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120A -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 Google Patents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120A
KR20170060120A KR1020177011128A KR20177011128A KR20170060120A KR 20170060120 A KR20170060120 A KR 20170060120A KR 1020177011128 A KR1020177011128 A KR 1020177011128A KR 20177011128 A KR20177011128 A KR 20177011128A KR 20170060120 A KR20170060120 A KR 2017006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ilter
water
por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시 뤼
셩 슈
시우웬 펑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급수여과기를 설치한 세탁기로서 해당 세탁기에 급수구(2), 급수수로(3)과 여과기 설치구(4)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여과기 설치구(4)는 급수수로 (3)와 연결되어 있고 급수 여과기(5)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4)에 의해 급수수(3) 속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해당 세탁기에는 급수밸브(6)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밸브(6)는 밸브 본체(61),급수연결부(62)와 배출 연결부(63)를 포함한다.급수연결부(62)는 상단에 설치된 급수구(2), 급수수로(3)와 급수연결부(62)의 옆측에 설치된 여과기 설치구(4)를 포함한다. 또는 해당 세탁기에 급수밸브(6)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구(2)와 급수밸브(6) 사이가 해당 급수수로(3)이며 급수 여과기(5)는 급수밸브(6)와 급수구(2) 사이의 급수수로(3) 속에 설치되어 있다.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는 분리가능한 급수여과기(5)가 설치되어 있는바 해당 급수여과기(5)는 급수구(2)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과기 설치구(4)에 의해 급수수로(3) 속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여과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분리 및 조립과정이 간단하며 세척이 편리하다.

Description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INCOMING-WATER FILTER}
본 발명은 세탁기분야에 속한 것으로 특히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바닥과 측면을 이루고 있는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수조가 여러 개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위에서 서술한 수조의 내부에는 빨래를 투입한 다음 세탁 및 탈수작업을 완성하는 세탁조가 설치되어 있고 세탁조의 내부에는 회전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단 꼭대기의 뒷면에는 세제통을 삽입하거나 꺼낼수 있는 세제통 거치대, 세제통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는 급수파이프 및 급수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는 급수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밸브의 급수연결부의 내부에는 여과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단 꼭대기의 중심부에는 사용자가 빨래를 세탁조 내부로 투입하거나 또는 세탁조에서 꺼낼수 있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고 상단 꼭대기의 뒷면 윗부분에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의 하단에는 세탁기의 각종 작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 등 제어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세탁기는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빨래를 세탁조에 투입하며 조작부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세탁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즉 급수밸브가 열림으로써 수돗물이 세탁조 내부의 설정된 수위까지 유입된다.
그 다음 모터가 구동되는바 모터의 구동력이 회전날개 또는 세탁조로 전달됨으로써 세탁작업을 실행한다. 세탁작업이 완성된 후 즉 여러 번의 헹굼과정을 실시하고 헹굼과정을 완성한 다음 세탁조가 고속회전함으로써 탈수작업을 실시한다. 이로써 일련의 세탁과정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많은 곳, 예를 들면 농촌 또는 일부 외국국가의 수돗물의 수질이 나빠 세탁기를 일정한 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여과망이 물속의 불순물들에 의해 막히게 됨으로써 급수가 느리거나 급수가 되지 않는 현상을 유발하여 세탁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수 없게 된다. 급수밸브의 구조적인 제한으로 인해 기존의 급수파이프, 급수밸브는 거의 모두 표준입구로 설계되어 있으며 급수구 쪽의 여과망은 공간적인 제한에 의해 면적을 확대할 수 없어 여과되는 물의 양의 적으며 쉽게 막히고 또한 급수구가 작아 분리, 세척이 어렵다.
기존의 급수밸브1'의 급수구2'속에 설치된 여과망3'은 대부분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도면1 참조요망)를 이루고 있다. 부분적으로 개선하긴 했는데, 예를 들면 급수밸브의 여과망3'에 손잡이4'(도면2 참조)를 하나 추가하였다. 대롱모양의 손잡이 및 거치대는 서출성형된 것으로 금속재질의 여과망도 그속에 추가함으로써 사출성형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여과망을 분리, 청결할수는 있지만 이물질이 많아 빈번하게 분리, 세척해야 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출원번호가 03130294.7인 중국특허는 세탁기 급수밸브의 여과기 구조를 공개하였다. 해당 구조는 세탁기 급수수로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포함하는데, 급수밸브의 꼭대기에 여과기를 설치하였다. 해당 여과구조는 손잡이, 여과망 및 주위를 감싸고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여과기의 안쪽에는 그물모양의 2번 여과기가 설치되어 있다. 2차여과구조를 추가하였지만 여과망을 분리할 경우 여전히 급수파이프를 급수밸브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그러나 급수밸브와 급수파이프 사이에는 완전한 밀폐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설치 및 분리과정이 복잡하면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를 제공하여 기존기술의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해당 세탁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분리과정이 간편하며 여과면적이 크기때문에 쉽게 막히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서술한 기술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본적인 구상을 사용하였다.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로서, 상기 세탁기는 급수구 및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기의 케이스에 여과기 설치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급수수로와 연결되며, 급수여과기가 상기 여과기 설치구를 통해 급수수로 속에 분리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수로에 여과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박스는 여과기 설치구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여과기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에 의해 여과박스 속에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밸브 본체, 급수연결부 및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 본체에는 여과기 설치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연결부의 연결입구는 급수구이고,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의 연결입구는 여과기 설치구이며, 상기 급수여과기는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에 의해 밸브 본체 속에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에 해당 급수수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수로의 양쪽 끝은 각각 상기 급수연결부와 상기 배출연결부이며, 상기 급수수로에는 밸브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는 상기 급수연결부와 밸브마개 사이의 급수수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밸브 본체, 급수연결부 및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연결부는 상단에 설치된 급수구 및 급수수로와 급수연결부 옆측에 설치된 여과기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여과기는 여과유닛과 연결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연결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품은 여과기 설치구와 분리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여과유닛은 여과기 설치구를 통해 급수수로 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품은 "
Figure pct00001
"형 모자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내벽에 암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여과기 설치구에 암나사와 맞물리는 수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대롱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어 한쪽 끝은 상기 연결부품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품과 연결되고, 주벽에 여과망이 설치되거나 또는 주벽과 다른 한쪽 끝에 모두 여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여과기와 상기 급수수로는 교차설치되거나, 상기 급수여과기가 상기 급수수로의 방향이 변화된 수로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수로는 "L"자모양 또는 차례로 연결된 최소 두개의 "L"자모양이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상기 급수수로의 구부러진 쪽과 연결되며, 상기 급수여과기는 급수가 구부러진 곳을 따라 방향이 변화된 물살 방향으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여과기 설치구와 상기 급수구는 교차되거나 평행의 위치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구는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급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뒷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급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여과기 설치구가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해당 여과기 설치구와 급수구가 세탁기에서의 위치관계는 위에서 서술한 급수여과기가 급수수로 속에서의 구조와 연관된다.
위에서 서술한 기술방법을 응용한 본 발명은 기존기술과 비교할 경우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들이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한 세탁기에는 분리 및 청결이 간편한 급수여과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급수여과기는 급수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과설치구를 거쳐 급수수로 속에 설치되어 있어 여과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고 분리와 청결이 간편하다. 급수구의 급수단면의 제한을 받지 않 기때문에 여과면적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쉽게 막히지 않는다. 각각 다른 방향의 급수물살에 대응하는 급수수로, 여과기 설치구와 급수구의 사이는 각각 다른 위치관계에 따라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세탁기 여과설치구의 청결과정을 간편화한다. 급수여과기는 다중여과로 설치할수 있으며 부동한 지역의 다른 수질에 근거하여 각자 다른 등급의 급수여과기를 설치할수 있기에 응용범위가 넓다. 여과기 설치구를 급수밸브에 집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하다. 여과설치구를 단독설치하였기에 급수구 내부가 막히지 않으며 급수파이프를 빈번하게 분리할 필요가 없기에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누수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1은 기존세탁기의 급수밸브 여과망의 설치구조 설명도이다.
도2는 기존세탁기의 또다른 급수밸브 여과망의 설치구조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세탁기 구조 설명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세탁기 급수밸브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세탁기 급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세탁기 급수밸브의 급수여과 설명도이다.
도7-9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각자 다른 형태의 급수여과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며의 세탁기의 급수여과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급수여과기의 단면도이다.
도12-도15는 각각 본 발명의 세탁기의 또다른 구조 설명도이다.
아래에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내지 도15에서 볼 수 있듯, 세탁기에는 급수구(2), 급수구(2)와 연결된 급수수로(3)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구(2)는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급수파이프의 다른 한쪽끝은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있다(도면 미도시). 수돗물은 급수파이프, 급수구, 급수수로를 거쳐 세탁조 내부로 유입되고 급수수로는 세탁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구로부터 유입되는 급수가 세탁조로 유입되는 수로이다. 해당 급수수로는 세탁기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거나 또는 급수밸브 속 물살의 통로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 본체(1)에는 또 여과기 설치구(4)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여과기 설치구(4)는 급수수로(3)와 연결되여 있고 급수여과기(5)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4)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급수수로(3)속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세탁기 급수속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실시예1
도4 내지 도6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세탁기 급수밸브6는 밸브 본체(61), 급수연결부(62)와 배출연결부(63)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61)에는 여과기 설치연결부(64)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연결부(62)의 연결입구는 세탁기의 급수구(2)이고 여과기 설치연결부(64)의 연결입구는 세탁기의 여과기 설치구(4)이다. 급수여과기(5)는 해당 여과기 설치연결부(64)에 의해 밸브 본체(61) 속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밸브 본체(61)에 해당 급수수로(3)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수로(3)의 양쪽 끝은 각각 급수연결부(62)와 배출연결부(63)이다. 급수수로에는 밸브마개(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부품으로 작동을 제어한다(해당 구조는 기존세탁기의 전자밸브구조로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다). 여과기 설치연결부(64)는 급수연결부(62) 밸브마개 사이의 급수수로와 연결되어 있다. 기존 세탁기의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고 각자 다른 세탁과정에서 서로 다른 물을 필요로 하는데, 예를 들면, 분사급수, 주요급수, 맑은 급수 등이 있으며 각자 다른 배출구를 필요로 한다. 하기에 급수밸브는 한 입구에 여러 출구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 즉 여러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몇개의 배출구가 있든 급수연결부에서 가장 가까운 배출연결부와 해당 배수를 제어하는 밸브마개가 있기 마련이다. 즉 본 발명의 급수여과기(5)는 급수연결부(62)와 가장 가까운 밸브마개 사이의 급수수로에 설치되어 있어(도5와 도6 참조) 이물질이 밸브마개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을 방지한다.
실시예2
도7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는 또다른 급수수로의 여과방식으로서 세탁기 급수밸브의 급수연결부(62)를 개선하였다.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급수여과기를 밸브 본체 속의 급수수로 속에 설치했다면 본 실시예는 급수밸브의 급수연결부(62) 속의 급수수로(3) 속에 설치한다. 급수연결부(62)는 끝부분에 설치된 급수구(2), 급수수로(3)와 급수연결부(62)의 옆측에 설치된 여과기 설치구(4)를 포함하며 급수여과기(5)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4)에 의해 급수수로(3) 속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3
도8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는 또 다른 급수수로의 여과방식이다. 세탁기의 급수수로(3)에는 여과박스(31)가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급수수로와 여과박스는 제어판 또는 세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판 또는 본체에는 외부 급수파이프와 연결된 급수구(2)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구(2)는 급수수로(3)에 의해 여과박스(31)와 연결되어 있다. 여과박스(31)는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있고, 여과박스(31)는 여과기 설치구(4)와 연결되어 있으며, 급수여과기(5) 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4)에 의해 여과박스(31) 속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4
도7내지 도9에서 볼 수 있듯, 해당 급수여과기(5)와 급수수로(3)는 교차설치(도8 참조)되어 있거나 또는 급수여과기(5)가 급수수로(3)의 방향의 변화된 수로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도7과 도9 참조).
구체적으로 해당 급수수로(3)는 "L"자모양(도7 참조) 또는 차례로 연결된 최소 두개의 "L"자모양(도9 참조)을 이루고 있다. 여과기 설치구(4)는 급수수로(3)의 구부러진 쪽과 연결되어 있으며 급수여과기(5)는 급수가 구부러진 쪽에서 방향이 변화된 물살의 방향에 삽입설치되어 있다. 여과기 설치구(4)와 급수구(2)는 교차되거나 또는 평행되는 위치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차례로 연결된 "L"자모양의 급수수로 중에서 급수여과기(5)와 가장 가까운 급수구의 급수방향변경위치에서 방향이 변경된 물살의 방향에 삽입설치할 경우 여과기 설치구(4)와 급수구(2)는 교차설치되는 위치관계를 형성한다. 도3과 도12, 및 도14에서 볼 수 있듯, 급수구(2)와 여과기 설치구(4)는 세탁기의 두 인접한 본체 측면에 설치되었다. 도9에서 볼 수 있듯, 급수여과기(5)가 2번 물살변경위치에서 물살의 방향이 변경된 방향에 삽입설치될 경우 여과기 설치구(4)와 급수구(2)는 평행설치되는 위치관계를 형성하되 세탁기의 같은 측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도15 참조).
실시예5
도10과 도11에서 볼 수 있듯,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급수여과기(5)는 여과유닛(51)과 연결부품(52)을 포함하며 여과유닛(51)은 연결부품(52)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품(52)은 여과기 설치구(4)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과유닛(51)은 여과기 설치구(4)를 통해 급수수로3 속에 삽입되어 있다.
더 나아가, 해당 연결부품(52)은 "
Figure pct00002
"형 모자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내벽에 암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기 설치구에는 암나사와 맞물리는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유닛(51)은 대롱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어 한쪽 끝은 연결부품(52)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부품(52)과 연결되어 있고 주벽에 여과망(511)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주벽과 다른 한쪽 끝에 모두 여과망이 설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여과망을 간편하게 세척이 위하여 여과유닛(51)과 연결부품(52)을 모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도11에서 볼 수 있듯, 여과유닛(51)과 대응되는 연결부품(52)의 한쪽 끝에는 패킹(53)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여과기 설치구를 밀폐시킨다. 더 나아가, 다른 한쪽 끝에도 패킹(53)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여과유닛과 급수수로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에서 급수가 급수여과기를 통과함으로써 두번 여과되기에 여과효과가 더욱 탁월하다.
실시예6
도3, 도12 내지 도15에서 볼 수 있듯,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탁기 본체(1)는 와류식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를 포함하며 해당 급수구(2)는 세탁기 본체(1)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고 여과기 설치구(4)는 세탁기 본체(1)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는 급수구(2)가 세탁기 본체(1)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고 여과기 설치구(4)가 세탁기 본체(1)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는 급수구(2)가 세탁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여과기 설치구(4)가 세탁기 본체(1)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여과기 설치구와 급수구가 세탁기에서의 위치관계는 위에서 서술한 급수여과기가급수수로 속에 설치된 구조와 연관되어 있는바 실시예4를 참조할수 있다.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는 한층 더 조합되거나 교체될수 있으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최적화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일뿐 본 발명의 구상과 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웨에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방법을 여러가지로 변화 또는 개선할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속한다.

Claims (10)

  1.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로서,
    상기 세탁기는 급수구 및 급수구와 연결된 급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기의 케이스에 여과기 설치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급수수로와 연결되며,
    급수여과기가 상기 여과기 설치구를 통해 급수수로 속에 분리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로에 여과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박스는 여과기 설치구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여과기는 해당 여과기 설치구에 의해 여과박스 속에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에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밸브 본체, 급수연결부 및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 본체에는 여과기 설치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연결부의 연결입구는 급수구이고,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의 연결입구는 여과기 설치구이며,
    상기 급수여과기는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에 의해 밸브 본체 속에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에 해당 급수수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수로의 양쪽 끝은 각각 상기 급수연결부와 배출연결부이며,
    상기 급수수로에는 밸브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연결부는 상기 급수연결부와 밸브마개 사이의 급수수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에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밸브 본체, 급수연결부 및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연결부는 상단에 설치된 급수구 및 급수수로와 급수연결부 옆측에 설치된 여과기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여과기는 여과유닛과 연결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연결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품은 여과기 설치구와 분리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여과유닛은 여과기 설치구를 통해 급수수로 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은 "
    Figure pct00003
    "형 모자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내벽에 암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여과기 설치구에 암나사와 맞물리는 수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대롱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어 한쪽 끝은 상기 연결부품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품과 연결되고, 주벽에 여과망이 설치되거나 또는 주벽과 다른 한쪽 끝에 모두 여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여과기와 상기 급수수로는 교차설치되거나, 상기 급수여과기가 상기 급수수로의 방향이 변화된 수로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로는 "L"자모양 또는 차례로 연결된 최소 두개의 "L"자모양이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상기 급수수로의 구부러진 쪽과 연결되며,
    상기 급수여과기는 급수가 구부러진 곳을 따라 방향이 변화된 물살 방향으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여과기 설치구와 상기 급수구는 교차되거나 평행의 위치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급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뒷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급수구가 상기 세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여과기 설치구가 세탁기 본체의 꼭대기 또는 뒷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KR1020177011128A 2014-09-29 2014-11-18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KR20170060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15537.1 2014-09-29
CN201410515537.1A CN105525493A (zh) 2014-09-29 2014-09-29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PCT/CN2014/091402 WO2016049971A1 (zh) 2014-09-29 2014-11-18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120A true KR20170060120A (ko) 2017-05-31

Family

ID=5562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128A KR20170060120A (ko) 2014-09-29 2014-11-18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18561A1 (ko)
EP (1) EP3202969A4 (ko)
JP (1) JP2017528242A (ko)
KR (1) KR20170060120A (ko)
CN (1) CN105525493A (ko)
WO (1) WO2016049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5970A (zh) * 2017-01-16 2018-07-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净水设备的洗衣机
CN107606303A (zh) * 2017-09-11 2018-01-19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进水阀的过滤器快速拆洗机构
CN108837574A (zh) * 2018-07-04 2018-11-20 德阳市迪信佳阀门制造有限公司 新型篮式过滤器
CN109023853A (zh) * 2018-09-06 2018-12-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集成有加热功能的进水阀及洗衣机
CN111621962A (zh) * 2019-02-28 2020-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CN111733574B (zh) * 2019-03-19 2022-06-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进水组件及壁挂式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496A (ja) * 1985-02-06 1986-08-14 株式会社東芝 水の濾過装置
JP3114711B2 (ja) * 1997-07-02 2000-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H11300090A (ja) * 1998-04-24 1999-11-02 Hitachi Ltd 電気洗濯機及び電気洗濯機の目詰まり防止方法
KR100310505B1 (ko) * 1999-03-27 2001-10-17 윤종용 세탁기의 급수여과장치
JP3727279B2 (ja) * 2002-03-28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N1566502A (zh) * 2003-06-30 2005-01-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给水阀的过滤器结构
KR100732412B1 (ko) * 2004-09-17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척기
KR20060036751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CN2775090Y (zh) * 2004-12-31 2006-04-26 海尔集团公司 具有可拆卸过滤器的内循环洗衣机
CN200955102Y (zh) * 2006-07-11 2007-10-03 宁波辰佳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
DE102010000763A1 (de) * 2010-01-11 2011-07-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Wasserführendes Hausgerät mit einem Filter
CN102154804B (zh) * 2011-01-26 2016-08-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滤网的排水组件及装有排水组件的洗衣机
CN202181455U (zh) * 2011-07-16 2012-04-04 海尔集团公司 洗衣机进水装置及洗衣机
JP6076614B2 (ja) * 2012-04-27 2017-02-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CN203291616U (zh) * 2013-05-27 2013-11-20 浙江高博卫浴有限公司 一种阀门过滤器
CN203559279U (zh) * 2013-07-19 2014-04-23 海尔集团公司 一种集成排水组件及洗衣机
CN204199056U (zh) * 2014-09-29 2015-03-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8561A1 (en) 2017-08-03
CN105525493A (zh) 2016-04-27
WO2016049971A1 (zh) 2016-04-07
EP3202969A4 (en) 2017-08-23
EP3202969A1 (en) 2017-08-09
JP2017528242A (ja)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0120A (ko) 급수여과기가 설치된 세탁기
CN204293942U (zh) 一种自动反冲洗过滤结构
CN211435315U (zh) 便于反冲清洗的过滤装置
CN105274770A (zh) 洗衣机门封、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4906855A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CN106319879A (zh) 一种线屑过滤器及洗衣机
CN104005204A (zh) 滚筒洗衣机内桶清洁装置
CN202638083U (zh) 新型过滤罐
CN204039769U (zh) 一种具有硬水软化功能的洗涤剂盒及洗衣机
CN204199056U (zh)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CN205893694U (zh) 衣物处理机
CN202193990U (zh) 进水盒
CN201711018U (zh) 反冲洗过滤器以及过滤系统
CN204849390U (zh)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及洗衣机
CN105624990B (zh) 一种过滤装置及洗衣机
CN211049265U (zh) 一种排水结构及清洗机
CN208973580U (zh) 清洗机
CN203898241U (zh) 洗碗机及其水杯组件
CN102410385A (zh) 自动排污控制阀
CN201719892U (zh) 一种具有反清洗功能的过滤器
CN107320052B (zh) 洗碗机用进排水一体管件
CN203307625U (zh) 一种洗衣粉速溶的单进水装置
CN207941257U (zh) 一种工业滤水器
CN205324237U (zh) 一种槽式食品冲洗机
KR101767015B1 (ko) 수압 실린더 회전 모터, 이를 적용한 세척장치 및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