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762A -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762A
KR20170059762A KR1020150164140A KR20150164140A KR20170059762A KR 20170059762 A KR20170059762 A KR 20170059762A KR 1020150164140 A KR1020150164140 A KR 1020150164140A KR 20150164140 A KR20150164140 A KR 20150164140A KR 20170059762 A KR20170059762 A KR 2017005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measurement object
measured
bod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리지식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리지식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리지식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16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762A/ko
Publication of KR2017005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06F1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통신부, 무선으로 길이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측정된 길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BODY INFORM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편리하게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체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웰빙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면서, 건강과 관련된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 체지방계, 신장계 등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계는 발판에 높이를 잴 수 있는 측정 눈금이 표시된 수직 기둥이 있고 수평 바가 부착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머리 위 위치 값을 얻어 이를 신장 값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신장계에 의해서는 신장 측정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측정된 신체 정보를 기록하여 건강관리에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측정한 신장 데이터를 컴퓨터나 이동 단말기 등에 직접 입력하여 관리하는 경우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경우, 정확성, 효율성, 편리성 등이 부족하게 되고, 입력한 데이터의 관리 및 통계적 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 무선으로 길이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측정된 길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신체 정보 측정 장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 측정 장치는 복수의 측정 대상의 이미지 및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측정 대상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측정 대상과 상기 저장된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측정 대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 측정 장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측정 대상에 대한 신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측정 대상과 관련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는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성장 곡선 또는 성장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되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신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측정된 신장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를 서버로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신장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규칙적으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신된 신장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측정 대상과 관련된 외부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측정 대상에 대한 성장 곡선 또는 성장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신장과 관련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다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신장과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에 따라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외부 기기에서 실행되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신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캐릭터를 적용하여 측정된 신장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된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신장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서버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신장 정보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적용하여 측정된 신장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체 정보 측정 시스템(300)은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은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서버(200)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면,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시스템(300)에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신장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신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신장 정보의 측정과 관련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송된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할 수 있다. 서버(2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분석된 결과를 외부 기기(400-1, 40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와 관련하여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외부 기기(400-1, 400-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두 개의 외부 기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복수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400-1, 400-2)에서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200)는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기기(40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또는 서버(2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외부 기기(400-1, 400-2)에서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접속한 외부 기기의 사용자와 관련된 신장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400-1, 400-2)에서 실행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전송받은 신장 정보 및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300)에 포함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및 서버(200)와 이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상단이 휘어진 하나의 바디(bod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휘어진 상단의 일 면에는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상단의 휘어진 상태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단은 상기 센싱부(120)를 통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다른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휘어지지 않은 부분에는 도 2의 (a)와 같이, 입력부(140) 및 출력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140)는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측정된 신장 정보 또는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5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입력부(140) 및 출력부(150)의 형상이나 위치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40) 및 출력부(150)는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이나 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도시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후면에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60)는 특정 위치에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160)는 특정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지지대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지지대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다른 일 예에 따라 접이식으로 구현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상부 바디(101)와 하부 바디(102)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바디(101, 102)는 도 3의 (b)와 같이, 연결부(17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도 3의 (a)와 같이 접힌 상태(휴대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펼쳐진 상태(측정 모드)에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 등을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상기 휴대 모드와 상기 측정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두 개의 바디(101, 102)를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휴대 모드에서 측정 모드로 변경되면 전원이 온(on)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다른 일 예에 따라 입력부(14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센싱부(120)는 상부 바디(101)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40) 및 출력부(150)는 하부 바디(102)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바디(101)와 하부 바디(102)에 구비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가 연결부(170)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각 구성요소 사이의 데이터 또는 전력 등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방식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싱부(120), 통신부(130), 입력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80)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거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센싱부(120)는 측정 대상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40) 또는 출력부(150)에서 터치 패드가 이용되는 경우, 센싱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내 정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센싱부(120)에 초음파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 등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측정 대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시간을 이용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센싱부(120)에 레이저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레이저 센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 등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레이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이저 센서에서 발생된 방사파가 측정 대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거나, 방사파와 반사파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20)에 구비되는 카메라 등의 광 센서를 통하여 측정 대상의 이미지가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된 이미지에 포함된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메모리(180)에 저장된 정보와 대비하여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서버(200) 사이 또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외부 기기(4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외부 기기(400) 사이, 또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입력부(14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등의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등의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80)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출고 당시부터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80)에 저장되고,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에 의하여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를 통하여 측정 대상에 대한 길이를 무선으로 측정할 수 있다[S100].
제어부(110)는 센싱부(120)를 구동하여 측정 대상까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하여 신장을 측정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센싱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측정 모드에 놓이는 경우, 센싱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가 벽에 고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싱부(120)에 레이저 센서가 구비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측정 대상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아래에 있는 경우, 레이저를 방사하도록 센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파와 측정 대상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비교하여, 제어부(110)는 거리 d1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센싱부를 통하여 측정된 길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서 지면까지의 거리 d2와 상기 측정된 거리 d1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지면까지의 거리 d2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가 벽에 고정되는 경우 미리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산출된 값인 d2-d1을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는 측정 대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에는 측정 대상의 이름, 출생연월일, 성별, 주소, 연락처,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디나 비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는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된 상기 식별 정보를 메모리(18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신장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는 전송받은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장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편리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된 신장 정보를 저장하거나 입력하는 별도의 동작 없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된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전원이 온될 수 있다[S200]. 일 예에 따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전원은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140)에는 전원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측정 모드에 놓이는 경우,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전원은 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 상기 센싱부(120)는 측정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S210]. 도 4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센싱부(120)는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싱부(120)로부터 측정 대상이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 센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센싱부(120)와 분리되어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이미지에서 측정 대상을 추출하여 메모리(180)에 저장된 복수의 측정 대상의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S220]. 이미지 내의 인물의 추출이나 대비와 관련하여서는 공지의 방법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측정 대상이 메모리(180)에 저장된 이미지에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미리 등록된 측정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S220], no)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광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측정 대상의 이미지와 상기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식별 정보를 메모리(180)에 저장할 수 있다[S230].
만약, 측정 대상이 메모리(180)에 저장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미리 등록된 측정 대상으로 판단([S220], yes)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매칭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메모리(180)에서 읽어올 수 있다[S240].
이후의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 측정 및 서버(200)로의 전송과 관련된 단계들([S250], [S260], [S270])은 도 5에서 설명한 단계들([S100], [S110], [S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다른 일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측정 대상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이 미리 등록된 측정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180)에 복수의 측정 대상에 대한 음성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복수의 측정 대상에 대한 신장 측정 시, 일일히 식별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저장된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식별 정보를 별도로 입력하는 과정 없이,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가 서버로 편리하게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각 측정 대상별로 신장 정보를 획득한 시간을 메모리(18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가 측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확인은 신체 정보 측정 장치가 온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확인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출력부(150)를 통하여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10)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알림(10)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부(150)를 통하여 음향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신장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규칙적으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신장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서버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신장 정보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300)의 서버(200)는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를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00].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가 측정되면, 제어부(110)는 서버(200)로 측정된 신장 정보를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와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수신된 신장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310].
일 예에 따라, 서버(200)는 복수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는 신장 정보가 수신된 측정 대상에 대하여 수신된 신장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장 정보(종전에 측정되었던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성장 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장 곡선은 x축은 측정 일시, y축은 측정된 신장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측정 대상의 성장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의 성장 곡선도 적용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성장 곡선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성장 예측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성장 예측 정보는 일정 시간 이후에 예상되는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측정 대상들의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통계 수치는 측정 대상의 연령별, 성별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성장 예측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에서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100) 이외의 다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 대상의 체중과 같은 별도의 신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는 상기 신장 정보와 상기 별도의 신체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상기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측정 대상과 관련된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320].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 대상이 사용하는 외부 기기(400)에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서버(200)로부터 외부 기기(400)로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외부 기기(400)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외부 기기(400)의 사용자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측정 대상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측정 대상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외부 기기(400)에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다. 서버(200)는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외부 기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전송받은 상기 분석한 결과를 상기 실행 화면(4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행 화면(410)의 일 영역에 측정 대상의 이름 등의 식별 정보(41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체중 정보(412), 측정된 신장 정보(413)가 상기 실행 화면(4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체중 정보(412)는 서버(200)와 통신 연결된 별도의 체중 정보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체중 정보(412), 측정된 신장 정보(413) 등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종합한 순위(414)가 상기 실행 화면(4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순위(414)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모든 측정 대상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순위(414)는 백분율로 표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순위(414)는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는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415)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영역(415)에는 서버(200)에서 생성한 성장 곡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영역(415)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도 11과 같이,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에는 신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425)과 체중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426)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신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425)이 선태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에는 최종적으로 측정된 신장 정보(42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측정 대상이 성장한 수치 정보(42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에는 측정 대상의 신장이 다른 측정 대상들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순위(423)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20)에는 성장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성장 곡선(424)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 420)에 표시되는 정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대상의 성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라면 어느 것이라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표시 위치나 형식 등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는 분석 결과에 대한 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416)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영역(416)을 선택하여, 상기 측정된 신장 정보 또는 상기 분석 결과에 관련된 코멘트나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코멘트나 이미지 등은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코멘트나 이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는 측정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영역(41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역(417)에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어 주로 실행되는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측정 대상과 관련된 정보가 선택된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 목록(4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뉴 목록(430)에는 측정 대상과 관련된 캐릭터를 설정하거나, 스케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신된 신장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측정 대상과 관련된 외부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에 대한 성장 곡선 또는 성장 예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 대상의 신장과 관련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다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 대상의 신장과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에 따라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400)의 사용자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목록(430) 중 연동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연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44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기기(400)에서 실행되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신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50)에 도 13과 같이,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신장 정보가 표시(451)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상기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451)를 선택하면,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외부 기기에서 실행되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신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기기(400)에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중 신장 정보와 관련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술한 설명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적용하여 측정된 신장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400)의 사용자는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목록(430) 중 적용할 캐릭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캐릭터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460) 및 알림창(46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알림창(461)에서 YES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도 15와 같이, 적용할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47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면(470)에 표시된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400)의 제어부는 선택된 캐릭터를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상태로 다른 측정 대상과 키를 비교하는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캐릭터를 적용하여 측정된 신장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신체 정보 측정 장치 110: 제어부
120: 센싱부 130: 통신부
140: 입력부 150: 출력부
200: 서버 300: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Claims (10)

  1. 통신부;
    무선으로 길이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하여 측정된 길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측정 대상의 이미지 및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측정 대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측정 대상과 상기 저장된 측정 대상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측정 대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신장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신장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
  6. 측정 대상에 대한 신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대상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신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측정 대상과 관련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
    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정보를 분석한 결과는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한 성장 곡선 또는 성장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신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신장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되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신장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50164140A 2015-11-23 2015-11-23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20170059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40A KR20170059762A (ko) 2015-11-23 2015-11-23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40A KR20170059762A (ko) 2015-11-23 2015-11-23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62A true KR20170059762A (ko) 2017-05-31

Family

ID=5905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40A KR20170059762A (ko) 2015-11-23 2015-11-23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4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ultrasound imaging device from a multi-use electronic display device
KR101368751B1 (ko) 영상 진단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및 영상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를 위한 영상 진단 장치
CN107896131A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US9367215B2 (en) Mobi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device
US10736579B2 (en) Baby tracker
RU201413378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атчика, сервер, система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CN107564253B (zh) 用于经由移动设备安装、试运行、测试和维护火灾报警控制面板的系统和方法
CN111093152B (zh) 基于位置的虚拟网络计算-切换系统
JP2019505863A (ja) 3dプリント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装置
CN106561059A (zh) 进行登录处理的移动终端以及进行登录处理的方法
KR101559980B1 (ko) 조리 방법 생성 장치,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78562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and device thereof
CN108055092A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KR101733731B1 (ko)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113627A1 (en) Ultrasound apparatus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thereof
CN108199787A (zh) 发射功率调整方法、装置、终端测试系统及电子终端
KR101637483B1 (ko) 거리 및 친밀도를 이용한 주변 장치 인식 장치 및 방법
CN108234034A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KR20140089328A (ko) 초음파 데이터 중계 방법 및 장치
CN108199789A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KR20180006995A (ko) 농기계 및 운전자 일괄 예약 및 관리 시스템
KR20170059762A (ko)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2661804B1 (ko) 태아의 성장도를 예측하는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280149A1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s at terminal, and terminal using same
JP6967895B2 (ja) 生体情報管理方法、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体組成計及び携帯端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