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281A -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281A
KR20170062281A KR1020150167901A KR20150167901A KR20170062281A KR 20170062281 A KR20170062281 A KR 20170062281A KR 1020150167901 A KR1020150167901 A KR 1020150167901A KR 20150167901 A KR20150167901 A KR 20150167901A KR 20170062281 A KR20170062281 A KR 2017006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tipping bucket
hole
catcher
t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688B1 (ko
Inventor
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아성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성엠 filed Critical (주)아성엠
Priority to KR102015016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01F11/267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with counters for counting the numbers of measures delive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강수(降水)를 집수하여 하부의 홀을 통해 배출하는 집수구, 집수구 내의 와류 방지를 위해 집수구 내에 설치된 와류 방지망,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어 집수구의 하부 홀을 통해 낙하한 강수를 교대로 담는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을 포함하는 티핑 버킷, 및 강수 무게에 의해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이 교대로 전도되도록 티핑 버킷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Tippping bucket type precipitation measuring apparatus}
우설량 계측 장치, 특히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는 티핑 버킷(tipping bucket)을 이용하여 우설량을 계측할 수 있는 기기이다.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57242호에는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는 강설량에 대해서도 강우량 계측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다.
우설량 계측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는 강수(降水)를 집수하여 하부의 홀을 통해 배출하는 집수구, 집수구 내의 와류 방지를 위해 집수구 내에 설치된 와류 방지망,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어 집수구의 하부 홀을 통해 낙하한 강수를 교대로 담는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을 포함하는 티핑 버킷, 및 강수 무게에 의해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이 교대로 전도되도록 티핑 버킷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기구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집수구의 하부 홀은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홀이며, 와류 방지망은 바닥이 개구되고 집수구의 하부 홀에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와류 방지망은 집수구 하부 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그물망, 및 제 1 그물망과 교차하는 제 2 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집수구는 깔대기 형상이며, 경사면의 상단부는 더 경사질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집수구는 깔대기 형상이며, 경사면의 내부에 박막형 발열체를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에 따르면, 집수구 내부에서의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측 오차가 최소화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티핑 버킷의 전도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의 단축된 전도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집수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집수구의 하부 홀에 끼워진 와류 방지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지지부가 결합된 티핑 버킷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가 결합된 티핑 버킷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의 사시도이다. 제 1 집수구(100)는 강수(강우와 강설)을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제 1 집수구(100)에 집수된 강수는 하부의 제 1 홀(110)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제 2 집수구(200)는 제 1 집수구(100)로부터 낙하한 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집수구(100)와 마찬가지로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 2 집수구(200)는 제 1 집수구(10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집수구(200)에 집수된 강수는 하부의 제 2 홀(210)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참고로, 제 2 집수구(200)에 집수된 강수는 집수를 위한 공간(220)에 집수된 후에 강수량이 넘치면 그 넘치는 강수가 배출 통로(230)를 거쳐 제 2 홀(210)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집수구(200)의 역할을 제 1 집수구(100)로부터 티핑 버킷(300)으로의 직수를 방지하고자 함이나,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다. 제 2 집수구(200)가 생략될 경우, 그러나 제 2 집수구(200)는 생략될 수 있다. 제 2 집수구(200)가 없을 경우, 제 1 집수구(100)와 티핑 버킷(300) 간의 거리는 그만큼 더 가까워질 수 있다.
티핑 버킷(300)은 제 1 버킷(310)과 제 2 버킷(32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킷(310)과 제 2 버킷(320)은 격벽부(330)에 의해 구획되고, 낙하된 강수를 교대로 담으며, 담긴 강수량에 따라 교대로 전도된다. 예를 들어, 티핑 버킷(300)은 1mm 단위의 강수량이 모아지면 전도된다. 즉, 제 1 버킷(310)에 1mm 단위의 강수량이 모아지면 전도되며, 그에 따라 제 1 버킷(310)에 담긴 강수는 제 1 배수구(400)로 배출된다. 제 1 버킷(310)이 전도되어 제 2 버킷(320)이 승강하게 되므로, 제 1 집수구(100)로부터 직접 또는 제 2 집수구(200)를 통해 낙하되는 강수는 제 2 버킷(320)에 담기게 되고, 1mm 단위의 강수량이 모아지면 전도되며, 그에 따라 제 2 버킷(320)에 담긴 강수는 제 2 배수구(400)로 배출된다. 이 같이, 제 1 버킷(310)과 제 2 버킷(320)은 낙하된 강수를 교대로 담으며, 담긴 강수량에 따라 교대로 전도된다. 그리고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500)는 티핑 버킷(300)이 전도될 때마다 펄스를 발생시켜 강우량을 계측할 수 있게 한다. 혹은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500) 대신에 무접점 광 인터럽트 소자를 사용하여 티핑 버킷(300)의 전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회전지지기구(600)는 티핑 버킷(300)의 전도를 위한 구성으로서, 티핑 버킷(300)을 회전 지지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회전지지기구(600)는 격벽부(330)에 힌지 축으로 연결된다. 즉, 티핑 버킷(300)의 무게중심 축이 격벽부(330)에 위치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무게중심 축이 티핑 버킷(300)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티핑 버킷(300)의 전도 이동거리가 길지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무게중심 축이 격벽부(330)에 위치하면 티핑 버킷(300)의 전도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전도 이동거리가 줄어드는 대신에 티핑 버킷(300)에 담긴 강우량이 정해진 단위, 예를 들어 1mm에 도달하기 이전에 티핑 버킷(300)이 전도될 수밖에 없다. 이는 티핑 버킷(300)의 잦은 전도를 초래하며 계측에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700)를 더 포함한다. 무게추(700)는 티핑 버킷(300)의 센터에 위치하는 격벽부(33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는데, 격벽부(330)의 일측 상단과 타측 상단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게추(700)는 바(bar)로 격벽부(330)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 같은 무게추(700)는 티핑 버킷(300)의 전도 무게중심을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정해진 강우량 단위에 도달하였을 때 티핑 버킷(300)이 전도됨을 보장하면서 전도 이동거리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종래 티핑 버킷의 전도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핑 버킷의 단축된 전도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무게중심 축(10)이 티핑 버킷의 하측에 있으면 전도 거리는 길 수밖에 없는데, 대략 20mm 정도이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이 무게중심 축(10)을 상향 조정하면 전도 거리는 대략 10mm 정도로 줄어든다. 그리고 무게추(700)에 의해 티핑 버킷(300)이 정해진 강우량 단위에 도달하였을 때 전도됨이 보장된다.
한편, 제 1 집수구(100)는 깔대기 형상이되, 깔대기 경사면의 상단부는 더 가파르게 경사질 수 있다. 이는 강우가 제 1 집수구(100)의 내부 상측에 부딪힌 후 측풍으로 인해 외부로 비산손실됨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도 2와 같이 깔대기 경사면의 상단부(120)를 더 경사지게 하면 강우의 비산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수구(100)의 경사면 내부에는 박막형 발열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강설량 측정을 위한 것으로, 박막형 발열체(130)로 눈(雪)을 녹이고자 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집수구(10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박막형 발열체(130)가 구비된다. 박막형 발열체(130)는 상하가 개구되고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통형의 면상 발열체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집수구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집수구(100)의 제 1 홀(110)은 원형이 아니라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홀(110)의 길이 방향은 티핑 버킷(300)의 너비 방향과 동일하다. 제 1 집수구(100)는 티핑 버킷(300)이 수평을 이룰 때 제 1 홀(110)이 티핑 버킷(300)의 센터 라인과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버킷(310)과 제 2 버킷(320)이 수평 상태일 때 제 1 홀(110)은 격벽부(330)와 정렬된다. 제 1 홀(110)을 원형이 아닌 장방형이나 타원형과 같이 형성시키는 이유는 분산 낙하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홀(110)이 원형일 경우에는 높은 강우 강도, 즉 폭우시에 물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떨어지기 때문에 이미 제 1 버킷(310)에 담긴 강우량이 1mm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도 중에 제 2 버킷(320)에 담겨야 할 물이 제 1 버킷(310)에 더 담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계측 오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제 1 홀(110)의 형상을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여 분산 낙하를 통해 폭우 시에도 낮은 강우 강도시와 유사한 속도로 티핑 버킷(300)에 강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계측 오차를 최소화한다.
한편,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가 제 2 집수구(200)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집수구(200)의 제 2 홀(210) 또한 제 1 홀(110)과 동일하게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일 수 있다. 제 2 홀(210) 역시 제 1 버킷(310)과 제 2 버킷(320)이 수평 상태일 때 격벽부(330)와 정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 2 홀(210)의 목적은 상술한 제 1 홀(110)의 목적과 동일하다. 즉, 분산 낙하를 통해 폭우 시에도 낮은 강우 강도시와 유사한 속도로 티핑 버킷(300)에 강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계측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가 제 1 집수구(100)와 제 2 집수구(200)를 모두 포함할 경우에, 제 1 홀(110)과 제 2 홀(210)이 모두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제 2 홀(210)만이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 1 홀(110)은 원형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망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제 1 집수구(100)의 하부 홀(110)에 끼워진 와류 방지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 집수구(100)의 내부로 유입된 빗방울은 강풍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데, 강풍에 의해 제 1 집수구(100) 내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계측 오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와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는 와류 방지망(800)을 더 포함한다. 와류 방지망(800)은 와류 방지를 위한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부 홀(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를 위해, 와류 방지망(800)은 끼움부재(810)를 포함한다. 끼움부재(810)는 하부 홀(100)에 끼워지며 바닥은 집수된 강우를 배출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와류 방지망(800)은 제 1 그물망(820)과 제 2 그물망(8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그물망(820)은 하부 홀(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그물망(830)은 제 1 그물망(820)과 교차되게 형성된다. 제 1 그물망(820)과 제 2 그물망(830)은 십자로 교차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재(810)는 제 1 그물망(8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 같은 와류 방지망(800)에 의해 제 1 집수구(100) 내에서의 와류가 방지된다. 이러한 와류 방지망(800)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 역할도 하게 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지지부가 결합된 티핑 버킷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가 결합된 티핑 버킷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 지지부(900)는 격벽부(330)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 지지부(900)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무게추 지지부(900)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무게중심 조절 홀(910)들이 배열된다. 무게추(700)는 무게중심 조절 홀(910)에 장착되는데, 복수의 무게중심 조절 홀(910)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가 무게추(700)로 사용될 수 있다. 무게추(700)의 위치를 달리함에 따라 티핑 버킷(300)의 전도를 위한 강우량 단위가 0.1mm, 0.2mm, 0.5mm 등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예시에서 회전지지기구(600)의 회전지지축(610)은 격벽부(330)를 관통한다.
참고로, 특허청구범위에서 집수구는 제 1 집수구(100)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 2 집수구(200)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집수구 110 : 제 1 홀
120 : 박막형 발열체 200 : 제 2 집수구
210 : 제 2 홀 300 : 티핑 버킷
310 : 제 1 버킷 320 : 제 2 버킷
330 : 격벽부 400 : 배수구
500 :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 600 : 회전지지기구
700 : 무게추 710 : 바(bar)
800 : 와류 방지망 810 : 끼움부재
820 : 제 1 그물망 830 : 제 2 그물망
900 : 무게추 지지부 910 : 무게중심 조절 홀

Claims (5)

  1. 강수(降水)를 집수하여 하부의 홀을 통해 배출하는 집수구;
    집수구 내의 와류 방지를 위해 집수구 내에 설치된 와류 방지망;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어 집수구의 하부 홀을 통해 낙하한 강수를 교대로 담는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을 포함하는 티핑 버킷; 및
    강수 무게에 의해 제 1 버킷과 제 2 버킷이 교대로 전도되도록 티핑 버킷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지지기구;
    를 포함하는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구의 하부 홀은 너비에 비해 길이가 긴 홀이며,
    와류 방지망은 바닥이 개구되고 집수구의 하부 홀에 끼워지는 끼움부재를 포함하는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와류 방지망은 집수구 하부 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그물망, 및 제 1 그물망과 교차하는 제 2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수구는 깔대기 형상이며, 경사면의 상단부는 더 경사진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수구는 깔대기 형상이며, 경사면의 내부에 박막형 발열체를 구비한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KR1020150167901A 2015-11-27 2015-11-27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KR10181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901A KR101812688B1 (ko) 2015-11-27 2015-11-27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901A KR101812688B1 (ko) 2015-11-27 2015-11-27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281A true KR20170062281A (ko) 2017-06-07
KR101812688B1 KR101812688B1 (ko) 2017-12-27

Family

ID=5922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901A KR101812688B1 (ko) 2015-11-27 2015-11-27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6326A (zh) * 2017-11-14 2018-02-02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森林雨量站
CN107764593A (zh) * 2017-11-17 2018-03-06 河海大学 一种连续混合水样采集装置及其水样采集方法
KR20200102021A (ko) 2019-02-20 2020-08-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메신저 앱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취업 정보 추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9071B2 (en) * 2011-05-27 2013-05-14 Johnson Screens, Inc. Screen basket vortex breaker for vess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6326A (zh) * 2017-11-14 2018-02-02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森林雨量站
CN107656326B (zh) * 2017-11-14 2023-10-03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森林雨量站
CN107764593A (zh) * 2017-11-17 2018-03-06 河海大学 一种连续混合水样采集装置及其水样采集方法
CN107764593B (zh) * 2017-11-17 2024-04-09 南京方兴未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混合水样采集装置及其水样采集方法
KR20200102021A (ko) 2019-02-20 2020-08-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메신저 앱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취업 정보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688B1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688B1 (ko)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JP6826256B2 (ja) 建物天井の雨水案内収集装置
KR101198533B1 (ko) 강우설량계
KR100872502B1 (ko)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101556237B1 (ko) 축중기 센서 혼합형 트럭스케일
US8302464B2 (en) Automatic sequential sampler for roof-top runoff of rainwater
KR101175857B1 (ko) 강수량계의 티핑버킷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718449B1 (ko) 티핑 버킷형 우설량 계측 장치
US8359918B1 (en) Rain gauge with particulate separator
CN206848503U (zh) 一种高精度翻斗式雨量计
KR101510664B1 (ko) 강우설량계의 배수장치
KR101751037B1 (ko)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388211B1 (ko) 전도형 우량계
KR101224270B1 (ko) 강수량 측정장치
JP5603619B2 (ja) オーガ式製氷機
KR101304488B1 (ko)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JP2000249774A (ja) 雨量計ろ水器及びこれを具備する転倒ます型雨量計
CN104695536A (zh) 一种可调整排水量的排水井盖
CN215813414U (zh) 一种翻斗式雨量计
KR101948023B1 (ko)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
JP3808805B2 (ja) 降水強度計
KR101739117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WO1987005116A1 (en) Arrangement in precipitation gauges
CN209248052U (zh) 用于降雨诱发型地质灾害的雨量监测装置
KR101385123B1 (ko) 자동 급배수형 무게식 강수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