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376A -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376A
KR20170063376A KR1020160157926A KR20160157926A KR20170063376A KR 20170063376 A KR20170063376 A KR 20170063376A KR 1020160157926 A KR1020160157926 A KR 1020160157926A KR 20160157926 A KR20160157926 A KR 20160157926A KR 20170063376 A KR20170063376 A KR 20170063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vertical direction
liquid storage
supported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2783B1 (en
Inventor
히로키 하야시
츠바사 다카오카
가즈야 요시이
료 시마무라
아키라 시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는 액체 저장실과, 지지부와,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구비한다. 요동체는, 한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액면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피지지부에 연결된다. 암부와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The liquid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quid storage chamber, a support, and an oscillator configured to oscillate about the support. The oscillator has a float portion that moves on the on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nd a detected portion on the other side that is used to detect the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supported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supported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Description

액체 수납 용기 및 기록 장치{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0001]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액체 수납 용기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 및 액체 잔량 검지 기구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를 탑재한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liquid storage container having a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chanism and a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chanism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액체 토출 헤드로부터 액체를 기록 매체에 토출하는 것에 의해, 기록 매체 위에 화상, 문자 등의 기록을 행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록 장치는, 통상, 착탈가능한 액체 수납 용기 또는 기록 장치에 탑재된 상태로 액체를 보충가능한 액체 수납 용기를 탑재하고 있다. 유저 편리성의 관점에서, 액체 수납 용기가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 잔량 검지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s known in which liquid is ejected onto a recording medium from a liquid ejection head to perform recording of images, characters, and the like on a recording medium. Such a recording apparatus usually includes a detachable liquid storage container or a liquid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replenishing the liqui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recording apparatus. From the viewpoint of user conveni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grasp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recording apparatus. A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chanism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595359 is proposed as a structure capable of grasping the remaining liquid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대기에 노출된 액적은 점착 또는 고착되는 경향이 있으며 액적은 축부(11)의 회동 영역(지축(7)이 장착되는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회동 영역에 미제거 상태로 남겨진 액적이 점착 또는 고착되는 경우,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595359, and the droplet exposed to the atmosphere tends to be adhered or fixed, and the liquid droplet tends to adhere to the rotating region of the shaft portion 11 (I.e., the area of the shaft hole 15).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mooth movement of the oscillator 10 may be hindered when the droplet left unremoved in the rotation region is adhered or fixed.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체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함으로써, 요동체를 원활하게 동작시켜, 기록 장치가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본 특허 번호 4595359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 잔량 검지 기구를 나타내는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액체 수납 용기(1)는 요동체(10)를 갖는다.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가 소비됨에 따라, 요동체(10)는, 피검지부(13), 암부(14), 축부(11), 및 플로트부(12)의 순서대로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이때, 피검지부(13)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은 중력에 의해 암부(14)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a pivotal member by suppressing sticking or sticking of a pivotal region in a pivotal member so that the recording apparatus can more reliably detect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showing a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chanism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595359.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has an oscillator (10). As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is consumed by the recording apparatus, the oscillator 10 is moved in the order of the detected portion 13, the arm portion 14,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float portion 12, 1). ≪ / RTI > At this time, the liquid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flow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long the arm portion 14 by gravity.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는,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도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The liquid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quid storage chamber configured to store liquid; A support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 float portion that moves in accordance with a height of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one side via a supported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while detecting the amount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detection subject is connected to the not-supported portion via an arm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not-support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not-supported por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조립 후의 액체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서 회동 영역 근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in the prior 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in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after the assembly in the first embodiment.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in the first embodiment.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s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in the first embodiment.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vicinity of the rotation region in the first embodiment.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storage container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s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in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re merely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액체(I)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과 연통하는 피검지실(3)과,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I)의 잔량에 따라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체(10)는, 축부(11)와, 플로트부(12)와, 피검지부(13)와, 축부(11)를 피검지부(13)에 연결하는 암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1)는, 액체 저장실(2)로부터 연장하는 지축(7)의 외측에 끼워지는 축공(15)을 구비하고 있고, 요동체(10)는, 플로트부(12)와 피검지부(13)가 축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형상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액체 수납 용기(1)에 설치된다.Before explaining the embodiments, a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chanism of the prior art will be examined. 1,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ncludes a liquid storage chamber 2 configured to store the liquid I, a detection chamber 3 communicating with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And a swinging body 10 configured to swing in accordance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I stored in the swinging body 1. The oscillator 10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11, a float portion 12, a detection target portion 13 and an arm portion 14 connecting the shaft portion 11 to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The shaft portion 11 has a shaft hole 15 which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7 extending from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The swinging body 10 has the float portion 12 and the detected portion 13, Is installed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so as to swing in a seesaw shape about the shaft portion (11).

기록 장치 본체에는, 발광 유닛과 수광 유닛이 액체 수납 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피검지실(3)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가 제공된다. 참조 문자 P는 광학 센서의 검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경우, 플로트부(12)는 부력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를 상승하고, 축부(11)를 중심으로 플로트부(12)의 반대측에 제공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을 하강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 내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차광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을,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유저에 통지한다.In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an optical sensor is provided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inspecting chamber (3) from the outside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The reference character P indicates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optical sensor. When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large, the float portion 12 rises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by the buoyancy force, (13) descends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At this time,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detection sensor chamber, and thus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is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The recording apparatus notifies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that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large, based on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being in a light shielding state.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지고 액면의 높이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측으로 낮아짐에 따라, 요동체(10)는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플로트부(12)는 중력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를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 내를 상승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 내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실(3)을 투과하기 시작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투과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유저에 통지한다.The pivotal body 10 is exposed to the atmospheric space A from the liquid I as the liquid level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decreases and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due to gravity and conversel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ascends in the detection chamber 3. At this time,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and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starts to pass through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 The recording apparatus notifies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reduced, based on the light ray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being in the transmitting state, through the displa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피검지부(13)가 피검지실(3)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피검지부(13)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중력에 의해, 암부(14)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대기에 접촉한 액적은 점착화 또는 고착화되기 쉽고, 따라서 축부(11)의 회동 영역(지축(7)이 설치된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미제거 상태로 남겨진 액적이 점착화 또는 고착화되는 경우,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요동체(10)의 원활한 거동이 저해되는 경우, 광학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저하되고, 더 이상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 잔량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The liquid drople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flow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long the arm portion 14 by gravity when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 The liquid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tends to be viscous or sticky, and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dhesion or sticking of the rotating region of the shaft portion 11 (region of the shaft hole 15 provided with the support shaft 7) may be ca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mooth motion of the oscillator 10 may be hindered if the droplet left in the unremoved state is tackified or fixed. When the smooth movement of the oscillator 10 is hindered,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optical sensor is lowered, and the residual liquid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can no longer be reliably detected.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조립 후의 액체 수납 용기(1)의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after the assembly.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납 용기(1)는, 측면이 개구된 용기 케이싱(4)과, 용기 케이싱(4)의 측면 개구를 막는 용기 덮개(8)를 포함한다. 용기 케이싱(4)과 용기 덮개(8)의 조립을 위해,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 않도록,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조립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케이싱(4)은,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에 저류된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구(5)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도입구(6)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구(5) 및 대기 도입구(6)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운반 시에,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시일 부재에 의해 밀봉되고 있다. 기록 장치에 제공된 파이프 형상의 액체 공급관(17)(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이 액체 공급구(5)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기록 장치에 제공된 파이프 형상의 대기 도입관(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이 대기 도입구(6)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외부의 대기를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casing 4 having a side face opened and a container lid 8 covering the side face opening of the container casing 4. For example,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may be used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from leaking to assemble the container casing 4 and the container lid 8. However, It does not. The container casing 4 includes a liquid storage chamber 2 configured to store liquid, a liquid supply port 5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to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6) for introducing the atmosphere into the atmosphere. The liquid supply port 5 and the atmospheric air introduction port 6 are formed by a seal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t is sealed. The liquid supply pipe 17 (not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liquid supply port 5, so that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supplied to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1. [ As shown in Fig. Likewise, since a pipe-shaped atmosphere introduction pipe (not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6,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n outside atmosphere into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t becomes.

용기 케이싱(4)에는, 액체 저장실(2)과, 액체 저장실(2)과 연통하는 피검지실(3)이 제공되어 있고, 액체 저장실(2)과 피검지실(3)은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액체가 서로 유통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액체 저장실(2)에는 지지부인 지축(7)이 제공되어 있고, 피지지부인 요동체(10)의 축부(1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The container casing 4 is provided with a liquid storage chamber 2 and an inspection chamber 3 communicating with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and the detection chamber 3 are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And the liquid inside is arrang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7 serving as a support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11 of the oscillator 10 to be supported is rotatably supported.

액체 수납 용기(1)의 액면 검지에 사용되는 요동체(10)는 액체 수납 용기(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잔량에 따라서 요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는, 축부(11)를 개재하여 한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12)를, 다른 쪽에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13)를 갖는다. 또한, 요동체(10)는, 축부(11)를 지점으로 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시소 형상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피검지부(13)는 암부(14)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된다.The oscillator 10 used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fluctuates in accordance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 The swinging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loat portion 12 which moves on the on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via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liquid amount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the other side And a detection target portion 13 used for detection. The oscillator 10 is supported so as to oscillate in a seesaw form with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with the shaft portion 11 as a fulcrum and the detection subject portion 13 is supported by the shaft portion 11 .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체(10)를 원활하게 요동시키기 위해서, 지축(7)과 축공(15) 사이에 미리결정된 클리어런스가 제공된다.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큰 경우, 액체 수납 용기(1) 내에서의 요동체(1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후술하는 광학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 지축(7)과 축공(15)이 회동할 때에 마찰 저항이 발생해버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요동체(10)의 동작이 불안정해진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서의 지축(7)과 축공(15)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약 0.2mm(0.1mm 이상 0.3mm 이하)가 적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edetermined clearance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shaft 7 and the shaft hole 15 in order to smoothly oscillate the oscillator 10. When the clearance is excessively large, the position of the oscillator 10 in the liquid container 1 is not stable, so that the detection precision of the optical sensor described later is lowered. Conversely, when the clearance is too small, frictional resistance occurs when the shaft 7 and the shaft hole 15 ro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oscillator 10 in the liquid container 1 becomes unstable. Therefore, the clearance between the shaft 7 and the shaft hole 15 in this embodiment is preferably about 0.2 mm (0.1 mm or more and 0.3 mm or less).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 및 요동체(10)의 재질로서는, PP(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물론, 액체 수납 용기(1) 및 요동체(10)의 재질은 PP 수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PE(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다른 수지 또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요동체(10)를 요동시키기 위한 기구는, 용기 케이싱(4)에 지축(7)을, 요동체(10)에 축공(15)을 제공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요동체(10)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지축(7)을 용기 케이싱(4)과는 별도 부품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용기 케이싱(4)에 베어링을, 요동체(10)의 축부(11)에 지축을, 각각 제공하는 구조도 허용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liquid container 1 and the oscillator 10 in this embodiment, a PP (polypropylene) resin is suitably used. Of course, the materials of the liquid container 1 and the oscillator 10 are not limited to the PP resin, but other resins or metals such as PE (polyethylene) resin may be used. The mechanism for oscillating the oscillator 1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haft 7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casing 4 and the shaft hole 15 is provided in the oscillator 1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For example, the support shaft 7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ainer casing 4. [ Alternatively, a structure in which a bearing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casing 4 and a support shaft is provided in the shaft portion 11 of the oscillator 10, respectively, may be acceptable.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on mechanism in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method of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will be described.

도 4는, 액체 공급구(5)에 액체 공급관(17)이 삽입되고 있는 면을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액체 수납 용기(1)의 일부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종류의 액체(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에 대응하는 4개의 액체 수납 용기(1)가 나타나 있지만, 액체의 종류 및 대응하는 액체 수납 용기(1)의 개수는 본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 공급관(17)은, 기록 장치 본체의 기록 헤드인 액체 토출 헤드(103)와 연통하게 되고,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액체를 공급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 토출 헤드(103)는, 기록 장치 본체의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토출구(103a)를 개재하여 액체를 토출하고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동작을 행한다.Fig. 4 is a front view of a part of the liquid container 1 when the surface in which the liquid supply pipe 17 is inserted into the liquid supply port 5 is viewed from the outside. Although four liquid storage containers 1 corresponding to four kinds of liquids (cyan, magenta, yellow, black) ar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kind of liquid and the number of liquid storage containers 1 corresponding thereto But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supply pipe 17 communicates with the liquid discharge head 103 which is a recording head of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rom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 When the liquid discharge head 103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forming an image from the control unit 101 of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the liquid discharge head 103 discharges the liqui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3a and performs a recording operation for forming an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I do.

한편,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1)의 근방에 배치되는 광학 센서(100)를 갖고 있으며, 광학 센서(100)로부터의 전기 신호는 제어 유닛(101)에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유닛(100a) 및 수광 유닛(100b)은 피검지실(3)을 외부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광 유닛(100a)은 수광 유닛(100b)에 대하여 광선을 출력할 수 있다. 수광 유닛(100b)이 광선을 수광하는 경우, 광학 센서(100)는, 액체 수납 용기(1)의 피검지실(3)이 투과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101)에 출력한다. 한편,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고, 수광 유닛(100b)이 광선을 수광할 수 없는 경우, 광학 센서(100)는 제어 유닛(101)에의 신호 출력을 정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cording apparatus has an optical sensor 10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and an electric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100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control unit 10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100a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inspecting chamber 3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00a outputs light beams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receives light, the optical sensor 100 outputs to the control unit 101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etection chamber 3 of the liquid container 1 is in the transmitting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beam is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section 1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can not receive the light beam, the optical sensor 100 stops the signal output to the control unit 101. [

액체 잔량 검지 유닛(102)은, 광학 센서(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검지한다. 종래 기술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와 마찬가지로,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면이 저하되고, 플로트부(12)가 액체 저장실(2) 내를 하강하는 것에 따라, 피검지부(13)는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상승한다. 계속해서,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어 있었던 광선이 수광 유닛(100b)에 의해 수광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광학 센서(100)는, 차광 상태가 투과 상태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101)에 출력한다.The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102 detects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sensor 100. [ The liquid level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lowered and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in the same manner as the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chanism of the prior art, 1). Subsequently, the light beam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section 13 is started to be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Then, the optical sensor 100 outputs to the control unit 101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light shielding state has changed to the transmission state.

액체 잔량 검지 유닛(102)은, 광학 센서(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이 검지되는 경우, 제어 유닛(101)은 기록 장치에 제공된 디스플레이에 액체 수납 용기(1)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새로운 것으로 표시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100 is received, the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102 detects that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redu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reduced, the control unit 101 displays a message urging the replacement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to the display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as a new one do.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s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in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Fig.

기록 장치 본체에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외측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발광 유닛(100a)과 수광 유닛(100b)에 의해 피검지실(3)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100)가 제공된다. 참조 문자 P는 광학 센서의 검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경우, 플로트부(12)는 부력에 의해 액체(I) 중을 상승하고, 축부(11)를 중심으로 플로트부(12)의 반대측에 제공된 피검지부(13)는 액체(I) 중을 하강한다. 이때,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차광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을 검지할 수 있다.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100 which is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inspecting chamber 3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100a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b from the outside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as shown in Fig. Is provided. The reference character P indicates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optical sensor. The float portion 12 rises in the liquid I by the buoyant force and the detected portion (the center of the liquid) I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oat portion 12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11 13) descend in the liquid (I). At this time,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positioned below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so that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is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The recording apparatus can detect that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large, based on the fact that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is in a light shielding state.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지고,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요동체(10)는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플로트부(12)는 중력에 의해 액체 중을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 내를 상승한다.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지고, 요동체(10)의 대부분이 액체(I)로부터 대기 공간(A)에 노출되는 경우,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은 피검지실(3)을 투과하기 시작한다. 기록 장치는,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투과 상태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적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다.The amount of liquid remaining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reduced and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L is lowered so that the oscillator 10 is exposed to the atmospheric space A from the liquid I.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in the liquid due to gravity, and conversel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ascends in the detection chamber 3. When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L is lowered and most of the oscillator 10 is exposed to the atmospheric space A from the liquid I,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 So that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starts to pass through the inspected chamber 3. The recording apparatus can detect that the amount of liquid remaining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reduc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is in a transmitting state.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에는, 액체 저장실(2)에 저류된 액체를 기록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구(5)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도입구(6)가 제공된다. 액체 공급구(5) 및 대기 도입구(6)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운반 시에, 액체 수납 용기(1)의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일 부재(9)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9)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a liquid supply port 5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to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A sphere 6 is provided. The liquid supply port 5 and the atmospheric air introduction port 6 are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so as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from leaking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As shown in Fig. The seal member 9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액체 수납 용기(1)가 기록 장치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5a),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액체 공급관(17)이 액체 공급구(5)의 시일 부재(9a)를 관통하는 것에 의해, 액체 저장실(2) 내의 액체를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액체 수납 용기(1)가 기록 장치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대기 도입구(18)가 대기 도입구(6)의 시일 부재(9b)를 관통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5A), the liquid supply pipe 17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passes through the seal member 9a of the liquid supply port 5, so that the liquid storage chamber 1 It becomes possible to supply the liquid in the recording apparatus 2 to the recording apparatus. Similarly, whe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mounted on the recording apparatus, the atmospheric introduction port 18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passes through the seal member 9b of the atmospheric introduction port 6,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atmosphere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주요 유닛인 요동체(1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기록 장치가 액체를 소비하기 전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요동체(10)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액체(I) 중에서,Next, the operation of the oscillator 10, which is a main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5A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before the recording apparatus consumes the liquid. In the liquid (I)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the oscillator (10)

피검지부(13)에 가해지는 부력 <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 및Buoyancy applied to the detected portion 13 < buoyancy applied to the float portion 12, and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중력 <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Gravity applied to the float portion 12 <Buoyancy applied to the float portion 12

이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요동체(10)의 형상에 의해, 요동체(10)가 액체(I) 중에 잠겨 있을 경우, 플로트부(12)를 상승시키는 힘이 발생한다.Is established. Due to the shape of the oscillator 10, when the oscillator 10 is immersed in the liquid I, a force for raising the float portion 12 is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피검지부(13)와 플로트부(12)는 축부(11)을 지점으로 해서 시소 형상으로 요동한다. 그로 인해, 요동체(10)가 액체(I)중에 잠겨 있을 경우, 피검지부(13)를 하강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피검지실(3)의 하측에 하강한 피검지부(13)는 발광 유닛(100a)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차광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and the float portion 12 rock in a seesaw shape with the shaft portion 11 as a fulcrum. Therefore, when the oscillator 10 is immersed in the liquid I, a force for lowering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generated.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shields the light beam output from the light emission unit 100a.

기록 장치가 액체 수납 용기(1)의 액체(I)를 소비함에 따라, 액체 공급구(5)를 개재하여 기록 장치에 액체가 공급되고, 대기 도입구(6)를 개재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액면(L)이 플로트부(12) 부근에 오는 경우, 대기 공간(A) 중에 존재하는 플로트부(12)의 용적이 점차 증대하고, 액체(I) 중에 존재하는 플로트부(12)의 용적이 점차 감소한다. 이와 같이, 액면(L)의 하강에 수반하여, 플로트부(12)에 가해지는 부력은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플로트부(12)는 액체 저장실(2)의 하측으로 하강한다. 플로트부(12)가 액체 저장실(2)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대로 피검지부(13)는 피검지실(3)의 상측으로 이동한다.As the recording apparatus consumes the liquid I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recording apparatus via the liquid supply port 5, and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Lt; / RTI &gt; The volume of the float portion 12 existing in the atmospheric space A gradually increases and the volume of the float portion 12 existing in the liquid I become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float portion 12 Decrease gradually.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because the buoyancy applied to the float portion 12 gradually decreases with the descent of the liquid level L. [ When the float portion 12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detection target chamber 3.

도 5b는, 플로트부(12)의 위치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선부는 요동체(10)의 초기 위치(도 5a)를 나타낸다. 액면(L)의 하강에 따라, 플로트부(12)는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한다. 도 5b의 상태에서, 피검지부(13)의 이동량은 충분하지 않고,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광학 센서의 광선은 여전히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고 있다. 즉, 도 5b의 상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이 많은 것으로 결정된다.Fig. 5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a state in which the float portion 12 is lowered.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oscillator 10 (Fig. 5A). As the liquid level L descends,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conversely, the detected portion 13 rises from the initial position. 5B,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is not sufficient, and the light beam of the optical sensor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is still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That is, in the state of Fig. 5B, it is determined that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large.

도 5c는, 플로트부(12)의 위치가 또한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선부는 도 5a 및 도 5b에서의 요동체(10)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액면(L)이 더 하강함에 따라, 플로트부(12)는 도 5b의 위치로부터 하강하고, 반대로 피검지부(13)는 도 5b의 위치로부터 상승한다. 도 5c의 상태에서, 기록 장치 본체에 제공된 광학 센서의 광선은 피검지부(13)에 의해 차광되어 있지 않다. 즉, 도 5c의 상태에서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은 적은 것으로 결정된다.5C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float portion 12 is also lowered. And broken lines indicate positions of the oscillator 10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As the liquid level L further descends, the float portion 12 descends from the position of FIG. 5B, and conversely, the detected portion 13 ascends from the position of FIG. 5B. In the state of Fig. 5C, the light beam of the optical sensor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is not shielded by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Fig. In other words, in the state of Fig. 5C,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s determined to be small.

도 6은 요동체(10)의 회동 영역 근방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에서는,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TE)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액체 잔량이 많은 것으로 결정되는 상태(도 5b의 상태)에서 액체 수납 용기(1)가 방치되는 경우에도,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지축(7)이 설치된 축공(15)의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요동체(10)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암부(14)를 따라서 도 5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해당 액적은 축부(11)의 하측을 흐르기 쉽기 때문에,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요동체(10)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액체 잔량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1')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TE)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1')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6)는 암부(14)와 피지지부(축부(11))를 접속하고 있는 부분이다. 암부가 직선 형상이고 피지지부가 원형인 경우, 접속부(16)는 직선과 원이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는 직선과 곡선(피지지부의 원주의 일부)이 교차하는 점이다.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LE)가 암부(14)로부터 피지지부에 이르는 도중에 기울기가 바뀌는 점인 경우가 있다.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ivotal body 10 in the vicinity of the pivotal area. 6, in the pivotal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nd portion 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is supported by the supported portion 11 )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portion 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is left in a state where the liquid remaining amount is determined to be large (the state shown in Fig. 5B), th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11 (The region of the shaft hole 15 in which the support shaft 7 is provided) can be suppressed. That is, even when the drople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oscillator 10 flows along the arm portion 14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5B, the droplet tends to flow under the shaft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dhesion or sticking of the rotating region in the substrate. As a result, the oscillator 10 can be smoothly operated, and the recording apparatus can reliably detect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rtion 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enter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enter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a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14 and the supported portion (shaft portion 11). When the arm portion is straight and the supported portion is circular, the connecting portion 16 is a portion where the straight line and the circ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ower end portion 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intersects a curve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ed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may be a point where the inclination changes on the way from the arm portion 14 to the supported portion.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서,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가 축공(15)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요동체(10)에 잔존하는 액적 중 적어도 일부를 축공(15) 보다도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16)는 다른 위치에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가 적어도 회동 영역인 축공(15)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요동체(10)에 잔존하는 액적 중 적어도 일부를 축공(15)보다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축부(11)에서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케이싱(4)에 베어링을, 요동체(10)의 축부(11)에 지축을 제공하는 구조의 경우,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를 적어도 베어링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5A to 5C and FIG. 6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is positioned below the shaft hole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n the case where at least a part of the droplets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than the shaft hole 15, the connection portion 16 may be located at another position. Specifically,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is located at leas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hole 15 as the rotating region, at least a part of the droplet remaining in the oscillator 10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aft hole (15).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sticking or sticking of the rotating region in the shaft portion 11 can be suppressed.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bearing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casing 4 and a shaft is provided in the shaft portion 11 of the oscillator 10, the connection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The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과의 상이한 구성은,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뿐만 아니라, 축부(11)와 플로트부(12) 사이의 접속부(19)도, 축부(11)의 회동 영역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로트부(12)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이 요동체(10)의 축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해당 액적은 축공(15)보다 하측을 흐르기 쉽기 때문에, 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differing from the configura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but also the connection portion 19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float portion 12, Is located lower than the rotation area of the rotating shaft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drople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float portion 12 flow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haft portion 11 of the oscillator 10, the droplet tends to flow below the shaft hole 15,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dhesion or fixation of the rotating region of the substrate 11.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8과 같은 구성도 생각된다. 도 8은 도 7의 암부의 두께로부터 암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예이다. 도 8에서는, 예를 들어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16')은,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축부(11)와 암부(14) 사이의 접속부(16)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는, 피지지부(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는 암부의 하단부를 통해서 흐르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As a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 is also conceivable. 8 is an exampl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arm portion is increased from the thickness of the arm portion of Fig. 8, for example, the center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is the same as the center 1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shaft portion 11)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center.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between the shaft portion 11 and the arm portion 14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shaft portion 11). Since the liquid easily flow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in such a configuration.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체 잔량 검지 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details of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in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the remaining liquid amount detec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C.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9a는,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피검지부(13)는 암부(14)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플로트부(12)는 암부(20)를 개재하여 축부(11)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의 요동체(10)에서는, 요동체(10)의 축부(11)가 플로트부(12)의 상단부 및 피검지부(13)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암부(14, 20)는 피검지부(13) 및 플로트부(12)를 각각 축부(11)로부터 연직 방향 하측에 연결한다.9A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a state before the liquid I is consumed by the recording apparatus. 9A,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1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1 via the arm portion 14 and likewise, the float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11 via the arm portion 20, Lt; / RTI &gt; In the pivotal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ft portion 11 of the oscillator 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loat portion 12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etected portion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s the to-be-tested portion 13 and the float portion 12 from the shaft portion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lower side.

도 9b는, 기록 장치에 의해 액체(I)가 소비되고, 액면의 높이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액체 수납 용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면(L)의 하강에 따라, 요동체(10)는 최상위에 위치하는 축부(11)로부터 순서대로 대기 공간(A)에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부(11)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은 암부(14, 20)를 따라서 도 9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흘러 떨어진다. 그로 인해, 축부(11)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적을 신속하게 하측에 유도할 수 있고, 축부(11)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9B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1 in a state in which the liquid I is consumed by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height of the liquid surface is lowe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liquid level L descends, the oscillator 10 is exposed to the atmospheric space A in order from the uppermost shaft portion 1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quid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11 flows along the arm portions 14 and 2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9B. As a result, droplet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11 can be quickly guided downward, and adhesion or sticking of the rotating region of the shaft portion 11 can be suppressed.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케이싱(4)과 용기 덮개(8)를 초음파 용착을 사용해서 조립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진동 용착 및 접착 등의 기타의 방법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을 조립해도 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iner casing 4 and the container lid 8 are assembled by ultrasonic welding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quid container 1 may be assembled by vibration welding, You can.

또한, 용기 덮개(8) 대신에 용기 케이싱(4)에 필름을 열 용착함으로써 액체 저장실(2)을 형성해도 되고, 용기 케이싱(4)을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프레임에서의 양 측의 개구부를 필름으로 막는 구성을 허용해도 된다. 이 경우, 필름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보호용의 커버 부품이 용기 케이싱(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liquid storage chamber 2 may be formed by thermally welding a film to the container casing 4 instead of the container lid 8. Alternatively, the container casing 4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May be allowed to be blocked with a film.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hat a protective cover part is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casing 4. [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시일 부재(9)에 액체 공급관(17)이 삽입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기록 장치 본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구성에 의해 액체 공급 기구를 실현해도 되고,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해서 밸브를 시일 부재(9)에 가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기록 장치 본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형태를 허용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quid supply pipe 17 is inserted into the seal member 9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so that liquid can be supplied from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1 to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liquid supply mechanism may be implemented by other configurations. For example, by pressing the valve to the sealing member 9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ring, It is possible to allow the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 칭하기도 함)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storage medium (also referred to as a &quot; non-transient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quot;) for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above- (E.g.,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or reading and execut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e.g., one or more programs) and / or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above- Readable and executable instructions from a computer of a system or apparatus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for executing,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 Or by controlling one or more circuits to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system or apparatus. The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ing unit (MPU)) and may include a separate computer or separate processor network for reading and executing computer- can do. Th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computer, for example, from a network or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a hard disk, random-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storage of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 optical disk (e.g., , Or Blu-ray Disc (BD) TM ), a flash memory device, a memory card, and the like.

(기타의 실시예)(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supplying a program or a program for realizing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above embodiments to a system or an apparatus via a network or a storage medium, .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It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circuit (for example, an ASIC) that realizes one or more functions.

본 발명의 액체 수납 용기에 따르면, 요동체의 회동 영역의 점착 또는 고착을 억제함으로써, 요동체를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기록 장치는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액체의 잔량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oscillator by suppressing the sticking or sticking of the oscillating area of the oscillator. As a result, the recording apparatus can more reliably detec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in the liquid containing container.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Claims (12)

액체 수납 용기이며,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Liquid storage container,
A liquid storage chamber configured to store liquid,
A support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 float portion that moves in accordance with a height of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one side via a supported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while detecting the amount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the other side And a pivot member configured to swing about the support portion as a fulcrum,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not-supported portion via the arm portion,
Wherein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not-supported por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to-be-support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loat portion and the not-supported por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to-be-support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실과 연통하는 피검지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실과 상기 피검지실은,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의 상기 액체가 서로 유통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부가 상기 액체 저장실 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검지부는 상기 피검지실 내를 이동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liquid storage chamber,
Where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nd the detection subject chamber are arranged so that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s the float portion moves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Storage contai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부는, 상기 플로트부가 상기 액체 저장실 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검지실의 외부에 배치된 광학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차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광선을 투광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moves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hielding a light beam output from an optical sensor disposed outside the inspection object chamber and a second position for transmitting the light beam as the float portion moves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Liquid sto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축이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지축에 설치되는 축공을 갖는 축부이며,
상기 암부와 상기 축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축공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a support shaft,
The supported portion is a shaft portion having a shaft hole provided in the support shaft,
And a lower en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is located below an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af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어링이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베어링에 설치되는 지축을 갖는 축부이며,
상기 암부와 상기 축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베어링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s a bearing,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is a shaft portion having a support shaft provided on the bearing,
And a lower en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is located below an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ea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이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이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cated below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urning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액체 수납 용기이며,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검지부는 제1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트부는 제2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피지지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검지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 및 상기 플로트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
Liquid storage container,
A liquid storage chamber configured to store liquid,
A support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 float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one side via a supported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a float portion that moves on the other side in order to detect the amount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nd a swing body having a detection target portion to be used and configured to swing about the support portion as a fulcrum,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not-supported portion via the first arm portion,
The floa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not-supported portion via the second arm portion,
Wherein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and on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at portion.
기록 장치이며,
액체를 토출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헤드와,
액체 수납 용기로서,
상기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에 제공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개재하여 한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 높이에 따라서 이동하는 플로트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체 저장실 내에서의 상기 액체의 양을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를 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실은 상기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검지부는 암부를 개재하여 상기 피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암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에서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에서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납 용기와,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A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A recording head for performing a recording operation by ejecting liquid,
As a liquid storage container,
A liquid storage chamber configured to store the liquid;
A support provide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 float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on one side via a supported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a float portion that moves on the other side in order to detect the amount of the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And a swinging body having a detected portion to be used and configured to swing about the support portion as a fulcrum,
Wherein the liquid storage chamber is configured to store liquid supplied to the recording head,
The detection targ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not-supported portion via the arm portion,
Wherein a lower end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rm portion and the not-supported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a top end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to-be-supported por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recording operation of the recording hea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연직 방향의 하단부가 상기 피지지부의 회동 영역의 연직 방향의 상단부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기록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lower e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loat portion and the supported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egion of the supported portion.
KR1020160157926A 2015-11-30 2016-11-25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KR1021227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4247 2015-11-30
JP2015234247 2015-11-30
JP2016206064A JP7009054B2 (en) 2015-11-30 2016-10-20 Recording device
JPJP-P-2016-206064 201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376A true KR20170063376A (en) 2017-06-08
KR102122783B1 KR102122783B1 (en) 2020-06-15

Family

ID=590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26A KR102122783B1 (en) 2015-11-30 2016-11-25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009054B2 (en)
KR (1) KR102122783B1 (en)
CN (1) CN10680880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1124B2 (en) * 2018-04-23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ink cartridge
CN110077119A (en) * 2019-05-20 2019-08-02 黄春燕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ink-feeding device
JP7350648B2 (en) 2019-12-20 2023-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3022144A (en) * 2021-03-05 2021-06-25 珠海益捷科技有限公司 Ink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2736A1 (en) * 2003-09-30 2007-06-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CN201002397Y (en) * 2007-02-28 2008-01-09 孙荣华 Lightproof floa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925Y2 (en) * 1972-02-19 1977-06-18
JP4595359B2 (en) * 2003-09-30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JP2004212286A (en) 2003-01-07 2004-07-2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Apparatus for detecting remaining amount of liquid in tank
JP2005214523A (en) 2004-01-29 2005-08-11 Takasaki Seimitsu Kogyosha:Kk Liquid-level meter for liquid fuel tank
JP2005335422A (en) 2004-05-24 2005-12-08 Hitachi Ltd In-tank module
JP4539633B2 (en) * 2006-09-29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discharge system
WO2008083564A1 (en) * 2007-01-09 2008-07-17 Ronghua Sun A floating display device
CN200998938Y (en) * 2007-01-09 2008-01-02 孙荣华 Print cartridge with induction apparatus
JP4591466B2 (en) * 2007-03-28 2010-1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nk cartridge and ink cartridge container
JP2009236797A (en) 2008-03-28 2009-10-15 Nippon Seiki Co Ltd Liquid level detector
JP2009241492A (en) *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Ink cartridge and method for forming groove
CN201371625Y (en) 2009-02-23 2009-12-30 孟金明 Plug-in type split ink box
JP2011201067A (en) * 2010-03-24 2011-10-13 Brother Industries Ltd Set of cartridges and printer
JP4998584B2 (en) * 2010-04-26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cartridge
CN201856447U (en) 2010-05-17 2011-06-08 广州麦普实业有限公司 Ink box of printer
CN202106680U (en) 2011-06-08 2012-01-11 宁波必取电子科技有限公司 Ink box for ink-jet printer
JP2013129178A (en) * 2011-12-22 2013-07-04 Brother Industries Ltd Printing fluid cartridge
JP6003054B2 (en) 2011-12-22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nk cartridge
EP3480022B1 (en) * 2011-12-22 2021-05-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flui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CN103182850B (en) * 2011-12-30 2015-09-30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The print system of a kind of cartridge of ink-jet printer, ink-jet printer and both compositions
JP5880336B2 (en) * 2012-07-31 2016-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storage device
JP6080443B2 (en) 2012-09-07 2017-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Tank unit
WO2014115173A2 (en) 2013-01-24 2014-07-31 Pricol Limited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JP2014188773A (en) * 2013-03-27 2014-10-06 Kodenshi Corp Ink cartridge
CN203557846U (en) 2013-11-04 2014-04-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Ink cartridge
CN105619648B (en) 2014-11-28 2019-02-15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Automatic liquid supply equipment and its liquid level sensing device for 3D printing
JP6497165B2 (en) 2015-03-27 2019-04-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cartridge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JP6627371B2 (en) 2015-09-28 2020-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mage record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2736A1 (en) * 2003-09-30 2007-06-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CN201002397Y (en) * 2007-02-28 2008-01-09 孙荣华 Lightproof floa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9054B2 (en) 2022-01-25
CN106808808A (en) 2017-06-09
JP7263488B2 (en) 2023-04-24
JP2022017563A (en) 2022-01-25
CN106808808B (en) 2019-11-05
JP2017105169A (en) 2017-06-15
KR102122783B1 (en)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1776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JP7263488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recording device
US9724929B2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residue detection apparatus
US8469500B2 (en) Liquid cartridge and liquid supplying device
JP2008213162A (en) Liquid droplet ejector
JP5266999B2 (en) Liquid ejection device and liquid ejection system
JP5880336B2 (en) Liquid storage device
US8899716B2 (en) Ink cartridge
JP2010234615A (en) Liquid container
EP2990210A1 (en) Liquid cartridge
US9144992B2 (en) Cartridge typ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20070070151A1 (en) Ink Cartridges
JP6756137B2 (en) Liquid cartridge
JP6387790B2 (en) Cartridge and liquid consuming device
JP2011140128A (en) Liquid container
JP7352214B2 (en) printing fluid cartridge
US20070064071A1 (en) Ink Cartridges
JP6604047B2 (en) Liquid cartridge and liquid consumption apparatus
US7669994B2 (en) Ink cartridges
JP2008006667A (en)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er
CN110385916B (en) Ink box
US9205660B2 (en) Liquid consuming apparatus with a movable holder having an inclined face
JPH0639161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06021483A (en) Waste ink tank unit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20070070154A1 (en) Ink Cart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