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137A -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137A
KR20170063137A KR1020150169170A KR20150169170A KR20170063137A KR 20170063137 A KR20170063137 A KR 20170063137A KR 1020150169170 A KR1020150169170 A KR 1020150169170A KR 20150169170 A KR20150169170 A KR 20150169170A KR 20170063137 A KR20170063137 A KR 2017006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eutral wire
wire
neutral
fix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042B1 (ko
Inventor
김태국
진영상
이광일
정헌수
윤두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세명전기공업 (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6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조임 접속 방식으로 중성선과 외함 접지서, 피뢰기 접지선, 완금(완철) 접지선 및 지상 원접지선을 연결하도록 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제시한다. 제시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는 본체부와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중성선 고정 바,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과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상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 상부 본체를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삽입되는 탄성 부재, 탄성 부재에 삽입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하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하부 본체 및 하부 관통공을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GROUNDING CLAMP FOR NEUTRAL POLE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용 전주의 접지 선로를 구성하기 위해 중성선, 외함 접지서, 피뢰기 접지선, 완금(완철) 접지선 및 지상 원접지선을 클램핑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가 연결되는 전주(이하, 배전용 전주)에는 낙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 선로를 구성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용 전주(10)에 연결된 피뢰기 접지선(21)과 배전선로의 중성선(30) 및 완금(완철) 접지선(22)을 연결하여 제1접지선로를 구성하고, 중성선(30)과 배전용 전주(10)에 설치된 변압기(40)의 외함 접지선(23) 및 지상의 원접지선(24)을 연결하여 제2접지선로를 구성한다. 이때, 부하의 증가로 인해 변압기 등의 설비가 추가되는 경우 중성선(30)과 추가된 설비의 외함 접지선(25) 및 원접지선(24)을 연결하여 제3접지선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중성선(30), 외함 접지선(23, 25), 피뢰기 접지선(21), 완금(완철) 접지선(22) 및 지상 원접지선(24)의 연결을 위해 압축접속 방식의 분기 슬리브(50)를 이용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기 슬리브(50)는 중성선(30)과 접지선(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중성선(30)과 접지선(20)을 체결한다.
종래의 분기 슬리브(50)는 피뢰기 접지선(21), 완금(완철) 접지선(22), 외함 접지선(23, 25) 및 지상 원접지선(24) 중에 하나와 중성선(30)이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지선로의 구성을 위해 많은 수의 분기 슬리브(50)가 시공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분기 슬리브(50)의 시공 과다로 인해 접지선로 구성을 위한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기 슬리브(50)는 압축접속 방식이기 때문에, 접지선로 구성을 위해 많은 수의 분기 슬리브(50)가 설치되는 경우 시공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기 슬리브(50)는 지상의 원접지 저항치가 중성선(30)을 거쳐서 피뢰기 접지선(21), 완철 접지선(22)에 전달되므로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접지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1666호(명칭: 탄성 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형 접지 클램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임 접속 방식으로 중성선과 외함 접지서, 피뢰기 접지선, 완금(완철) 접지선 및 지상 원접지선을 연결하도록 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는 본체부와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중성선 고정 바,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과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상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 상부 본체를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삽입되는 탄성 부재, 탄성 부재에 삽입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하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하부 본체 및 하부 관통공을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용 고리는 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측 종단이 열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성선 고정 바는 고정용 고리에 중성선이 삽입된 후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는 상부 본체와 접촉되어 중성선을 체결한다.
상부 삽입 홈 및 하부 삽입 홈은 결합 부재의 조임에 의해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가 접촉되면 하부 본체의 하부 삽입 홈과 접촉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한다.
상부 본체는 양측부에 하부 본체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 중에 하나가 형성되고, 하부 본체는 양측부에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 중에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는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부 본체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하부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어 탄성을 가하여 상부 본체를 상승시킨다.
결합 부재는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부와 조임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는 결합 부재를 이용한 조임접속 방식으로 접지 선로를 구성함으로써, 압축접속 방식의 분기 슬리브에 비해 시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는 중성선 고정 바를 통해 중성선을 체결하고,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접촉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홀들을 통해 복수의 접지선들을 체결함으로써, 중성선과 하나의 접지선만 체결이 가능한 종래의 분기 슬리브에 비해 적은 개수로 접지 선로를 구성하여 시공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조임접속 방식으로 중성선과 접지선들을 체결함으로써, 압축접속 방식의 분기 슬리브에 비해 시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는 종래의 분기 슬리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접촉 저항을 형성함으로써, 분기 슬리브 방식의 접지 선로 구성에 비해 접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분기 슬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이용한 중성선 및 접지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와 종래의 분기 슬리브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험 환경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실험 환경에서 측정된 대기 온도와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의 온도 및 종래의 분기 슬리브의 온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중성선 고정 바(200), 상부 본체(300), 탄성 부재(400), 하부 본체(500), 결합 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성선 고정 바(200)는 상부 본체(300) 및 하부 본체(500)를 관통하여 결합 부재(600)와 결합되는 본체부(220)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220)는 조임 너트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외측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20)는 일단이 상부 본체(300)를 관통한 후 탄성 부재(400)에 삽입된다. 본체부(220)는 탄성 부재(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본체(500)를 관통한 후 결합 부재(600)와 결합된다.
중성선 고정 바(200)는 본체부(2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중성선(30)이 삽입되는 고정용 고리(240)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용 고리(240)는 본체부(2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종단이 열린 원형(즉,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용 고리(240)는 중성선(30)이 삽입된 후 탄성 부재(400)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는 상부 본체(300)와 타단이 접촉되어 중성선(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본체(300)는 중앙부에 중성선 고정 바(200)가 삽입되는 상부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관통공(310)은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 및 고정용 고리(2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본체(300)는 상부 관통공(3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접지선(20)이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 삽입 홈(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삽입 홈(320)은 하부 본체(500)와 결합되는 일면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삽입 홈(320)은 상부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삽입 홈(320)은 상부 본체(300)와 하부 본체(500)가 결합됨에 따라 외함 접지선(23, 25), 피뢰기 접지선(21), 완금(완철) 접지선(22) 및 지상 원접지선(24)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선(20)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상부 본체(300)는 양측부에 하부 본체(50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30)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330)는 상부 본체(300)와 하부 본체(500)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본체(300)는 양측부에 하부 본체(50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5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400)는 중성선 고정 바(200)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 본체(300)에 탄성을 전달한다. 즉, 탄성 부재(400)는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에 삽입 가능한 형태(예를 들면, 스프링)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400)는 상부 본체(300)를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가 삽입된다. 탄성 부재(400)는 일단이 상부 본체(300)와 접촉되고, 타단이 하부 본체(500)와 접촉된다.
탄성 부재(400)는 상부 본체(300)에 하부 방향(즉, 하부 본체(500)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축되고, 상부 본체(3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팽창하여 상부 본체(300)를 상부 방향(즉, 중성선 고정 바(200)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하부 본체(500)는 중앙부에 중성선 고정 바(200)가 삽입되는 하부 관통공(510)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관통공(510)은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 및 고정용 고리(2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본체(500)는 하부 관통공(5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접지선(20)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삽입 홈(520)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삽입 홈(520)은 상부 본체(300)와 결합되는 일면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삽입 홈(520)은 하부 관통공(5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된다. 하부 삽입 홈(520)은 상부 본체(300)와 하부 본체(500)가 결합됨에 따라 상부 삽입 홈(320)과 결합되어 외함 접지선(23, 25), 피뢰기 접지선(21), 완금(완철) 접지선(22) 및 지상 원접지선(24)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선(20)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하부 본체(500)는 양측부에 상부 본체(30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530)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홈(530)은 상부 본체(300)와 하부 본체(500)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 돌기(330)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본체(500)는 양측부에 하부 본체(50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600)는 하부 본체(500)를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200)에 결합된다. 즉, 결합 부재(600)는 내부에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 부재(600)는 본체부(220)에 형성된 나사산과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이용한 중성선 및 접지선 연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를 이용한 중성선 및 접지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본체(3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30) 및 하부 본체(5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530)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중성선 고정 바(200)가 상부 본체(300)와 탄성 부재(400) 및 하부 본체(500)를 관통하여 결합 부재(6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400)의 탄성에 의해 중성선 고정 바(200)의 고정용 고리(240)가 상부 본체(300)의 상부에 접촉되고, 상부 본체(300) 및 하부 본체(500)가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선(30)을 삽입하기 위해 상부 본체(300)에 하부 방향(즉, 하부 본체(500) 방향)으로 소정의 힘(즉, 탄성 부재(400)의 탄성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상부 본체(300)가 하강하여 중성선 고정 바(200)와 이격되고 하부 본체(500)와 접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선 고정 바(200)와 상부 본체(300)가 이격된 상태에서 중성선(30)을 중성선 고정 바(200)의 고정용 고리(240)에 삽입한 후 상부 본체(3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탄성 부재(400)의 탄성에 의해 상부 본체(300)가 상승하여 중성선 고정 바(200)와 접촉되어 중성선(30)을 가체결한다. 이때,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상부 본체(300)와 하부 본체(500)가 이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20)의 체결을 위해 결합 부재(600)를 회전시키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중성선 고정 바(200)의 본체부(220)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결합 부재(600)가 상승하며 하부 본체(500)를 상부 본체(300)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결합 부재(600)의 회전을 통해 상부 본체(300) 및 하부 본체(500)의 삽입 홈들(즉, 상부 삽입 홈(320) 및 하부 삽입 홈(520))이 소정 간격(즉, 접지선(20)이 삽입될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접지선(20)이 삽입되는 삽입 홀(120)들을 형성하도록 하부 본체(500)를 상승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20)들이 삽입 홀(120)들에 각각 삽입되면, 결합 부재(600)를 회전시켜 하부 본체(500)가 상부 본체(300)와 접촉 고정시킨다. 그에 따라, 중성선 고정 바(200)의 고정용 고리(240)에 의해 중성선(30)의 체결이 완료되고, 상부 본체(300) 및 하부 본체(500)의 삽입 홈들이 형성된 삽입 홀(120)들에 의해 접지선(20)들의 체결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결합 부재(600)를 이용한 조임접속 방식으로 접지 선로를 구성함으로써, 압축접속 방식의 분기 슬리브(50)에 비해 시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중성선 고정 바(200)를 통해 중성선(30)을 체결하고, 상부 본체(300) 및 하부 본체(500)의 접촉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홀(120)들을 통해 복수의 접지선(20)들을 체결함으로써, 중성선(30)과 하나의 접지선(20)만 체결이 가능한 종래의 분기 슬리브(50)에 비해 적은 개수로 접지 선로를 구성하여 시공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조임접속 방식으로 중성선(30)과 접지선(20)들을 체결함으로써, 압축접속 방식의 분기 슬리브(50)에 비해 시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와 종래의 분기 슬리브의 성능 비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와 종래의 분기 슬리브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험 환경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실험 환경에서 측정된 대기 온도와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의 온도 및 종래의 분기 슬리브의 온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와 종래의 분기 슬리브(50)의 성능 비교를 위해 종래의 분기 슬리브(50) 및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에 중성선(30)과 전류원(700)을 연결한다. 이때, 종래의 분기 슬리브(50) 및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에는 성능 비교를 위해 온도 측정 장치(800)를 연결한다.
이후, 전류원(700)을 통해 종래의 분기 슬리브(50) 및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로 전류(예를 들면, 통전전류 500A)를 인가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인가 후 대략 1시간 2분 30초가 경과한 후의 대기 온도(도 10의 ⓐ)는 대략 29.3℃ 정도이고,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의 온도(도 10의 ⓑ)는 대략 38.9℃ 정도이고, 분기 슬리브(50)의 온도(도 10의 ⓒ)는 대략 52.6℃ 정도로 상승한다.
전류 인가에 따른 온도 상승은 접촉 저항의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할 때,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종래의 분기 슬리브(50)에 비해 접촉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100)는 종래의 분기 슬리브(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접촉 저항을 형성함으로써, 분기 슬리브(50) 방식의 접지 선로 구성에 비해 접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전주 20: 접지선
21: 피뢰기 접지선 22: 완금(완철) 접지선
23, 25: 외함 접지선 24:원접지선
30: 중성선 40: 변압기
50: 분기 슬리브
100: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120: 삽입 홀 200: 중성선 고정 바
220: 본체부 240: 고정용 고리
300: 상부 본체 310: 상부 관통공
320: 상부 삽입 홈 330: 가이드 돌기
400: 탄성 부재 500: 하부 본체
510: 하부 관통공 520: 하부 삽입 홈
530: 가이드 홈 600: 결합 부재

Claims (7)

  1. 본체부와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중성선 고정 바;
    상기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과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상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를 관통한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삽입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에 삽입된 상기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의 양측에 복수의 하부 삽입 홈이 형성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에 체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고리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측 종단이 열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 고정 바는,
    상기 고정용 고리에 중성선이 삽입된 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는 상기 상부 본체와 접촉되어 상기 중성선을 가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삽입 홈 및 하부 삽입 홈은,
    상기 결합 부재의 조임에 의해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가 접촉되면 상기 하부 본체의 하부 삽입 홈과 접촉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는 양측부에 상기 하부 본체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 중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양측부에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 중에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어 탄성을 가하여 상기 상부 본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중성선 고정 바의 본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조임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KR1020150169170A 2015-11-30 2015-11-30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KR10217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70A KR102174042B1 (ko) 2015-11-30 2015-11-30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70A KR102174042B1 (ko) 2015-11-30 2015-11-30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137A true KR20170063137A (ko) 2017-06-08
KR102174042B1 KR102174042B1 (ko) 2020-11-05

Family

ID=5922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170A KR102174042B1 (ko) 2015-11-30 2015-11-30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39Y1 (ko) * 2002-04-10 2002-07-06 세명전기공업 (주) 완철용 접지 클램프
KR101178898B1 (ko) * 2011-01-26 2012-08-31 한국전력공사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20130031666A (ko) 2011-09-21 2013-03-29 한국전력공사 탄성 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형 접지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39Y1 (ko) * 2002-04-10 2002-07-06 세명전기공업 (주) 완철용 접지 클램프
KR101178898B1 (ko) * 2011-01-26 2012-08-31 한국전력공사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20130031666A (ko) 2011-09-21 2013-03-29 한국전력공사 탄성 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형 접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42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41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ld shrink component
US8672701B2 (en) Cable connection device
KR101178224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US20120181754A1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GB2440681A (en) Insulated wire tensioner for electric fence
US1837259A (en) Hanger for cables and the like
US2713670A (en) Electrical jack
KR20170063137A (ko) 배전선로의 중성선용 접지 클램프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US1953966A (en) Connecter
KR20160031716A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KR20150071696A (ko) 철근 접지 결속장치
US1961235A (en) Connecter for electric conductors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US1836480A (en) Outlet for electrical conductors
US1577123A (en) Connecter for electrical conductors
US1290881A (en) Electrical grounding device.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KR200454657Y1 (ko) 난방용 카본발열장치의 전선 조인트
US2426552A (en) Means for securing terminals to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