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589A -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589A
KR20170062589A KR1020150167397A KR20150167397A KR20170062589A KR 20170062589 A KR20170062589 A KR 20170062589A KR 1020150167397 A KR1020150167397 A KR 1020150167397A KR 20150167397 A KR20150167397 A KR 20150167397A KR 20170062589 A KR20170062589 A KR 2017006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ydraulic
branch pipe
boom cylinder
hydraul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589A/ko
Publication of KR2017006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17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with energy recovery arrangements, e.g. using accumulators, fly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Abstract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붐의 하강시, 붐 실린더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모터를 직접 구동하고, 유압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프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므로, 엔진 토크가 보조된다. 그러므로, 축압기를 설치한 종래의 건설기계에 비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축압기가 없으므로 축압기에 에너지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SYSTEM FOR RECOVERING BOOM POTENTIAL ENERGY OF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붐의 하강시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로 유압모터를 구동시켜 엔진 토크를 보조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건설기계(Construction Equipment)는 공사현장에서 항상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그리고, 건설기계는 공사현장에서 난폭하게 사용되는 일이 많고, 기상조건이 나쁜 곳이나 정지(整地)되지 않은 곳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건설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 주행체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 및 선회체에 설치된 작업장치로 구성되며,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및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을 수행한다.
굴삭기의 작업장치는 선회체에 설치되며 선회체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 붐에 일단부측이 설치되며 붐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는 형태로 신축(伸縮)가능하게 설치된 아암(Arm) 및 아암의 타단부측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버킷(Bucket) 등을 포함하며, 유압에 의하여 동작한다.
굴삭기의 붐은 붐 실린더에 의하여 운동하며, 붐 실린더는 일측 및 타측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하여 동작한다.
붐이 하강하면, 붐의 자중에 의하여 붐 실린더에서 고압의 작동유가 배출되는데,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저장탱크로 유입시키면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수용 또는 저장한 후, 필요처로 유압을 공급하는 축압기(Accumulator)를 구비한 건설기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건설기계는 별도의 축압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축압기에 에너지를 저장할 때 압력 차이에 의해 에너지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엔진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를 공급받으며,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가 제1관로를 통하여 하측 부위로 공급되면 상기 붐(Boom)을 상승시키고, 제2관로를 통하여 상측 부위로 공급되면 상기 붐을 하강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펌프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를 상기 제1관로 또는 상기 제2관로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제어밸브; 상기 제어밸브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의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붐의 하강시 상기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어밸브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스위칭밸브; 상기 제1스위칭밸브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의 상기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1분기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어밸브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면, 상기 붐 실린더의 하측 부위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분기관로로 유입되어 흐르도록 하는 제2스위칭밸브; 상기 제1분기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스위칭밸브를 통과한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붐의 하강시, 붐 실린더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모터를 직접 구동하고, 유압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프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므로, 엔진 토크가 보조된다. 그러므로, 축압기를 설치한 종래의 건설기계에 비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축압기가 없으므로 축압기에 에너지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설기계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을 보인 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에 대하여, 굴삭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지면 등과 같은 작업장의 바닥에 접촉되어 주행하는 주행체(110), 주행체(110)의 상면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120) 및 선회체(120)에 설치된 작업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장치(130)는 선회체(120)에 일단부측이 지지 설치되며 선회체(120)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131), 붐(131)의 타단부측에 일단부측이 설치되며 붐(131)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는 형태로 신축(伸縮)가능하게 설치된 아암(Arm)(133) 및 아암(133)의 타단부측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버킷(Bucket)(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붐(131)과 아암(133) 및 버킷(135)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시스템에 의하여 운동하며, 상기 유압시스템은 엔진(150)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도 2 참조), 붐(131)을 운동시키는 붐 실린더(241), 아암(133)을 운동시키는 아암 실린더(243) 및 버킷(135)을 운동시키는 버킷 실린더(2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압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시스템은 붐(131), 아암(133) 및 버킷(135)을 각각 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레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에 따라 붐(131)의 "상승", "하강" 또는 "현 상태 유지"라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아암(133)의 "신장", "수축" 또는 "현 상태 유지"라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으며, 버킷(135)의 "운동" 또는 "현 상태 유지"라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수신받아 붐(131), 아암(133) 또는 버킷(135)을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유를 공급하는 펌프(221)를 구동시킬 수 있다. 펌프(221)는 가변 용량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또는 펌프(221) 자체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펌프(221)는 엔진(150)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저장탱크(225)에 저장된 작동유를 펌핑할 수 있다. 펌프(221)에서 펌핑된 작동유는 제어밸브(231)에 의하여 붐 실린더(241), 아암 실린더(243) 또는 버킷 실린더(245)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221)에서 펌핑된 작동유는 제어밸브(231)에 의하여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로 공급되거나 상측 부위로 공급될 수 있고, 아암 실린더(243)의 하측 부위로 공급되거나 상측 부위로 공급될 수 있으며, 버킷 실린더(245)의 하측 부위로 공급되거나 상측 부위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펌프(221)에서 펌핑된 작동유의 공급 방향에 따라 붐 실린더(241)의 피스톤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운동하면서 붐(13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아암 실린더(243)의 피스톤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운동하면서 아암(133)을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으며, 버킷 실린더(245)의 피스톤이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운동하면서 버킷(135)을 운동시킬 수 있다.
제어밸브(231)를 통하여 붐 실린더(241)로 작동유가 공급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붐(131)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밸브(231)에 의하여 작동유가 제1관로(251)를 통하여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로 공급될 수 있다. 작동유가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로 공급되면, 붐 실린더(241)의 피스톤이 상승하므로 붐(131)이 상승한다. 그리고, 붐(131)을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밸브(231)에 의하여 작동유가 제2관로(255)를 통하여 붐 실린더(241)의 상측 부위로 공급될 수 있다. 작동유가 붐 실린더(241)의 상측 부위로 공급되면, 붐 실린더(241)의 피스톤이 하강하므로 붐(131)이 하강한다.
붐(131)은 붐 실린더(241)의 상측 부위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자중에 의해서도 하강한다. 그러므로, 붐(131)이 하강할 때에는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고압이다.
본 실시예에 상기 유압시스템은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회수하여 사용하기 위한,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밸브(231)와 붐 실린더(241) 사이의 제1관로(251)에는 제어부(2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스위칭밸브(261)가 설치되며, 제1스위칭밸브(261)는 붐(133)의 하강시 제1관로(251)를 폐쇄하여 붐 실린더(241)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제어밸브(231)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칭밸브(261)와 붐 실린더(241) 사이의 제1관로(251)에는 제1분기관로(271)가 분기 형성되고, 제1분기관로(271)에는 제어부(2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스위칭밸브(26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스위칭밸브(263)는 붐 실린더(241)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제1스위칭밸브(261)를 통하여 제어밸브(231)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면,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제1분기관로(271)로 유입되어 흐르도록 제1분기관로(271)를 개방할 수 있다.
제1관로(251)가 제1스위칭밸브(261)에 의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작동유는 제어밸브(231) → 제1스위칭밸브(261)을 통하여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로 공급되며, 이때에는 제2스위칭밸브(263)가 제1분기관로(271)를 폐쇄함은 당연하다.
제1관로(251)와 일단부측이 연통된 제1분기관로(271)의 타단부측은 저장탱크(225)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225)측 제1분기관로(271)에는 유압모터(265)가 설치될 수 있다. 유압모터(265)는 제2스위칭밸브(263)를 통과한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펌프(221)를 보조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엔진 토크가 보조될 수 있다.
유압모터(265)는 가변 용량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붐(133)의 하강시,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모터(265)를 구동하고, 유압모터(265)의 구동력으로 펌프(221)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므로, 엔지 토크가 보조된다. 그러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축압기를 설치한 종래의 건설기계에 비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2스위칭밸브(263)를 통하여 유압모터(265)로 유입되는 작동유의 양이 유압모터(265)의 용량 이상이면, 유압모터(265)가 손상되거나 작동유가 제2스위칭밸브(263)측으로 역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스위칭밸브(263)와 유압모터(265) 사이의 제1분기관로(271)에는 제1분기관로(271)의 작동유를 저장탱크(225)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2분기관로(273)가 분기 형성될 수 있고, 제2분기관로(273)에는 제어부(210)에 의하여 제어되는 바이패스밸브(281)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밸브(281)는 제2스위칭밸브(263)를 통과한 제1분기관로(271)의 작동유의 양이 유압모터(265)의 용량 이상이거나, 제1분기관로(271)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이 걸리면, 제어부(281)의 제어에 의하여 제2분기관로(273)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분기관로(271)의 작동유가 저장탱크(225)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2분기관로(273)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281)의 개폐 정도(程度)을 이용하여, 제1분기관로(271)에서 제2분기관로(273)로 바이패스되는 작동유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바이패스밸브(281)를 기준으로, 바이패스밸브(281) 전후단의 제2분기관로(273)의 압력 차이가 일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바이패스밸브(281)와 제2스위칭밸브(263) 사이의 제2분기관로(273)에는, 바이패스밸브(281)를 기준으로, 바이패스밸브(281) 전후단의 제2분기관로(273)의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보상기(28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탱크(225)의 작동유를 제2분기관로(273) → 제1분기관로(271)를 통하여 유압모터(265)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3분기관로(275)와 체크밸브(285)가 설치될 수 있다. 제3분기관로(275)는 일측은 유압모터(265)측 제1분기관로(271)의 부위와 연통되고 타측은 저장탱크(225)측 제2분기관로(273)의 부위와 연통될 수 있으며, 체크밸브(285)는 제3분기관로(275)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25)의 작동유가 유압모터(265)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3분기관로(275)와 체크밸브(285)는 붐 실린더(241)측에서 유압모터(265)로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을 때, 저장탱크(225)의 작동유가 유압모터(265)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때에는, 미량의 작동유가 유압모터(265)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265)는 가변 용량형으로 마련된다. 그러므로, 유압모터(265)의 용량을 적절하게 가변하면, 붐 실린더(241)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붐 실린더(241)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의 배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모터(265)의 용량을 가변하면, 붐 실린더(241)의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압모터(265)의 용량과 함께 엔진(1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붐 실린더(241)의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붐(133)의 하강시, 붐 실린더(241)의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의 작동유를 이용하여 유압모터(265)를 구동하고, 유압모터(265)의 구동력으로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프(221)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므로, 엔진 토크가 보조된다. 그러므로, 축압기를 설치한 종래의 건설기계에 비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은, 축압기가 없으므로 축압기에 에너지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0: 제어부
261: 제1스위칭밸브
263: 제2스위칭밸브
265: 유압모터
281: 바이패스밸브
283: 압력보상기
285: 체크밸브

Claims (5)

  1. 엔진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를 공급받으며,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가 제1관로를 통하여 하측 부위로 공급되면 상기 붐(Boom)을 상승시키고, 제2관로를 통하여 상측 부위로 공급되면 상기 붐을 하강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펌프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작동유를 상기 제1관로 또는 상기 제2관로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제어밸브;
    상기 제어밸브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의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붐의 하강시 상기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어밸브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스위칭밸브;
    상기 제1스위칭밸브와 상기 붐 실린더 사이의 상기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1분기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어밸브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면, 상기 붐 실린더의 하측 부위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분기관로로 유입되어 흐르도록 하는 제2스위칭밸브;
    상기 제1분기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스위칭밸브를 통과한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설정치 이상의 작동유가 상기 유압모터로 공급되면, 상기 제1분기관로의 작동유를 상기 저장탱크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밸브와 상기 유압모터 사이의 상기 제1분기관로에는 상기 제1분기관로의 작동유를 상기 저장탱크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2분기관로가 분기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는 상기 제2분기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밸브와 상기 제2스위칭밸브 사이의 상기 제2분기관로에는,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바이패스밸브 전후단의 상기 제2분기관로의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보상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유압모터측 상기 제1분기관로의 부위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측 상기 제2분기관로의 부위와 연통된 제3분기관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3분기관로에는, 상기 붐 실린더측에서 작동유가 상기 유압모터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탱크의 작동유가 상기 유압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는 가변 용량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붐의 하강 속도는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와 상기 유압모터의 용량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KR1020150167397A 2015-11-27 2015-11-27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KR2017006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397A KR20170062589A (ko) 2015-11-27 2015-11-27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397A KR20170062589A (ko) 2015-11-27 2015-11-27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89A true KR20170062589A (ko) 2017-06-08

Family

ID=5922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397A KR20170062589A (ko) 2015-11-27 2015-11-27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915B2 (en) Hydraulic system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
US10280589B2 (en) Hydraulic drive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2258694B1 (ko) 건설 기계
JP2008014468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US9261118B2 (en) Boom cylinder dig flow regeneration
KR102403991B1 (ko) 건설기계의 붐 증속 유압 시스템
CN104011403A (zh) 具有力调节的闭环液压系统
US10407876B2 (en)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20130081382A1 (en) Regeneration configuration for closed-loop hydraulic systems
US10633828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10060057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JP4480565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JP6324933B2 (ja)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4502890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JP2014062371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6282127B2 (ja) 油圧ユニット
JP2008019910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KR20170062589A (ko) 건설기계의 붐 위치에너지 회생시스템
KR102633378B1 (ko) 건설 기계
CN105178370B (zh) 物料处理机
WO2010026677A1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制御システム
JP2006161509A (ja) 全旋回型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CN112554251B (zh) 一种挖掘机
CN113677857B (zh) 液压机械
US20220252084A1 (en)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