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475A - 홈 가공기 - Google Patents

홈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475A
KR20170061475A KR1020150166563A KR20150166563A KR20170061475A KR 20170061475 A KR20170061475 A KR 20170061475A KR 1020150166563 A KR1020150166563 A KR 1020150166563A KR 20150166563 A KR20150166563 A KR 20150166563A KR 20170061475 A KR20170061475 A KR 2017006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lade
rotation
grooves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574B1 (ko
Inventor
지상현
Original Assignee
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현 filed Critical 지상현
Priority to KR102015016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5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는, 초고압 케이블 접속에 따른 도체의 코로나 쉴드 장착을 위한 절연체용 홈 가공기로서, 도체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고, 도체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고정부, 원통형 고정부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원통형 고정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외측 회전부에 고정되며, 외측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연체에 홈을 형성시키는 2개의 칼날부 및, 칼날부를 상기 외측 회전부에 고정시키며, 가공되는 양측 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칼날 고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원통형 고정부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체의 접속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존재하는 절연체 단부에 대해 동시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고, 절연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칼날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홈의 깊이와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홈 가공기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 가공기{MACHINE FOR MAKING A GROOVE}
본 발명은 홈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 케이블 접속 공정시 코로나 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홈을 절연체에 형성시키기 위한, 초고압 케이블 접속에 따른 도체의 코로나 쉴드 장착을 위한 절연체용 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케이블 접속 공정은 케이블 상호 간을 연결한 뒤 압축시킨 후 코로나 쉴드(Corona Shield)를 설치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대부분의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 절단에서 코로나 쉴드 설치 단계까지 필요한 각종 공구가 현장으로 이동되거나 미리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코로나 쉴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초고압 케이블의 도체를 감싸고 있는 절연체의 일부분을 가공하여 코로나 쉴드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이때, 코로나 쉴드가 체결되기 위한 홈을 절연체의 단부(端部)에 형성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절연체에 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종래의 홈 가공기는 양측에 대하여 별개의 공정으로 홈을 형성했다.
또한, 도체의 접속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존재하는 절연체에 대하여 동시에 홈을 형성시키기 어려웠다. 즉, 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연체 사이의 간격을 파악하고, 해당 간격에 대응하는 홈 가공기를 현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절연체 사이의 간격을 미리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홈 가공기를 미리 배치해둘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홈 가공기의 무게 또한 상당한 관계로 기계를 현장으로 이동시키기도 쉽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89579호(공개일: 2003년11월22일)는 초고압 케이블의 수축 탈리 방지용 코로나 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만, 절연체 절삭 도구를 이용하여 초고압 케이블의 절연체의 단부에 턱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의 접속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존재하는 절연체 단부에 대해 동시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고, 케이블 절연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양측 칼날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홈 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량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는 홈 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직경을 가진 도체를 고정시켜, 절연체 단부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홈 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에 의하면, 초고압 케이블 접속에 따른 도체의 코로나 쉴드 장착을 위한 절연체용 홈 가공기로서, 상기 도체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도체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고정부; 상기 원통형 고정부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상기 외측 회전부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연체에 홈을 형성시키는 2개의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를 상기 외측 회전부에 고정시키며, 가공되는 양측 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칼날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 회전부는, 단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대응 연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칼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복수의 대응 연결공의 연결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회전부의 양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연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양측에 대하여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외측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절연체에 대하여 동시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고정부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 도체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칼날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회전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고정부는 상기 도체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도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에 의하면, 도체의 접속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존재하는 절연체 단부에 대해 동시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고, 절연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칼날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체 가능한 칼날부를 이용함으로써, 홈의 깊이와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주요 구성인 원통형 고정부의 재질로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을 이용하여 홈 가공기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원통형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외측 회전부의 일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외측 회전부의 일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에 있어서 칼날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칼날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의 칼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홈 가공기에 있어서, 원통형 고정부와 어댑터의 결합 방식 및 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의 일구성인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어댑터의 측단면도, 도 9b는 어댑터의 정면도, 도 9c는 어댑터의 전면 사시도, 그리고, 도 9d는 어댑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는 초고압 케이블 접속에 따른 도체의 코로나 쉴드 장착을 위한 절연체용 홈 가공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는, 원통형 고정부(100), 외측 회전부(200), 칼날부(300) 및 칼날 고정부(310)를 포함한다.
접속시킬 도체를 인접시킨 뒤 도체 슬리브(sleeve)가 형성되면, 원통형 고정부(100)가 도체의 둘레를 둘러싼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고정부(100)는 내부가 빈 공동의 원통형 부재로서, 도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105)를 구비한다.
개구(105)의 내경은 도체의 외경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원통형 고정부(100)의 개구(105)는 도체를 둘러싸면서 밀착 고정시킨다.
원통형 고정부(100)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 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듀퐁사(社)의 상표명인 테프론으로도 널리 알려진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은 다수의 미세 분자들을 사슬이나 그물 형태로 화확결합시켜 생성한 커다란 분자로 이루어진 유기 중합체 계열에 속하는 비가연성 불소수지로서, 열에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이 좋다. 특히,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이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원통형 고정부(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0-1)와 제2 고정부(110-2)로 이루어지며, 각각 도 2(a)와 같은 반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반원통 형상의 제1 고정부(110-1)와 제2 고정부(110-2)는 결합, 분리가 용이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외측 회전부(200)는 원통형 고정부(1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회전부(200)는 제1 회전부(210)와 제2 회전부(22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적절한 체결 수단(볼트 결합 등)에 의해 양 회전부(210,220)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 회전부(210)와 제2 회전부(220)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반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원통형 고정부(100)와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아치형의 상단부분은 후술할 칼날 고정부(310)가 체결되기 위하여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회전부(200)는 원통형 고정부(100)의 원통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215)과 롤러(216)가 외측 회전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고정부(100)에 접촉한 롤러(216)가 외측 회전부(200)에 구비된 베어링(215)에 고정되어 회전 운동을 함으로써,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이때,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롤러(216)와 베어링(21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총 8개의 롤러(216)와 베어링(215)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 더 많은 롤러(216)와 베어링(215)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보다 더 적은 롤러(216)와 베어링(215)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외측 회전부(200)의 양측 단부에는 복수의 대응 연결공이 구비되어, 후술할 칼날 고정부(310)의 연결공(311)과 볼트 결합 등의 체결 수단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210)에는 제1 대응 연결공(211), 제2 대응 연결공(212) 및 제3 대응 연결공(213)이 구비되고, 제2 회전부(220)에도 제1 대응 연결공(221), 제2 대응 연결공(222) 및 제3 대응 연결공(223)이 구비되며, 제1 회전부(210)와 제2 회전부(220)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 회전부(210)에 구비된 제1 대응 연결공(211)은 제1 회전부(210)의 단부로부터 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2 대응 연결공(212)은 제1 회전부(210)의 단부로부터 d2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3 대응 연결공(213)은 제1 회전부(210)의 단부로부터 d3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부(220)에 구비된 제1 대응 연결공(221)은 제2 회전부(220)의 단부로부터 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2 대응 연결공(222)은 제2 회전부(220)의 단부로부터 d2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3 대응 연결공(223)은 제2 회전부(220)의 단부로부터 d3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예를 들어, d1을 10mm, d2를 25mm, d3을 15mm라고 한다면, 후술할 칼날 고정부(310)에 구비된 연결공(311)이, 제1 회전부(210)의 제2 대응 연결공(212)과 제2 회전부(220)의 제2 대응 연결공(222)에 각각 연결되었을 때, 칼날 고정부(310)에 고정된 칼날부(300) 사이의 간격은 최소(이하, '최소 간격'이라 함)가 된다.
이를 변경하여, 칼날 고정부(310)에 구비된 연결공(311)을 제1 회전부(210)의 제1 대응 연결공(211)과 제2 회전부(220)의 제1 대응 연결공(221)에 각각 연결시킨다면, 최소 간격보다 2×(25mm-10mm)=30mm 더 이격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칼날 고정부(310)에 구비된 연결공(311)을 제1 회전부(210)의 제3 대응 연결공(213)과 제2 회전부(220)의 제3 대응 연결공(223)에 각각 연결시킨다면, 최소 간격보다 2×(25mm-15mm)=20mm 더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대응 연결공(211,212,213; 221,222,223)과 연결공(311)의 조합을 달리함으로써, 양측 칼날 고정부(310)에 고정된 칼날부(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가공되는 양측 홈 사이의 길이(이격 거리, 간격)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최소 간격이 200mm라면,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에 의하면, 가공되는 양측 홈 사이의 길이가 200mm, 220mm 및 230mm인 경우에도 절연체의 적절한 위치에 홈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최소 간격은 각 구성의 길이나 연결공 혹은 대응 연결공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칼날 고정부(310)는 칼날부(300)를 외측 회전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 회전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대응 연결공(211,212,213; 221,222,223)과 체결되는 연결공(311)이 구비된다. 이때, 연결공(311)과 복수의 대응 연결공(211,212,213; 221,222,223) 사이의 체결은 볼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 고정부(310)의 하면은 외측 회전부(200)에서 아치형으로 볼록한 편평면에 놓여지고, 적절한 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칼날 고정부(310)는 칼날부(300)가 삽입되는 칼날 삽입부(320)와 삽입된 칼날부(3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칼날 조정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칼날 조정부(35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진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후진하는 나사 방식으로 칼날부(300)의 돌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사 방식 외의 다른 방식으로 칼날부(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측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면서 절연체의 단부를 컷팅하는데, 이때 칼날 조정부(350)를 통한 칼날부(300)의 위치 조절과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을 반복하면서, 원하는 깊이까지 홈을 형성시킨다.
칼날부(300)는, 외측 회전부(200)에 연결되는 칼날 고정부(310)에 삽입 고정되므로,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칼날부(300)는 길이 방향의 몸통부(305)와 선단에 구비된 2개의 칼날(301,302)을 포함하며, 2개의 칼날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칼날(301)은 절연체의 단부에 홈을 형성시키는 칼날이다.
이때, 칼날(301,302)의 두께는 가공할 홈의 두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칼날(301)의 두께를 5mm로 하는 경우, 절연체에 가공되는 홈의 두께를 5mm로 만들 수 있고, 7mm로 하는 경우, 홈의 두께를 7mm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체결될 코로나 쉴드의 형상과 치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두께와 길이의 칼날(301,302)을 가진 칼날부(300)를 구비하고, 이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절연체에 형성시킬 홈의 두께와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에 의하면, 코로나 쉴드의 형상 또는 치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절연체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손잡이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400) 칼날부(30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 회전부(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손잡이부(400)는 제1 회전부(210)와 제2 회전부(220)의 결합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부(400)를 잡고 외측 회전부(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원통형 고정부(10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칼날부(300)가 절연체에 닿아 이를 컷팅하여 홈을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는 양측에 칼날부(300)가 구비되므로, 도체의 접속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절연체 단부에 대해 동시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측에 위치하는 칼날부(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교체 가능한 칼날부를 이용함으로써, 홈의 깊이와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나아가, 주요 구성의 재질로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을 이용하여 홈 가공기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는 원통형 고정부(100)에 의해서 도체가 고정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가공기(1000)는 다양한 사이즈의 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댑터(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120)는 원통형 고정부(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다양한 사이즈의 직경을 가진 개구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에 있어서, 원통형 고정부(100)와 어댑터(120)의 결합 방식 및 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어댑터(120)는 원통형 고정부(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원통형 고정부(100)는 복수의 결합공(101-1,101-2,101-3,101-4)을 갖고, 어댑터(120)도 복수의 결합공(101-1,101-2,101-3,101-4)에 대응하는 대응결합공(121,122,123,124)을 가지며, 양자는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만, 볼트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가공기(1000)의 일구성인 어댑터(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어댑터(120)의 측단면도, 도 9b는 어댑터(120)의 정면도, 도 9c는 어댑터(120)의 전면 사시도, 그리고, 도 9d는 어댑터(12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0)의 개구는 소정의 직경(a)을 가진다. 어댑터(120)는 다양한 크기의 직경(a)을 가진 개구(105)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105)의 직경은 도체의 외경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105)의 직경(a)이 도체의 외경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형 고정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구(105)가 도체를 둘러싸면서 도체를 밀착 고정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구(105)의 표면에 밀착을 위한 별도의 부재(예를 들어, 고무 등)를 더 구비하여, 더 단단하게 도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어댑터(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원통형 고정부(100)에 탈부착되므로, 다양한 외경(사이즈)을 가지는 도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개구(105)의 직경(a)은, 다양한 사이즈의 도체를 고정시켜, 홈을 가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원통형 고정부
105‥‥‥‥‥‥‥‥‥‥‥개구
120‥‥‥‥‥‥‥‥‥‥‥어댑터
200‥‥‥‥‥‥‥‥‥‥‥외측 회전부
300‥‥‥‥‥‥‥‥‥‥‥칼날부
310‥‥‥‥‥‥‥‥‥‥‥칼날 고정부
320‥‥‥‥‥‥‥‥‥‥‥칼날 삽입부
350‥‥‥‥‥‥‥‥‥‥‥칼날 조정부
400‥‥‥‥‥‥‥‥‥‥‥손잡이부
1000‥‥‥‥‥‥‥‥‥‥‥홈 가공기

Claims (8)

  1. 초고압 케이블 접속에 따른 도체의 코로나 쉴드 장착을 위한 절연체용 홈 가공기로서,
    상기 도체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도체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고정부;
    상기 원통형 고정부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상기 외측 회전부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연체에 홈을 형성시키는 2개의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를 상기 외측 회전부에 고정시키며, 가공되는 양측 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칼날 고정부;를 포함하는, 홈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회전부는, 단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대응 연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칼날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복수의 대응 연결공의 연결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길이로 조절되는, 홈 가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회전부의 양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연결공이 구비되는, 홈 가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칼날부는,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양측에 대하여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외측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통형 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절연체에 대하여 동시에 홈을 형성시키는, 홈 가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고정부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으로 이루어진, 홈 가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 도체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홈 가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칼날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회전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홈 가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고정부는 상기 도체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도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홈 가공기.
KR1020150166563A 2015-11-26 2015-11-26 홈 가공기 KR10179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563A KR101797574B1 (ko) 2015-11-26 2015-11-26 홈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563A KR101797574B1 (ko) 2015-11-26 2015-11-26 홈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75A true KR20170061475A (ko) 2017-06-05
KR101797574B1 KR101797574B1 (ko) 2017-11-15

Family

ID=5922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563A KR101797574B1 (ko) 2015-11-26 2015-11-26 홈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6945A (zh) * 2018-03-05 2018-08-07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电缆绝缘层自动切削装置
CN110666987A (zh) * 2019-09-12 2020-01-10 深圳市东汇精密机电有限公司 异形镜头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90Y1 (ko) * 2005-03-16 2005-06-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 케이블 절연체용 홈가공 공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6945A (zh) * 2018-03-05 2018-08-07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电缆绝缘层自动切削装置
CN108376945B (zh) * 2018-03-05 2019-10-01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电缆绝缘层自动切削装置
CN110666987A (zh) * 2019-09-12 2020-01-10 深圳市东汇精密机电有限公司 异形镜头生产工艺
CN110666987B (zh) * 2019-09-12 2021-04-30 深圳市东汇精密机电有限公司 异形镜头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574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0350B (zh) 交联电力电缆外半导电层剥切工具
KR101797574B1 (ko) 홈 가공기
US20130000128A1 (en) Cutting tool for cable with a metal shield
US6381850B1 (en) Wire stripping and preparation apparatus
US20140215830A1 (en) Tool for slitting jacket of eletrical cable
CN105098665A (zh) 一种中压xlpe电缆外屏蔽层剥切方法
JP2007159268A (ja) ケーブルシース剥取工具
CN102623871A (zh) 可调节制备工具及其使用方法
JP6006917B2 (ja) ケーブルの被覆剥ぎ取り工具
CN105514882A (zh) 一种电缆剥皮钳及其剥皮方法
CN215419363U (zh) 一种电气工程用的剥线装置
CN108092199B (zh) 一种电缆外皮切割刀具
US5377410A (en) Cutter for strand-encircling sheaths
US2752676A (en) Universal protective covering cutter for coaxial and other cables
TWI499149B (zh) 電纜線剝皮工具
JP2011010527A (ja) 高圧引下線上部縁線支持具
CN105633863A (zh) 一种电缆剥皮钳及其剥皮方法
US20130055571A1 (en) Adjustable preparation tool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20393446A1 (en) Wire strippers, wire cutter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3969818A (en) Cable insulation stripping tool
CN113824054A (zh) 便携式电缆剥皮钳
CN211629743U (zh) 电缆环切刀具
CN113889925A (zh) 绝缘导线剥线器
CN109473913A (zh) 一种电缆剥皮工具及其使用方法
KR101898465B1 (ko)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