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835A - 한글 교재 - Google Patents

한글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835A
KR20170060835A KR1020150165536A KR20150165536A KR20170060835A KR 20170060835 A KR20170060835 A KR 20170060835A KR 1020150165536 A KR1020150165536 A KR 1020150165536A KR 20150165536 A KR20150165536 A KR 20150165536A KR 20170060835 A KR20170060835 A KR 2017006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ing unit
row
sou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숙 filed Critical 이명숙
Priority to KR102015016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835A/ko
Publication of KR2017006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글 교재는 어금니소리 학습부, 혓소리 학습부, 입술소리 학습부, 잇소리 학습부,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반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는 기역(ㄱ) 및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혓소리 학습부는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는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잇소리 학습부는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는 이응(ㅇ) 및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는 리을(ㄹ)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한글 교재{BOOK FOR LEARNING KOREAN}
본 발명은 한글 교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인간의 발음 원리에 따라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교재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과학적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문자로서 다른 언어 문자에 비해 문자를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발달심리학자인 삐아제는 유아가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게 되는 시기가 만 5세이후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한글을 일찍 깨우치길 원하는 부모들의 높은 열망으로 인하여 가정 내에서 과도한 조기학습과 무리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면서 유아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고 배우는 즐거움을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만 5세 이전의 유아들의 경우에 논리적으로 이해를 하는 방법으로 한글을 익히는 학습 방법은 유아들의 사고 발달에 적합하지 않으며 유아들에게 한글이 지겹고 어려운 것으로 인식시켜서 아이가 문자를 통한 공부나 책을 좋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존의 한글 학습 방법은 주로 한글의 자음의 기역(ㄱ), 니은(ㄴ), 디귿(ㄷ), 리을(ㄹ), 미음(ㅁ), 비읍(ㅂ), 시옷(ㅅ), 이응(ㅇ), 지읒(ㅈ), 치읓(ㅊ), 키읔(ㅋ), 티읕(ㅌ), 피읖(ㅍ), 및 히읗(ㅎ) 순서대로 익히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인간의 발음을 고려한 한글 자음의 순서에 따라 한글을 학습하는 한글 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어금니소리 학습부, 혓소리 학습부, 입술소리 학습부, 잇소리 학습부,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반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는 기역(ㄱ) 및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혓소리 학습부는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는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잇소리 학습부는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는 이응(ㅇ) 및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는 리을(ㄹ)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한글 교재는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 상기 혓소리 학습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 상기 잇소리 학습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순서대로 제공한다.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는 상기 기역(ㄱ)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한다. 상기 혓소리 학습부는 상기 니은(ㄴ)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디귿(ㄷ)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디귿(ㄷ)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한다.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는 상기 미음(ㅁ)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비읍(ㅂ)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비읍(ㅂ)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한다. 상기 잇소리 학습부는 상기 시옷(ㅅ)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한다.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는 상기 이응(ㅇ)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한다.
상기 한글 교재는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 상기 혓소리 학습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 상기 잇소리 학습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제1 표에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는 순서대로 연속하여 나열된 제1 행, 제2 행, 제3 행, 제4 행, 제5 행, 및 제6 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행은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행은 상기 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행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행은 상기 잇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5 행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행은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표는 순서대로 연속하여 나열된 제1 열, 제2 열, 및 제3 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열은 상기 니은(ㄴ), 상기 미음(ㅁ), 상기 시옷(ㅅ), 상기 이응(ㅇ), 및 상기 리을(ㄹ)에 대한 학습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기역(ㄱ), 상기 디귿(ㄷ), 상기 비읍(ㅂ), 및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부를 제공하며, 상기 제3 열은 상기 키읔(ㅋ), 상기 티읕(ㅌ), 상기 피읖(ㅍ), 상기 치읓(ㅊ), 및 상기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한글 교재는 여섯개의 행들 및 여섯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2 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첫 번째 행은 한글 모음들인 ㅏ, ㅓ, ㅗ, ㅜ, 및 ㅣ를 포함하고, 상기 여섯개의 열들 중 첫 번째 열은 한글 자음들인 ㄱ, ㄴ, ㅁ, ㅅ, 및 ㅇ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에서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두 번째 행 내지 여섯 번째 행 및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두 번째 열 내지 여섯 번째 열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한글 자음들 중 대응하는 한글 자음 및 상기 한글 모음들 중 대응하는 한글 모음에 의해 완성된 글자를 쓸 수 있다.
상기 한글 교재는 상기 제1 표 또는 상기 제2 표의 주변부에 상기 완성된 글자를 발음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글 교재는 제3 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표는 특정 사물을 지칭하는 한글 단어가 적혀 있는 제1 부분, 상기 특정 사물을 도시한 그림이 그러져 있는 제2 부분, 상기 특정 사물을 지칭하는 외국어를 쓸 수 있는 제3 부분, 및 상기 특정 사물에 대한 상기 한글 단어를 따라 쓸 수 있는 제4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한글 교재는 받침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학습부는 제1 받침 학습부, 제2 받침 학습부, 및 제3 받침 학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받침 학습부는 니은(ㄴ), 리을(ㄹ), 미음(ㅁ), 및 이응(ㅇ)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받침 학습부는 기역(ㄱ) 및 비읍(ㅂ)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3 받침 학습부는 디귿(ㄷ) 및 시옷(ㅅ)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자음을 인간의 발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어서, 한글을 배우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유아나 어린 학생들이 더 쉽게 한글을 공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부와 발음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표, 제2 표, 및 설명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학습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부(100)와 발음부(200, 3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학습부(100)와 발음부(200, 300)를 포함한다. 학습부(100)는 어금니소리 학습부(LS1), 혓소리 학습부(LS2), 입술소리 학습부(LS3), 잇소리 학습부(LS4), 목구멍소리 학습부(LS5), 및 반혓소리 학습부(LS6)를 포함한다.
어금니소리 학습부(LS1)는 기역(ㄱ) 및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기역(ㄱ) 및 키읔(ㅋ)은 발음할 때 어금니를 깨문 상태에서 발음하게 된다.
혓소리 학습부(LS2)는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은 발음할 때, 혀끝과 잇몸의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발음하게 된다.
입술소리 학습부(LS3)는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은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발음하게 된다.
잇소리 학습부(LS4)는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은 혀끝과 윗니 또는 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발음하게 된다.
목구멍소리 학습부(LS5)는 이응(ㅇ) 및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이응(ㅇ) 및 히읗(ㅎ)은 성대를 막거나 마찰시켜서 내는 소리로 발음하게 된다.
반혓소리 학습부(LS6)는 리을(ㄹ)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리을(ㄹ)은 혀끝과 입천장부분에서 내는 소리로 발음하게 된다.
학습부(100)에는 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어금니소리 학습부(LS1), 혓소리 학습부(LS2), 입술소리 학습부(LS3), 잇소리 학습부(LS4), 목구멍소리 학습부(LS5), 및 반혓소리 학습부(LS6)가 배치된다.
어금니소리 학습부(LS1)에서 기역(ㄱ)은 키읔(ㅋ)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혓소리 학습부(LS2)에서 니은(ㄴ)은 디귿(ㄷ)보다 왼쪽에 배치되고, 디귿(ㄷ)은 티읕(ㅌ)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입술소리 학습부(LS3)에서 미음(ㅁ)은 비읍(ㅂ)보다 왼쪽에 배치되고, 비읍(ㅂ)은 피읖(ㅍ)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잇소리 학습부(LS4)에서 시옷(ㅅ)은 지읒(ㅈ)보다 왼쪽에 배치되고, 지읒(ㅈ)은 치읓(ㅊ)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목구멍소리 학습부(LS5)에서 이응(ㅇ) 이 히읗(ㅎ)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대한민국의 통상적인 국민은 문서로 된 매체로부터 정보를 습득할 때, 위에서부터 아래로,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정보를 습득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및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한글 교재는 수요자에게 발음의 구분에 따라 한글 자음들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한글 자음 교육 교재들에 비해 수요자들이 더 자연스럽고 빠르게 한글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발음부(200, 300)는 제1 발음부(200)와 제2 발음부(300)를 포함한다. 발음부(200, 300)는 자음을 발음할 때 발음을 하는 방법을 그림으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의 수요자가 자음을 발음하는 방법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제1 발음부(200)는 해당 자음을 발음할 때, 혀를 쓰는 강도에 대해 도시 및 설명한다. 제1 발음부(200)에 대응하는 자음들 중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은 혀를 쓰는 강도가 작은 자음들에 해당한다. 제1 발음부(200)에 대응하는 자음들 중 기역(ㄱ), 디귿(ㄷ), 비읍(ㅂ), 및 지읒(ㅈ)은 혀를 쓰는 강도가 조금 쎈 자음들에 해당한다. 제1 발음부(200)에 대응하는 자음들 중 키읔(ㅋ), 티읕(ㅌ), 피읖(ㅍ), 치읓(ㅊ), 및 히읗(ㅎ)은 혀를 쓰는 강도가 쎈 자음들에 해당한다.
제2 발음부(300)은 해당 자음을 발음할 때, 소리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도시 및 설명한다. 제2 발음부(300)는 자음을 발음하는 방법에 따라 어금니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로 구분되고, 이에 대응하는 자음들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학습부(100)는 어금니소리 학습부(LS1), 혓소리 학습부(LS2), 입술소리 학습부(LS3), 잇소리 학습부(LS4), 목구멍소리 학습부(LS5), 및 반혓소리 학습부(LS6)로 구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110)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표(110)는 여섯개의 행들 및 세개의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110)의 첫번째 행은 어금니소리 학습부(LS1)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두번째 행은 혓소리 학습부(LS2)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세번째 행은 입술소리 학습부(LS3)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네번째 행은 잇소리 학습부(LS4)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다섯번째 행은 목구멍소리 학습부(LS5)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여섯번째 행은 반혓소리 학습부(LS6)를 포함한다.
제1 표(110)의 첫번째 열에는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이응(ㅇ), 및 리을(ㄹ)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 표(110)의 두번째 열에는 기역(ㄱ), 디귿(ㄷ), 비읍(ㅂ), 및 지읒(ㅈ)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 표(110)의 세번째 열에는 키읔(ㅋ), 티읕(ㅌ), 피읖(ㅍ), 치읓(ㅊ), 및 히읗(ㅎ)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표(110)는 한글 자음들을 발음에 따라 정리된 학습정보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의 수요자들은 상기 한글 자음들을 더 쉽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12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2 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120)는 여섯개의 행들 및 여섯개의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120)의 첫번째 행(121)은 한글 모음들인 ㅏ, ㅓ, ㅗ, ㅜ, 및 ㅣ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제2 표(120)의 첫번째 행(121)이 포함하는 한글 모음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한글 모음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표(120)의 첫번째 열(122)은 한글 자음들인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제2 표(120)의 첫번째 열(122)이 포함하는 한글 자음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금니소리 학습부(LS1), 혓소리 학습부(LS2), 입술소리 학습부(LS3), 잇소리 학습부(LS4), 및 목구멍소리 학습부(LS5) 각각에서 하나씩 선택된 한글 자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120)는 글자 작성부(123)를 포함한다. 글자 작성부(123)은 제2 표(120)의 두번째 행 내지 여섯번째 행 및 두번째 열 내지 여섯번째 열이 교차하는 부분이다. 글자 작성부(1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 수요자가 제2 표(120)의 첫번째 열(122)의 자음들 중 대응하는 자음과 제2 표(120)의 첫번째 행(121)은 한글 모음들 중 대응하는 모음에 의해 완성되는 글자를 작성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110), 제2 표(120), 및 설명부(PD)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1 표(110) 및 제2 표(120)를 한 페이지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부(PD)는 제1 표(110) 또는 제2 표(120) 주변에 배치되어 글자 작성부(123, 도 3 참조)에 작성되는 완성된 글자를 발음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표(120)의 첫번째 열(122, 도 3 참조)에는 발음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자음들이 배치되므로, 이들의 발음방법에 대해 설명허눈 설명부(PD)가 제1 표(110) 또는 제2 표(120) 주변에 배치되면 수요자들은 한글을 배우는데 더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표(13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3 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표는 제1 부분(131), 제2 부분(132), 제3 부분(133), 및 제4 부분(134)를 포함한다.
제1 부분(131)은 특정한 사물을 지칭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한다. 도 5에는 제1 부분(131)이 예시적으로 "가수"라는 한글 단어를 포함한다.
제2 부분(132)은 상기 특정한 사물을 도시한 그림을 포함한다. 도 5에는 제2 부분(132)이 예시적으로 "가수"에 대응하는 그림을 포함한다.
제3 부분(133)은 상기 특정한 사물을 지칭하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외국어를 쓸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제3 부분(133)을 통해, 한글을 공부하는 외국인들이나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외국어, 한글, 그림을 동시에 보면서 효율적으로 한글을 학습할 수 있다.
제4 부분(134)는 상기 특정한 사물에 대한 상기 한글 단어를 따라 쓸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수요자들은 제4 부분(134)에 상기 특정 사물에 대한 한글을 반복적으로 쓰면서 한글을 학습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학습부(410, 420, 430)를 도시한 것이다.
받침 학습부(410, 420, 430)는 제1 받침 학습부(410), 제2 받침 학습부(420), 및 제3 받침 학습부(430)으로 구분된다.
도 6a에는 제1 받침 학습부(4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받침 학습부(410)는 니은(ㄴ), 리을(ㄹ), 미음(ㅁ), 및 이응(ㅇ)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제1 받침 학습부(410)는 여섯개의 행들 및 다섯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1 받침 학습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11)은 니은(ㄴ), 리을(ㄹ), 미음(ㅁ), 및 이응(ㅇ)을 포함한다.
제1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12)은 어금니소리 학습부(LS1)에 대응되는 글자, 혓소리 학습부(LS2)에 대응되는 글자, 입술소리 학습부(LS3)에 대응되는 글자, 잇소리 학습부(LS4)에 대응되는 글자, 및 목구멍소리 학습부(LS5)에 대응되는 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는 예시적으로, 제1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12)에 기역(ㄱ)에 대응되는 가, 니은(ㄴ)에 대응되는 나, 미음(ㅁ)에 대응되는 마, 시옷(ㅅ)에 대응되는 사, 및 이응(ㅇ)에 대응되는 아가 순서대로 배치되었다.
제1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행부터 다섯번째 행 및 두번째 열부터 다섯번째 열이 교차되는 부분(413)에는 제1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12)의 글자들 중 대응하는 글자에 제1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11)의 니은(ㄴ), 리을(ㄹ), 미음(ㅁ), 및 이응(ㅇ) 중 대응하는 자음이 상기 대응하는 글자에 받침으로 결합하여 완성되는 글자가 배치된다.
도 6b에는 제2 받침 학습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받침 학습부(420)는 기역(ㄱ) 및 비읍(ㅂ)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제2 받침 학습부(420)는 여섯개의 행들 및 세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2 받침 학습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21)은 기역(ㄱ) 및 비읍(ㅂ)을 포함한다.
제2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22)은 어금니소리 학습부(LS1)에 대응되는 글자, 혓소리 학습부(LS2)에 대응되는 글자, 입술소리 학습부(LS3)에 대응되는 글자, 잇소리 학습부(LS4)에 대응되는 글자, 및 목구멍소리 학습부(LS5)에 대응되는 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는 예시적으로, 제2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22)에 기역(ㄱ)에 대응되는 가, 니은(ㄴ)에 대응되는 나, 미음(ㅁ)에 대응되는 마, 시옷(ㅅ)에 대응되는 사, 및 이응(ㅇ)에 대응되는 아가 순서대로 배치되었다.
제2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행부터 다섯번째 행 및 두번째 열부터 다섯번째 열이 교차되는 부분(423)에는 제2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22)의 글자들 중 대응하는 글자에 제2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21)의 기역(ㄱ) 및 비읍(ㅂ) 중 대응하는 자음이 상기 대응하는 글자에 받침으로 결합하여 완성되는 글자가 배치된다.
도 6c에는 제3 받침 학습부(430)가 도시되어 있다. 제3 받침 학습부(430)는 디귿(ㄷ) 및 시옷(ㅅ)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제3 받침 학습부(430)는 여섯개의 행들 및 세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3 받침 학습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31)은 디귿(ㄷ) 및 시옷(ㅅ)을 포함한다.
제3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32)은 어금니소리 학습부(LS1)에 대응되는 글자, 혓소리 학습부(LS2)에 대응되는 글자, 입술소리 학습부(LS3)에 대응되는 글자, 잇소리 학습부(LS4)에 대응되는 글자, 및 목구멍소리 학습부(LS5)에 대응되는 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c에는 예시적으로, 제3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32)에 기역(ㄱ)에 대응되는 가, 니은(ㄴ)에 대응되는 나, 미음(ㅁ)에 대응되는 마, 시옷(ㅅ)에 대응되는 사, 및 이응(ㅇ)에 대응되는 아가 순서대로 배치되었다.
제3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행부터 다섯번째 행 및 두번째 열부터 다섯번째 열이 교차되는 부분(433)에는 제3 받침 학습표의 첫번째 열(432)의 글자들 중 대응하는 글자에 제3 받침 학습표의 여섯번째 행(431)의 디귿(ㄷ) 및 시옷(ㅅ) 중 대응하는 자음이 상기 대응하는 글자에 받침으로 결합하여 완성되는 글자가 배치된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학습부 200: 제1 발음부
300: 제2 발음부 LS1: 제1 학습부
LS2: 제2 학습부 LS3: 제3 학습부
LS4: 제4 학습부 LS5: 제5 학습부
LS6: 제6 학습부 110: 제1 표
120: 제2 표 130: 제3 표
PD: 설명부 410: 제1 받침 학습부
420: 제2 받침 학습부 430: 제3 받침 학습부

Claims (18)

  1. 기역(ㄱ) 및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어금니소리 학습부;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혓소리 학습부;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입술소리 학습부;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잇소리 학습부;
    이응(ㅇ) 및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리을(ㄹ)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반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 상기 혓소리 학습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 상기 잇소리 학습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순서대로 제공하는 한글 교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는 상기 기역(ㄱ)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키읔(ㅋ)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는 한글 교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혓소리 학습부는 상기 니은(ㄴ)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디귿(ㄷ)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디귿(ㄷ)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티읕(ㅌ)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는 한글 교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는 상기 미음(ㅁ)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비읍(ㅂ)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비읍(ㅂ)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피읖(ㅍ)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는 한글 교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잇소리 학습부는 상기 시옷(ㅅ)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고,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치읓(ㅊ)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는 한글 교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는 상기 이응(ㅇ)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보다 먼저 제공하는 한글 교재.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 상기 혓소리 학습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 상기 잇소리 학습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 및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제1 표에 정리하여 제공하는 한글 교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는 순서대로 연속하여 나열된 제1 행, 제2 행, 제3 행, 제4 행, 제5 행, 및 제6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행은 상기 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행은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행은 상기 잇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5 행은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행은 상기 반혓소리 학습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는 순서대로 연속하여 나열된 제1 열, 제2 열, 및 제3 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은 상기 니은(ㄴ), 상기 미음(ㅁ), 상기 시옷(ㅅ), 상기 이응(ㅇ), 및 상기 리을(ㄹ)에 대한 학습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열은 상기 기역(ㄱ), 상기 디귿(ㄷ), 상기 비읍(ㅂ), 및 상기 지읒(ㅈ)에 대한 학습부를 제공하며, 상기 제3 열은 상기 키읔(ㅋ), 상기 티읕(ㅌ), 상기 피읖(ㅍ), 상기 치읓(ㅊ), 및 상기 히읗(ㅎ)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한글 교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여섯개의 행들 및 여섯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2 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첫 번째 행은 한글 모음들인 ㅏ, ㅓ, ㅗ, ㅜ, 및 ㅣ를 포함하고, 상기 여섯개의 열들 중 첫 번째 열은 한글 자음들인 ㄱ, ㄴ, ㅁ, ㅅ, 및 ㅇ을 포함하는 한글 교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에서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두 번째 행 내지 여섯 번째 행 및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두 번째 열 내지 여섯 번째 열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한글 자음들 중 대응하는 한글 자음 및 상기 한글 모음들 중 대응하는 한글 모음에 의해 완성된 글자를 쓸 수 있는 한글 교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 또는 상기 제2 표의 주변부에 상기 완성된 글자를 발음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14. 제11 항에 있어서,
    특정 사물을 지칭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있는 제1 부분;
    상기 특정 사물을 도시한 그림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상기 특정 사물을 지칭하는 외국어를 쓸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특정 사물에 대한 상기 한글 단어를 따라 쓸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3 표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15. 제2 항에 있어서,
    니은(ㄴ), 리을(ㄹ), 미음(ㅁ), 및 이응(ㅇ)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제1 받침 학습부;
    기역(ㄱ) 및 비읍(ㅂ)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제2 받침 학습부; 및
    디귿(ㄷ) 및 시옷(ㅅ)이 각각 한글 받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제3 받침 학습부를 포함하는 받침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 학습부는 여섯개의 행들 및 다섯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1 받침 학습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 학습표의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여섯번째 행에는 상기 니은(ㄴ), 상기 리을(ㄹ), 상기 미음(ㅁ), 및 상기 이응(ㅇ)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받침 학습표의 상기 다섯개의 열들 중 첫번째 열에는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에 대응되는 글자, 상기 혓소리 학습부에 대응되는 글자,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에 대응되는 글자, 상기 잇소리 학습부에 대응되는 글자, 및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에 대응되는 글자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한글 교재.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받침 학습부는 여섯개의 행들 및 세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2 받침 학습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받침 학습표의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여섯번째 행에는 상기 기역(ㄱ) 및 상기 비읍(ㅂ)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받침 학습표의 상기 세개의 열들 중 첫번째 열에는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혓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잇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및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한글 교재.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받침 학습부는 여섯개의 행들 및 세개의 열들을 포함하는 제3 받침 학습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받침 학습표의 상기 여섯개의 행들 중 여섯번째 행에는 상기 디귿(ㄷ) 및 상기 시옷(ㅅ)이 배치되고,
    상기 제3 받침 학습표의 상기 세개의 열들 중 첫번째 열에는 상기 어금니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혓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입술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상기 잇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 및 상기 목구멍소리 학습부에 포함되는 글자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한글 교재.
KR1020150165536A 2015-11-25 2015-11-25 한글 교재 KR20170060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36A KR20170060835A (ko) 2015-11-25 2015-11-25 한글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36A KR20170060835A (ko) 2015-11-25 2015-11-25 한글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835A true KR20170060835A (ko) 2017-06-02

Family

ID=5922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536A KR20170060835A (ko) 2015-11-25 2015-11-25 한글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08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38U (ko) * 2017-07-27 2019-02-11 김응만 한글 음소 학습용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38U (ko) * 2017-07-27 2019-02-11 김응만 한글 음소 학습용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ullah et al. MyLexics: an assistive courseware for Dyslexic children to learn basic Malay language
KR20160109377A (ko) 한글 교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장치
KR20170060835A (ko) 한글 교재
JP2009525492A (ja) 英語音、および他のヨーロッパ言語音の表現方法と発音テクニックのシステム
Broom Second-Language Learning through Imaginative Theory.
KR200471528Y1 (ko) 영어 학습 교재
CN211264526U (zh) 一种新型英语训练装置
JP6487095B1 (ja) 中国語教材
Kissova The role and goals in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KR20010044645A (ko) 시간과 공간의 순차원리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그학습지 및 기록매체
Barnhart et al. Let's read: a linguistic approach
Lvovich et al. In Search of Wholeness: Transcending Language (s) and Art Forms: A Conversation between Natasha Lvovich and Olga Mezhibovskaya
Berninger et al. The role of the hand in written idea expression 12
Dooner The magic and mystery of learning to read: A practical approach to implementing phonics in the classroom
Zhou et al.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YOUNG CHINESE CHILDREN.
KR200194261Y1 (ko) 학습효율을 극대화한 링크기억 학습교구재
Chantov On the Structure of Some Methods of Early Foreign Language Learning
Wise RESOURCES FOR LANGUAGE SKILLS
Link et al. Chinese Primer, Volumes 1-3 (Pinyin): Revised Edition
Isa et al. The Velar-Lips in jafʕal Form of Arabic Present Tense
Thomson Supporting Emergent Learners in Their Beginning Steps Toward Literacy
Higurashi Reducing Accent in English-What will Native Japanese Speakers Benefit from Most?
Chan The stress stretch for prosodic improvement in English words and phrases
KR20220002275U (ko) 한글문자 플러쓰기에 맞는 자모음명칭의 고안
Sommervelle Learning to speak: Rediscovering natural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