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241A - 가요성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가요성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241A
KR20170063241A KR1020150169386A KR20150169386A KR20170063241A KR 20170063241 A KR20170063241 A KR 20170063241A KR 1020150169386 A KR1020150169386 A KR 1020150169386A KR 20150169386 A KR20150169386 A KR 20150169386A KR 20170063241 A KR20170063241 A KR 2017006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layer
electrode
conductive
barri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경
서준원
남정규
이정두
양정엽
한주형
손주희
엄혜리
한다운
송현화
최솔
홍석헌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3241A/ko
Priority to US15/341,428 priority patent/US20170155098A1/en
Priority to EP16201223.1A priority patent/EP3174130A1/en
Priority to CN201611087881.0A priority patent/CN106816622A/zh
Publication of KR2017006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01M2/0275
    • H01M2/08
    • H01M2/1016
    • H01M2/167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8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1수지층, 제1배리어층, 제2수지층, 제1전극 집전체층, 및 제1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전도성 기재, 상기 제1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3수지층, 제2배리어층, 제4수지층,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전도성 기재, 그리고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요성 이차 전지{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가요성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에 따라 이의 에너지원으로써 가요성(flexible) 이차 전지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적층형 전지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양극 및 음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에 삽입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는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반복하여 구부리는(bending)는 경우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반복적으로 받아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벤딩 및 굽힘 특성을 갖는 가요성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1수지층, 제1배리어층, 제2수지층, 제1전극 집전체층, 및 제1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전도성 기재, 상기 제1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3수지층, 제2배리어층, 제4수지층,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전도성 기재, 그리고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밀봉부는 주석, 아연,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인듐, 안티몬, 비스무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내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내부 전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전극 집전체층,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배리어층,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지층, 상기 제2수지층, 상기 제3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PE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지층 및 상기 제2수지층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리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외표면에 적층된 회로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가요성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 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반복적인 벤딩 또는 굽힘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112)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30)를 매개로 부착되어 밀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는 각각 서로 다른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고, 같은 전극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가 각각 다른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전도성 기재(111)가 양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전도성 기재(112)는 음극으로 기능하고, 제1전도성 기재(111)가 음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전도성 기재(112)는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가 같은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 모두 음극으로 기능하거나,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 모두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가 각각 다른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이 같은 전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전도성 기재(111, 112)에 포함되는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각 해당 전극에 관하여 설명하는 부분과 동일하다.
먼저,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는, 이차 전지의 외곽 표면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1수지층(22), 제1배리어층(23), 제2수지층(24), 제1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1전극 코팅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지층(22) 및 상기 제2수지층(24)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PE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수지층(22) 및 상기 제2수지층(24)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층이 보다 용이하고 조건을 특별히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공정상의 이점이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수지층(22) 및 상기 제2수지층(24)의 사이에는 제1배리어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리어층(23)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배리어층(23)은 외부의 수분 등이 이차 전지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금속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배리어층(23)의 재질은 제1전극 집전체층(111a)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배리어층(23)은, 예를 들면, 제1수지층(22)의 일면에 금속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금속 포일(foil)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수지층(24)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제1배리어층(23)과 후술할 제1전극 집전체층(111a) 사이에 통전이 가능하게 하는 제1통전부(24a)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2수지층(24)에 제1통전부(24a)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전극 집전체층(111a) 및/또는 제1배리어층(23)에 제1전극탭(51)을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수지층(24)에는 제1전극 집전체층(1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극 집전체층(111a)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니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및 스테인레스 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을 표면 처리한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전도성 기재(111)가 음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1전극 집전체층(111a)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전극 집전체층(111a)은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 포일(foil)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전극 집전체층(111a) 상에는 제1전극 코팅층(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 집전체층(111a)의 일단에는 제1전극 코팅층(111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1전극탭(5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 코팅층(111b)은, 예를 들면,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재료, 리튬 금속, 금속 산화물 및 리튬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전도성 기재(112)는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3수지층(25), 제2배리어층(26), 제4수지층(27),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및 제2전극 코팅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수지층(25) 및 상기 제4수지층(27)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PE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수지층(25) 및 상기 제4수지층(27)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층이 보다 용이하고 조건을 특별히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공정상의 이점이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3수지층(25) 및 상기 제4수지층(27)의 사이에는 제2배리어층(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배리어층(26)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배리어층(26)은 외부의 수분 등이 이차 전지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금속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배리어층(26)의 재질은 제2전극 집전체층(112a)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배리어층(26)은 니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배리어층(26)은, 예를 들면, 제3수지층(25)의 일면에 금속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금속 포일(foil)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4수지층(27)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제2배리어층(26)과 후술할 제2전극 집전체층(112a) 사이에 통전이 가능하게 하는 제2통전부(26a)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4수지층(27)에 제2통전부(26a)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및/또는 제2배리어층(26)에 제2전극탭(52)을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4수지층(27)에는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112a)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니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및 스테인레스 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을 표면 처리한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전도성 기재(112)가 양극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은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 포일(foil)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112a) 상에는 제2전극 코팅층(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의 일단에는 제2전극 코팅층(112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2전극탭(5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 코팅층(112b)은, 예를 들면, 코발트, 망간, 니켈, 코발트산 리튬, 니켈산 리튬, 니켈 코발트산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산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산 리튬, 망간산 리튬 및 인산철 리튬과 같은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황화 니켈, 황화 구리, 황, 산화철, 산화 바나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전극 코팅층(112b)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상기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의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과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의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은 코팅 원소의 옥사이드,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카보네이트 및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시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 원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코팅층을 이루는 화합물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112) 사이에는 세퍼레이터(13)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112)를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리튬이온전지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세퍼레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으로서의 기능과 외장재로서의 기능을 모두 갖는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를 포함하기 때문에 별도의 외장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전지 용량을 가진다면 그 두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는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1수지층(22)과 제2수지층(24), 그리고 제3수지층(25)과 제4수지층(27)을 각각 포함하는 바, 벤딩(bending) 또는 굽힘(folding)시 이차 전지가 받는 힘이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이차 전지에 응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안정성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는 이들의 테두리 상에는 위치하는 밀봉부(30)를 매개로 부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부(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밀봉부(30)는 주석, 아연,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인듐, 안티몬, 비스무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봉부(3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지를 이용하여 밀봉부(30)를 형성하는 경우 보다 폭을 보다 좁게 형성하여도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가요성 이차 전지의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우수한 투습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봉부의 폭을 더 좁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의 폭을 상대적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용량 증가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밀봉부(30)의 폭은 10㎛ 내지 3mm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부(30)의 형성은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는 각각의 밀봉 영역(30a)에 금속 솔더 페이스트를 바른 후, 이 둘을 겹쳐 열을 가한 후 녹여 붙이는 솔더링하는 방법, 또는 레이저 등의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밀봉부(30)를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솔더링하거나 용접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내부 전극의 층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이차 전지의 전체 두께(도 1의 z축 방향)에 변화가 있어도 밀봉부(30)를 이루는 금속의 두께를 이에 맞춰 조절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공정 상의 이점도 있다.
다음으로,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에서 상기 밀봉부(30)의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밀봉부(30)의 위치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부(30)는 제1전도성 기재(111)의 제1전극 집전체층(111a), 그리고 제2전도성 기재(112)의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및 제2배리어층(26)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전극 집전체층(111a)과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의 테두리 상에 밀봉부(30)가 형성되거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전극 집전체층(111a)과 제1전극 집전체층(111a)과 제2배리어층(26)의 테두리 상에 밀봉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 코팅층(111b)의 수평 단면적, 즉, 가요성 이차 전지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적(xy 평면의 면적)은 제1전극 집전체층(111a)의 수평 단면적 보다는 작다.
또한, 제2전극 코팅층(112b)의 수평 단면적, 즉, 가요성 이차 전지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적(xy 평면의 면적)은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또는 제2배리어층(26)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다.
따라서, 제1전극 집전체층(111a)과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또는 제2배리어층(26)이 마주 보는 면의 테두리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밀봉 영역(30a)이 존재하고, 여기에 금속 재질의 밀봉부(30)가 위치하며, 솔더링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를 부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부(30)는 상기 제1배리어층(23),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및 제2배리어층(26)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배리어층(23)과 제2전극 집전체층(112a)의 테두리 상에 밀봉부(30)가 형성되거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배리어층(23)과 제2배리어층(26)의 테두리 상에 밀봉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 집전체층(111a) 및 제1전극 코팅층(111b)의 수평 단면적, 즉, 가요성 이차 전지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적(xy 평면의 면적)은 제1배리어층(23)의 수평 단면적 보다는 작다.
또한, 제2전극 코팅층(112b)의 수평 단면적, 즉, 가요성 이차 전지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적(xy 평면의 면적)은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또는 제2배리어층(26)의 수평 단면적 보다 작다.
따라서, 제1배리어층(23)과 제2전극 집전체층(112a) 또는 제2배리어층(26)이 마주 보는 면의 테두리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밀봉 영역(30a)이 존재하며, 여기에 금속 재질의 밀봉부(30)가 위치하며, 솔더링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를 부착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112) 사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내부 전극(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내부 전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편의상 한 층의 제1내부 전극(11) 및 제2내부 전극(12)을 도시하였으나, 이들이 세퍼레이터(13)를 경계로 복수 개 적층되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내부 전극(11)은, 음극일 수 있으며,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11a) 및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에 형성된 제1내부 전극 코팅층(11b)을 포함한다. 이때, 및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의 일단에는 제1내부 전극 코팅층(11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1전극탭(51)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으로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내부 전극 코팅층(11b)은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11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내부 전극 코팅층(11b) 형성용 조성물에는 음극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내부 전극(12)은, 양극일 수 있으며,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와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12a) 상에 형성된 제2내부 전극 코팅층(12b)을 포함한다. 이때,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의 일단에는 제2내부 전극 코팅층(12b)이 형성되지 않는 무지부 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제2전극탭(5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으로는 알루미늄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내부 전극 코팅층(12b)은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12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내부 전극 코팅층(12b) 형성용 조성물에는 양극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내부 전극(11)은 음극, 제2내부 전극(12)은 양극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내부 전극(11)과 제2내부 전극(12)의 극성이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는, 상기 제1전도성 기재(111) 및 제2전도성 기재(112) 중 적어도 하나의 외표면에 적층된 회로 필름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요성 이차 전지(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로 필름층(1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적용하는 기기에 필요한 다양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패턴 및/또는 안테나 패턴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100)를 적용하는 기기에는 전술한 회로 패턴 및/또는 안테나 패턴 등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요성 이차 전지(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장치에 적용하는 전지의 크기를 늘릴 수 있어 전지의 용량 증가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재를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기재(111, 112)들 사이에 세퍼레이터(13)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세퍼레이터(13)를 경계로 적어도 하나의 제1내부 전극(1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내부 전극(12)을 포함하는 경우, xy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이차 전지에서 동일한 용량을 구현하면서도 두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가요성 이차 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밀봉부(30)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 전지의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우수한 투습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도성 기재들(111, 112) 사이에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가요성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지 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스마트 북,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또는 전력저장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가요성 이차 전지
11: 제1내부 전극
11a: 제1내부 전극 집전체층
11b: 제1내부 전극 코팅층
12: 제2내부 전극
12a: 제2내부 전극 집전체층
12b: 제2내부 전극 코팅층
13: 세퍼레이터
111: 제1전도성 기재
111a: 제1전극 집전체층
111b: 제1전극 코팅층
22: 제1수지층
23: 제1배리어층
24: 제2수지층
24a: 제1통전부
112: 제2전도성 기재
112a: 제2전극 집전체층
112b: 제2전극 코팅층
25: 제3수지층
26: 제2배리어층
27: 제4수지층
27a: 제2통전부
30: 밀봉부
30a: 밀봉영역
51: 제1전극탭
52: 제2전극탭
120: 회로 필름층

Claims (13)

  1.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1수지층, 제1배리어층, 제2수지층, 제1전극 집전체층, 및 제1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1전도성 기재;
    상기 제1전도성 기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외곽으로부터 순차 적층된 제3수지층, 제2배리어층, 제4수지층,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전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전도성 기재; 그리고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주석, 아연, 구리, 알루미늄, 니켈, 은, 인듐, 안티몬, 비스무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내부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내부 전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통전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전극 집전체층,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배리어층, 그리고
    상기 제2전극 집전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상에 위치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 상기 제2수지층, 상기 제3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PE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halate, PE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 및 상기 제2수지층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지층 및 상기 제4수지층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리어층 및 제2배리어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이차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 기재 및 상기 제2전도성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외표면에 적층된 회로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가요성 이차 전지.
  12. 제1항에 따른 가요성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 팩.
  13. 제12항에 따른 전지 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장치.
KR1020150169386A 2015-11-30 2015-11-30 가요성 이차 전지 KR20170063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86A KR20170063241A (ko) 2015-11-30 2015-11-30 가요성 이차 전지
US15/341,428 US20170155098A1 (en) 2015-11-30 2016-11-02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EP16201223.1A EP3174130A1 (en) 2015-11-30 2016-11-29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CN201611087881.0A CN106816622A (zh) 2015-11-30 2016-11-30 柔性可再充电电池、包括其的电池组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386A KR20170063241A (ko) 2015-11-30 2015-11-30 가요성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41A true KR20170063241A (ko) 2017-06-08

Family

ID=5742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386A KR20170063241A (ko) 2015-11-30 2015-11-30 가요성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55098A1 (ko)
EP (1) EP3174130A1 (ko)
KR (1) KR20170063241A (ko)
CN (1) CN1068166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9864B2 (en) 2014-02-13 2020-02-11 Birmingham Technologies, Inc. Nanofluid contact potential difference battery
US11171324B2 (en) 2016-03-15 2021-11-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383213B2 (en) 2016-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081684B2 (en) 2017-05-24 2021-08-03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US10658651B2 (en) 2017-07-31 2020-05-19 Honda Motor Co., Ltd.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20190036102A1 (en) 2017-07-31 2019-01-31 Honda Motor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US11201318B2 (en) 2017-09-15 2021-12-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US11121358B2 (en) 2017-09-15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US11244816B2 (en) 2019-02-25 2022-02-08 Birmingham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nano-scale energy conversion device
US11101421B2 (en) 2019-02-25 2021-08-24 Birmingham Technologies, Inc. Nano-scale energy conversion device
US11325833B2 (en) 2019-03-04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US11352258B2 (en) 2019-03-04 2022-06-07 Honda Motor Co., Ltd.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US11124864B2 (en) 2019-05-20 2021-09-21 Birmingham Technologies, Inc. Method of fabricating nano-structures with engineered nano-scale electrospray depositions
US11539042B2 (en) 2019-07-19 2022-12-27 Honda Motor Co., Ltd.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US20210091685A1 (en) * 2019-09-25 2021-03-25 Birmingham Technologies, Inc. Nano-Scale Energy Harvesting Device
US11649525B2 (en) 2020-05-01 2023-05-16 Birmingham Technologies, Inc. Single electron transistor (SET), circuit containing set and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US11417506B1 (en) 2020-10-15 2022-08-16 Birmingham Technologies, Inc. Apparatus including thermal energy harvesting thermionic device integrated with electronic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616186B1 (en) 2021-06-28 2023-03-28 Birmingham Technologies, Inc. Thermal-transfer apparatus including thermi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7552B (en) * 2010-02-08 2016-01-27 Qinetiq Ltd Thin electrochemical cell
WO2012153866A1 (ja) * 2011-05-11 2012-11-15 日本電気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積層構造、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の積層方法
EP2631962B1 (en) * 2011-08-29 2017-04-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hin battery
US9178200B2 (en) * 2012-05-18 2015-11-03 24M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993710B1 (fr) * 2012-07-17 2014-08-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atterie li-ion bipolaire a etancheite amelioree et procede de realisation associe
US9711770B2 (en) * 2012-11-27 2017-07-18 Apple Inc. Laminar batt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4130A1 (en) 2017-05-31
CN106816622A (zh) 2017-06-09
US20170155098A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241A (ko) 가요성 이차 전지
CN106816621B (zh) 电池及包括其的电池组、电子装置以及包括电池组的装置
KR102593581B1 (ko) 가요성 이차 전지
JP6665389B2 (ja) フレキシブル電池
US10777782B2 (en) Thin electrochemical cell
KR20180010073A (ko) 가요성 이차 전지
US8771861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03521B (zh) 袋型二次電池
US9325032B2 (en)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89889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20231320A1 (en) Cell battery
US20170110763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79224B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424817B2 (en) Pouch type rechargeable battery
KR102319238B1 (ko) 이차 전지
KR102207904B1 (ko) 이차 전지
KR101975988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006046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5103429A (ja) 積層電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