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33A -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633A
KR20170059633A KR1020150163810A KR20150163810A KR20170059633A KR 20170059633 A KR20170059633 A KR 20170059633A KR 1020150163810 A KR1020150163810 A KR 1020150163810A KR 20150163810 A KR20150163810 A KR 20150163810A KR 20170059633 A KR20170059633 A KR 2017005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d speed
sound
subject
res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918B1 (ko
Inventor
이화민
이주성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9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험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안한 공간에서 취침하는 상태에서 수면무호흡증상을 진단 받을 수 있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100)와, 마스크(100)에 구비되어 피험자의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부(200)와, 호흡감지부(200)의 감지를 근거로 피험자의 호흡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는 호흡정보관리모듈(300)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관리되는 호흡정보를 제공받아 피험자의 수면상태 및 수면 중 수면무호흡증상을 판단하는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SLEEP APNEA DIAGNOSTIC SYSTEM}
본 발명은 피험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안한 공간에서 취침하는 상태에서 수면무호흡증상을 진단 받을 수 있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6~7%, 여성의 3~4%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코골이로만 알고 있었지만 이는 잘못된 사실이다. 코골이는 기도가 좁아지면서 소리가 나게 되는 원리인데,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기도가 완전히 폐쇄됨으로써, 호흡이 일정시간 중단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로 인해 주간에는 피로감, 구간 졸림 현상, 성격 변화(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 성충동 감소, 발기부전,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는 학습 부진이나 발달지연, 그리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말처럼 얼굴이 길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은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 질환(폐성 고혈압, 폐성심, 호흡부전) 등의 심폐기계 질환들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심각한 증세 및 합병증을 낳는 수면무호흡증은 의심이 되어도 진단하기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현재 진단을 할 수 있는 수면 다원 검사의 경우 60만원이라는 높은 진단 비용을 형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낯선 환경에서의 진단이 객관적인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096089(2011.12.13.)호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험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안한 공간에서 취침하는 상태에서 수면무호흡증상을 진단 받을 수 있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은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100)와, 마스크(100)에 구비되어 피험자의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부(200)와, 호흡감지부(200)의 감지를 근거로 피험자의 호흡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는 호흡정보관리모듈(300)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관리되는 호흡정보를 제공받아 피험자의 수면상태 및 수면 중 수면무호흡증상을 판단하는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마스크(100)는 피험자의 입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몸체(110)와, 마스크몸체(110)가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용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마스크(100)는 마스크몸체(110)에 형성되어 호흡감지부(20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장착구(130)는 호흡감지부(200)가 삽입되는 삽입구(131)와, 삽입구(131)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호흡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턱(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마스크(100)는 장착구(130)에 구비되어 장착구(130)에 장착되는 호흡감지부(20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140)를 포함하며, 보호부재(140)는 공기 및 음향이 관통되는 매쉬나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흡감지부(200)는 바람을 감지하는 풍속센서(210) 및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흡정보관리모듈(300)은 수면시간을 설정하는 수면시간설정부(31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풍속신호를 인식하는 풍속신호인식부(32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음향신호를 인식하는 음향신호인식부(33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풍속신호인식부(320)에서 풍속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풍속주기를 체크하는 풍속주기체크부(34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음향신호인식부(330)에서 음향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음향의 크기를 체크하는 음향크기체크부(350)와, 풍속주기체크부(340)에서 체크되는 풍속주기에 의한 전체풍속주기, 음향크기체크부(350)에서 체크되는 음향크기들에 의한 전체음향크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신호정보관리부(360)와, 신호정보관리부(360)에서 관리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전송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수신받는 정보수신부(41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 마다 미리 설정된 부분기준시간에 비교하여 풍속주기가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주기판단부(420)와, 풍속주기판단부(420)에서 판단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시간동안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초과횟수를 인식하여, 초과횟수가 미리 설정된 무호흡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횟수판단부(43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음향크기에서 음향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음향크기에 비교하여 음향크기가 기준음향크기보다 큰지 작은지 판단하는 음향판단부(44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기준음향크기보다 큰 음향크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음향크기횟수를 초과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음향이상판단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부분기준시간은 약10~50초로 설정되고, 전체기준시간은 7시간으로 설정되며, 초과횟수는 30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풍속횟수판단부(430)는 설정된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동안 초과횟수가 30회 이상이면 위험군으로 판단하고,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 중에서 1시간동안 수면초과횟수가 5회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향판단부(440)는 음향신호인식부(340)를 통해 최초부터 소정시간동안 인식되는 음향신호들의 크기들에 대해 평균을 산출하여 기준음향크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는, 피험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안한 공간에서 취침하는 상태에서 수면무호흡증상을 진단 받을 수 있어서, 수면무호흡증상을 진단 받기 위해 내원하지 않아도 되고, 자가진단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흡정보관리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면무호흡판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100)와, 호흡감지부(200)와, 호흡정보관리모듈(300)과,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을 포함한다.
마스크(100)는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것으로, 피험자의 입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몸체(110)와, 마스크몸체(110)가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용부재(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스크몸체(110)가 얼굴에서 코와 입을 감싸지게 하는 상태로 착용부재(120)를 머리에 걸리게 하면, 피험자의 얼굴에 마스크몸체(110)가 착용된다.
마스크몸체(110)는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캡형태로 형성되며, 단단하면서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와,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어 피험자의 얼굴피부에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피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내피는 스펀지나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100)는 마스크몸체(110)에 형성되어 호흡감지부(20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구(130)는 함체형태로 형성되어 마스크몸체(110)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호흡감지부(200)가 삽입되는 삽입구(131)와, 삽입구(131)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호흡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턱(132)을 포함한다.
따라서, 호흡감지부(200)가 삽입구(131)에 삽입되어서 지지턱(132)에 걸리면 피험자의 코나 입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100)는 장착구(130)에 구비되어 장착구(130)에 장착되는 호흡감지부(20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부재(140)는 공기 및 음향이 관통되는 매쉬나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140)는 피험자의 코나 입이 장착구(130)에 장착된 호흡감지부(200)에 접촉됨을 방지하면서, 피험자의 코나 입에서 분출되는 분비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보호부재(140)는 피험자의 호흡에 의한 공기가 통과될 수 있고, 코나 입에서 발생되는 소음도 통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100)에 구비되는 장착구(130)에 호흡감지부(200)가 필요시에만 장착되어서 사용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감지부(200)의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밴드로 구성되어 양단이 마스크몸체(110)의 양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밴드는 마스크몸체(110)를 피험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므로 마스크몸체(110)의 둘레를 통한 공기의 유실됨이 방지될 수 있다.
호흡감지부(200)는 마스크(100)에 구비되어 피험자의 호흡을 감지하는 것으로, 바람을 감지하는 풍속센서(210) 및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220)을 포함한다.
풍속센서(210)는 피험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감지한다.
마이크로폰(220)은 피험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한다.
이러한, 호흡감지부(200)는 마스크(100)의 장착구(13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마스크(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피험자의 호흡에 의한 바람 및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호흡감지부(200)는 감지되는 바람 및 소리에 대한 호흡신호를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호흡정보관리모듈(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신호는 바람에 대한 풍속신호 및 소리에 대한 음향신호이다.
호흡정보관리모듈(300)은 호흡감지부(200)의 감지를 근거로 피험자의 호흡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가 내장되는 아두이노(Arduino)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흡정보관리모듈(300)은
수면시간을 설정하는 수면시간설정부(31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풍속신호를 인식하는 풍속신호인식부(32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음향신호를 인식하는 음향신호인식부(33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풍속신호인식부(320)에서 풍속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풍속주기를 체크하는 풍속주기체크부(34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음향신호인식부(330)에서 음향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음향의 크기를 체크하는 음향크기체크부(350)와,
풍속주기체크부(340)에서 체크되는 풍속주기에 의한 전체풍속주기, 음향크기체크부(350)에서 체크되는 음향크기들에 의한 전체음향크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신호정보관리부(360)와,
신호정보관리부(360)에서 관리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면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되는 수면시간은 피험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의 시간으로 약7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정보관리부(360)에서 저장되어서 관리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는 유선이나 RF통신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정보전송부(370)를 통해 외부의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로 전송될 수 있다.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관리되는 호흡정보를 제공받아 피험자의 수면상태 및 수면 중 수면무호흡증상을 판단하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전송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수신받는 정보수신부(41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 마다 미리 설정된 부분기준시간에 비교하여 풍속주기가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주기판단부(420)와,
풍속주기판단부(420)에서 판단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시간동안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초과횟수를 인식하여, 초과횟수가 미리 설정된 무호흡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횟수판단부(43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음향크기에서 음향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음향크기에 비교하여 음향크기가 기준음향크기보다 큰지 작은지 판단하는 음향판단부(44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기준음향크기보다 큰 음향크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음향크기횟수를 초과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음향이상판단부(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속주기는 피험자가 호흡할 때마다 발생되는 바람이 이동하는 주기이다. 즉, 풍속주기가 일정하면 숙면을 취하는 것임을 판단될 있고, 풍속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이상판단부(450)에서 이상으로 판단되면 피험자가 코를 골면서 취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부분기준시간은 약10~5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10~30초까지 경증, 30~60초까지 중증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전체기준시간은 7시간으로 설정되고 초과횟수는 30회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풍속횟수판단부(430)는 설정된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동안 초과횟수가 30회 이상이면 위험군으로 판단하고,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 중에서 1시간동안 수면초과횟수가 5회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음향크기는 피험자가 호흡할 때마다 발생되는 숨소리나 코고는 소리의 크기이다. 즉, 음향크기를 통해 숨소리인지 코고는 소리인지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기준음향크기횟수는 전체기준시간의 30~50%에 해당되는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크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음향크기횟수를 초과하면 숙면을 취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크기는 진폭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음향판단부(440)는 음향신호인식부(340)를 통해 최초부터 소정시간동안 인식되는 음향신호들의 크기들에 대해 평균을 산출하여 기준음향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피험자가 최초에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숨소리를 소정시간동안 인식하여서 이를 근거로 기준음향크기를 설정하므로, 설정된 기준음향크기를 이용하여 피험자가 숙면을 취하는지 수면 중에 코를 고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풍속주기판단부(420)와, 풍속횟수판단부(430)와, 음향판단부(440), 음향이상판단부(450)에서 판단되는 정보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므로, 피험자 자신이 직접 확인하여 자신의 수면무호흡증 및 코골이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스크 110 : 마스크몸체
120 : 착용부재 130 : 장착구
131 : 삽입구 132 : 지지턱
140 : 보호부재 200 : 호흡감지부
210 : 풍속센서 220 : 마이크로폰
300 : 호흡정보관리모듈 310 : 수면시간설정부
320 : 풍속신호인식부 330 : 음향신호인식부
340 : 풍속주기체크부 350 : 음향크기체크부
360 : 신호정보관리부 370 : 정보전송부
400 : 수면무호흡판단모듈 410 : 정보수신부
420 : 풍속주기판단부 430 : 풍속횟수판단부
440 : 음향판단부 450 : 음향이상판단부

Claims (11)

  1.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100)와,
    마스크(100)에 구비되어 피험자의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부(200)와,
    호흡감지부(200)의 감지를 근거로 피험자의 호흡상태를 정보화하여 관리하는 호흡정보관리모듈(300)과,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관리되는 호흡정보를 제공받아 피험자의 수면상태 및 수면 중 수면무호흡증상을 판단하는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크(100)는
    피험자의 입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몸체(110)와,
    마스크몸체(110)가 피험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용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크(100)는 마스크몸체(110)에 형성되어 호흡감지부(20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장착구(130)는 호흡감지부(200)가 삽입되는 삽입구(131)와, 삽입구(131)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호흡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턱(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스크(100)는 장착구(130)에 구비되어 장착구(130)에 장착되는 호흡감지부(20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140)를 포함하며,
    보호부재(140)는 공기 및 음향이 관통되는 매쉬나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호흡감지부(200)는
    바람을 감지하는 풍속센서(210) 및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호흡정보관리모듈(300)은
    수면시간을 설정하는 수면시간설정부(31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풍속신호를 인식하는 풍속신호인식부(320)와,
    호흡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호흡신호에서 음향신호를 인식하는 음향신호인식부(33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풍속신호인식부(320)에서 풍속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풍속주기를 체크하는 풍속주기체크부(340)와,
    수면시간설정부(310)에서 설정된 수면시간동안, 음향신호인식부(330)에서 음향신호가 인식될 때마다 음향의 크기를 체크하는 음향크기체크부(350)와,
    풍속주기체크부(340)에서 체크되는 풍속주기에 의한 전체풍속주기, 음향크기체크부(350)에서 체크되는 음향크기들에 의한 전체음향크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신호정보관리부(360)와,
    신호정보관리부(360)에서 관리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면무호흡판단모듈(400)은
    호흡정보관리모듈(300)에서 전송되는 전체풍속주기, 전체음향크기를 수신받는 정보수신부(41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 마다 미리 설정된 부분기준시간에 비교하여 풍속주기가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주기판단부(420)와,
    풍속주기판단부(420)에서 판단되는 전체풍속주기에서 풍속주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시간동안 부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초과횟수를 인식하여, 초과횟수가 미리 설정된 무호흡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풍속횟수판단부(43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수신되는 전체음향크기에서 음향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음향크기에 비교하여 음향크기가 기준음향크기보다 큰지 작은지 판단하는 음향판단부(440)와,
    정보수신부(410)에서 기준음향크기보다 큰 음향크기들이 미리 설정된 전체기준음향크기횟수를 초과하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음향이상판단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부분기준시간은 약10~50초로 설정되고,
    전체기준시간은 7시간으로 설정되며,
    초과횟수는 30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풍속횟수판단부(430)는 설정된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동안 초과횟수가 30회 이상이면 위험군으로 판단하고, 전체기준시간인 7시간 중에서 1시간동안 수면초과횟수가 5회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음향판단부(440)는 음향신호인식부(340)를 통해 최초부터 소정시간동안 인식되는 음향신호들의 크기들에 대해 평균을 산출하여 기준음향크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KR1020150163810A 2015-11-23 2015-11-23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KR10180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10A KR101808918B1 (ko) 2015-11-23 2015-11-23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10A KR101808918B1 (ko) 2015-11-23 2015-11-23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33A true KR20170059633A (ko) 2017-05-31
KR101808918B1 KR101808918B1 (ko) 2017-12-14

Family

ID=5905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10A KR101808918B1 (ko) 2015-11-23 2015-11-23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56A (ko) 2022-11-07 2024-05-14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을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690A (ja) * 2003-03-17 2004-10-07 Atsushi Takebe 睡眠時無呼吸症検知器
JP6112539B2 (ja) * 2012-09-25 2017-04-12 地方独立行政法人山口県産業技術センター 非拘束無呼吸検知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WO2014107798A1 (en) * 2013-01-14 2014-07-17 University Health Network Mask and method for breathing disorder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or diagno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56A (ko) 2022-11-07 2024-05-14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을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918B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8743A1 (en) Acoustic detection mask systems and/or methods
JP5808909B2 (ja) マットレス使用による受動的監視センサシステム
CN212521755U (zh) 睡眠生理装置及系统
JP6643992B2 (ja) マスクの消耗評価システム
US20120101399A1 (en)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
US11793453B2 (en) Detecting and measuring snoring
TWM633258U (zh) 睡眠生理警示系統
CN113194817A (zh) 用于测量生理参数的方法和设备
KR101808918B1 (ko) 수면무호흡 진단시스템
KR101483065B1 (ko) 휴대형 수면 데이터 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검사 시스템
CN208319203U (zh) 一种用于睡眠呼吸暂停综合症监测的装置
JP6566047B2 (ja) 体温計
KR101332828B1 (ko) 수면패턴 검출장치를 이용한 수면장애 알림시스템
US20230210464A1 (en) Ear-wearabl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heat stress, heat stroke and related conditions
CN115624347A (zh) 生理音采集装置及穿戴设备
US11766222B2 (en) Algorithm for breathing efficiency
CN108814607A (zh) 一种临床呼吸检测装置及方法
RU27809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явления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жизнеугрожающих состояний от апноэ во сне
KR102451347B1 (ko) 웨어러블 폐 청진음 분석 장치
JP7322242B2 (ja) 携帯型ショック検知装置
TW201724978A (zh) 穿戴方法及其裝置
CN117651525A (zh) 用于进行主动听诊和检测声信号和/或声波能量测量的系统、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