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974A -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974A
KR20170060974A KR1020150165802A KR20150165802A KR20170060974A KR 20170060974 A KR20170060974 A KR 20170060974A KR 1020150165802 A KR1020150165802 A KR 1020150165802A KR 20150165802 A KR20150165802 A KR 20150165802A KR 20170060974 A KR20170060974 A KR 2017006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ser
voice
learn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618B1 (ko
Inventor
이로운
임양주
Original Assignee
이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로운 filed Critical 이로운
Priority to KR102015016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6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수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송화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청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화부 및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연결하는 내측 공간 중 상기 송화부로부터 상기 수화부까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이 직접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인 제1 공간부 및 상기 내측 공간 중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구획되는 타 공간으로서, 상기 수화부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Self speaking feedback apparatus}
본 발명은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본인의 발음 학습을 위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장애 때문에 부단한 발음연습을 필요로 하는 사람, 외국어 학습을 위해 정확한 발음연습을 필요로 하는 사람, 모국어에 대한 자신의 발음, 발성 교정을 원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자신의 발성에 의한 음성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음성을 직접 본인의 귀로 들어보고 싶어한다.
그러나, 사람의 입과 귀는 서로 직각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더구나 입은 귀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적인 공기의 진동에 의해 느낄수가 없고, 간접적인 고막의 울림에 의해 듣게 되므로,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정확한 목소리를 듣기 힘들다.
이에, 자신의 목소리를 들어보기 위해 녹음기에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였다가 다시 들어보기도 하고, 마이크 등의 보조 수단을 통해 자신의 음성을 들어보기도 하는데, 이미 자신의 목소리는 기계에 의하여 변조된 것이라 기계장치를 통하지 않는 순수한 자신의 목소리, 즉 발음하는 자가 직접 본인의 음성을 들을 수가 없으므로 발음교정 또는 발음연습에 어려움을 갖는 부분이 있다.
또한, 언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 또는 언어 학습을 하는 아이에게 배우는 흥미를 제공하면서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을 시키고자 하는 부모의 요구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언어 학습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각 단계별로 발음학습용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따라하면서 발성된 본인의 음성을 직접 본인이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보다 발음교정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학습에 대한 흥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발음학습용 음원을 청취한 후 어떠한 장비교체 없이 곧바로 청취한 발음학습용 음원을 따라한 본인의 음성을 발성하고, 발성된 본인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28879호 (1998.08.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스트리밍 음원을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수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송화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청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화부 및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연결하는 내측 공간 중 상기 송화부로부터 상기 수화부까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이 직접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인 제1 공간부 및 상기 내측 공간 중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구획되는 타 공간으로서, 상기 수화부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연결하는 내측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경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제공모듈, 셀프 스피킹의 사용자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또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무선 통신 연결된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음성전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과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시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음원비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부와 대향되는 상기 경계 플레이트의 부분에는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의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송화부와 대향되는 상기 경계 플레이트의 부분에는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수용하여 녹음하는 마이크에 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드러난 버튼 형태, 터치식 반응장치, 또는 음성인식 반응장치로 구성되며, 버튼의 입력 회수 및 버튼 누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따라 제어 항목이 선택 및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음원제공모듈은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음원 재생 처리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타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스트리밍 제공받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또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음원 전송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내부 구조에 전자부품이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음원 전송을 USB에 저장된 음원을 기초로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음원 전송을 무선통신으로 스트리밍 수신되는 음원을 기초로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사용자 음성의 전달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사용자 음성의 녹음 경로를 일례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비교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비교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는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아우르는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 이와 유사한 방식의 모든 장치를 이른다. 이러한 구성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본인의 발음 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는 발음학습용 음원 및 사용자 본인의 사용자 음성을 어떠한 장비 교체 없이 모두 청취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구조임에 따라, 발음학습용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기기와 사용자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기기를 각각 갖출 필요 없이, 상기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라는 단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발음학습용 음원을 청취한 직후 곧바로 그 상태에서 청취한 발음학습용 음원을 발성하고, 발성된 사용자 음성 또한 어떠한 자세 변동이나 장비 교체 없이 사용자 본인이 바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송화부(110), 수화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부(130)는 사용자의 귀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까지 사용자의 귀로 전달할 수 있는 공간 구조로 구비된다.
즉,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은 송화부(110)와 수화부(120) 사이를 소리 전달이 가능한 공간통로, 즉 소리전달통로를 갖춘 제1 공간부(A), 및 사용자의 귀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배치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제1 공간부(A)의 소리전달통로는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이 상기 사용자 본인의 귀까지 전달되기 용이한 통로 구조이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수화부(120) 사이인 소리전달통로 중 일부 공간 영역은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 또한 전달되는 통로로서 공유되는 공간이다.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이라 함은, USB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음원으로서, 저장매체와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가 상호 물리적인 통신 연결을 한 상태인 경우, 저장매체로부터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발음학습용으로 청취할 수 있는 음원을 일컫는다.
또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이라 함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한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 연결을 이룬 상태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으로부터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발음학습용으로 청취할 수 있는 음원을 일컫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기준으로 구성별 설명을 할 것임에 따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혼용하여 각 구성을 설명하고, 도 16 내지 도 17에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기준으로 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18에서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기준으로 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폰 형태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폰 형태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송화부(110)는 사용자의 입 주변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발성된 사용자 음성을 수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음성을 수음한다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발성된 사용자 음성이 송화부(110)의 외측으로부터 송화부(1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송화부(110)에서는 별도로 사용자 음성을 저장하지는 않으나, 사용자 음성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과 비교하는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서 별도의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성된 사용자 음성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화부(110)를 통해 수음된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의 귀 주변에 위치되는 수화부(120)까지 전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화부(12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을 청음할 수 있게 한다.
송화부(110) 및 수화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는 송화부(110) 및 수화부(120)를 지지하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그 내측 공간에 송화부(110)로부터 수화부(120)까지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이 전달될 수 있는 소리전달통로를 갖춘다.
도 3은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외형은 통상 유선 전화기의 수화기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평상시 전화 통화하듯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어떠한 음원을 발성할 경우, 송화부(11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이 수음된 후 수음된 사용자 음성은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소리전달통로를 따라 공기 진동을 일으키면서 수화부(120)에 도달하며, 수화부(120)까지 도달된 사용자 음성은 수화부(120)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된다.
도 4는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성한 사용자 본인의 사용자 음성을 직접 청취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로 하여금 발성되는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 임의로 발성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어학 학습을 위해 단계적으로 구분되어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사용자로 하여금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통해 청취하도록 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학습의 일환으로서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상기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통해 수음하여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미리 구비된 어학 학습 체계의 가이드를 받아 발성을 하고, 발성된 본인의 음원을 정확히 확인해가면서 교정까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본인의 음성인 사용자 음성을 송화부(110)로부터 수화부(120)까지 전달하기 위한 소리전달통로를 갖추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크리밍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조는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에 소리전달통로를 훼손하지 않는 추가적인 공간에,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크리밍 음원을 수화부(120)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제공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배치 구조를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전자부품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스피커에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제공모듈(151), 셀프 스피킹의 사용자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152), 및 셀프스피킹 피드백 장치(100) 내 전자 구동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6) 또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외형상으로 드러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 입력부(152), 음원제공모듈(151)의 디스플레이과,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가 전기 충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구비된 배터리(156)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153)가 있다.
도 5는 도 2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또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송화부(110), 수화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며,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 중 송화부(110)로부터 수화부(120)까지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이 회절 과정을 거쳐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인 제1 공간부(A), 및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 중 전술한 제1 공간부(A)외 타 공간이며, 수화부(120)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B)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기준면을 제1 공간부(A)와 제2 공간부(B)를 구분하는 공간 상 경계로 하고, 송화부(110) 및 수화부(120)가 위치한 수평기준면의 상측 공간을 제1 공간부(A)로하며, 수평기준면의 하측 공간을 제2 공간부(B)로 정할 수 있다.
다른 구조로서, 제1 공간부(A)와 제2 공간부(B)를 도 6의 수평기준면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간부(A)의 소리전달통로를 최대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제1 공간부(A)와 제2 공간부(B)를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송화부(110)의 내측 공간과, 수화부(120)의 내측 공간은 연결부(130)의 손잡이 부분에 대응되는 내측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다.
즉, 송화부(110)의 내측 공간으로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이 수음되는 경우, 송화부(110)의 내측 공간에서 사용자 음성이 회절되어 수화부(120)가 위치한 내측 공간으로 향하기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 가능하지만, 연결부(130)의 손잡이 부분과 대응되는 내측 공간은 상대적으로 음원이 원활하게 전달되기에는 다소 통로가 협소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연결부(130)의 손잡이 부분과 대응되는 내측 공간에서, 사용자 음성이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를 도 6의 수평기준면 아래로 더 확장하고, 제2 공간부(150)에 배치될 전자부품을 연결부(130)의 손잡이 부분이 아닌 도 6의 수평기준면 아래로 수화부(120)와 대향되는 일부 공간과, 도 5의 수평기준면 아래로 송화부(110)와 대향되는 일부 공간에 집적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5의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에는 사용자 음성이 송화부(110)로부터 수화부(120)까지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인 제1 공간부(140)와, 전자 부품의 배치 공간인 제2 공간부(150)가 물리적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제1 공간부(140)와 제2 공간부(150) 사이를 물리적으로 구분하는 경계 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 플레이트(160)는 수화부(120)와 대향되는 일 부분에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공(161)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계 플레이트(160)는 연결부(130)의 내측에 일체화된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부품 조립 공정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경계 플레이트(160)로 구분되는 제2 공간부(150)에는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바,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의 배출 구조가 경계 플레이트(160)에 추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경계 플레이트(160)를 연결부(130)의 재질과 동일 재질이 아닌 열 배출이 용이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경계 플레이트(160)의 아래 영역인 제2 공간부(150)로부터 배출된 열을 금속 재질의 열 전도를 통해 제1 공간부(140)로 이동하고, 제1 공간부(140)로 이동된 열이 수화부(120) 및 송화부(110)의 통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음원 전송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내부 구조에 전자부품이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부(120)와 대향되는 경계 플레이트(160)의 하측에는 제2 공간부(150)의 전자부품으로부터 제공되는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위치한다.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은 경계 플레이트의 수화부(120)와 대향되는 통공(161)을 거쳐 수화부(120)의 내측 공간 및 수화부(120)를 경위한 후,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는 청취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기억하고, 기억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따라한 발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음원제공모듈과 배터리(156)가 연결부(130)의 제2 공간부(150)에 배치되며, 음원제공모듈, 배터리(156)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규격 및 상호 연결 가능한 배열 상태를 토대로 연결부(130)의 제2 공간부(1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 역할까지하는 연결부(130)는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됨에 따라, 연결부(130) 내부에 전자부품의 장착 후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음원 전송을 USB에 저장된 음원을 기초로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의 음원 전송이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토대로 전송되는 경우, 음원제공모듈은 USB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및 USB에 저장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받고, 제공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사용자로 하여금 청취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조한 후, 변조된 데이터를 스피커 출력용의 아날로그 신호로 컨버팅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원재생기를 포함한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은 제1 공간부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도달되는 루트로 전달된다.
도 11은 도 8의 음원 전송을 무선통신으로 스트리밍 수신되는 음원을 기초로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8의 음원 전송이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토대로 전송되는 경우, 음원제공모듈은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으로 연결되기 위한 무선통신기, 및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사용자로 하여금 청취 가능한 음역대로 실시간 변환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변환처리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은 제1 공간부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도달된다.
도 12는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사용자 음성의 전달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성한 사용자 음성은 송화부(110)로 수음된 후, 연결부(130)의 내측 공간에 마련된 소리전달통로를 거쳐 수화부(120)까지 전달된다. 수화부(120)까지 전달된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은 결국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되어, 사용자 본인은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7의 내부 구조에서 사용자 음성의 녹음 경로를 일례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부(150)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은 송화부(110)로부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소리전달통로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제2 공간부(B)의 마이크로 수집한 후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재처리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비교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에서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고,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와 무선 연결된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에서 상기 수집된 사용자 음성과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안내(예: 디스플레이에 비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되는 사용자 음성의 파형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발성한 음성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무선 통신 연결된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하는 사용자 음성전달 모듈(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전달 모듈(157)은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157-1), 수집된 사용자 음성의 전달을 위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 및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간의 무선 연결을 실행하는 음성코덱 페어링 스위치(157-3), 및 양 장치 간에 연결된 무선통신 루트를 통해 상기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하는 무선통신기(157-2)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비교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에서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할 뿐 아니라, 수집된 사용자 음성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도 고사양 모델로서 가능하다.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는 수집된 사용자 음성과,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시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음원비교모듈(1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원비교모듈(158)은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158-1),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158-2), 수집된 사용자 음성과 메모리에 저장된 비교 대상 음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시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음성분석기(158-3)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본인이 청취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과, 본인이 발성하여 직접 청취한 사용자 음성 간의 발음 유사성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간의 유사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발음 교정 가이드를 서비스하기 위한 구성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에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송화부(110)와 대향되는 경계 플레이트(16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송화부(110)와 대향되는 경계 플레이트(160)의 일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62)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제공모듈(151)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예: USB, 200)와 결합하고, 결합된 저장매체로부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음원 재생 처리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함에 따라, 제1 공간부(140)의 수화부(120) 이하 내측 공간 및 수화부(120)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페이지에 PC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접속하고, 접속된 홈 페이지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선택하여 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상기 전자기기에 연결된 저장매체(예: USB, 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가 저장 중인 저장매체(예: USB, 200)를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의 인터페이스(154)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원제공모듈(151) 및 사용자 입력부(152)를 통해 저장매체(예: USB, 200)에 저장중인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중 원하는 파트의 원음 발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원음 발음을 재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원음 발음은 수화부(120)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되고, 사용자는 청취한 원음 발음을 기억한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2)를 통한 제어 입력으로 음원제공모듈(151)의 음원 재생을 일시 정지한 후, 사용자 본인의 입으로 기억한 원음 발음을 따라서 발성을 한다.
이렇게 발성된 사용자 음성은 송화부(110)로 수음되고, 수음된 사용자 음성은 송화부(110) 내측의 소리전달통로를 거쳐 수화부(120)까지 전달되며, 수화부(120)까지 전달된 사용자 음성은 결국 사용자의 귀까지 도달된다.
사용자는 이후 전술한 사용자 음성을 재차 발성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 스스로 발음 교정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기억 중인 원음 발음을 재차 청취하기 위한 재생 제어를 함에 따라, 재차 원음 발음을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 발음을 따라 발성을 하고, 발성된 본인의 사용자 음성을 청취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발음 교정을 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제공하는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2)는 연결부(130)의 외측에 드러난 버튼 형태, 터치식 반응장치, 또는 음성인식 반응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버튼의 입력회수 및 버튼 누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따라 제어 항목의 선택 및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을 5초 이상 길게 누르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버튼을 다시 5초 이상 길게 누르면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100)가 '전원 온'인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짧게 한번 누르면 '재생', 짧게 두번 누르면 '정지', 짧게 세번 누르면 '일시 정지'와 같은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52)는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과 동시에 색상으로 상태표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2)는 LED, LCD 또는 기타 색상조명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원 온일 때 파란색 조명이 되고, 전원 오프일 때 빨간색 조명이 되며, 정지일 때 빨간색 조명이 1번 점멸되고, 일시 정지일 때는 녹색 조명과 같이 구비됨으로써, 색상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제공모듈(151)은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와 무선통신(예: 블루투스)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타 전자기기(300)로부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스트리밍 제공받아 스피커로 출력함에 따라, 1 공간부의 수화부(120) 이하 내측 공간 및 수화부(120)를 거쳐 사용자의 귀까지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을 이용하여 어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페이지 접속 또는 관련 앱을 실행함에 따라, 학습하고자 하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로부터 출력되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은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와 음원제공모듈(151)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음원제공모듈(151)까지 전달되고, 음원제공모듈(151)로 전달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은 스피커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귀까지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취한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기억한다. 이후, 사용자는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에서 음원 재생을 일시 정지한 후, 사용자 본인의 입으로 기억한 원음 발음을 따라서 발성을 한다.
이렇게 발성된 사용자 음성은 송화부(110)로 수음되고, 수음된 사용자 음성은 송화부(110) 내측의 소리전달통로를 거쳐 수화부(120)까지 전달되며, 수화부(120)까지 전달된 사용자 음성은 결국 사용자의 귀까지 도달된다.
사용자는 이후 전술한 사용자 음성을 재차 발성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 스스로 발음 교정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기억 중인 원음 발음을 재차 청취하기 위한 타 전자기기(예: 스마트폰, 300)의 재생 제어를 통해, 재차 원음 발음을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 발음을 따라 발성을 하고, 발성된 본인의 사용자 음성을 청취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발음 교정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52)에는 스트리밍된 원음이 재생 또는 일시 정지 상태, 또는 타 전자기기와의 연결/ 연결해제, 또는 타 전자기기 상태가 다른 상태로 변화된 경우(예: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왔을 경우, 잠시 재생 중지된 상황), 색상으로 상태 표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2)는 LED, LCD 또는 기타 색상조명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타 전자기기와 연결 중일 때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타 전자기기와 연결 해제될 때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재생 중일 때 파란색 조명이 1번 점멸되고, 정지 상태일 때는 빨간색 조명을 1번 점멸하며, 일시 정지 중일 때는 녹색으로 표시되는 등 색상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 전자기기로 다른 실행(예: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왔을 경우 잠시 재생 중지된 상황) 시, 수화부(120) 하단의 스피커로부터 짧은 표시음(예: '띠-띠-띠' 또는 '뚜-뚜' 등과 같은 알림 표시음)으로 연결해제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한 후 청취한 원음발음에 따라 사용자 본인이 발성한 사용자 음성 또한 청취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110: 송화부
120: 수화부 130: 연결부
A: 제1 공간부 B: 제2 공간부
151: 음원제공모듈 152: 사용자 입력부
153: 충전단자 154: 인터페이스
155: 스피커 156: 배터리
157: 사용자음성전달 모듈 158: 음성비교모듈
159: 디스플레이 160: 경계 플레이트
161, 162: 통공 200: 저장매체
300: 타 전자기기

Claims (8)

  1. 사용자 음성을 수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송화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청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화부; 및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연결하는 내측 공간 중 상기 송화부로부터 상기 수화부까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이 직접 전달되는 소리전달통로인 제1 공간부; 및
    상기 내측 공간 중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구획되는 타 공간으로서, 상기 수화부로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를 연결하는 내측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경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제공모듈;
    셀프 스피킹의 사용자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또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무선 통신 연결된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음성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과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시청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음원비교모듈을 더 포함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부와 대향되는 상기 경계 플레이트의 부분에는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 또는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의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송화부와 대향되는 상기 경계 플레이트의 부분에는 상기 수음된 사용자 음성을 수용하여 녹음하는 마이크에 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구비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드러난 버튼 형태, 터치식 반응장치, 또는 음성인식 반응장치로 구성되며, 버튼의 입력 회수 및 버튼 누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따라 제어 항목이 선택 및 실행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제공모듈은,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발음학습용 저장음원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음원 재생 처리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타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발음학습용 스트리밍 음원을 스트리밍 제공받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KR1020150165802A 2015-11-25 2015-11-25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KR10188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02A KR101886618B1 (ko) 2015-11-25 2015-11-25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02A KR101886618B1 (ko) 2015-11-25 2015-11-25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74A true KR20170060974A (ko) 2017-06-02
KR101886618B1 KR101886618B1 (ko) 2018-09-06

Family

ID=5922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02A KR101886618B1 (ko) 2015-11-25 2015-11-25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6019A (zh) * 2017-12-29 2018-06-2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婴幼儿的辅助学习方法、机器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90826B1 (ko) 2019-03-18 2019-06-19 영화진흥위원회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857A (ja) * 1999-10-29 2001-05-11 Hitachi Ltd 携帯電話装置
KR200219766Y1 (ko) * 2000-11-20 2001-04-02 태기평 영어학습보조용 완구형 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6019A (zh) * 2017-12-29 2018-06-2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婴幼儿的辅助学习方法、机器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90826B1 (ko) 2019-03-18 2019-06-19 영화진흥위원회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618B1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8337B (zh) 具有自包含的语音反馈和语音命令的佩戴型头戴式耳机
CN106162413B (zh) 具体环境声音提醒模式的耳机装置
US9042946B2 (en) Underwater communication device
CN1679371B (zh) 传声器和通信接口系统
US20150319546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20160316304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20160302012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US20130343584A1 (en) Hearing assist device with external operational support
US20130339025A1 (en) Social network with enhanced audio communications for the Hearing impaired
WO2016167877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harmful conditions
KR101886618B1 (ko) 셀프 스피킹 피드백 장치
CN110198375A (zh) 录音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150266A1 (en) Binaural recording system and earpiece set
US20160110349A1 (en) Language Translating Device
CN111246331A (zh) 一种无线全景声混音耳机
CN109511047A (zh) 智能头戴式耳机及耳机系统
US10028058B2 (en) VSR surround sound tube headphone
CN111835923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移动式语音交互对话系统
JP4201211B1 (ja) 携帯電話
CN211319717U (zh) 用于语言交互的配件、移动终端及交互系统
Thibodeau Advanced practices: assistive technology in the age of smartphones and tablets
CN111775165A (zh) 一种实现移动式智能客服机器人的系统、机器人终端以及后端处理模块
JP7390691B2 (ja) 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器具
JP3155879U (ja) 携帯用音声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音声制御装置
JP3191008U (ja) 自声伝達ヘッドホン及び自声伝達ヘッド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