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426A -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426A
KR20170059426A KR1020160155150A KR20160155150A KR20170059426A KR 20170059426 A KR20170059426 A KR 20170059426A KR 1020160155150 A KR1020160155150 A KR 1020160155150A KR 20160155150 A KR20160155150 A KR 20160155150A KR 20170059426 A KR20170059426 A KR 2017005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evice
user terminal
identifier
otp information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451B1 (ko
Inventor
서원일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비욘드
서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비욘드, 서원일 filed Critical (주)엔에스비욘드
Publication of KR2017005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타겟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인증 서버와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OTP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다.

Description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SECURITY OF TARGET DEVICE USING SECURITY TUNNEL}
아래 실시예들은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공공 서비스 등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방식이 존재한다. 기존의 인증 방식들은 인증 정보의 탈취 및 위조, 인증 단말기의 원격 탈취에 취약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인증 기법이 요구된다. 데이터는 서킷 스위칭 또는 패킷 스위칭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서킷 스위칭이란 두 디바이스 간에 네트워크 경로를 생성하고 두 디바이스 간에는 해당 경로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패킷 스위칭은 미리 정해진 경로 없이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서킷 네트워크는 전송 효율은 낮으나 데이터 보안이 강하고, 패킷 통신은 전송 효율은 높지만 데이터 보안은 약하다. 패킷 스위칭 방식에 서킷 스위칭 방식을 적절히 접목시킬 경우 높은 전송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타겟 기기의 보안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타겟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서버와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다.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 각각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에 상기 타겟 장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OTP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에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OTP 정보와 상기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가까운 경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내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타겟 장치에 로그인될 수 있다.
상기 보안 터널이 존재하는 동안, 상기 근거리 통신 및 상기 보안 터널을 제외한 나머지 루트를 통한 트래픽 전송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보안 터널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제2 게이트웨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는 도어 락, 차량, 계측 장치 및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인증 서버 사이의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 OTP 정보는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 각각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되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OTP 정보와 상기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의 내부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타겟 장치에 로그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하는 단계;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제1 OTP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다.
아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하여 타겟 기기의 보안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터널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차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시스템은 타겟 장치(110), 사용자 단말(120) 및 인증 서버(13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도어 락, 차량, 계측 장치 및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가 도어 락인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지니고 도어 락에 접근함에 따라 도어 락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장치(110)가 차량인 경우, 사용자 단말(120)을 지니고 차량에 접근함에 따라 차량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차량의 내부 정보가 사용자 단말(12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태블릿 PC, 노트북 및 PDA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은 매우 보편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스마트폰 등을 통해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편리하게 해제하거나, 타겟 장치(110)의 내부 정보를 쉽게 받아볼 수 있다. 내부 정보는 타겟 장치(110)에 저장된 정보로, 타겟 장치(110)의 자체 동작에 따라 획득한 정보 및 타겟 장치(110)가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가 도어 락인 경우, 내부 정보는 도어 락의 잠금이 해제된 시간에 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고, 타겟 장치(110)가 가스 계량기인 경우, 내부 정보는 대상 시스템의 가스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암기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고, 비밀번호 등을 타겟 장치(110)에 입력 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생체 인증의 경우 인증의 매체인 지문 및 홍채 등의 상태에 따라 인식률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인식률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 사이에 보안 터널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보안 이슈에 강인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기반의 통신,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및 가시광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접근 함에 따라 확립될 수 있다.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거리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에게 근거리 네트워크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네트워크를 확립하기 위한 요청은 사용자 단말(120)에서 타겟 장치(1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20)에는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이 설치될 수 있다.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사용자 단말(120)의 메모리에 상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2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은 잠금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의 잠금 기능은 비밀번호, 생체 정보 및 패턴 등을 통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이 분실된 경우에도 타겟 장치(110)의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에 근거리 통신이 확립되고,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이 실행됨에 따라, 타겟 장치(110)에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요청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는 타겟 장치(110)의 고유한 ID 또는 타겟 장치(110)의 고유한 토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로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된 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별도의 보안 체계 하에서 타겟 장치(110)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가 도어 락인 경우, 도어 락은 실내 쪽으로 USB 단자, 혹은 등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USB 단자, 혹은 해당 등록 버튼을 통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될 수 있다.
일례로,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이 해당 USB 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락의 비밀번호 등의 입력과 같은 별도의 보안 체계를 통과할 경우 사용자 단말(120)을 타겟 장치(1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집 내부의 허브를 통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되거나, 아파트 관리 사무소 혹은 회사 관리실 등을 통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등록을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초기화 버튼이 눌림에 따라 타겟 장치(11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초기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된 단말로 확인된 경우, 타겟 장치(11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 사이에 보안 터널(160)을 확립하고, 보안 터널(160)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보안 터널(160)은 사용자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 간의 보안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경로로서, 외부 디바이스(150)에서 접근 불가능한 네트워크 경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인증 서버(130)에 보안 터널(160)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고,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 사이에 보안 터널(160)을 확립할 수 있다. 보안 터널(160)이 확립되면,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에 보안 터널(160)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보안 터널(160)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에게 할당된 접속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TCP/IP 등을 통해 무선 통신망(170)에 접속할 때, 보안 터널(160) 이외의 루트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통신망(170)에 접속하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될 제1 게이트웨이의 접속 포인트로만 접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루트는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터널(160)이 존재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120)에서는 타겟 장치(110)와의 근거리 통신 및 보안 터널(160)을 제외한, 나머지 루트를 통한 트래픽 전송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은 자신의 원래 코드가 변형되었는지 여부를 스스로 검사하고, 만약 자신의 원래 코드가 변형되었다고 판단되면 보안 터널(160)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안 터널(160) 이외의 경로로 트래픽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이 안전하게 보장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보안 게이트웨이(131) 및 인증 장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보안 게이트웨이(131)는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되는 제1 게이트웨이 및 인증 장치(132)와 연결되는 제2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와 단말(120)은 3G, LTE,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망(1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게이트웨이와 인증 장치(132)는 무선 통신망(170)과 단절된 인트라넷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보안 게이트웨이(131)는 제1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와, 제2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외부 디바이스(150)에서 볼 수 없는 가상 사설 터널(virtual private tunnel, VPT)을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가상 사설 터널에 기초하여 보안 터널(160)을 만들 수 있다. 보안 터널(16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인증 장치(132)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장치(132)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OTP는 인증 장치(132)에서 생성되지 않고, 인증 서버(130) 외부의 OTP 생성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인증 장치(132)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인증 장치(132)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보안 터널(160)의 확립에 관한 요청을 수신한 때, 혹은 보안 터널(160)이 확립된 때,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장치(132)는 OTP 정보를 보안 터널(160)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타겟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 관한 정보를 인증 장치(13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에 관한 정보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 및 타겟 장치(11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들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자를 인증 장치(132)에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장치(132)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OTP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장치(132)는 타겟 장치들과 해당 타겟 장치들 각각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이 매핑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장치(132)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이 타겟 장치(110)에 등록된 경우 OTP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등록되지 않은 단말이 보안 터널의 생성을 요청하거나,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경우, 인증 장치(132)는 사용자 단말(120)에 등록되지 않은 단말의 접근을 알릴 수 있다.
보안 터널(160)을 통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OTP 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보안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보안 터널(160)을 이용함으로써 OTP 정보가 외부 디바이스(150)로 유출될 수 없고, 보안 터널(160)이 해제된 이후에는 OTP 정보의 정보성이 상실되므로 OTP 정보가 악성 코드(122)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150)로 유출되더라도 사용자의 인증에 악용될 우려가 없다.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인증 어플리케이션(121)은 이러한 보안 강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인증 장치(132)에 의해 생성된 OTP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인증 장치(132)에 의해 생성된 OTP는 제1 OTP 정보로 지칭될 수 있고, 타겟 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OTP는 제2 OTP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를 전송한 때, 혹은 타겟 장치(110)로부터 제1 OTP 정보를 수신한 때,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타겟 장치(1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장치(110)는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가까운 경우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가 다르거나, 타겟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먼 경우, 타겟 장치(110)는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 및 인증 서버(130)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OTP 생성 알고리즘은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변경 주기 내에서는 동일한 식별자에 관해 동일한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가 유사한 시간에 생성될 경우,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따라 타겟 장치(110)의 보안이 해제될 수 있다.
보안 터널(160)의 확립이 지연되거나, 근거리 통신에 장애가 있는 등의 경우, OTP의 생성 시간이 지연되어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가 다른 경우, 타겟 장치(110)는 상술된 보안 절차를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OTP 정보와 제2 OTP 정보가 다른 경우, 타겟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제1 OTP 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요청을 보안 터널(160)을 통해 인증 장치(132)에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장치는 해당 요청에 따라 제1 OTP 정보를 다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은 이를 타겟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제1 OTP 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한 때, 혹은 재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수신한 때,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장치(110)는 재생성된 제1 OTP 정보와 재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11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터널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10)은 보안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인증 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보안 게이트웨이(220), 인증 장치(230) 및 관리 장치(240)는 인증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관리 장치(240)는 보안 터널 생성을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게이트웨이(220)는 사용자 단말(210)과 연결되는 제1 게이트웨이(221) 및 인증 장치(230)와 연결되는 제2 게이트웨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과 제1 게이트웨이(221)는 공중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인증 장치(230)와 제2 게이트웨이(222)는 사설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221)와 제2 게이트웨이(222)는 제어 경로(20) 및 보안 경로들(30 내지 60)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경로(20)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경로이다. 제어 경로(20)는 제1 게이트웨이(221)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21)과 제2 게이트웨이(222)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22) 사이를 연결하는 VPT일 수 있다. 관리 장치(240)는 제어 경로(20)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보안 경로들(30, 40, 50)은 외부에서 접근이 제한되는 경로이다. 보안 경로들(30, 40, 50)은 제1 게이트웨이(221)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들(31, 41, 51)과 제2 게이트웨이(222)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들(32, 42, 52) 사이를 연결하는 VPT들일 수 있다. 보안 경로들(30, 40, 50)은 관리 장치(24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221)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패킷의 유형이 터널 타입인지 확인하고, 수신된 패킷의 유형이 터널 타입이 아닌 경우 해당 패킷을 드랍시킬 수 있다. 수신된 패킷의 유형이 터널 타입인 경우, 해당 패킷에 대응하는 보안 경로를 통하여 해당 패킷을 인증 장치(2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221)는 수신된 패킷의 유형이 터널 타입이 아니더라도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패킷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경로(20)를 통하여 인증 패킷을 관리 장치(240)로 전달할 수 있다. 인증 패킷은 보안 터널의 생성을 요청하는 패킷일 수 있다.
관리 장치(24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보안 터널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요청에 따라 보안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장치(240)는 생성된 보안 터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장치(240)는 제1 게이트웨이(221)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41)과 제2 게이트웨이(222)에 의하여 제공되는 포인트(42) 사이를 연결하는 보안 터널(40)을 생성하고, 보안 터널(40)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안 터널(40)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과 보안 터널(40)의 엔드 포인트(예를 들어, 포인트(42))를 연결하는 보안 터널(6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안 터널(6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된 인증 어플리케이션과 인증 장치(232)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보안 터널(40)은 다른 보안 터널들(30, 50)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보안 터널(40)에 대한 정보가 유출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보안 터널들(30, 50)에 연결된 인증 장치들(231, 233)의 보안은 유지될 수 있다. 보안 터널(40)은 적절한 시기에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장치(24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보안 터널의 생성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터널(40)을 생성하거나,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보안 터널(40)을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장치(232)는 OTP 정보를 생성하고, 보안 터널(40)의 생성 이후에 OTP 정보를 보안 터널(40)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장치는 OTP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장치(232)에 의해 생성된 OTP 정보와, 자신이 생성한 OTP 정보를 비교하여,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별도의 기록하거나 암기할 필요 없이 타겟 장치의 보안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타겟 장치는 OTP 정보에 기초한 보안 해제 혹은 보안 유지가 결정된 경우, 보안 해제 결과, 혹은 보안 유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10)에 알릴 수 있고, 사용자 단말(210)은 관리 서버(240)에 보안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관리 서버(240)는 보안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보안 터널(40)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락(310)은 OTP 생성기(311)를 포함한다. OTP 생성기(311)는 도어 락(3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어 락(310)은 사용자 단말(3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20)로 도어 락(3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0)은 서비스 서버(330)로 보안 터널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고, 도어 락(310)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서비스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330)는 게이트웨이(331), 인증 장치(332) 및 OTP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331), 인증 장치(332) 및 OTP 서버(330)는 인트라넷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터널은 게이트웨이(331)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OTP 서버(333)는 도어 락(3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33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OTP 서버(333)는 인증 서버(330)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2 OTP 정보는 인증 서버(332)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제2 OTP 정보는 사용자 단말(320)과 인증 서버(330) 사이의 보안 터널 및 사용자 단말(320)과 도어 락(31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도어 락(3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 락(310)은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락(310)은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320)과 도어 락(31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20)을 지니고 도어 락(310)에 접근하면,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도어락(3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터(410)은 OTP 생성기(411)를 포함한다. OTP 생성기(411)는 컴퓨터(4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410)는 사용자 단말(3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20)로 컴퓨터(4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20)은 서비스 서버(330)로 보안 터널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고, 컴퓨터(410)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서비스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430)는 게이트웨이(431), 인증 장치(432) 및 OTP 서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31), 인증 장치(432) 및 OTP 서버(430)는 인트라넷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터널은 게이트웨이(431)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OTP 서버(433)는 컴퓨터(4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43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OTP 정보는 사용자 단말(420)과 인증 서버(430) 사이의 보안 터널 및 사용자 단말(420)과 컴퓨터(41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컴퓨터(4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410)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410)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320)과 컴퓨터(41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20)을 지니고 컴퓨터(410)에 접근하면,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컴퓨터(4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410)의 잠금이 해제될 경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컴퓨터(410)에 로그인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410)에서 멀어지면 컴퓨터(410)의 잠금이 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컴퓨터(410)로부터 로그아웃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측 장치(510)은 OTP 생성기(511)를 포함한다. OTP 생성기(511)는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계측 장치(510)는 대상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 장치(510)는 전기 계량기, 가스 계량기 및 차량 운행 기록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장치(510)는 제2 OTP 정보와 인증 장치(532)에서 생성된 제1 OTP 정보에 기초하여 계측 장치(51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고, 계측 장치(510)에 저장된 계측 정보를 사용자 단말(520)에 제공할 수 있다.
계측 장치(510)의 보안은 상술된 과정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측 장치(510)는 사용자 단말(5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520)로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20)은 서비스 서버(330)로 보안 터널의 확립을 요청할 수 있고,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서비스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530)는 게이트웨이(531), 인증 장치(532), OTP 서버(533) 및 검침 서버(534)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531), 인증 장치(532), OTP 서버(533) 및 검침 서버(534)는 인트라넷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터널은 게이트웨이(531)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OTP 서버(533)는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제2 OTP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532)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장치(532)는 사용자 단말(520)이 계측 장치(510)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여 제2 OTP 정보를 사용자 단말(5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침 서버(532)는 계측 장치들과 해당 계측 장치들 각각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들이 매핑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20)은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단말(520)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인증 장치(532)로 제공할 수 있고, 인증 장치(532)는 계측 장치(51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520)의 식별자를 검침 서버(532)로 전달할 수 있다. 검침 서버(532)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520)이 계측 장치(510)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인증 장치(532)에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53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2 OTP를 사용자 단말(5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OTP 정보는 사용자 단말(520)과 인증 서버(530) 사이의 보안 터널 및 사용자 단말(520)과 계측 장치(51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계측 장치(5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계측 장치(510)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 장치(510)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520)과 계측 장치(51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인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계측 장치(510)의 잠금이 해제될 경우, 계측 장치(510)는 계측 장치(510)의 계측 정보를 사용자 단말(5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 정보는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차량 운행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20)은 계측 정보를 보안 터널을 통해 검침 서버(534)로 전송할 수 있고, 검침 서버(534)는 계측 정보를 통해 대상 시스템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 정보는 가정에 공과금을 부과하거나,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계측 장치(510)의 보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계측 장치(510)로부터 계측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검침원은 사용자 단말(520)을 지닌 상태에서 계측 장치(510)에 접근함으로써 대상 시스템의 가스 사용량을 인지할 수 있고, 차량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520)을 지닌 상태에서 계측 장치(510)에 접근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기록을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차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600)은 복수의 프로세스들(611, 612, 613 및 614), TCP/IP 프로토콜 스택(620), 가상 사설 망 인터페이스(640), 인증 어플리케이션(630) 및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611, 612, 613 또는 614)로부터 외부로 전송되는 출력 패킷과 외부로부터 프로세스(611, 612, 613 또는 614)로 수신되는 입력 패킷은 모두 인증 어플리케이션(630)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인증 어플리케이션(630)은 인증을 위한 패킷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RCS(remote computing service) 등 악성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인증 어플리케이션(630)은 패킷의 유형에 따라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어플리케이션(630)은 인증용 패킷을 제외한 모든 패킷을 드랍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사용자 단말은 타겟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7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인증 서버와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한다. 단계(730)에서, 사용자 단말은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740)에서, 사용자 단말은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보안 터널을 통해 수신한다. 단계(7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OTP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타겟 장치의 보안은 제1 OTP 정보 및 타겟 장치에서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의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타겟 장치는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한다. 단계(820)에서, 타겟 장치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830)에서, 타겟 장치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단계(840)에서, 타겟 장치는 제1 OTP 정보 및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한다. 이 때,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과 인증 서버 사이의 보안 터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고, 제1 OTP 정보는 보안 터널을 통해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그 밖에, 타겟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인증 서버는 단말과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한다. 단계(920)에서, 인증 서버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보안 터널을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단계(930)에서, 인증 서버는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OTP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940)에서, 인증 서버는 제1 OTP 정보를 보안 터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이 때,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과 타겟 장치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제1 OTP 정보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타겟 장치로 전송되고, 타겟 장치의 보안은 제1 OTP 정보 및 타겟 장치에서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다. 그 밖에, 인증 서버의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타겟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서버와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 각각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에 상기 타겟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TP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에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와 상기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가까운 경우 해제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의 내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타겟 장치에 로그인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터널이 존재하는 동안, 상기 근거리 통신 및 상기 보안 터널을 제외한 나머지 루트를 통한 트래픽 전송이 차단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터널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제1 게이트웨이 및 상기 제1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제2 게이트웨이를 연결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는 도어 락, 차량, 계측 장치 및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11.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제1 OTP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인증 서버 사이의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 OTP 정보는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제2 OTP 정보 각각은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 및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되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장치에 등록된 경우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OTP 정보와 상기 제2 OTP 정보가 동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타겟 장치의 내부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타겟 장치에 로그인되는, 타겟 장치의 동작 방법.
  17.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 보안 터널을 확립하는 단계;
    타겟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OTP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OTP 정보를 상기 보안 터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타겟 장치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제1 OTP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타겟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타겟 장치의 보안은 상기 제1 OTP 정보 및 상기 타겟 장치에서 상기 타겟 장치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OTP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되는, 인증 서버의 동작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55150A 2015-11-20 2016-11-21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95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3551 2015-11-20
KR1020150163551 2015-1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17A Division KR101969752B1 (ko) 2015-11-20 2017-10-31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426A true KR20170059426A (ko) 2017-05-30
KR101795451B1 KR101795451B1 (ko) 2017-11-09

Family

ID=5871753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42A KR101795450B1 (ko) 2015-11-20 2016-02-24 보안 터널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60155150A KR101795451B1 (ko) 2015-11-20 2016-11-21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70143662A KR102011763B1 (ko) 2015-11-20 2017-10-31 보안 터널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70143917A KR101969752B1 (ko) 2015-11-20 2017-10-31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42A KR101795450B1 (ko) 2015-11-20 2016-02-24 보안 터널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62A KR102011763B1 (ko) 2015-11-20 2017-10-31 보안 터널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170143917A KR101969752B1 (ko) 2015-11-20 2017-10-31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1795450B1 (ko)
WO (1) WO20170867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712A (ko) * 2017-06-19 2018-12-28 (주)엔에스비욘드 투 채널을 이용하여 로그인 또는 서비스 이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27326B1 (ko) * 2018-11-13 2019-11-14 주식회사 한줌 스마트 단말장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484B1 (ko) 2019-11-28 2020-09-01 주식회사 넷앤드 보안 강화를 위한 일회성 비밀번호 기반 접속 인증 시스템
CN115667944A (zh) * 2020-05-28 2023-01-31 三菱电机株式会社 查表系统、服务器及数据收集程序
KR102236656B1 (ko) * 2020-06-23 2021-04-07 주식회사 이노스코리아 다기능을 가지는 보안 연결을 제공하는 보안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618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일회용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시스템
KR20110038563A (ko) * 2009-10-08 2011-04-14 최운호 운전자 인증을 통한 차량 제어 방법, 차량 단말기, 생체인식 카드 및 시스템과, 생체인식 카드와 단말기를 이용한 탑승자 보호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1926020B1 (ko) * 2011-07-11 2018-12-0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동적 결정된 인증번호를 이용한 결제 운영 시스템
KR101211477B1 (ko) * 2011-08-31 2012-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바일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59546B1 (ko) * 2011-11-04 2013-04-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157770A1 (ko) * 2013-03-26 2014-10-02 주식회사 은광시스템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34147A (ko) * 2015-02-16 2015-04-02 (주)엔텔스 IPSec 프로토콜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IPSec 프로토콜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712A (ko) * 2017-06-19 2018-12-28 (주)엔에스비욘드 투 채널을 이용하여 로그인 또는 서비스 이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27326B1 (ko) * 2018-11-13 2019-11-14 주식회사 한줌 스마트 단말장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510A (ko) 2017-11-10
KR20170124511A (ko) 2017-11-10
WO2017086757A1 (ko) 2017-05-26
KR101795451B1 (ko) 2017-11-09
KR101969752B1 (ko) 2019-04-17
KR20170059359A (ko) 2017-05-30
KR101795450B1 (ko) 2017-11-09
KR102011763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752B1 (ko)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049660B (zh) 证书分发方法、系统、装置及设备、存储介质
CN103477666B (zh) 连接移动设备,连接至互联网的车辆以及云服务
US11706231B1 (en) Distributed ledger for network security management
US201703593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ommunications with internet-of-things devices
KR20180026751A (ko) 자원 구동 동적 권한부여 프레임워크
US20140127994A1 (en) Policy-based resource access via nfc
US20140317708A1 (en) Logi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utomatically generated login information
US10530586B2 (en) Method, hardware and digital certificate for authentication of connected devices
CN107438230A (zh) 安全无线测距
US20180295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ersistent authentication
US95493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CN109995719A (zh) 一种无人机认证方法、系统、无人机监管平台和第一设备
WO2019191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device utiliz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WO2019173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JP2018010449A (ja) スマートロックにおけるスマートロック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Moon et al. Authentications for internet of things security: threats, challenges and studies
US1053645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horizing an action on a self-service system
RU270928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ризации носителя цифрового ключа
US11995931B2 (en) Universal credential
EP3432645A1 (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Ramya et al. Analysis of security issues and possible solu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for home automation system
KR20150119598A (ko) 사물인터넷 보안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2811A (ko) 사용자와 모바일 단말기 및 추가 인스턴스 간의 보안 상호 작용을 위한 방법
KR20210060282A (ko)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이용한 클라우드를 통한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