, 상기 터치라인(TL)들 중 또 다른 하나는 터치컨택부(TP)를 통해 상기 제2터치전극(TE2)과 연결되며, 상기 터치라인(TL)들 중 또 다른 하나는 터치컨택부(TP)를 통해 상기 제3터치전극(TE3)과 연결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TE1)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TE1)에 연결된 제1터치라인(TL1)과 인접되어 있는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제1터치라인(TL1)은 상기 픽셀들 각각에 구비된 터치컨택부(TP)를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컨택부(TP)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이 상기 터치컨택부(TP)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든 게이트 라인들이 균등한 조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들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이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의 개 수가 네 개인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네 개의 터치라인(TL)들이 네 개의 터치전극(TE)들과 중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는, 네 개의 터치라인(TL)들과 중첩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TE1), 제2터치전극(TE2) 및 제3터치전극(TE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더미라인(DL)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 및 제2터치전극(TE2)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DL1)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2터치전극(TE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에는, 상기 제1더미라인(DL1)들이 상기 제1터치전극(TE1)들에 연결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발 배경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더미라인(DL)들이, 어느 하나의 터치전극(TE)에만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더미라인(DL)들은, 터치전극(TE)들의 경계면에서 서로 분리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터치전극(TE)들의 경계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은, 어느 하나의 터치전극(TE)의 영향만을 받는다. 따라서, 터치전극(TE) 역시, 자신과 중첩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의 영향만을 받는다.
따라서, 터치전극들이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공통전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질이 나빠질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2개 이상의 게이트 클럭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펄스들을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게이트 라인들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터치전극에 의해 커버되고 있는 게이트 라인들이 배치된 영역으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의 특성과, 또 다른 터치전극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들이 배치된 영역으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의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더미라인(DL)들이 어느 하나의 터치전극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특히,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의 인셀타입 표시패널에서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는 공통전압 로드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터치전극들 간에 공통전압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전극들의 경계면에서 가로 딤(DIM)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더미라인(DL)이 두 개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터치전극들이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들에 대응되는 공통전압들 간에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1터치전극(TE1)이 24개의 게이트 라인들과 중첩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전극(TE1)의 하단에 배치된 제21게이트 라인 내지 제24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제21게이트 펄스 내지 제24게이트 펄스(GP21 to GP24)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치전극(TE1)의 상단에 배치된 제1게이트 라인 내지 제2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제1게이트 펄스 내지 제2게이트 펄스(GP01 to GP02)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전극(TE1)에 의해 커버되고 있는 상기 제1더미라인(DL1)들의 끝단들이 상기 제2터치전극(TE2)의 상단부에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전극(TE2)의 제1게이트 라인 내지 제2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제1게이트 펄스 내지 제2게이트 펄스(GP01 to GP02)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전압의 파형과, 제1터치전극(TE1)의 제21 게이트 펄스 내지 제24게이트 펄스(GP21 to GP24)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전압의 파형이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의 전체에서, 화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영역을 확대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K-K'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L-L'라인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7에서 TFT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은,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D1 to Dd),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G1 to Gg),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TE)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TL)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1 to Dd)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TL)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DL)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전극(TE)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G)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TL)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DL)들과 중첩된다.
상기 터치라인(TL)들은, 상기 터치전극(TE)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모두와 중첩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F) 중 제1터치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더미라인(DL)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 및 제2터치전극(TE2)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DL1)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2터치전극(TE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셀(P1)들은, 상기 제1더미라인(DL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상기 제1픽셀(P1)들은,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중첩되는 제1데이터 라인(D1)에 인접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픽셀(P1)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인접된다. 상기 제1더미라인(DL1)들 각각은, 상기 제1픽셀(P1)들 중,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인접되어 있는 제1픽셀(P1)들에 구비된 더미컨택부(R)들을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더미컨택부(R)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 6에서, 도면부호 111은 베이스기판이고, 112는 게이트 절연막이고, 113은 제1보호막이고, 114는 절연막이며, 115는 제2보호막이다.
상기 제2보호막(115)의 상단에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을 구성하는 제1터치전극부(TEP1) 및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와 연결된 연결부(CP)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는 상기 제1터치전극(TE)의 일부분이며, 상기 제1픽셀에 구비된다. 상기 제1픽셀(P1)에 구비된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와 픽셀전극(PE)에 의해 액정이 구동되어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에 의해 터치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픽셀전극(PE)은 상기 제1보호막(113)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컨택부(R)는 상기 제2보호막(115)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CP)와 상기 제1더미라인(DL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터치전극(TEP1)은 상기 더미컨택부(R)를 통해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연결된다.
상기 더미컨택부(R)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이 상기 더미컨택부(R)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든 게이트 라인들이 균등한 조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들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이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컨택부(R)의 구조는, 상기 터치컨택부(TP)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제1더미라인(DL1)이 상기 제1터치라인(TL1)인 경우, 상기 더미컨택부(R)는 상기 터치컨택부(TP)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 6에 도시된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에는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이 상기 제2보호막(115)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픽셀전극(PE)이 상기 제1보호막(113) 상단에 구비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100)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터치전극(TE1)이 상기 제1보호막(113)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픽셀전극(PE)이 상기 제2보호막(115) 상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더미라인(DL1)과 상기 연결부(CP)의 순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상기 제1픽셀(P1)의 하단에 배치된 제2픽셀(P2)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에 의해 커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픽셀(P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2터치전극부(TEP2)들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더미라인(DL1)의 일측 끝단은,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중첩되어 있으나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제1더미라인(DL1)의 끝단은, 상기 제1데이터 라인(DL1)에 인접된 제2픽셀(P2)들 중 일부와 인접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더미라인(DL1)은, 상기 제2픽셀(P2)들 중,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상기 제2터치전극(TE2)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픽셀(P2)에 인접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더미라인(DL1)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을 구성하는 제2터치전극부(TE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픽셀들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에 의해 커버되는 제2픽셀(P2)들이고, 상기 제2픽셀(P2)에 구비된 제2터치전극부(TEP2)는 상기 제2터치전극(TE2)을 구성하며, 상기 제1더미라인(DL1)은 상기 제2터치전극부(TE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서로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2터치전극부(TEP2)들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CP)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상기 연결부(CP)는 서로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2터치전극부(TEP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CP)에 의해 상기 제2터치전극부(TEP2)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 8에서, 도면부호 111은 베이스기판이고, 112는 게이트 절연막이고, 113은 제1보호막이고, 114는 절연막이며, 115는 제2보호막이다.
이 경우, 도 6과 비교할 때, 상기 연결부(CP)는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연결부(CP)가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중첩되어 있는 부분은 중첩부(U)라 한다. 도 7의 하단에 배치된 더미라인은, 상기 제2터치전극(TE2)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T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더미라인(DL3)을 나타낸다.
상기 중첩부(U)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이 상기 중첩부(U)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든 게이트 라인들이 균등한 조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들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이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더미라인(DL3)은,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3더미라인(DL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W는,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상기 제3더미라인(DL3)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W에는 상기 제1데이터 라인(D1)이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제1터치전극(TE)의 상단에 배치된 제1픽셀(P1)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전극(TE1)의 상단에는 상기 제3터치전극(TE3)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온 제2더미라인(DL2)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2더미라인(DL2)들 각각은 상기 제1데이터 라인(D1)에 중첩된다.
상기 제2더미라인(DL2)들 각각은, 상기 제1터치전극(TE2)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제1픽셀(P1)들 중, 상기 제1더미라인(DL1)과 인접되지 않는 제1픽셀(P1)들과 인접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더미라인(DL2)들은, 상기 제1픽셀(P1)들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부(TEP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더미라인(DL2)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프캡 방식 및 인셀타입을 이용하는 표시패널에서의 가로 딤 불량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셀프캡 방식, 인셀타입 및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표시패널에서의 가로 딤 불량이 개선될 수 있다.
가로 딤 불량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터치전극에만 연결된 더미라인이 두 개의 터치전극들에 중첩된다.
예를 들어, 제n터치전극에 연결되는 더미라인이, 제n+1터치전극에 중첩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중첩된다. 이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은, 상기 제n터치전극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n터치전극에 중첩되는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가 출력될 때(온 타이밍), 동일한 공통전압 리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서, 공통전압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인셀타입 표시패널 200 : 게이트 드라이버
300 : 구동 드라이버 400 : 제어 드라이버

Claims (8)

  1.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전극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들과 중첩되고,
    상기 터치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라인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모두와 중첩되고,
    상기 제1터치라인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더미라인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들로 상기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내장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에 대응되는 픽셀들 중, 상기 제1터치라인과 인접되어 있는 픽셀들 각각에서, 상기 제1터치라인은 상기 픽셀들 각각에 구비된 터치컨택부를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컨택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중첩되지 않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더미라인과 중첩되는 제1데이터 라인에 인접된 제1픽셀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더미라인과 인접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은 상기 제1더미라인과 중첩되어 있으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에 인접된 제2픽셀들 중 일부와, 상기 제1더미라인이 인접되고,
    상기 제1픽셀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에 대응되며,
    상기 제2픽셀들은 상기 제2터치전극에 대응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더미라인은, 상기 제1픽셀들 중, 상기 제1더미라인과 인접되어 있는 제1픽셀들에 구비된 더미컨택부들을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더미라인은, 상기 제2픽셀들 중,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픽셀에 인접되어 있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에는 제2더미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더미라인들 각각은 상기 제1데이터 라인에 중첩되며,
    상기 제2더미라인들 각각은 상기 제1픽셀들 중 상기 제1더미라인과 인접되지 않는 제1픽셀들과 인접되는 인셀타입 표시패널.
  8. 인셀타입 표시패널;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에 구비된 터치전극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하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터치 드라이버; 및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셀타입 표시패널은,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터치전극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터치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중첩되며, 상기 터치라인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더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전극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터치라인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더미라인들과 중첩되고,
    상기 터치라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라인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모두와 중첩되고,
    상기 제1터치라인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배치된 터치전극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더미라인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과 중첩되는 제1더미라인들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 중 상기 제1터치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셀타입 표시장치.
KR1020150170679A 2015-12-02 2015-12-02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KR10242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79A KR102424049B1 (ko) 2015-12-02 2015-12-02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79A KR102424049B1 (ko) 2015-12-02 2015-12-02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83A true KR20170064783A (ko) 2017-06-12
KR102424049B1 KR102424049B1 (ko) 2022-07-21

Family

ID=5921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79A KR102424049B1 (ko) 2015-12-02 2015-12-02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0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807A (zh) * 2018-04-12 2019-10-2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082231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햅틱 표시장치
CN112363636A (zh) * 2020-10-27 2021-0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39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73042A (ko) * 2013-12-20 201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39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73042A (ko) * 2013-12-20 201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807A (zh) * 2018-04-12 2019-10-2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0376807B (zh) * 2018-04-12 2022-07-2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082231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햅틱 표시장치
CN112363636A (zh) * 2020-10-27 2021-0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12363636B (zh) * 2020-10-27 202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049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262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333903A1 (en) Touch Display Apparatus
KR10157045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42177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having dummy electrodes
US9501191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65111B2 (en)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US898208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872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92620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touch sens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9927908B2 (en) In-cel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9575351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20140184543A1 (en)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466824B2 (en) Display panel having overlapping electrode line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82409B1 (ko) 표시 장치
KR102402395B1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94257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99529B (zh) 触摸显示装置及其触摸驱动方法
KR102151057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739744A (zh) 显示装置、该显示装置的驱动方法和驱动电路
US20150049061A1 (en) Inpu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424049B1 (ko)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KR102512496B1 (ko) 인셀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인셀타입 표시장치
KR101723879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364630B1 (ko) 터치표시장치
KR101688428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