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712A -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712A
KR20170062712A KR1020150168237A KR20150168237A KR20170062712A KR 20170062712 A KR20170062712 A KR 20170062712A KR 1020150168237 A KR1020150168237 A KR 1020150168237A KR 20150168237 A KR20150168237 A KR 20150168237A KR 20170062712 A KR20170062712 A KR 20170062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ad
bill
card information
bil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태진
Original Assignee
(주)에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포스 filed Critical (주)에어포스
Priority to KR102015016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712A/ko
Priority to PCT/KR2015/014471 priority patent/WO2017094960A1/ko
Publication of KR2017006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마그네틱보안센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로 결제할 수 있도록 MST칩을 읽어들여서 결제를 진행하되, 스마트빌패드에서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읽어들여 포스장치에서 이를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방법으로, 손님이 테이블에 앉아서 주문내역에 대하여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PAYMENT METHOD OF SAMSUNGPAY PAYMENT SYSTEM USING SMART-BIL-LPAD}
본 발명은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마그네틱보안센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로 결제할 수 있도록 MST칩을 읽어들여서 결제를 진행하되, 스마트빌패드에서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읽어들여 포스장치에서 이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방법으로, 손님이 테이블에 앉아서 주문내역에 대하여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숍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음료나 음식을 주문하게 되면 주문내역과 청구금액이 적힌 청구서(bill)를 제공한다.
이러한 청구서 발행은 종업원 또는 주인이 손님의 주문을 받아서 이를 포스장치에 입력하면 포스장치가 이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상기 출력된 청구서는 테이블 번호가 적힌 영수증홀더와 같은 빌패드(bill pad)에 끼워서 손님에게 제공되는데, 손님은 주문내역을 확인하고 금액을 확인하게 된다.
손님은 청구서가 있는 빌패드를 받아서 청구서 내용을 확인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에는 카운터로 가서 포스장치를 통해 카드 혹은 현금 등의 결제를 하게 된다.
포스장치에서는 이러한 주문내역을 테이블단위로 기록하고, 테이블 번호가 청구서에 기록된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메뉴판이 제공되는데,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1548호에 따르면 전자메뉴판은 디스플레이에서 주문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서 종이형태의 청구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삼성이 LoopPay라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기술 기반의 제품을 가진 기업을 인수하고 난 후 삼성페이를 출시하였는데, 삼성페이는 MST칩을 내장한 스마트폰에 앱형태로 신용카드를 입력하여 이를 암호화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결제방법으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결제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메뉴판과 삼성페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포스장치와 연동 된 전자메뉴판의 디스플레이에 주문내역이 표시되기 때문에 주방에 주문내역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2) 손님들이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포스장치로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3) 삼성페이와 같이 새로운 결제시스템이 적용될 수 없거나, 각 테이블에서는 결제를 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포스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교환하는 스마트빌패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빌패드에는 MST칩을 인식하는 마그네틱보안센서가 형성되며, 손님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매장의 각 테이블에 스마트빌패드가 제공되는 환경에 있어서,
포스서버가 주문내역을 출력하고, 출력된 주문내역을 스마트빌패드에 넣을 때 포스서버가 테이블번호를 인식하게 하는 빌패드제공단계와;
상기 빌패드제공단계 후에 스마트폰이 삼성페이앱을 실행하고, 카드를 선정하는 카드선정단계와;
상기 카드선정단계 후에 스마트폰이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발생한 후 스마트빌패드의 하단에 있는 마그네틱보안센서와 접촉하여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카드정보통신단계와;
상기 카드정보통신단계 후에 스마트빌패드가 무선으로 포스장치에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보내주면서 테이블번호를 제공하는 결제단계와;
상기 결제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포스장치가 결제완료신호를 스마트빌패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빌패드는 몸체의 좌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단에 안착되는 커버와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커버를 수용하는 커버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의 상부에 세그먼트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수용부의 하부에는 충전용전극이 돌출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주연부가 부착되고, 하단에는 충전용전극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주연부에는 메인보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내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틱보안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포스장치와 연동되되, 결제정보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가 아닌 종이로 인쇄된 주문내역이 제공되어 주문내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2) 손님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스마트빌패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3) 삼성페이 또는 페이코 결제방식 등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마트빌패드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여 쉽게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의 순서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의 결제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사용되는 스마트빌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사용되는 스마트빌패드의 커버 개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사용되는 스마트빌패드의 분리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방향표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용지의 좌측하단방향을 하부로, 우측상단방향을 상부로, 좌측상단방향은 좌측으로, 우측상단방향은 우측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은 포스장치(20)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장치(20)와 무선으로 통신을 교환하는 스마트빌패드(10)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빌패드(10)에는 MST칩을 인식하는 마그네틱보안센서(250)가 형성되며, 손님이 스마트폰(30)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매장의 각 테이블에 스마트빌패드가 제공되는 환경에 있어서,
포스장치(20)가 주문내역을 출력하고, 출력된 주문내역을 스마트빌패드(10)에 넣을 때 포스창치(20)가 테이블번호를 인식하게 하는 빌패드제공단계(S1)와;
상기 빌패드제공단계(S1) 후에 스마트폰(30)이 삼성페이 앱을 실행하고, 카드를 선정하는 카드선정단계(S2)와;
상기 카드선정단계(S2) 후에 스마트폰(30)이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발생한 후 스마트빌패드(10)의 하단에 있는 마그네틱보안센서(250)와 접촉하여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카드정보통신단계(S3)와;
상기 카드정보통신단계(S3) 후에 스마트빌패드(10)가 무선으로 포스장치(20)에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보내주면서 테이블번호를 제공하는 결제단계(S4)와;
상기 결제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포스장치가 결제완료신호를 스마트빌패드(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단계(S5)로 구성된다.
상기 빌패드제공단계(S1)는 주문을 입력하면서 스마트빌패드(10)를 들게 되면 번호가 테이블번호를 인식하여 세그먼트(114)에 노출한다.
상기 카드선정단계(S2)는 빌패드제공단계(S1) 후에 스마트폰(30)이 삼성페이 앱을 실행하고, 카드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삼성페이 이외에 페이코결제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카드정보통신단계(S3)는 카드선정단계(S2) 후에 스마트폰(30)이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발생한 후 스마트빌패드(10)의 하단에 있는 마그네틱보안센서(250)와 접촉하여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제단계(S4)는 카드정보통신단계(S3) 후에 스마트빌패드(10)가 무선으로 포스장치(20)에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보내주면서 테이블번호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시단계(35)는 결제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포스장치가 결제완료신호를 스마트빌패드(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단계(35)에는 스마트빌패드(10)의 상,하부LED조명에 불이 올 수 있도록 하여 종업원이 결제자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몸체(100)의 좌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단에 안착되는 커버(200)와 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는 커버(200)를 수용하는 커버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112)의 상부에 세그먼트(11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수용부(112)의 하부에는 충전용전극(115)이 돌출되는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와 주연부가 부착되고, 하단에는 충전용전극(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122)가 형성되는 하부몸체(12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배터리(230)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230)의 주연부에는 메인보드(24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내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틱보안센서(250)가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틱보안센서(250)는 일반적인 신용카드단말기의 카드리더기 기능과 동일한 센서로 삼성페이의 MST칩(Magnetic Secure Transmission chip)에 의해서 발생하는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마그네틱보안센서(250)와 나란하게 NFC센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의 기종이 NFC를 이용한 결제만 가능하다면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커버(200)에는 자석(210)이 형성되어 몸체(100)의 커버수용부(112) 상단에 부착된다.
상기 커버(200)의 상단에는 전자기기를 올려놓았을 때 미끌어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커버수용부(112)에는 주문내역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커버수용부(112)는 상부몸체(110)의 가운데에 넓게 분포되고, 상부와 하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수용부(112)의 하면에는 자기유도코일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유도코일에 배터리(230)가 연결되어 무선으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수용부(112)의 하부에는 충전용전극(115)이 한 쌍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데, 이는 도 4와 같이 여러 대의 스마트빌패드(10)를 적층하여 충전베드(300)에서 충전할 때 사용한다.
상기 커버수용부(112)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출구(116)가 형성되어 충전용전극이 하부몸체(120)의 삽입구(122)에 삽입이 안정적으로 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하부몸체(120)는 상부몸체(110)와 함께 몸체(100)에 내부공간을 만들어 배터리(230)와 메인보드(24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부범퍼(271)와 하부범퍼(27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범퍼(271)와 하부범퍼(272)는 투명하거나 반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범퍼(271)와 하부범퍼(272)의 내부에는 메인보드(240)와 연결되는 상,하부LED조명(261,262)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보드(240)는 WIFI와 같은 무선수단을 활용하여 포스장치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로 포스장치로부터 테이블번호를 수신하여 세그먼트(114)에 표시하고, 마그네틱보안센서(250)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받아 포스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되며, 결제가 이루어진 후에는 포스장치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받아 상,하부LED조명(261,262)을 점멸 또는 점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는 배터리(230)와 연결되는 USB커넥터(2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USB커넥터(280)는 손님이 전자기기를 케이블로 충전하고자 할때 꽂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마트빌패드(10)는 포스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포스장치에서 출력되는 주문내역의 홀더역할과 동시에 MST칩에 의해서 암호화된 카드신호를 인식시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손님이 들어와서 주문을 하게 되면, 주문을 받은 종업원은 포스장치에 주문을 입력하고, 주문내역을 출력함과 동시에 테이블번호를 송출하여 해당 스마트빌패드(10)의 세그먼트(114)에 해당 테이블번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손님은 해당 스마트빌패드(10)를 받은 후 커버(200)를 열어서 커버수용부(112)에 있는 주문내역을 확인한다.
만약, 손님의 전자기기에 충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일 경우에는 커버(200)의 상단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220)의 상단에 올려놓으면 자기유도코일에 의해서 배터리(230)에 충전되어 있던 전원이 유도되어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또는, USB커넥터(280)에 충전케이블을 꽂아서 충전할 수 있다.
서비스를 다 받은 후에는 결제를 위해서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삼성페이를 실행시키고, 스마트폰에 있는 MST칩을 사용하여 마그네틱보안센서(250)에 가져다 대면 보안된 카드신호를 포스장치에 전송하고, 포스장치는 VAN사에 승인을 받아서 결제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결제가 완료되면, 포스장치는 해당 스마트빌패드에 결제완료신호를 보내고, 해당 스마트빌패드(10)의 상,하부범퍼(271,272)에 포함된 상,하부LED조명에 불이 들어와 결제상태를 알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당 스마트빌패드(10)에 불이 켜지게 되면 종업원은 결제가 완료된 테이블임을 인식하고, 손님을 그대로 보낼 수 있다.
만약, 스마트빌패드(1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베드(300)의 상부에 충전용전극(115)을 꽂아서 고정하되, 상부에 또 다른 스마트빌패드(10)의 하단을 닿도록 올려놓아서, 삽입구(122)에 충전용전극(1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에 의하면 포스장치와 연동되되, 결제정보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가 아닌 종이로 인쇄된 주문내역이 제공되어 주문내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손님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스마트빌패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며, 삼성페이 또는 페이코 결제방식 등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빌패드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여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스마트빌패드 20 : 포스장치
30 : 스마트폰 100 : 몸체
110 : 상부몸체 112 : 커버수용부
114 : 세그먼트 115 : 충전용전극
116 : 가이드돌출구 120 : 하부몸체
122 : 삽입구 200 : 커버
210 : 자석 220 : 미끄럼방지부
230 : 배터리 240 : 메인보드
250 : 마그네틱보안센서 261 : 상부LED조명
262 : 하부LED조명 271 : 상부범퍼
272 : 하부범퍼 280 : USB커넥터
300 : 충전베드

Claims (4)

  1. 포스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교환하는 스마트빌패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빌패드에는 MST칩을 인식하는 마그네틱보안센서가 형성되며, 손님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매장의 각 테이블에 스마트빌패드가 제공되는 환경에 있어서,
    포스서버가 주문내역을 출력하고, 출력된 주문내역을 스마트빌패드에 넣을 때 포스서버가 테이블번호를 인식하게 하는 빌패드제공단계와;
    상기 빌패드제공단계 후에 스마트폰에 삼성페이앱을 실행하고, 카드를 선정하는 카드선정단계와;
    상기 카드선정단계 후에 스마트폰이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발생한 후 스마트빌패드의 하단에 있는 마그네틱보안센서와 접촉하여 카드정보를 인식하는 카드정보통신단계와;
    상기 카드정보통신단계 후에 스마트빌패드가 무선으로 포스장치에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보내주면서 테이블번호를 제공하는 결제단계와;
    상기 결제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포스장치가 결제완료신호를 스마트빌패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의 좌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단에 안착되는 커버와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커버를 수용하는 커버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의 상부에 세그먼트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수용부의 하부에는 충전용전극이 돌출되는 상단몸체와; 상기 상단몸체와 주연부가 부착되고, 하단에는 충전용전극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주연부에는 메인보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내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틱보안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커버수용부의 하단에는 자기유도코일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USB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선정단계에서는 페이코결제방식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KR1020150168237A 2015-11-30 2015-11-30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KR20170062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37A KR20170062712A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PCT/KR2015/014471 WO2017094960A1 (ko) 2015-11-30 2015-12-30 스마트빌패드와 이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37A KR20170062712A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712A true KR20170062712A (ko) 2017-06-08

Family

ID=5922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237A KR20170062712A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745B1 (ko) 스마트 스탬프 시스템 및 그것의 이용방법
US10116151B2 (en) Battery charger rental kiosk system
US20110198395A1 (en) Handheld mobile credit card reader
US20080156865A1 (en) Wireless (RFID) enabled check presentation device
WO2011031768A3 (en) Association of contactless payment card primary account number
CN108702003A (zh) 在便携式数据终端中无线充电和近场通信的共存
CN10584481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US20130262299A1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able to receive and hold a portable telephone
JP2008236888A (ja) 携帯装置用充電装置、客席用テーブル、携帯装置用充電装置の決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29977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CN203786772U (zh) 移动销售刷卡机
KR20170062712A (ko) 스마트빌패드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KR20170001680A (ko) 멀티 카드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94985A1 (en) Bill Folder with Visual Device and Dynamic Information Content Updating System
CN204347983U (zh) 移动营业厅自助充值缴费系统
KR20170062711A (ko) 스마트빌패드
JP2007018276A (ja) 自動販売機
JP2016019295A (ja) セルフ式充電装置
JP2019045949A (ja) 端末装置
KR102139783B1 (ko) 도난방지기능을 구비한 포스 크래들 장치
EP2697755A1 (en) Payment card, cashless payment method
WO2017094960A1 (ko) 스마트빌패드와 이를 활용하여 삼성페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결제방법
CN216083797U (zh) 一种可扩展式数币终端验证装置
KR20150108113A (ko)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기
KR101783558B1 (ko) 멀티 카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