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451A -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451A
KR20170064451A KR1020160002606A KR20160002606A KR20170064451A KR 20170064451 A KR20170064451 A KR 20170064451A KR 1020160002606 A KR1020160002606 A KR 1020160002606A KR 20160002606 A KR20160002606 A KR 20160002606A KR 20170064451 A KR20170064451 A KR 2017006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bottom portion
side wall
food p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카코 아오마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4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2581/3439Means for affecting the heating or cooking properties
    • B65D2581/3455Packages having means for improving the internal circulation of air
    • B65D2581/3456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 a distance from the base of the package, e.g. raised islands or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가열 불균일을 억제함과 함께,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식품 보존용 용기 (1) 는, 바닥부 (2) 와 바닥부 (2) 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부 (3) 와, 측벽부 (3) 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4) 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체이다. 바닥부 (2) 는, 액 고이개가 되는 복수의 오목부 (21) 와, 인접하는 오목부 (21)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 (22) 를 갖는다. 측벽부 (3) 는, 용기 (1) 의 플랜지부 (4) 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유로 (31) 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31) 는, 측벽부 (3) 가 융기된 볼록상의 능선부 (3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 (3) 에 있어서 홈상으로 형성된다.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To provide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which suppresses uneven heating and does not deteriorate the texture and taste of food when microwaves are heated in refrigeration or cryopreserved foods.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comprises a side wall part (3) surrounding four sides of a bottom part (2) and a bottom part (2), a flange part (4)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3) Shaped box-shaped body having an open top. The bottom portion 2 ha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1 and a convex portion 22 formed between the adjacent concave portions 21. The concave portion 21 has a convex portion 22, A plurality of flow paths 31 ar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3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ange portion 4 of the container 1 toward the bottom portion 2. The flow path 31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ridgelines 32 in which the side wall portion 3 rises an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e side wall portion 3. [

Description

식품 보존용 용기{CONTAINER FOR PRESERVING FOOD}[0001]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0002]

본 발명은, 식품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데에 적합한 합성 수지제의 식품 보존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made of synthetic resin which is capable of preserving food and is suitable for microwave heating.

식품을 단기 또는 장기 보존하는 방법으로는, 냉장 보존이나 냉동 보존이 잘 알려져 있다. 그 때의 식품의 간편한 수납 방법으로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가 있는 용기에 수납하여 보존하는 방법, 접시에 올려놓은 식품의 위에서부터 랩하여 보존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는 식품의 건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 (食味) 가 크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As a method of short-term or long-term preservation of food, refrigeration preservation and cryopreservation are well known. Examples of convenient methods of storing food at that time include a method of storing the food in a container having a lid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 method of wrapping and storing the food placed on the plate, and the like. However, these methods can not sufficiently suppress the drying of the foo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texture and the taste of the food are largely damaged.

또,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먹는 경우에는, 식품을 데우는 경우는 자주 있으며, 데우는 방법으로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한 마이크로파 가열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데우면, 가열되기 쉬운 부분과 잘 가열되지 않는 부분이 혼재하여, 식품 중에 가열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가열 불균일은 물 (5 ℃) 의 유도 손실 계수 (전파 에너지가 흡수되어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 가 5 ∼ 15 인 것에 비해, 얼음 (-12 ℃) 의 유도 손실 계수는 0.003 이 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가 언 부분보다 녹은 부분에 많이 흡수되고, 온도차가 벌어지는 것에 주로 기인한다.In the case of eating foods refrigerated or cryopreserved, the food is often heated, and microwave heating using a microwave oven is generally performed as a heating method. However, when the food preserved by refrigeration or cryopreserved is heated by microwave heating, the portion which is easily heated and the portion which is not heated well are mixed, and heating unevenness sometimes occurs in the food. Since the inductance loss coefficient of ice (-12 DEG C) is 0.003, while the inductance loss coefficient of water (5 DEG C) is 5 to 15, Is mainly absorbed in the melted portion than in the frozen portion, and is mainly caused by a temperature difference.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예로서 취반미 (炊飯米) 를 들 수 있다. 취반미의 경우, 냉장 보존하면 식미가 손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냉동 보존이 추장된다.An example of microwave heating of foods refrigerated or stored frozen is rice cooked rice. In the case of pickled rice, it is known that when preserved in a refrigerator, the graininess is damaged, generally frozen storage is recommended.

그러나 냉동 보존한 취반미를 용기에 봉입하여 냉동시키면, 증발된 수분이 차가워져 응결되고,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모인다. 이 상태 그대로 마이크로파 가열하면, 바닥부의 취반미가 그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취반미의 식감, 식미 등이 크게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when frozen and preserved scalded rice is sealed in a container and frozen, the evaporated moisture becomes cold and coagulates and collects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When microwaves are heated in this state, the moisture of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is absorbed, so that the texture, the taste, and the lik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oom may be significantly damaged.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기의 형상을 연구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용기 바닥부에 상하로 돌출되는 모퉁이를 갖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용기 바닥부에 그 볼록부로 둘러싸인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모퉁이를 갖는 볼록부에 마이크로파를 집중시켜, 가열 불균일을 일으키지 않는 마이크로파 조리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technique of studying the shape of a container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convex portion having corners project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a container, and a plane surrounded by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By microwaving the convex portion having corners, There has been proposed a container for microwave cooking which does not cause unevenness.

또, 비특허문헌 1 에서는, 용기의 내측 바닥부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열 불균일을 개선한 식품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2 에서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구멍을 뚫은 내용기를 형성하여, 이중 구조로 한 취반미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Non-Patent Document 1 proposes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in which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to improve heating unevenness. In addition, in Non-Patent Document 2, a container for holding a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by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hole in the container body is proposed.

특허문헌 2 에서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공간을 구비하고, 취반미와 수분을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취반미 보존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proposes a container for holding a container which is provided with a holding space for holding water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capable of separating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1559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1559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467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304670

「키친토상 밥 냉동 보존 용기」, 제품 정보, [online], 주식회사 쿠레하, [2013년 11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kurelife.jp/products/ricecontainer/>"KITCHEN TOESAN Rice Cryopreservation Container", product information, [online], Kureha Co., Ltd. [search on November 30, 2013], Internet <URL: http://kurelife.jp/products/ricecontainer/> 「절품 밥 보존」제품 정보, [online], 에비스 주식회사 홈페이지, [2013년 11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www.ebisu-grp.co.jp/products/frozen-storage.html>[Product], [online], Ebisu Corporation homepage, [Search November 30, 2013], Internet <URL: http://www.ebisu-grp.co.jp/products/frozen-storage. html>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간편하게 데워서 먹는다는 행위는 일반 가정 중에서 일상적인 것이고, 재가열한 식품도 맛있게 먹고싶다는 소비자의 요망은 높아지고 있어, 보존하는 과정 및 재가열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 등을 잃어버리게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Consumers demanding that foods that are preserved in refrigeration or cryopreserved are easily heated by microwave heating and are eaten and consumed in everyday households, and consumers who want to eat reheated foods are getting more and more demanded.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reduce irregularity and not lose the texture and the taste of food.

상기 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용기의 형상에서는, 마이크로파 가열시의 가열 불균일을 개선하고 있지만, 냉동 보존에 의해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이 가열에 의해 용해되고, 식품에 흡수됨으로써 식감이나 식미가 상실되는 점은 과제로서 남는다.Although the shape of the contain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Non-Patent Document 1 improves heating unevenness upon microwave heating, the moisture condens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dissolved by heating and is absorbed by the food by cryopreservation, The point of loss of taste or food remains as a task.

또 상기 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용기의 형상에서는, 마이크로파 가열시의 가열 불균일의 개선에 더하여,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을 식품과 분리할 수 있지만, 용기 본체의 크기에 비해, 내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식품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냉동고 내에서 부피가 커지고, 사용 후에 세정하기 어렵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동일 용기를 포갤 수 없어 수납성이 나쁜 것 등의 다른 과제가 존재한다. 또한, 내용기를 형성하는 구조로 인해 고비용인 점도 단점이다.In addition, 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nd Non-Patent Document 2, in addition to improvement in uneven heating during microwave heating, moisture condens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oo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food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ntent container is small, the volume becomes large in the freezer, it is difficult to clean after use, and the container can not be packed when not in use. In addition, it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expensive due to the structure for forming the content container.

또한, 상기 과제는, 취반미의 보존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식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냉동 슈마이나 냉동 야채, 냉동 타코야끼와 같은 냉동 식품을 용기에 넣고,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해동, 가열하는 경우에도 가열 불균일이 발생하는 과제, 용기 바닥부에 응결된 수분을 식품이 흡수하여,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킨다는 과제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preserving the taste of rice, but is also applicable to other foods. For example, even when frozen foods such as frozen shumas, frozen vegetables, and frozen takoyaki are put into a container and thawed and heated by microwave heating, there is a problem that heating unevenness occurs, the food absorbs moisture condens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xture and the taste of food are damaged.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억제함과 함께, 식품의 식감이나 식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which suppresses uneven heating of foods and does not deteriorate the texture and taste of food when microwaves are heated in refrigeration-preserved or cryopreserved foods .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수증기의 응집 전열 효과에 착안하여, 용기 바닥면 및 벽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나아가 용기 전체의 오목부를 잇는 구조로 함으로써, 마이크로파 가열시에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용기 전체에 순환시켜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킴과 함께, 보존 중이나 재가열 중에 발생한 응결수를, 용기 바닥부에 있어서 식품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d on the effect of coagulation and heat transfer of steam to form recesses and protrusions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food can be circulated throughout the container to reduce the heating unevenness 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storage or reheating can be separated from the foo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1] 바닥부와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구된 식품 보존용 용기로서, 상기 측벽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기체 또는 액체가 순환하거나 또는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형성된 식품 보존용 용기.[1]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wherein a gas or liquid flow path is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Wherein the gas or liquid flowing through the channel circulates or stays.

[2] 상기 유로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형성된 홈상인 상기 [1] 의 식품 보존 용기.[2]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1], wherein the flow path is a groove shape formed toward the bottom portion.

[3]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점 간 거리가 1 ∼ 9 ㎜ 인 상기 [2] 의 식품 보존용 용기.[3]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2] above, wherein a distance between normal points of the proje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s 1 to 9 mm.

[4]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1 ∼ 3 ㎜ 인 상기 [3] 의 식품 보존용 용기.[4]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3], wherein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1 to 3 mm.

[5]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의 체적은 상기 바닥부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인 상기 [3] 또는 [4] 의 식품 보존용 용기.[5] The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according to [3] or [4], wherein the concave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has a volume of 1 to 25 cm 3 per 100 cm 2 of the projected area of the bottom.

[6] 상기 바닥면의 표면적은 바닥면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상기 [3] ∼ [5] 중 어느 하나의 식품 보존용 용기.[6]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3] to [5], wherein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is at least 1.5 times the projected area of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 보존 또는 냉동 보존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경우에,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저감시키고, 또한 용기 바닥부에서 응결된 물을 식품과 분리함으로써 식감이나 식미가 손상되지 않는 식품 보존용 용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heating unevenness of food when microwaved food is stored in refrigeration or cryopreserved food, and also to separate food from the foo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prevent food and / You can get a contain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A-A' 의 단면 (端面)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 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의 모식도 (세로 홈상) 이다.
도 13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 또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관통 줄눈상) 이다.
도 14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유로 및 능선부 또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말타기 줄눈상) 이다.
도 15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사반 (四半) 줄눈상) 이다.
도 1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위커워크상) 이다.
도 17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바구니상) 이다.
도 18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모식도 (3 단 체크무늬상) 이다.
도 19 는 비교예 2 에 관련된 식품 보존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d view of AA 'i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view (vertical groove shape) of a channel and a ridge line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Fig. 13 is a schematic view (through-joint) of a channel, a ridge portion,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schematic view (horse riding joint) of a channel, a ridge portion,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quadrant) of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6 is a schematic view (on a wicker workpiece) of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7 is a schematic view (basket) of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Fig. 18 is a schematic view of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ree-stage checkered pattern). Fig.
19 is a plan view of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Fig.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본 실시형태」라고 한다.)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present embodiment &qu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식품 보존용 용기 (1) (이하, 간단히「용기 (1)」라고 한다.) 는, 주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도 1 내지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2) 와 바닥부 (2) 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부 (3) 와, 측벽부 (3) 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4) 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체이다.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quot; container 1 &quot;) is a container made mainly of a synthetic resin and has a bottom part 2 and a bottom part 2 And a flange 4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3. The box-like body is an upper portion opened.

바닥부 (2) 는, 특히 도 4 의 A-A 단면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기체 또는 액체가 순환하거나 또는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되는 복수의 오목부 (21) 와, 인접하는 오목부 (21)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 (22) 를 갖는다. 오목부 (21) 는,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상이고, 전체적으로 구상 (球狀) 을 이루고, 볼록부 (22) 는,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상이고,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상을 이룬다. 또, 바닥부 (2) 는, 도 1 및 도 4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용기 (1) 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바닥부 (2) 의 면이 솟아오른 단차부 (23) 를 2 개 구비한다.As is apparent from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the bottom portion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ss portions 21, which are circulating or retentive portions in which the gas or liquid circulates or stays, And has a convex portion 22.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cave portion 21 is semicircular in cross section and has a spherical shape as a whole, and the convex portion 22 is formed in a plane It is a bore square shape, and its cross section is approximately trapezoidal. 1 and 4, the bottom portion 2 is provided with two step portions 23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 in which th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 rises.

측벽부 (3)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1) 의 플랜지부 (4) 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유로 (31) 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31) 는, 측벽부 (3) 가 융기된 볼록상의 능선부 (3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 (3) 에 있어서 홈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ide wall portion 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ow paths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ange portion 4 of the container 1 toward the bottom portion 2. The flow path 31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ridgelines 32 in which the side wall portion 3 rises an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e side wall portion 3.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를 흐르는 액체는,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를 향하고, 오목부 (21) 에 체류됨과 동시에, 용기 (1) 내에 발생한 수증기 등의 기체는 측벽부 (3) 의 유로 (31) 로부터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를 향하고, 오목부 (21) 에 흘러들어, 순환할 수 있는 순환 체류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유로 (31) 와 오목부 (21) 는, 유로로서 접속된 관계에 있다.The liq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31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3 is directed toward the recess portion 21 of the bottom portion 2 and stays in the recess portion 21 and at the same time, Is configured as a circulating part capable of flowing from the flow path 31 of the side wall part 3 toward the concave part 21 of the bottom part 2 and flowing into the concave part 21 to be circulated. In other words, the flow path 31 and the recessed portion 21 are connected as a flow path.

여기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1 ∼ 9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취반한 쌀알이 오목부 (21) 에 잘 끼이지 않아, 사용 후의 세정도 용이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2 ∼ 5 ㎜ 이다.Here, as shown in Fig. 5, the normal 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preferably 1 to 9 mm. Within this range, the cooked rice grains do not stick well to the concave portion 21, and cleaning after use is easy. More preferably, the normal 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s 2 to 5 mm.

또한,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는, 이웃하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끼리의 거리를 측정한 수치이다. 여기서, 볼록부 (22) 의 정상점이란, 볼록부 (22) 의 단면 형상이 원호상이나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 그 높이가 극대가 되는 부분을 갖는 경우에는 그 극대점 간의 거리를 의미하고, 사각형, 육각형 등, 극대점을 갖지 않고 평탄부가 되는 경우에는 평탄부 중앙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The normal 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s a numerical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ormal points of the neighboring convex portions 22. Here, the steepest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means a distance between the maximum points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2 has a portion having a maximum height such as an arc shape, a triangle, or a pentagon, Or the lik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lat part when the flat part is not provided.

또,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1 ∼ 3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 (H) 가 1 ㎜ 이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취반미를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했을 때에 결로되는 수분을 충분히 오목부 (21) 에 수용할 수 있고, 용기 (1) 의 바닥부 (2) 의 취반미에 잘 흡수되지 않아,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깊이 (H) 가 3.0 ㎜ 이하이면, 스펀지나 자동 식기 세정기에 의한 세정으로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고, 취반미와 냉동고 사이의 공간 (단열층) 이 적당하고, 전분 노화 온도역 (0 ∼ 10 ℃) 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아져, 취반미의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1 ∼ 2 ㎜ 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is 1 to 3 mm. When the depth H is 1 mm or more, for example, moisture condensed when heated by a microwave can sufficiently be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21, It is not well absorbed by the smell and can keep the food and texture good. On the other hand, if the depth H is 3.0 mm or less, it is possible to cleanly clean by a cleaning with a sponge or an automatic dishwasher, and a space (heat insulating layer) Lt; 0 &gt; C) is shortened, so that the texture and texture of the sample can be satisfactorily maintained. More preferably,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s 1 to 2 mm.

또한, 오목부 (21) 의 깊이 (H) 는, 볼록부 (22) 의 정상점과 인접하는 오목부 (21) 의 최심점의 고저차를 말한다.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refers to a difference in elevation of the deepest point of the concave portion 21 adjacent to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 (V) 은, 바닥부 (2) 전체를 평면에서 볼 때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취반미를 마이크로파 가열했을 때에 응결되는 수분을 이 공간에 수용하기 쉽고, 공간으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오지 않아, 취반미의 바닥부에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식미나 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volume V of the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bottom portion 2 is preferably 1 to 25 cm 3 per 100 cm 2 of the projected area as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entire bottom portion 2. With this range, moisture condensed when microwaves are heated by microwaves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is space, moisture does not flow out from the space, and the microwaves do not touch the bottom of the microwave oven. .

여기서, 공간의 체적 (V) 은, 오목부 (21) 가 순환 체류부로서 기능하는, 요컨대, 액체가 모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도 7 내지 도 9 에 3 개의 패턴으로서 나타내는 것 중, 사선으로 표시한 영역이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사선부의 체적의 합계가 여기서 말하는 체적 (V) 이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오목부 (21) 와 볼록부 (22) 에 의해, 균등하게 액 고이개가 형성되는 패턴, 도 8 에 나타내는, 볼록부 (22) 정상점의 높이가 상이하고, 공간의 높이가 오목부 (21) 의 지점에 따라 상이한 패턴, 도 9 에 나타내는,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가 중앙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앙을 향함에 따라 볼록부 (22) 정상점의 높이가 낮아짐과 함께, 오목부 (21) 의 바닥부도 낮아지고, 그것에 수반하여 액 고이개로서의 오목부 (2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도 변화되는 패턴이다.Here, the volume V of the space means a reg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21 functions as a circulating retention portion, that is, a region where the liquid can gather. That is, of the three patterns shown in Figs. 7 to 9, the hatched area is a space formed by the recesses 21, and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oblique lines is the volume (V) referred to herein. A pattern in which the droplets are uniformly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1 and the convex portion 22 shown in Fig. 7, the height of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shown in Fig. 8 is different, A concave portion 21 and a convex portion 22 shown in Fig. 9 are formed at an oblique angle toward the center depending on the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convex portion 22,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21 is also lowered and the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1 as the liquid level is also changed.

바닥부 (2) 의 표면적, 즉, 바닥부 (2) 의 오목부 (21) 의 면적과, 볼록부 (22) 의 표면적의 합은, 바닥부 (2) 전체의 평면에서 볼 때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5 배 이상이면, 식품을 용기 (1) 내부에 넣었을 때에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대한 부착 면적이 작아지고, 내용물의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대한 부착이 경감되어 내용물을 꺼내기 쉽다.The sum of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part 2, that is, the area of the concave part 21 of the bottom part 2 and the surface area of the convex part 22 is the sum of the projected area Preferably 1.5 times or more than The attachment area of the container 1 to the bottom 2 of the container 1 is reduced when the food is placed inside the container 1 and the attachment of the contents to the bottom 2 of the container 1 is reduced It is easy to take out the contents.

용기 (1) 의 높이 (1L) (도 3 참조) 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식품, 예를 들어 취반미 등을 넣어 보존할 수 있는 최저한의 높이이면 되는데, 20 ∼ 150 ㎜ 이면,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의 효율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용기 (1) 의 바닥부 (2) 및 개구의 면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닥부 (2) 의 길이 방향 길이가 300 ㎜ 이하이면, 가정용 냉장고나 식기 선반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height (1L) (see Fig. 3) of the container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minimum height that can be stored by putting foods such as bobbin or the like. If the height is 20 to 150 mm, Is preferable because of its high efficiency. The area of the bottom 2 and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2 is 300 mm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2 is housed in a household refrigerator or a shelf So that it is preferabl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1)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제이면, 냉장, 냉동 보존을 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수지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폴리스티렌, 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합성 수지 재료는 단일이어도 되고 복수의 조합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내열성, 내한성, 성형 가공성, 비용 면에서 우수하여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1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If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it can be refrigerated, frozen and preserv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heat microwaves as it is.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polystyrene, crystalli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chloride, polycarbonate, .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a single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erials. Among them, polypropylene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molding processability, and cost.

또, 용기 (1) 의 성형 가공법은 주지의 기법을 사용하면 되고, 예를 들어 열 성형, 사출 성형, 진공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 가공하는 경우, 성형 전의 시트 두께는 0.8 ∼ 2.5 ㎜ 이면 열전도성을 유지하고, 또한 수분 배리어성, 악취 배리어성을 충분히 가지므로, 수용한 식품의 건조나 냉동취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molding process of the container 1 may be carried out by well-known techniques, for example, thermoforming, injection molding, or vacuum molding. In the case of molding by a vacuum forming method, the sheet thickness before molding is 0.8 to 2.5 mm to maintain thermal conductivity, and sufficient moisture barrier property and bad odor barrier property, so that drying of the stored food or adherence of frozen food is prevented It is preferable.

여기서, 도 6 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형상으로는 정방형상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방형, 마름모꼴, 삼각형, 다각형 등의 기하 모양뿐만 아니라, 별형, 하트형, 가마니형, 다이아몬드형 등의 의장성을 포함하는 형상 등을 들 수 있으며, 단일 형상, 또는 복수 종류의 형상을 동시에 사용해도 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6,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has a squar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 For example, a geometric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diamond, a triangle, and a polygon, as well as a shape including a star, a heart, a bamboo, a diamond, A plurality of types of shape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또, 바닥부 (2) 에 형성된 볼록부 (22) 단면의 형상도, 도 5 에 나타낸 양태 외에, 동일하게 임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모두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 (1) 내에 수용하는 식품, 특히 취반미의 바닥부 (2) 에 대한 밀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볼록부 (22) 는,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vex portion 22 formed on the bottom 2 can be arbitrarily selected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 5,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0 and 11, Both the portion 21 and the convex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 22 is circular, triangular or square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held in the container 1, particularly the bottom 2 of the wearer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및 능선부 (32) 의 형상으로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용기 (1) 전체에 대한 수증기의 순환을 촉진하는 이유로 벽면에 설치된 유로 (31) 가 플랜지부 (4) 측으로부터 바닥부 (2) 를 향해 일련의 흐름을 형성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유로 (31) 를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2 ∼ 15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홈상, 관통 줄눈상, 말타기 줄눈상, 사반 줄눈상을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flow path 31 and the ridge line portion 32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3 can be variously considered. However, for the reason of promoting the circulation of water vapor over the entire container 1, Is a shape that forms a series of flows from the side of the flange portion 4 toward the bottom portion 2. For this reason, the shape of the channel 31 seen from the front is, for example,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s. 12 to 15, such as a vertical groove, a through-hole, a horse ridge, .

바닥부 (2) 에 설치된 볼록부 (22) 는, 바닥부 (2)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의 배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오목부 (21) 가 형성하는 공간이 일련으로 이어져 있는 구조이면, 수증기를 용기 전체에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다른 양태로서, 예를 들어 도 13 ∼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관통 줄눈상, 말타기 줄눈상, 사반 줄눈상, 위커워크상, 바구니상, 3 단 체크무늬상 등을 들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22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2 are independently arrang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 The arrangement method at this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 formed by the recesses 21 is connected in series is preferable because water vapor can be circulated throughout the container. As another example of such a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3 to 18, a through-hole joint, a horse-joint joint joint, a quadruple joint joint, a wickerwork joint, a basket joint, .

또한, 도 1 및 도 4 를 사용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1) 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바닥부 (2) 의 면이 솟아오른 단차부 (23) 를 형성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과제의 해결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용기 (1) 의 바닥부 (2) 의 일부 또는 복수 부분을 내용물측으로 융기시키는 단차부 (23)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 외에, 소쿠리, 증기 밸브, 배수 마개, 수분 흡수층, 내부 덮개 등의 부자재를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step portion 23 rising on the side of the bottom portion 2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step portion 23 for elevating a part or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o the contents side within a range not hindering the solution. In addition to the container main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ubsidiary material such as a colander, a steam valve, a drain plug, a water absorbing layer, and an inner lid can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용기 (1)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식품, 예를 들어 취반미 등을 넣어 보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정방형, 장방형, 원형, 타원형, 그릇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용기 (1) 에 조합하는 덮개는, 용기 (1) 의 플랜지부 (4) 와 끼워맞췄을 때에 적당한 밀폐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능한 한 용기 (1)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에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고, 또 용기 (1) 가 옆으로 쓰러졌을 때에 용기의 내용물의 누설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shape such as a square, a rectangle, a circle, an ellipse, a bowl, or the like as long as the shape can store foo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to be combined with the container 1 has adequate hermeticity when it is fitted into the flange portion 4 of the container 1. [ As a result, air outside the container 1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ntainer as much as possible, and leakage o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container 1 falls sideways.

실시예 1Example 1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준비한 식품 보존용 용기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as follows.

폴리프로필렌제 시트 (두께 1.2 ㎜) 를 진공 성형법에 의해,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였다.A food preserving container 1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s. 1 to 3 was produced by vacuum-forming a polypropylene sheet (thickness: 1.2 mm).

얻어진 식품 보존용 용기 (1) 의 각 치수는 표 1 에 기재하였다. 치수의 측정법은 하기와 같다.The dimensions of the obtained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are shown in Table 1.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dimension is as follows.

<정상점 간 거리의 측정>&Lt; Measurement of distance between normal points >

정상점 간 거리 (L) (도 5 참조) 의 측정은 상기 정상점 중, 이웃하는 정상점을 2 개 이상 포함하도록 가리키는 소형 커터로 1 ㎜ 두께의 절편을 작성하고, 그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했을 때에 이웃하는 정상점끼리의 거리를 측정하였다.The measurement of the normal point distance L (see FIG. 5) is performed by making a 1 mm thick slice with a small cutter pointing out to include two or more neighboring normal points among the normal points and observing the cross section with a microscope The distances between neighboring normal points were measured.

<오목부의 깊이의 측정>&Lt; Measurement of Depth of Depression &

오목부 (21) 의 깊이 (H) (도 5 참조) 는, 정상점 간 거리 (L) 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성한 절편의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했을 때에 볼록부 (22) 의 정상점과, 이 볼록부 (22) 와 이웃하는 오목부 (21) 의 가장 깊이 방향으로 패인 부분의 고저차를 측정하였다.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refer to FIG. 5) is the sum of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and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prepared section is observed by a microscope in the same manner as the measurement of the normal- , And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depressed port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21 adjacent to the convex portion 22 was measured.

<투영 면적의 계산 방법><Calculation Method of Projected Area>

투영 면적은, 용기 (1) 의 바닥면 투영도의 바닥부 (2) 의 폭 방향 길이 및 길이 방향 길이의 실측 치수를 노니우스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것들을 곱함으로써 산출하였다.The projected area was calculated by measuring an actual dimension of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bottom surface projection of the container 1 using a nonius and multiplying them.

<바닥부와 바닥부에 설치된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의 계산 방법>&Lt; Calculation method of the volume of the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

볼록부 (22) 의 정상점 거리의 측정 및 오목부 (21) 의 깊이 (H) 의 측정에 의해 측정한 정상점 간 거리 (L) 및 오목부 (21) 의 깊이 (H) 의 측정 결과로부터 산출하였다.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normal point distance L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measured by measuring the normal point distance of the convex portion 22 and measuring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Respectively.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취반미의 조제법,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ample used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미반 (米飯) 의 조제법><Preparations of rice>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사용하여, 이하의 순서 (1) ∼ (5) 에 의해 보존 미반을 조제하였다.(1) to (5) using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1) 취반 : 미에현산 코시히카리 무세미 (無洗米) 600 g 에 수돗물 798 g (무세미 중량의 1.33 배) 을 IH 전기밥솥 (조지루시 제조) 의 무세미 코스를 선택하여 취반하였다.(1) Cooking: 798 g of tap water (1.33 times of weightlessness) was added to 600 g of Koshihikari mushroom from Mie Prefecture, and the dish was cooked with the IH rice cooker (manufactured by George Lucy) selected.

(2) 충전 : (1) 의 방법으로 취반 후, 즉시 솥 안의 취반미가 균일해지도록 주걱으로 잘 섞고, 그 중 180 g 을 식품 보존 용기에 용기 내부의 취반미가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충전하고, 용기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덮개를 사용하여 밀폐하였다.(2) Charging: After cooking, immediately mix with a spatula so that the inside of the pot is homogenized uniformly. 180 g of the mixture is charged into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uniform in thickness , And the container was sealed with a cov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aling the container.

(3) 방랭 : 밀폐 후의 취반미를 실온 (23 ℃) 에서 30 분 방랭하였다.(3) Rinsing: The rinsed rice after sealing was allowed to cool at room temperature (23 DEG C) for 30 minutes.

(4) 냉동 : 용기 내의 취반미가 60 ℃ 이하가 된 것을 확인 후, 냉장고 (히타치 RG5700G) 의 냉동실 내에서 18 시간 냉동 보존하였다.(4) Freezing: After confirming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as below 60 캜, it was stored frozen for 18 hours in a freezer of a refrigerator (Hitachi RG5700G).

(5) 재가열 : 이상의 수법으로 냉동시킨 냉동미를 전자레인지 (SHARP 사 제조 RE-26A) 를 출력 500 W 로 설정하고, 3 분간 가열하였다.(5) Reheating: The microwave oven (RE-26A manufactured by SHARP Co., Ltd.), which was frozen by the above method, was heated at 500 W for 3 minutes.

<냉동 보존 후의 미반 식미의 관능 시험>&Lt; Sensory test for unpleasant taste after cryopreservation >

20 대 ∼ 50 대의 주부 100 명에 의해 미반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미반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내어 두께 방향에서 2 분할하고, 충전 방향의 상반부에 상당하는 상부와 하반부에 상당하는 하부로 나누었다.The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100 housewives in their 20s and 50s. The fine granules prepared by the above-mentioned preparation method were taken out and were divided into two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half of the filling direction.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상부와 하부 각각의 미반에 대해, 입자감 (입자를 인식할 수 있는 느낌), 폭신감 (쌀 중앙부의 부드러움), 점성 (쌀 중앙부의 부드러움), 경도, 바람직한 정도에 대해, 취반 후 1 시간 이내의 갓 지은 취반미를 5 점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1 점 ∼ 5 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2 에 나타낸다.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graininess (sense of recognizing particles), the feeling of softness (softness at the center of the rice), viscosity (softness at the center of the rice) , 5 points of freshly cooked rice cooked within 1 hour after cooking, and evaluated as 1 point to 5 points based on this value.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2.

[평가][evaluation]

100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average value of the evaluations of 100 panelists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4 점 ≤ 평균값 ≤ 5 점?: 4 points? Average value? 5 points

○ : 3 점 ≤ 평균값 < 4 점?: 3 points? Average value <4 points

△ : 2 점 ≤ 평균값 < 3 점?: 2 points? Average value <3 points

× : 1 점 ≤ 평균값 < 2 점×: 1 point ≤ average value <2 points

<용기 바닥부의 미반의 수분율 측정법과 평가법>&Lt;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of container &lt;

상기 방법으로 조제한 미반을 꺼내고, 충전 방향 상의 바닥 부분 표면부의 쌀알 2.0 g, 상기 방법으로 취반한 취반 후 5 분 이내의 갓 지은 취반미 2.0 g 을 채취하고, 각각 가열 건조식 수분계 (A and D 사 MS-70) 를 급속 모드로, 시료 접시 온도 140 ℃, 측정 정밀도 MID. 모드, 종료 조건 0.10 %/min 으로 설정하고, 수분율을 측정하여, 하기 식 (1) 에 의해 보존 미반의 수분율 변화량을 구하였다.2.0 g of rice bran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n the filling direction and 2.0 g of freshly ground rice bran in 5 minutes after the rice cook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were taken out and were placed in a heating dry type moisture meter MS-70) in rapid mode, sample plate temperature 140 ° C, measurement accuracy MID. Mode and an ending condition of 0.10% / min,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isture content which was not stored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수분율 변화량 (바닥부) = 수분율 측정값 (바닥부) - 수분율 측정값 (갓 지은 것) … (1)Moisture content change (bottom) = Moisture content (bottom) - Moisture content (freshly prepared) ... (One)

보존 미반의 수분율이 갓 지은 취반미에 가까운 경우에는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고,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는 경우에는 갓 지은 취반미보다 건조하여, 딱딱한 미반이 된다. 반대로 수분율 변화량 > 0 이 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과다하여, 끈적한 미반이 된다.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unrecovered water is close to the fresh water, the amount of change in moisture percentage is approximately 0, and when the moisture percentage change amount is less than 0, the dried water is dry than the freshly wiped unbleached rice and becomes h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nge in the water content is> 0, the water becomes excessive and becomes sticky.

[평가][evaluation]

상기 수분율 변화량의 절대값으로 평가하였다. 또한『|수분율 변화량|』이란 수분율 변화량의 절대값을 의미한다.Was evaluated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 in the moisture percentage. The &quot; | moisture change amount | &quot; means the absolute value of the moisture change amount.

◎ : 0 ≤|수분율 변화량|< 2?: 0? | Moisture content change amount | <2

○ : 2 ≤|수분율 변화량|< 3?: 2? | Moisture content change amount | <3

△ : 3 ≤|수분율 변화량|< 5?: 3? | Change in moisture content | 5

× : 5 ≤|수분율 변화량|×: 5 ≦ | Moisture content change amount |

<가열 불균일의 평가법>&Lt; Evaluation method of heating unevenness &

가열 불균일은 요오드 전분 반응을 사용한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Heating unevenness was evaluated by a method using an iodine starch reaction.

전분풀 50 g 을 수돗물 150 g 에 용해한 풀물을 조제하였다. 이 풀물 중 40 g 을 상기의 미반 조제법 (1) 에 의해 조제한 취반미 200 g 을 첨가하여 잘 저어서 섞고, 취반미의 입자가 풀물로 균일하게 코팅된 상태로 하였다. 여기에 요오드 용액 4.0 g 을 적하하고, 취반미 전체가 균일한 보라색이 될 때까지 잘 저어서 섞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보라색의 미반 중 180 g 을 상기의 미반 조제법 (2)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품 보존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미반 조제법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냉동 보존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냉동미를 출력 500 W 로 설정한 상기의 전자레인지로 2 분 30 초간 가열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식품 보존용 용기 (1) 로부터 꺼내고, 보라색의 정색 (呈色) 반응이 소실되고, 하얗게 된 부분의 중량의 비율을 하기 식 (2) 로 산출하여, 이것을 가열 불균일로 하였다.50 g of starch paste was dissolved in 150 g of tap water to prepare a swell. 40 g of the herbs were added to 200 g of the sample prepared by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1), and the mixture was thoroughly stirred and uniformly coated with swollen particles. To this was added 4.0 g of the iodine solution, and the mixture was thoroughly stirred and mixed until the whole of the impregnated rice became a uniform purple. 180 g of a purple dy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charged in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eparation methods (2) and (3) and stored froze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eparation method (4). The frozen ric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heated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by the above microwave oven set to an output of 500 W. [ The crud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taken out from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and the purple color reaction was lost and the ratio of the weight of the whitened portion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Respectively.

가열 불균일 = (미반의 흰 부분의 중량 (g)/180 g) × 100 … (2)Heating unevenness = (weight of white part (g) / 180 g) (2)

[평가][evaluation]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 가열 불균일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heating unevenness calculated by the above method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 75 < 가열 불균일 ≤ 100?: 75 <heating unevenness? 100

○ : 50 < 가열 불균일 ≤ 75?: 50 <heating unevenness? 75

△ : 25 < 가열 불균일 ≤ 50?: 25 <heating unevenness? 50

× : 0 ≤ 가열 불균일 ≤ 25×: 0 ≦ heating unevenness ≦ 25

<전분 부착도>&Lt; Starch adhesion degree &

상기의 미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낸 후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에 요오드 용액을 수돗물로 30 배로 희석시킨 것을 용기 전체에 적하하고, 요오드 전분 반응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된 면적을 화상 해석에 의해 측정하고, 정색 반응이 있었던 면적의 비율을 하기 식 (3) 으로 산출하여, 이것을 전분 부착도로 하였다.The iodine solution diluted 30 times with tap water was dropped into the food preservation container 1 after taking out the prepared preparation by the above poor preparation method, and the area discolored into purple by the iodine starch reaction was analyzed by image analysis , And the ratio of the area where the color reaction occurred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and this was taken as the starch adhesion ratio.

전분 부착도 = (정색부 면적/바닥면 투영 면적) × 100 … (3)Starch adhesion degree = (area of colored area / projected area of bottom surface) x 100 ... (3)

[평가][evaluation]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 전분 부착도에 대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degree of starch adhesion calculated by the above metho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0 ≤ 전분 부착도 < 25⊚: 0 전 starch adhesion degree <25

○ : 25 ≤ 전분 부착도 < 50○: 25 ≦ starch adhesion degree <50

△ : 50 ≤ 전분 부착도 < 75?: 50? Adhesion degree of starch <75

× : 75 ≤ 전분 부착도 ≤ 100×: 75 ≦ starch adhesion degree ≦ 100

<세정 용이성><Ease of cleaning>

20 대 ∼ 50 대의 주부 100 명에 의해 식품 보존용 용기의 세정 용이성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의 미반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 미반을 꺼낸 후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식기 세정용 스펀지 (3M 사, 스카치·브라이트TM 항균 우레탄 스펀지 S-21KS) 에 수돗물을 함침시켜 식기용 세제 (아사히카세이 홈 프로덕츠 주식회사 프로슈R 알로에베라) 를 3 방울 적하하고, 용기 내부를 씻었을 때의 세정 용이성 (스펀지가 닿는 방식) 에 대해, 바닥면 및 벽면에 요철이 없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한 형상의 보존 용기 (비교예 1 과 동일한 것) 에 대해 동일한 시험을 실시했을 때를 5 점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1 점 ∼ 5 점으로 평가하였다.Sensory evaluation of the ease of cleaning of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was conducted by 100 housewives in their 20s and 50s. The container for food preservation, which had been prepared by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with little preparation, was impregnated with tap water to a dish sponge (3M Company, Scotch Bright TM antibacterial urethane sponge S-21KS) for dishwashing, and the dishwashing detergent (Asahi Kasei Home Products Co., shoe R aloe vera), 3 drops of dropwise addition, the preservation of the same shape for cleaning easiness (method a sponge contact) when the wash the interior of the vessel, except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there are no irregularities with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container (The same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evaluated as 5 points based on the same test.

[평가][evaluation]

100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average value of the evaluations of 100 panelists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4 점 ≤ 평균값 ≤ 5 점?: 4 points? Average value? 5 points

○ : 3 점 ≤ 평균값 < 4 점?: 3 points? Average value <4 points

△ : 2 점 ≤ 평균값 < 3 점?: 2 points? Average value <3 points

× : 1 점 ≤ 평균값 < 2 점×: 1 point ≤ average value <2 point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세를 이하에 서술한다.Details of each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실시예 1][Example 1]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측벽부 (3) 에 설치된 유로 (31) 를 흐르는 액체가,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에 액 고이개로서 체류하고, 또한 수증기가 유로 (31) 와 오목부 (21) 를 순환할 수 있는 순환 체류부가 되는 관계, 즉, 유로 (31) 와 오목부 (21) 가 접속되어 있는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얻었다. 각 사이즈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liq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31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3 stays in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as a liquid pool and the water vapor is supplied to the flow path 31 A food preserving container 1 to which the flow path 31 and the recess 21 were connected was obtain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circulating retention portion capable of circulating the concave portion 21. Each size is as shown in Table 1.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2][Example 2]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A food preserving container 1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was 1.5 mm w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3][Example 3]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3.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was 3.0 mm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4][Example 4]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4.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가 깊기 때문에, 바닥면 오목부 (21) 에 끼인 전분 얼룩을 스펀지에 의한 세정으로는 충분히 다 제거할 수 없어,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이 불충분하며, 부적합하였다.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was 4.0 mm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and the heating unevenness are satisfactory results. However, since the depth of the recess portion 2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is deep, ) Can not sufficiently be removed by washing with a sponge, and the degree of starch adhesion and cleaning easiness are insufficient and unsuitable.

[실시예 5][Example 5]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0.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가열 불균일이 크고, 또한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이 높고, 끈적한 미반이 되며, 부적합하였다.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Example 1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was 0.5 mm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heating irregularity was large,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was high, and it became sticky and inadequate.

[실시예 6][Example 6]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0.5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0.2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바닥부 (2) 에 형성된 오목부 (21) 의 깊이가 깊기 때문에, 바닥면 오목부 (21) 에 끼인 전분 얼룩을 스펀지에 의한 세정으로는 충분히 다 제거할 수 없어,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이 부적합하였다.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0.5 mm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is 1.5 mm,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quare of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portion 2 was 0.2 mm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conducted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and the heating unevenness are satisfactory results. However, since the depth of the recess portion 2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is deep, ) Can not sufficiently be removed by washing with a sponge, so that the adhesion of starch and the easiness of washing are inadequate.

[실시예 7][Example 7]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1.0 ㎜ 이고, 바닥면 요철의 깊이가 1.5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0.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The distance L between the normal points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bottom portion 2 is 1.0 mm and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irregularities is 1.5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ormal points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bottom portion 2 A food preserving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Example 1 was produced except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quare was 0.5 mm and the same evaluation as that of Example 1 was carried ou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8][Example 8]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2.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2.0 ㎜, 또한 바닥부 (2) 의 볼록부 (22) 정상점의 정방형의 1 변의 길이가 1.0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2.0 mm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is 2.0 mm,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Example 1 was prepared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conducted except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quare of the normal point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portion 2 was 1.0 mm Table 1 shows the result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9][Example 9]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5.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Except that the normal 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5.0 mm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is 1.5 mm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10][Example 10]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9.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Except that the normal point distance L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9.0 mm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is 1.5 mm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실시예 11][Example 11]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볼록부 (22) 의 정상점 간 거리 (L) 가 10.0 ㎜ 이고,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의 깊이 (H) 가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바닥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쌀알이 끼이고, 미반이 완전하게 용기 바닥부에 부착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부적합하였다.Except that the distance L between the normal points of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10.0 mm and the depth H of the concave portion 21 in the bottom portion 2 is 1.5 mm A food preserving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irregularity, the amount of the starch, and the amount of the starch Adhesion, ease of cleaning, and the like.

[실시예 12][Example 12]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및 볼록부 (22) 의 형상이 반구상이고, 그 반구상의 볼록부 (22) 의 평면에서 본 반경이 1.5 ㎜ 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 (1) 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미반의 식미,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 가열 불균일, 전분 부착도, 세정 용이성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였다.Except that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1 and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bottom portion 2 is semi-spherical and the radius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22 is 1.5 mm. Shaped food preserving container (1) w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the heating unevenness, the degree of sticking of the starch, and the ease of cleaning were satisfactory result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바닥부 (2) 및 측벽부 (3) 에 요철이 없고, 평면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스펀지에 의한 세정 용이성은 고평가였지만, 미반의 가열 불균일이 크고, 또한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이 높아 끈적한 미반이 되며, 부적합하였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same food preservation container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ottom portion 2 and the side wall portion 3 were flat and flat, and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ease of cleaning by the sponge was highly valued, but the unevenness in heating was large,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art 2 of the container 1 was high, resulting in stickines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 (3) 에 형성된 유로 (31) 와 능선부 (32) 와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오목부 (21) 와 볼록부 (22) 의 경계에 평활면을 이루는 평면부 (5) 가 개재되고, 유로 (31) 와 오목부 (21)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형상의 식품 보존용 용기를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용기 (1) 의 바닥부 (2) 에 있어서의 수분율은 양호했지만, 미반의 식미, 가열 불균일은 부적합하였다.A smooth surface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ave portion 21 and the convex portion 22 in the flow path 31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3 and the ridge portion 32 and the bottom portion 2 as shown in Fig.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Example 1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plane portion 5 was provided and the channel 31 and the concave portion 21 were not connected and the same evaluation as in Example 1 was mad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moisture content in the bottom portion 2 of the container 1 was good, but the unevenness in the taste and the uneven heating were inadequat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1 : 식품 보존용 용기
2 : 바닥부
21 : 오목부
22 : 볼록부
3 : 측벽부
31 : 유로
32 : 능선부
4 : 플랜지부
5 : 평면부
1: Containers for food preservation
2:
21:
22:
3:
31: Euro
32:
4: flange portion
5:

Claims (6)

바닥부와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구된 식품 보존용 용기로서,
상기 측벽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상기 유로를 흐르는 기체 또는 액체가 순환하거나 또는 체류하는 순환 체류부가 형성된 식품 보존용 용기.
A food preservation contain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A gas or liquid flow path is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Wherein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and the circulation portion in which the gas or liq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circulates or stays i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형성된 홈상인 식품 보존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nnel is a groove formed toward the bottom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점 간 거리가 1 ∼ 9 ㎜ 인 식품 보존용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distance between normal points of the proje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is 1 to 9 m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1 ∼ 3 ㎜ 인 식품 보존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pth of the recess is 1 to 3 m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의 체적은 상기 바닥부의 투영 면적 100 ㎠ 당 1 ∼ 25 ㎤ 인 식품 보존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volume of the concave spac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is 1 to 25 cm &lt; 3 &gt; per 100 cm &lt; 2 &gt; of the projected area of the bottom.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표면적은 바닥면의 투영 면적의 1.5 배 이상인 식품 보존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is at least 1.5 times the projected area of the bottom surface.
KR1020160002606A 2015-12-01 2016-01-0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KR201700644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5172 2015-12-01
JPJP-P-2015-235172 2015-12-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40A Division KR102189381B1 (en) 2015-12-01 2018-01-1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51A true KR20170064451A (en) 2017-06-09

Family

ID=590587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06A KR20170064451A (en) 2015-12-01 2016-01-0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KR1020180006640A KR102189381B1 (en) 2015-12-01 2018-01-1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KR1020190018475A KR20190019988A (en) 2015-12-01 2019-02-1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40A KR102189381B1 (en) 2015-12-01 2018-01-1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KR1020190018475A KR20190019988A (en) 2015-12-01 2019-02-18 Container for preserving fo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7362233B2 (en)
KR (3) KR201700644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79A1 (en) * 2022-09-19 202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cooking device and home appliance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771A1 (en) * 2019-03-04 2020-09-10 株式会社クラレ Packaging container, and steam-sterilized product in which same is use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857B2 (en) * 1990-07-05 1995-11-08 株式会社タイヘイ産商 Food storage method
JPH09215594A (en) 1996-02-09 1997-08-19 Snow Brand Milk Prod Co Lt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JP3184933B2 (en) * 1998-07-03 2001-07-09 守 加茂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sheet
JP2003081242A (en) * 2001-09-14 2003-03-19 Denki Kagaku Kogyo Kk Container
JP3108145U (en) 2004-10-07 2005-04-07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
JP2006304670A (en) 2005-04-27 2006-11-09 Kajiwara Kogyo Kk Packaged cooked r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00258471A1 (en) * 2009-04-08 2010-10-14 PWPI Industries Rotisserie chicken tray
JP2011240954A (en) 2010-05-18 2011-12-01 Tablemark Co Ltd Tray-shaped container for food product packing and packed food produ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79A1 (en) * 2022-09-19 202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cooking device and home applianc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381B1 (en) 2020-12-11
JP7254220B2 (en) 2023-04-07
KR20190019988A (en) 2019-02-27
KR20180011288A (en) 2018-01-31
JP2017105540A (en) 2017-06-15
JP7362233B2 (en) 2023-10-17
JP2022051764A (en)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4220B2 (en) food storage container
JP6604973B2 (en) Frozen food in containers
US20120048845A1 (en) Device for microwave heating of a food product
CN205397028U (en) Food fresh keeping case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JP6846942B2 (en) Food storage container
JP3864166B2 (en) Pasta microwave cooking system container
KR101645410B1 (en) Instant steam container
JP2021186078A (en) 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KR20120074910A (en) Kimchi storaging vessel for raising chilly air contact efficiency
KR101605253B1 (en) Earthen pot
JP3100343U (en)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heating and food with the container
JP3205664U (en) Inner box for microwave oven
KR200259355Y1 (en) A disposable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KR102187206B1 (en) Vessel for air fr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158187U (en) Microwave cooking container
CN220832192U (en) Self-heating steam pot cutlery box
KR200473141Y1 (en) Gas Oven Steam Pot
JP3869427B2 (en) Multipurpose cooking container
JPH11208738A (en) Heating container
JPS5812768Y2 (en) food containers
JP2011078699A (en) Drainer
KR101945939B1 (en) A pan for casserole and steam cooking
JP6543788B2 (en) Dishes with lid for heating and serving dishes
US20180370712A1 (en) Microwave compati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to heat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