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756A -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 Google Patents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756A
KR20170059756A KR1020150164129A KR20150164129A KR20170059756A KR 20170059756 A KR20170059756 A KR 20170059756A KR 1020150164129 A KR1020150164129 A KR 1020150164129A KR 20150164129 A KR20150164129 A KR 20150164129A KR 20170059756 A KR20170059756 A KR 2017005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open
loop resonator
series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905B1 (ko
Inventor
윤상원
임현서
권건안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9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관한 것으로, 세 면이 막혀 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막혀 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 및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직렬 공진기가 추가되어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의하면, 개방루프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한 개씩이던 우수,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두 개씩 분화시키므로써,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를 갖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DUAL-BAND BANDPASS FILTER USING OPEN LOOP RESONATOR}
본 발명은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루프 공진기의 공진모드를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로 구성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에서 각각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로 동작시키는 이중대역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
공진기(resonator)는 등가 회로적으로 인덕터(inductor, L)와 커패시터(capacitor, C)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회로 소자이며, 이러한 공진기를 다단 결합하고, 결합된 공진기간 결합 계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여파기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과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의 조합에 의해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공진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진기를 1, 2, 3, 4 ..., N 단으로 결합하고, 공진기간의 결합 계수를 조정하여 저역/고역/대역 통과 여파기 및 듀플렉서 등을 제작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4850호 (2002년 09월 17일)
본 발명은 개방루프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한 개씩이던 우수,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두 개씩 분화시키므로써,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를 갖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루푸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에서 각각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두 대역 간의 저지대역에서 저지특성이 향상되는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 면이 막혀 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막혀 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 및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직렬 공진기가 추가되어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집중 소자가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직렬 연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공진주파수에 따라 상기 직렬 공진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와 인덕터 값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 면이 막혀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막혀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 및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직렬 공진기가 추가되어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커패시터로 형성된 상기 집중 소자가 서로 직렬 연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공진주파수에 따라 상기 직렬 공진기에 포함된 커패시터 값과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인덕터 값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의하면, 개방루프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한 개씩이던 우수,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두 개씩 분화시키므로써,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를 갖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의하면, 개방루푸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에서 각각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두 대역 간의 저지대역에서 저지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우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기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삽입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제작된 회로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 면이 막혀 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100)에 스터브(110)를 추가하여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의 분화를 통하여 이단 여파기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성된 개방루프 공진기(100) 중심에 삽입된 스터브(101)에 의해서 단지 하나의 중심주파수와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방루프 공진기(100)가 하나의 통과대역만을 갖으므로, 최근의 연구 방향에 역행하고 있으며 통과대역 확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는 세 면이 막혀 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200)와, 개방루프 공진기(200)의 막혀 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201) 및 개방루프 공진기(100)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다르게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루프 공진기(200)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성된 개방루프 공진기(200)의 양 끝단에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202)가 각각 추가된다.
이와 같은 직렬 공진기(202)의 집중 소자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직렬 연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 단은 개방루프 공진기(200)와 연결되고 다른 일 단은 접지되어 있다.
또한, 직렬 공진기(202)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200)는 우수모드 한 개와 기수모드 한 개인 도 1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다르게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인 총 네 개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통과대역이 이중대역으로 확장이 가능하여 각 대역마다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로 작동되고, 두 개의 대역 사이의 전송영점도 발생하므로 두 대역 간의 저지대역에서 보다 나은 저지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직렬 공진기(202)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200)의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우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기수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에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성된 개방루프 공진기가 반으로만 보이며, 일 단에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우수모드에서의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측에서 바라본 우수모드 등가회로는 도 2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단에 같은 전압을 인가한 모드로 정확하게 중앙부분에서 개방이 된다. 즉, 중심부에 삽입된 스터브는 절반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드미턴스는 수학식 1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은 개방회로 수식 풀이 방법과 단락회로 수식 풀이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학식 1을 이용하면 우수모드에서의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드미턴스를 해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우수모드에서의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드미턴스를 해석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기수모드에서의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측에서 바라본 기수모드 등가회로는 도 2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단에 같은 크기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한 모드로 정확하게 중앙부분에서 전기적인 가상 접지가 생긴다. 즉, 중심부에 삽입된 스터브는 보이지 않게 되며 그대로 접지가 된다.
이러한 기수모드에서의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드미턴스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해석하면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3
이와 같이 우수모드와 기수모드를 비교하면, 우수모드 등가회로에서는 중심부에 스터브가 존재하고 기수모드에서는 중심부에 스터브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기수모드 등가회로는 전기적인 길이가 짧아져 주파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는 2개로 나뉜다.
이러한 개방루프 공진기에 직렬 공진기를 추가함에 따라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2개씩으로 나뉘어 준다.
즉, 개방루프 공진기는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개방루프 공진기의 공진주파수와 일치시키면 개방루프 공진기의 공진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직렬 공진기가 인덕터로 동작하고, 반대로 낮은 주파수에서는 직렬 공진기가 커패시터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각각 2개씩 나뉜 우수모드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디미턴스 값은 수학식 4 내지 5와 같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다음으로 각각 2개씩 나뉜 기수모드 개방루프 공진기의 입력 어디미턴스 값은 수학식 6 내지 7과 같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또한, 이러한 직렬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 따라 직렬공진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와 인덕터 값의 비율을 수학식 8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이상으로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는 세 면이 막혀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300)와, 개방루프 공진기(300)의 막혀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301) 및 개방루프 공진기(300)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의 개방루프 공진기(300)는 도 2의 개방루프 공진기와 다르게 직렬 공진기(302)가 집중 소자로만 구성되지 않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렬 공진기(302)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커패시터가 서로 직렬 연결로 구성된다. 여기서 직렬 공진기(302)는 초고주파 대역에서 집중 소자인 인덕터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하여 직렬 공진기(302)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직렬 공진기(302)는 도 2의 직렬 공진기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동작은 서로 동일하다.
즉,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에서 직렬 공진기(302)는 개방루프 공진기(300)의 공진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로 동작하고, 반대로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한다.
이러한 직렬 공진기(302)의 동작은 도 2의 직렬 공진기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상으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 각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 공진기가 추가된 개방루프 공진기의 삽입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학식 8의 델타(△) 값의 따라서 두 개 대역의 인접도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직렬 공진기의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비율에 따라 두 개 대역의 인접도가 변경되는데 델타 값이 증가할 경우 두 대역의 인접도는 가까워지고 반대로 감소할 경우에는 두 대역의 인접도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직렬 공진기의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값의 크기 비율로 두 개 통과대역의 근접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직렬 공진기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집중 소자인 인덕터로 구현하거나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의 시뮬레이션 및 측정 결과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제작된 회로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이중대역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회로로 구현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이중대역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측정 결과에서도 두 개 통과대역에서 각각 우수모드와 기수모드의 공진점이 2개씩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개 대역 사이에 삽입 손실은 -40dB 이하로 정확한 대역저지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의하면, 개방루프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한 개씩이던 우수, 기수모드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두 개씩 분화시키므로써, 두 개의 우수모드와 두 개의 기수모드를 갖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에 의하면, 개방루푸 공진기의 개방된 양 끝단에 한쪽이 접지된 직렬 공진기를 각각 추가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대역에서 각각 이단 대역통과 여파기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두 대역 간의 저지대역에서 저지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200, 300: 개방루프 공진기
101, 201, 301: 구조물/스터브
202: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
30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

Claims (14)

  1. 세 면이 막혀 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막혀 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 및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직렬 공진기가 추가되어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집중 소자가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직렬 연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공진주파수에 따라 상기 직렬 공진기에 포함된 커패시터와 인덕터 값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8. 세 면이 막혀있고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모양의 개방루프 공진기;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막혀있는 일 면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스터브; 및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의 양 끝단에 각각 추가되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집중 소자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직렬 공진기가 추가되어 우수모드 두 개와 기수모드 두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커패시터로 형성된 상기 집중 소자가 서로 직렬 연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루프 공진기는,
    상기 기수모드의 직렬 공진기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기는,
    상기 공진주파수에 따라 상기 직렬 공진기에 포함된 커패시터 값과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인덕터 값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KR1020150164129A 2015-11-23 2015-11-23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KR10175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29A KR101758905B1 (ko) 2015-11-23 2015-11-23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29A KR101758905B1 (ko) 2015-11-23 2015-11-23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56A true KR20170059756A (ko) 2017-05-31
KR101758905B1 KR101758905B1 (ko) 2017-07-17

Family

ID=5905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29A KR101758905B1 (ko) 2015-11-23 2015-11-23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1089A (zh) * 2017-12-11 2018-04-13 合肥中科离子医学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电子管输入端宽带阻抗匹配装置
CN108879042A (zh) * 2018-06-26 2018-11-23 重庆大学 一种基于环形多模谐振器的三通带带通滤波器
RU2775868C1 (ru) * 2021-10-15 2022-07-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раснояр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Высокоселективный микрополосковый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94B1 (ko) 2012-08-21 2013-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고조파 억제 가변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KR101569474B1 (ko) 2014-09-01 2015-11-1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모드 부하바를 포함하는 계단형 오픈 루프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 대역 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1089A (zh) * 2017-12-11 2018-04-13 合肥中科离子医学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电子管输入端宽带阻抗匹配装置
CN108879042A (zh) * 2018-06-26 2018-11-23 重庆大学 一种基于环形多模谐振器的三通带带通滤波器
CN108879042B (zh) * 2018-06-26 2020-05-12 重庆大学 一种基于环形多模谐振器的三通带带通滤波器
RU2775868C1 (ru) * 2021-10-15 2022-07-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раснояр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Высокоселективный микрополосковый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905B1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4599B (zh) 具有恒定绝对带宽的平衡式射频电调带通滤波器
CN102280678B (zh) 具有恒定相对带宽的平衡式射频电调带通滤波器
US8305164B1 (en) Frequency-agile frequency-selective variable attenuator
US11095010B2 (en) Bandpass filter with induced transmission zeros
Tyurnev et al. Dual-mode split microstrip resonator for compact narrowband bandpass filters
CN109273807A (zh) 一种新型的高性能宽带四功分滤波器
KR101758905B1 (ko)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Snyder et al. Transmission zero generation for wideband high frequency evanescent mode filters
US9859599B2 (en) Bandstop filters with minimum through-line length
CN109193087A (zh) 一种新型的高性能双通带四功分滤波器
Lee et al. A 640–1030 MHz four-pole tunable filter with improved stopband rejection and controllable bandwidth and transmission zeros
DE10123369A1 (de) Filteranordnung für, symmetrische und unsymmetrische Leitungssysteme
KR100973006B1 (ko) 발룬
KR101207061B1 (ko) 소형 Gbps 무선신호 송수신기용 다중 극점 대역통과 여파기용 신형 메타재질 CRLH 기본구조와 그의 교차결합에 의한 채널 선택도 향상법
CN104282970A (zh) 一种dbr滤波器及dbr双工器
KR101735353B1 (ko) 폐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3단 필터
Kumar et al. Constant-k and m-derived composite low pass filter using defected ground structure
KR20120050250A (ko) 오른손 왼손 복합 전송선로의 단위셀을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JP4501729B2 (ja) 高周波フィルタ
CN104659447B (zh) 基于终端短路自耦合环形谐振器的窄带差分带通滤波器
Shaman Design of a compact C-band microstrip bandpass filter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applications
Neogi et al. A UWB band-pass filter with a WLAN notch based on multi-mode resonator structure for appl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629977B2 (en) Filter circuit and frequency switching method
CN101728610B (zh) 带通滤波器
RU2658576C1 (ru) Полосковый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