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157A -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157A
KR20170062157A KR1020150167631A KR20150167631A KR20170062157A KR 20170062157 A KR20170062157 A KR 20170062157A KR 1020150167631 A KR1020150167631 A KR 1020150167631A KR 20150167631 A KR20150167631 A KR 20150167631A KR 20170062157 A KR20170062157 A KR 2017006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igh frequency
marine radar
current information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이상호
김문진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157A/ko
Publication of KR2017006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와 연결된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해류 정보와 지형정보를 결합하여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는 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지역별 해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벡터 형태로 해류의 크기 및 방향을 나타내는 해류 정보 페이지를 전송하는 웹페이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수집된 해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단말의 앱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해류 정보를 이동 통신단말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진단정보가 정상허용범위를 벗어나거나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관리하고 있는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에게 경보 이메일 또는 이동통신을 통하여 경보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OCEAN CURR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OCEAN SURFACE RADAR}
본 발명은 해양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수신한 관측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정보 중 해수 유동 정보는 해당 지역의 해양현상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중요정보이다. 해류 정보를 측정하는 방식은 유체를 따라가면서 해류를 관측하는 라그랑주식 해류 측정(Lagrangian current measurement)과 고정된 한 지점에서 해류를 관측하는 오일러식 해류 측정(Eulerian current measurement)이 있다.
오일러식 해류 측정(Eulerian current measurement)방식의 하나인 고주파 해양레이더는 두 지점이상에 설치되어 송신 안테나에서 전파를 발사하고, 해양 표면의 파도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함으로서 표층 해류의 유동에 관한 방사데이터를 원격관측소로 전송한다. 원격관측소는 두 개 이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획득한 방사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이차원적인 표층 해류의 유향 및 유속 등에 대한 공간적인 분포를 계산하여 매시간 해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592호의 '장주기 파랑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해양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의 서브 해수면 변위 정보가 인접한 분할구역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파랑 경보 정보를 발생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944호의 '이안류 경보 발생방법'에서는 대상지역의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이안류가 발생하는 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해류의 유속을 산출하고, 이를 해상 조건별 이안류 지수정보간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이안류 경보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파랑 경보 및 이안류 발생 경보를 판단하고 있으나, 원격관측소를 통하여 수신한 고주파 해상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고주파 해상레이더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거나 이를 이동 통신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여러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고주파 해상레이더의 진단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이동 통신단말의 앱(app)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해류 정보 제공장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592호(2015.04.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1944호(2012.10.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고주파 해상레이더의 진단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이동 통신단말의 앱(app)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와 연결된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해류 정보와 지형정보를 결합하여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는 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지역별 해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벡터 형태로 해류의 크기 및 방향을 나타내는 해류 정보 페이지를 전송하는 웹페이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신부로 해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 또는 경고 메세지를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경고 메세지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진단부는 수신받은 해류 정보의 해류 벡터 개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관측소로부터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실시간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격관측소별 고주파 해양레이더에 대한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표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페이지를 전송하는 웹페이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진단부는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실시간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 또는 경고 메세지를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경고 메세지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수집된 해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단말의 앱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해류 정보를 이동 통신단말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진단정보가 정상허용범위를 벗어나거나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관리하고 있는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에게 경보 이메일 또는 이동통신을 통하여 경보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단말에 해당 지역별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해류 정보를 통하여 적조발생시 적조 및 오염원(해양쓰레기, 유류) 등의 이동경로를 예측함으로써 적조 확산 방지 및 유류 유출 확산 방지 및 해난 발생시 인명 수색 및 구조활동 및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진단상태를 파악하며,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제공하는 해류 정보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류 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정상동작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에 표시되는 해류 정보 화면 및 진단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진단상태를 파악하며,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제공하는 해류 정보 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네트워크망(30)을 통하여 다수의 원격관측소(20)로부터 각각의 해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시각적으로 생성하여 이동 통신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다수의 원격관측소(20)로부터 고주파 해양레이더(10)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고주파 해양레이더(10)의 진단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해당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200)에 경보 메세지를 송신함으로써 원격에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원격관측소(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10)와 연결되고, 고주파 해양레이더(10)로부터 실시간 표층 해류의 유동에 관한 방사데이터들을 수신하여 합성함으로써 이차원적인 표층 해류의 유향 및 유속 등에 대한 공간적인 분포를 계산하여 매시간 해류 정보를 생성하여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관측소(20)는 연결되어 있는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는 송신기에서 발사되는 전파와 해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의 출력(watt)정보 및 송신기, 수신기, 주파수 증폭기의 온도 정보 등의 하드웨어 관련 상태정보 및 위상 출력에 대한 보정값, 관측신호와 주변잡음 세기의 비율인 주변잡음비, 원격관측소에서 측정한 최대 관측거리, 매시간 방사형 데이터를 공간평균한 시계열 그래프 등의 소프트웨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원격관측소(20)는 원격관측소가 위치한 지역의 기온, 습도, 강수, 풍속 등의 기후 정보등을 수집하여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각각의 원격관측소(2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해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형정보와 결합하여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를 이동 통신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앱(app)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각각의 원격관측소(2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에 따른 진단 상태표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 해당 관리자의 메일 또는 이동 통신 단말에 문자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에게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오동작에 대하여 경고할 수 있다.
이동 통신단말(200)은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와 네트워크망(30)을 통하여 연결되고, 해류 정보 제공장치에서 제공하는 해류 정보 등을 이동 통신단말(200)에 표시하기 위한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단말(200)은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 및 기후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거나, 원격관측소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류 정보 제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류 정보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이동 통신단말의 앱을 통하여 해류 정보 및 경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원격관측소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원격관측소의 위치, 이름, 관리자 이메일, 관리자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수신부를 통하여 각각의 원격관측소로부터 수신되는 해양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 상태정보 등이 저장된 원격관측소 정보(121), 해당 지역의 지역별 해류 정보(122), 진단정보(123) 및 지형 정보(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웹서버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앱(app)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 고주파 해양레이더 상태정보 및 기후 정보를 요청받아 이동 통신단말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부(111), 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112), 진단부(113), 경보 메세지 송신부(114) 및 웹페이지 출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1)는 다수의 원격관측소로부터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통하여 생성한 해류 정보 및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부(111)는 상기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의 원격관측소 정보(121)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의 원격관측소 정보(121)는 다수의 원격관측소로부터 수신한 매시간 수신한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 상태정보로 각각의 원격관측소와 연결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에 대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상태정보로 저장되어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상태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본데이터로 진단부(113)에 제공될 수 있다.
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112)는 수신한 해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지형정보(124)와 결합하여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지역별 해류 정보(122)에 저장할 수 있다. 생성된 지역별 해류 정보(122)는 이동 통신단말의 앱(app)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웹 페이지 출력부(115)는 지역별 해류 정보(122)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선택한 지역의 해류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해류 정보 페이지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 통신단말에 표시되는 해류 정보 화면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앱(app)을 통하여 실시간 해류 맵을 선택하면 군산해역의 해류 정보 페이지(500)가 이동 통신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하여 해당 시간대의 해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재생버튼(510)을 선택하면, 선택한 시간 구간에서의 해류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해류 정보 페이지(500)는 벡터 방향은 해류의 방향을 표현하며, 상기 벡터의 색은 해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진단부(113)는 수신부(111)를 통하여 수신한 해양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판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진단정보(123)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는 원격관측소로부터 매 시간마다 해류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 수신받은 해류 정보에서 벡터 개수가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 및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최근에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대한 진단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진단부(113)는 각 원격관측소로부터 해양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또는 수신받은 해류 정보에서 벡터 개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곧바로 경보 메세지 송신부(114)를 통하여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메일 또는 이동 통신단말에 경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진단부(113)는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최근에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 곧바로 경보 메세지 송신부(114)를 통하여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메일 또는 이동 통신단말에 경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경보 메세지 송신부(114)는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 해류 정보 이상 또는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동작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원격관측소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관측소 이름, 자료생성시간, 파일사이즈 정보, 변화 발생 시간 및 진단항목 등을 포함한 경고 메세지(이메일 포함)를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메일 또는 이동 통신단말에 전송할 수 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출력부(115)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별 해류 정보(122)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시각적으로 해당 지역의 해류 유동을 벡터로 표시한 해류 정보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출력부(115)는 진단부(113)에 의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격관측소의 고주파 레이더에 대한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진단결과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진단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을 참고하면, 이동 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진단 정보페이지(600)는 진단부에 의하여 생성된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격관측소별(610)별 진단항목(620)에 대한 결과가 진단결과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진단항목은 수신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상태정보일 수 있으며,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미리 설정된 각 항목별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 진단항목 결과(630)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관측소 관리자는 이동 통신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진단 정보페이지(600)를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해당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진단상태에 대하여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류 정보 제공장치의 제어부는 먼저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받는다(S31). 상기 해류 정보는 각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수신한 방사형 데이터 또는 각각의 원격관측소에서 매시간 고주파 해양레이더로부터 수신받은 방사형 데이터를 공간평균한 시계열 그래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수신받은 해류 정보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매시간별 지형별 해양정보를 생성하고(S33), 이동 통신단말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생성된 지형별 해양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로 지역별 해류정보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지역의 해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단말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정상동작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류 정보 제공장치의 제어부는 먼저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받는다(S41). 계속적으로 제어부는 해류 정보의 수신여부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실시간으로 현재 수신되는 해류 정보 및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들을 비교하여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 계속적으로 제어부는 현재 수신되는 해양 정보의 유속자료 벡터 개수가 기준치 미만이거나(S45) 또는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최근에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S47),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45 또는 S47), 곧바로 경보 메세지 송신부를 통하여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메일 또는 이동 통신단말에 경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S49).
따라서 해류 정보 제공장치(100)는 이동 통신단말(200)에 설치되어 있는 앱(app)을 통하여 일반 사용자에게는 해당 지역의 해류 정보를 표시하거나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관리하고 있는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에게 진단상태표에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오동작을 표시하여 관리자는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현재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고주파 해양레이더 20:원격관측소
30:네트워크망
100:해류 정보 제공장치 110:제어부
111:수신부 112: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
113:진단부 114:경보 메세지 송신부
115:웹 페이지 출력부 120:데이터베이스
121:원격관측소 정보 122:지역별 해류 정보
123:진단정보 124:지형정보
200:이동 통신단말 500:지역별 해류정보 페이지
600:진단정보 페이지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해양레이더와 연결된 원격관측소로부터 해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해류 정보와 지형정보를 결합하여 지역별 해류 정보를 생성하는 지역별 해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지역별 해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에 벡터 형태로 해류의 크기 및 방향을 나타내는 해류 정보 페이지를 전송하는 웹페이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로 해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 또는 경고 메세지를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경고 메세지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수신받은 해류 정보의 해류 벡터 개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관측소로부터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실시간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의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격관측소별 고주파 해양레이더에 대한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표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페이지를 전송하는 웹페이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수신된 고주파 해양레이더의 각각의 상태정보의 25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평균값과 실시간 전송된 각각의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범위) 미만 또는 이상인 경우,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생성하고,
    고주파 해양레이더가 정상동작하지 않는다는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 또는 경고 메세지를 원격관측소의 관리자의 이동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경고 메세지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KR1020150167631A 2015-11-27 2015-11-27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KR20170062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31A KR20170062157A (ko) 2015-11-27 2015-11-27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31A KR20170062157A (ko) 2015-11-27 2015-11-27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157A true KR20170062157A (ko) 2017-06-07

Family

ID=5922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631A KR20170062157A (ko) 2015-11-27 2015-11-27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1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81B1 (ko) * 2018-12-27 2019-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형 에코를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209892B1 (ko) * 2019-08-19 2021-02-01 김창수 표층해수유동 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와 자료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4355306A (zh) * 2021-12-06 2022-04-15 武汉大学 一种利用小孔径高频雷达海洋回波反演浪高的方法
CN114355306B (zh) * 2021-12-06 2024-05-17 武汉大学 一种利用小孔径高频雷达海洋回波反演浪高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81B1 (ko) * 2018-12-27 2019-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형 에코를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209892B1 (ko) * 2019-08-19 2021-02-01 김창수 표층해수유동 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와 자료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CN114355306A (zh) * 2021-12-06 2022-04-15 武汉大学 一种利用小孔径高频雷达海洋回波反演浪高的方法
CN114355306B (zh) * 2021-12-06 2024-05-17 武汉大学 一种利用小孔径高频雷达海洋回波反演浪高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4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forecasting the positions of marine vessels
US11686879B2 (en) Distributed weather monitoring system
James et al. AIS data to inform small scale fisheries management and marine spatial planning
US20180182222A1 (en) User-centric event reporting with follow-up information
US7411493B2 (en) User-centric event reporting
US64905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real-time site-specific weather information
KR20150138363A (ko) 지점 관측을 사용하여 기상 예보를 미세 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42109A1 (en) Supporting a surveillance of positions of devices
US20130093589A1 (en) Responder accountability proximity wireless alert system and method
EP35421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precipitation events
CN105204092A (zh) 蜂窝状布局的雷电预警系统
JP2016176907A (ja) 位置測定システム、位置測定装置、位置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2157A (ko) 고주파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해류 정보 제공장치
CN115997105A (zh) 淡水形态信息收集系统
KR20210007330A (ko) 위치 기반 재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2000651A (ja) 発雷推定システム、及び方法
Heron et al. Application of HF radar in hazard management
CN105118232A (zh) 海上风电场作业人员安全状态监测方法及系统
KR102209892B1 (ko) 표층해수유동 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와 자료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JP2003067477A (ja) 地域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地域関連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Najmurrokhman et al. Development of internet-of-things based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upporting the disaster mitigation in the city
KR100979388B1 (ko) 해상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003B1 (ko) Gps 측량 관측시 무인 기지국 수신정보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90048015A (ko) 브로드밴드 레이더를 이용한 해적선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Banyś et al. Occurrence of Unknown Sensor Data within AIS Dynamic Me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