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535A -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535A
KR20170062535A KR1020177012268A KR20177012268A KR20170062535A KR 20170062535 A KR20170062535 A KR 20170062535A KR 1020177012268 A KR1020177012268 A KR 1020177012268A KR 20177012268 A KR20177012268 A KR 20177012268A KR 20170062535 A KR20170062535 A KR 2017006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touch screen
valid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후앙
리앙 시에
홍레이 루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에서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단말의 동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TOUCH SCREEN INPUT METHOD AND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단말 기술의 개발에 따라, 터치스크린 기술을 갖춘 지능형 단말이 현재 시장에서 주류이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만 조작함으로써 지능형 단말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 조작의 편리성과 경험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현재,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용량성 터치 패널(Capacitive Touch Panel, CTP)이고 멀티터치에 적용 가능하며, 즉 터치스크린은 서로 다른 콘덕터에 의해 터치스크린 상에 동시에 터치된 터치 포인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렇지만, 터치스크린이 멀티터치에 적용 가능하여도, 터치스크린이 식별할 수 있는 터치 포인트에 상한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은 3개의 서로 다른 콘덕터의 터치 포인트만을 동시에 식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서 3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한 터치 포인트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그렇지만, CTP 참조 신호 값(베이스라인)이 비정상적이거나 무선 주파수 간섭을 받으면, 예를 들어, 이동 전화가 자기-교정(self-calibration) 동안 호출 각성 신호(call waking up signal)를 수신할 때 이동 전화가 허벅지와 접촉하면, 이동 전화는 터치스크린이 허벅지와 접속하는 상태(즉, 콘덕터가 존재한다)를 정상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고, 터치스크린이 허벅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터치 포인트가 항상 터치되고 있는 상태로 간주한다. 즉, 터치 스크린이 각성해서 참조 신호 값이 비정상적인 후, 터치스크린이 허벅지로부터 이동할 때, 터치스크린은 복수의 서로 다른 콘덕터가 터치스크린을 현재 터치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콘덕터의 수가 터치스크린이 검출할 수 있는 상한을 초과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단말을 조작하여 통화에 응답하거나 통화를 거부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한다. 그 결과, 터치스크린이 각성할 때 실효성이 없고,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없으며, 즉 스크린 냉동 현상이 발생하고 사용자 경험은 악화된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에서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단말의 동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해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유닛;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생성 유닛
을 포함한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서브유닛;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서브유닛;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서브유닛;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획득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보고 서브유닛;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서브유닛;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획득 서브유닛;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획득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판정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보고 서브유닛;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 또는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은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은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입력 장치,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 집합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불러내어 이하의 작동: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해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4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는 다음의 이로운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고,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말의 조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유효 터치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유효 터치 영역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단말로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팜톱 컴퓨터,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은 단지 예에 불과하고 총망라된 것이 아니며, 단말은 이러한 단말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00: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휴면 모드에 있을 때, 단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든 조작은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각성하기 위한 조작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작은 단말을 다이얼링하는 단계, 단말에 단물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단말 상의 키를 촉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면, 단말이 활성화될 수 있고, 단말의 터치스크린은 밝아지고 각성된다. 즉, 단말이 활성화되면,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이 대기 모드 또는 휴면 모드에 있을 때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의 터치스크린은 각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단말을 다이얼링하기 위한 호출 각성 신호, 단말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단말 사용자가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유효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단말이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한 영역을 유효 터치 영역으로 미리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유효 터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특정한 영역은 좌표에 의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된 영역은 미리 설정된 유효 터치 영역일 수 있고,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x1, y1) 및 좌표 (x3, y3)에 의해 형성된 영역 및 좌표 (x4, y4)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된 영역은 미리 설정된 유효 터치 영역일 수 있다. 단말이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미리 설정된 특정한 영역을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호출 각성 신호와 제1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와 제2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 및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와 제3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1 유효 터치 영역, 제2 유효 터치 영역, 및 제3 유효 터치 영역은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한 영역일 수 있으며, 특정한 영역은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특정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영역은 조작 터치 영역일 수도 있으며, 조작 터치 영역은 사용자가 조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특정한 영역이 조작 터치 영역일 때, 제1 유효 터치 영역은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는 그 조작 터치 영역을 조작하여 호출 거부 명령 또는 호출 접속 명령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세히 사항은 도 2를 참조하면 되며,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유효 터치 영역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터치 영역을 조작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를 못 보게 하는 명령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를 보게 하는 명령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유효 터치 영역은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처티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터치 영역을 조작하여 조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다른 대응관계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면서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은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일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일 때,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면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은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면서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일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일 때,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면서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은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복수의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호출 각성 신호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복수의 신호를 포함할 때, 단말은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은 CTP 모듈, CTP 스레드, 호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CTP 모듈은 터치스크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컴포넌트는 센서, 렌즈,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및 터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IC는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함께 설치된다. CTP 스레드는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고, CTP 스레드는 하위 계층 소프트웨어(bottom-layer software)에 속하고 단말의 프로세싱 센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TP 스레드는 단말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CTP 스레드는 I2C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CTP 모듈과 통신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TP 모듈은 프로세싱을 위해 I2C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수집 데이터를 보고할 수 있다. 호출 UI 모듈은 상위 계층 소프트웨어에 속하고 단말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한다.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호출 각성 신호일 때, 호출 서비스를 담당하는 호출 UI 모듈은 CTP 스레드에 특정한 영역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호출 UI 모듈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CTP 스레드에 전달하고, CTP 스레드는 그 영역을 유효 터치 영역으로 간주한다.
S101: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터치스크린과 단말과 상호작용하는 단말 사용자의 몸 간의 접촉 또는 터치스크린과 단말과 상호작용하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대상 간의 접촉에 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터치 포인트의 형상, 터치 포인트의 영역, 접촉 콘덕터의 ID(Identity)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좌표일 수 있다. 동일한 콘덕터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나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생성되는 터치 포인트의 ID는 동일하며, 서로 다른 콘덕터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생성되는 터치 포인트의 ID는 상이하며, 동일한 콘덕터가 불연속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생성되는 터치 포인트의 ID는 상이하다. 사용자의 몸은 손가락일 수 있고, 상호작용을 위한 대상은 펜과 같은 콘덕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터치 포인트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획득된 좌표에 따라, 터치 포인트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터치 영역이 도 2에 도시된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x, y)이면, 단말은 그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터치 포인트의 형상, 터치 포인트의 영역, 및 접촉 콘덕터의 ID에 따라, 터치 포인트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추가로 판정할 수 있다. 터치 포인트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포인트가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단말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할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 밖의 터치 포인트에 의해 초래되는 스크린 제외를 회피하고, 스크린 냉동 현상의 가능성이 낮아진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에 포함되어 있는 CTP 모듈의 해상도는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해상도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HD(Full High Definition) LCD의 해상도가 1080*1920이면, CTP 모듈의 해상도 역시 1080*1920이다. 단말이 호출 각성 신호를 수신할 때, 호출 서비스를 담당하는 UI 모듈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을 CTP 스레드에 전달한다. 이 경우, 손가락과 같은 콘덕터가 CTP 모듈을 터치할 때, CTP 모듈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CTP 스레드에 보고한다.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수평 좌표 x, 수직 좌표 y, 및 접촉 콘덕터 ID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좌표 x의 범위는 0 내지 1079일 수 있고, 수직 좌표 y의 범위는 0 내지 1919일 수 있다. CTP 스레드가 CTP 모듈에 의해 보고되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때,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즉, CTP 스레드는 좌표 (x, y)를 추출하고,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CTP 스레드는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한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유효 터치 영역 박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CTP 스레드는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터치 포인트의 무효한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고,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에 속하지 않으며,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기 전에 존재하는 상태로 남게 된다. 무효한 유효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를 억제하는 방법은 CTP 스레드에서 실행되며, CTP는 모든 원래의 터치 정보를 CTP 스레드에 제공해야 한다.
또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호출 각성 신호를 수신할 때, 호출 서비스를 담당하는 호출 UI 모듈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을 CTP 스레드에 전달할 수 있고, CTP 스레드가 호출 UI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유효 터치 영역을 수신한 후, CTP 스레드는 유효 터치 영역을 CTP 모듈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손가락과 같은 콘덕터가 CTP 모듈을 터치할 때, CTP 모듈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자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좌표 (x, y)를 추출하고,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프로세싱을 위한 CTP 스레드에 보고하며, 예를 들어, CTP 스레드는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한다. 좌표 (x, y)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박에 있으면,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프로세싱을 위한 CTP 스레드에 보고하지 않는다. 즉, CTP 모듈은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터치 포인트의 무효한 위치 정보이고, 보고되어야 할 데이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CTP 모듈은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유효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만을 보고하고, 다른 영역에서 생성되는 모든 터치 포인트를 억제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S102: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콘덕터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멀리 이동할 때,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호출 각성 신호를 수신할 때, 유효 터치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다. 단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에 따라 호출 거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의 손가락이 유효 터치 영역 벗어나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터치 포인트를 억제하고 단말 사용자의 입력을 계속 대기한다. 단말 사용자의 손가락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궤적의 일부가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고, 슬라이딩 궤적의 다른 일부가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 내의 궤적을 획득하고, 그 궤적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조작 명령을 생성한 후, 단말은 조작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x1, y1) 및 좌표 (x2, y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유효 터치 영역이고, 단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에 따라 호출 거부 명령을 생성하고, 단말은 그 생성된 호출 거부 명령을 실행하여 호출에 응답에 대해 거부한다.
또한, 조작 명령을 실행한 후, 단말은 유효 터치 영역을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으로서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은 콘덕터와 스크린 상의 임의의 영역 간의 접촉 포인트를 억제하지 않는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단말 상에서 호출이 응답하거나 거부할 대, 호출 서비스를 담당하는 호출 UI 모듈은 좌표 (x0, y0) 및 좌표 (xm, yn)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터치스크린의 CTP 스레드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x0, y0) 및 좌표 (xm, yn)는 전체 영역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CTP 스레드는 전체 스크린 상의 터치 포인트를 후속의 UI 인터페이스에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고,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말의 조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술한 솔루션의 더 나은 실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전술한 솔루션을 협동해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관련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100);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유닛(200);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생성 유닛(300)
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유닛(200)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서브유닛(10);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서브유닛(20);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서브유닛(30);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억제 서브유닛(40)
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200)은 구체적으로,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며; 그리고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 유닛(200)은 구체적으로,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며; 그리고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100)은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의 기능 모듈의 기능은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하며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말의 조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프로세서(201)(단말 내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1)가 있을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가 예로 사용된다), 메모리(202), 및 입력 장치(2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및 입력 장치(203)는 버스를 사용해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버스를 사용해서 접속이 실행되는 예가 사용된다.
프로세서(201)는 이하의 단계:
입력 장치(203)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해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는 단계
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201)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의 기능 모듈의 기능은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하며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단말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고,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단말은 미리 설정된 터치 영역 내의 터치 포인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말의 조작 동안 정확도가 향상되며, 단말이 각성할 때 스크린 냉동 현상이 감소하며 사용자 경험은 향상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는 작동의 시리즈로 해서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당업자는 발명에 따라 일부의 단계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설명된 작동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는 예시적 실시예이며, 관련 작동 및 모듈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인 아니라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각각의 초점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것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연히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따라 이루어지는 등가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5)

  1.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으로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량 터치 패널(capacitive touch panel, 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해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9. 단말로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유닛;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생성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획득 서브유닛;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서브유닛;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서브유닛;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획득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보고 서브유닛;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서브유닛;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획득 서브유닛;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5 획득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판정 서브유닛;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보고 서브유닛;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억제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13.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17.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가 수행되는,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
  18. 단말로서,
    입력 장치,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 집합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불러내어 이하의 작동: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조작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으면,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량 터치 패널(CTP) 모듈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을 위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스레드를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대해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프로세싱을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CTP 모듈을 사용해서, 상기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효 터치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로세싱 위해 CTP 스레드에 터치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건너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는, 호출 각성 신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 또는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호출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호출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호출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와 유효 터치 영역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유효 터치 영역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각성시키기 위한 신호가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성 신호에 대응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획득되는 유효 터치 영역이 상기 키를 촉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KR1020177012268A 2015-03-31 2015-03-31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 KR20170062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75488 WO2016154889A1 (zh) 2015-03-31 2015-03-31 一种触摸屏幕的输入方法及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35A true KR20170062535A (ko) 2017-06-07

Family

ID=5700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68A KR20170062535A (ko) 2015-03-31 2015-03-31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30002B2 (ko)
KR (1) KR20170062535A (ko)
CN (1) CN107407982B (ko)
WO (1) WO2016154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35B1 (ko) * 2016-12-01 2018-10-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사용자 입력 영역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1762A (zh) 2007-03-26 2007-08-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的锁定装置及方法
US9411459B2 (en) * 2010-05-19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11514B2 (en) * 2010-09-16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KR101855250B1 (ko) 2010-11-03 2018-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3064548A (zh) 2011-10-24 2013-04-24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可滤除误触面板的手势判断方法
KR101403025B1 (ko) * 2012-02-29 2014-06-11 주식회사 팬택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CN102830844A (zh) * 2012-08-17 2012-12-19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触摸屏防误操作方法、触摸屏及移动终端
US20150362959A1 (en) * 2013-01-31 2015-1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Screen with Unintended Input Prevention
CN107741793B (zh) * 2013-08-07 2021-10-22 华为终端(深圳)有限公司 一种防止误触碰触摸屏的方法和装置
CN104423656B (zh) 2013-08-20 2018-08-17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误触摸识别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7982B (zh) 2020-03-20
US10430002B2 (en) 2019-10-01
CN107407982A (zh) 2017-11-28
US20170329435A1 (en) 2017-11-16
WO2016154889A1 (zh)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980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touchscreen input correction
CN106775084B (zh) 一种触摸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761722B2 (en) Black screen gestur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CN107422915B (zh) 触摸屏的响应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0466849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triggering of a touch key and storage medium
US20180203568A1 (en) Method for Enabling Function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EP3220251B1 (e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for turning off screen during call to prevent inadvertent touch
JP201551967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誤操作防止方法、タッチスクリーン、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506092B (zh) 一种输入控制方法和终端
US10169633B2 (en)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8008859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2013229000A (ja) 電子装置
TW201432554A (zh) 防誤觸控的系統及方法
CN110703937A (zh) 一种异常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设备
CN106909250B (zh) 一种触摸操作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AU2014381262A1 (en) Method for processing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9072169A1 (zh) 防误触检测方法、装置及终端
CN111625174B (zh) 触摸屏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9152273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KR20170062535A (ko) 터치 스크린 입력 방법 및 단말
CN106020673B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11176610A (ja) 携帯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M434992U (en) Touch screen device with calibration function
WO2021068112A1 (zh) 触摸事件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5944974B2 (ja) 携帯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