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667A - 종이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667A
KR20170062667A KR1020150168095A KR20150168095A KR20170062667A KR 20170062667 A KR20170062667 A KR 20170062667A KR 1020150168095 A KR1020150168095 A KR 1020150168095A KR 20150168095 A KR20150168095 A KR 20150168095A KR 20170062667 A KR20170062667 A KR 2017006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ser beam
cutting
cut
cut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준
Original Assignee
강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준 filed Critical 강호준
Priority to KR102015016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667A/ko
Publication of KR2017006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26D1/3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직선형 절단부를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일치시켜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종이가 안치되는 '판' 형상의 작업판체와, 상기 작업판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저면이 커터날이 상기 작업판체측 방향을 회전하면서 근접하여 상기 작업판체에 놓인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이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판체에는, 상기 절단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대하여 일치하는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으로 선형레이저빔이 직선상으로 조사되어 상기 커터칼의 절단선과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절단부를 일치시키도록 된 레이저빔발생수단이 구비된 종이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이절단장치{A paper-cut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종이를 직선상으로 절단하도록 된 종이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직선형 절단부를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일치시켜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종이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사무실, 유치원, 학원, 학교 등에서는 종이를 절단할 경우 가위를 사용하거나 자 막대를 대고 절단 칼로 절단하는 작업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때, 일반적인 절단 칼을 이용하여 종이를 절단할 경우에는 바닥면(책상의 상면)이 손상되거나, 자 막대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량의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된 '작두형 절단장치'를 제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상기의 작두형 절단장치를 통해서 단일의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여 자 막대 등과 같은 도구의 훼손 없이 종이를 절단하고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7490호(명칭: 가구형 종이 절단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절단하기 위한 종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표면이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져 있는 절단판과 종이를 절단하는 작두형 절단칼로 구성된 종이절단기에 있어서, 판재의 하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판, 상기 절단판의 수납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절단판 서랍, 상기 절단판의 한쪽 측면 모서리에 장착된 절단칼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절단판부재; 상기 절단판의 측면에 부착된 조절대 받침대, 상기 조절대 받침대에 장착된 조절대, 상기 조절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조절대 서랍으로 이루어진 조절대부재; 상기 절단판부재와 조절대부재 사이에 형성된 칼날홈; 및 한쪽 단부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단부는 고정핀에 고정되어 있는 작두형 절단칼로 이루어진 종이절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90-0002847호(명칭: 종이절단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의 절단판 한쪽변 가까이에 스프링 수납홈을 오목하게 만들어서 그 속에 스프링캡이 씌워진 코일스프링을 수납하여 스프링캡 상단부에는 누름자를 고정하고, 안내홈이 하부에서 위로 향하여 오목하게 만들어진 두개의 지주를 절단판의 스프링 수납홈 외측에 견고하게 세워 설치한 다음 원반형의 절단도가 축착되어 있고 또한 가압로울러와 스프링이 홈에 수납되어 있는 구동헤드가 수평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는 활주봉의 양쪽 단부를 지주에 축착하여서 된 종이 절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97-0006335호(명칭: 종이 절단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간간의 상부에 낫 형태로 형성한 판스프링을 대판을 향해서 전후로 설치하되, 판스프링의 짧은 단부만을 고정하도록 된 종이 절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이절단장치는, 종이가 안치되는 '판' 형상의 작업판체와, 상기 작업판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저면이 커터날이 상기 작업판체측 방향을 회전하면서 근접하여 상기 작업판체에 놓인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체로 구성된다.
즉, 종이가 안치되는 작업판체와 상기 작업판체에 축고정된 절단칼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7490호 2,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90-0002847호 3,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97-0006335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이절단장치들은, 종이를 작업판체에 올려놓고 종이상에서 직선적으로 절단하고자하는 절단선을 정확하게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맞추어 절단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종이의 절단선과 커터날의 절단방향을 맞춘 후,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 비 숙련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절단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절단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 숙련자라도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직선형 절단선을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정확히 일치시켜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이의 절단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종이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절단장치는, 종이가 안치되는 '판' 형상의 작업판체와, 상기 작업판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저면이 커터날이 상기 작업판체측 방향을 회전하면서 근접하여 상기 작업판체에 놓인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이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판체에는, 상기 절단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대하여 일치하는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으로 선형레이저빔이 직선상으로 조사되어 상기 커터날의 절단선과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절단부를 일치시키도록 된 레이저빔발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의 레이저빔방출부위는 상기 커터날의 절단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작업판체에 직선적 길이를 가지면서 선형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의 두께에 대하여,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으로 직선형의 레이저빔이 길이를 가지면서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레이저빔발생수단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이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절단장치는, 종이가 안치되는 작업판체의 표면에 커터칼의 절단경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빔 발생수단을 통해 선형레이저빔이 조사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커터날의 절단경로를 인지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절단선을 상기 선형레이저빔과 일치시킨 후, 절단체를 회전시켜 종이를 절단하도록 됨에 따라, 비 숙련자라도 정확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이의 절단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측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에 적용되는 레이저빔발생수단에서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각도와 작업판체의 표면과의 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에 적용되는 레이저빔발생수단의 조절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는, 종이(2)가 안치되는 '판' 형상의 작업판체(3)와, 상기 작업판체(3)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저면이 커터날(41)이 상기 작업판체(3)측 방향을 회전하면서 근접하여 상기 작업판체(3)에 놓인 종이(2)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체(4)를 가진다.
즉, 상기 작업판체(3)에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2)를 올려놓고 종이(2)의 절단선(21)에 상기 절단체(4)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커터날(41)의 절단경로를 맞춘 후, 상기 절단체(4)를 회전시켜 상기 커터날(41)이 상기 종이(2)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에서, 상기한 작업판체(3)에는, 상기 절단체(4)의 회전에 따른 상기 커터날(41)의 절단방향에 대하여 일치하는 상기 작업판체(3)의 표면으로 선형레이저빔(B)이 직선상으로 조사되어 상기 커터칼(41)의 절단경로와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2)의 절단선(21)을 일치시키도록 된 레이저빔발생수단(5)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종이(2)가 안치되는 상기 작업판체(3)의 표면에 커터칼(41)의 절단경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빔발생수단(5)을 통해 선형레이저빔(B)이 조사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커터날(41)의 절단경로를 인지하고,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2)의 절단선(21)을 상기 선형레이저빔(B)과 일치시킨 후, 상기 절단체(4)를 회전시켜 종이(2)의 절단선(21)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비 숙련자라도 정확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이(2)의 절단품질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에서,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5)의 레이저빔방출부위는, 상기 커터날(41)의 절단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작업판체(3)에 직선적 길이를 가지면서 선형레이저빔(B)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업판체(3)에 선형레이저빔(B)이 길이를 가지는 직선을 구현하면서 조사되어 사용자가 선형레이저빔(B)을 직선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종이(2)의 절단선(21)과 작업판체(3)로 조사되는 선형레이저빔(B)을 직선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종이(2)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5)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B)의 두께(t)에 대하여, 상기 작업판체(3)의 표면으로 직선형의 선형레이저빔(B)이 길이(d)를 가지면서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체(3)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레이저빔발생수단(5)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B)이 경사각도(a)를 가지면서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레이저빔발생수단(5)은, 상기 작업판체(3)이 일단에 상기 커터날(4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면서 직선적으로 배치되는 케이스(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6)에서 외부로 선형레이저빔(B)의 방출부위가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레이저발생기(51)와, 상기 레이저발생기(51)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공급부(51)와, 상기 전원공급부(51)와 상기 레이저발생기(51)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된 스위치(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위치(53)는 상기 케이스(6)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를 통해 종이(2)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스위치(53)를 구동하여 상기 레이저빔발생수단(5)을 통해 상기 작업판체(3)에서 상기 커터날(41)의 절단경로에 위치하는 부위들의 연결선상으로 선형레이저빔(B)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2)를 상기 작업판체(3)에 놓고, 상기 종이(3)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절단선(21)을 상기 선형레이저빔(B)과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판체(3) 상에서, 상기 종이(2)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절단체(4)를 회동시켜 상기 커터날(41)이 상기 작업판체(3)로 근접하면서 상기 종이(2)를 절단하면 된다.
이때. 상기 커터날(41)의 절단경로에 상기 종이(2)의 절단선(21)이 일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종이(2)의 절단선(21)을 정확하게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에서, 상기한 케이스(6)에는, 상기 레이저발생기(51)가 고정되는 고정판(7)이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7)의 일 부위에는 나사봉(71)이 나사 결합하는 너트체(72)가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6)의 바닥면에 대한 상기 너트체(7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스(6)의 바닥면에 대한 상기 고정판(7)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발생기(51)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B)의 방출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종이(2)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종이절단장치(1)는, 종이(2)가 안치되는 작업판체(3)의 표면에 커터칼(41)의 절단경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선형레이저빔(B)이 조사되어 종이(2)의 절단선(21)과 커터날(41)의 절단경로를 일치하도록 종이(2)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종이절단장치 2 : 종이
21 : 종이의 절단선 3 : 작업판체
4 : 절단체 41 : 커터날
5 : 레이저빔발생수단 51 : 레이저발생기
52 : 전원공급부 53 : 스위치
6 : 케이스 7 : 고정판
71 : 나사봉 72 : 너트체

Claims (3)

  1. 종이가 안치되는 '판' 형상의 작업판체와, 상기 작업판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저면이 커터날이 상기 작업판체측 방향을 회전하면서 근접하여 상기 작업판체에 놓인 종이를 직선적으로 절단하도록 된 절단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이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판체에는,
    상기 절단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커터날의 절단방향에 대하여 일치하는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으로 선형레이저빔이 직선상으로 조사되어 상기 커터날의 절단선과 절단하고자 하는 종이의 절단부를 일치시키도록 된 레이저빔발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의 레이저빔방출부위는,
    상기 커터날의 절단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작업판체에 직선적 길이를 가지면서 선형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이저빔발생수단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의 두께에 대하여,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으로 직선형의 레이저빔이 길이를 가지면서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체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레이저빔발생수단에서 방출되는 선형레이저빔이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절단장치.
KR1020150168095A 2015-11-29 2015-11-29 종이절단장치 KR20170062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095A KR20170062667A (ko) 2015-11-29 2015-11-29 종이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095A KR20170062667A (ko) 2015-11-29 2015-11-29 종이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67A true KR20170062667A (ko) 2017-06-08

Family

ID=5922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095A KR20170062667A (ko) 2015-11-29 2015-11-29 종이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6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8010B8 (en) Adjustable slicing device
EP2223773A1 (en) A table tool
CN204486915U (zh) 一种弓锯床
US5408909A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and cutting a workpiece
US2256606A (en) Trimming board
ES2297786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ranuras en piezas de trabajo.
US20050188808A1 (en) Trimmer with laser guide
KR20170062667A (ko) 종이절단장치
US1853245A (en) Saw filing machine
ES2237357T3 (es) Dispositivo para cortar en lonchas productos alimenticios.
DE50203962D1 (de) Furniermessermaschine
US2238857A (en) Card trimmer
KR102151865B1 (ko) 판재절단용 전동식 원형톱장치
DE202005007680U1 (de) Laserführungsvorrichtung
JP3217679U (ja) 電動グラインダ、位置決め具付き電動グラインダ
US2154999A (en) Composing room saw
KR20160091132A (ko) 라벨지의 다이커팅장치
US215205A (en) Improvement in paper-cutting machines
US2193864A (en) Scoring machine
US8016646B1 (en) Saw blade sharpening assembly
US1826188A (en) Jig saw
CN109465492A (zh) 电锯
CN217310815U (zh) 一种青光眼手术用的巩膜制瓣刀
US20060053996A1 (en) Light duty, long axis portable cutter
CN214293272U (zh) 一种高效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