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62A -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62A
KR20170059362A KR1020160026861A KR20160026861A KR20170059362A KR 20170059362 A KR20170059362 A KR 20170059362A KR 1020160026861 A KR1020160026861 A KR 1020160026861A KR 20160026861 A KR20160026861 A KR 20160026861A KR 20170059362 A KR20170059362 A KR 2017005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light source
present
l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열
백창일
정장윤
Original Assignee
우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산업(주) filed Critical 우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2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362A/ko
Publication of KR2017005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21S48/11
    • F21S48/2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B60Q2500/10
    • F21W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섬유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는 코어, 클래드 및 피복으로 구성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에 빛을 전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는 그 클래드 및 피복이 제거된 제거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전달된 빛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각각으로부터 인출된다.

Description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ILLUMIN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조명으로서 LED 조명의 사용이 일반화 되었다. 예컨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여러 개의 LED가 일렬로 배열된 조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이러한 LED 조명장치가 주간 주행 등으로서 사용된 자동차의 전면부 사진이다.
한편, 이러한 LED 조명은 차량 내부에도 사용되고 있다. 도2는 그 한 예에 관한 사진이다. 여러 개의 LED를 도2에서와 같이 도어트림 공간에 배치하여 차량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도어트림 외에 대시보드 공간에도 다수의 LED를 배치하여 차량 내부를 조명하기도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LED를 활용한 차량 내/외부 조명장치에 있어서는 조명 광원인 LED를 여러 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LED 여러 개 사용하면, LED 개수만큼 비용이 증가한다. 한정된 차량 전력을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경우, 설치되는 여러 개의 LED 하나하나가 발열체가 되므로, 좁은 차량 내 공간에서 무시할 수 없는 열원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LED를 여러 개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개의 LED를 사용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처리된 광섬유로 LED 조명광이 최대한 손실 없이 진입할 수 있으면서도 광원으로부터의 열이 광섬유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섬유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는 코어, 클래드 및 피복으로 구성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에 빛을 전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는 그 클래드 및 피복이 제거된 제거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전달된 빛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각각으로부터 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는,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원 사이에 위치된 오목렌즈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오목렌즈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설치된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은 상기 오목렌즈에서 굴절되어 상기 광섬유를 향하여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은 상호간에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의 크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각각에는 집광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집광 요소의 일단부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지는 제거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집광 요소의 타단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빛샘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집광 요소의 내부는 반사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각각의 크기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상호 간의 간격 및 각각의 크기는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의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차량용 조명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경기술 부분에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LED를 여러 개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개의 LED를 사용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LED를 여러 개 사용하지 않고도, LED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광량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조명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로 LED 조명광이 최대한 손실 없이 진입할 수 있으면서도 광원으로부터의 열이 광섬유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라 여러 개의 LED가 사용된 차량용 주간 주행 등의 사진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라 여러 개의 LED가 사용된 차량 내부 조명등의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에 LED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손실 없이 전달하면서도 열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장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활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광섬유는 석영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유전체(誘電體: 절연체라고도 한다)를 가늘고 길게 뽑아서 만든 섬유로서 그 중심 부분이 적당한 굴절률 분포를 갖도록 해서 빛이 전파되도록 한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섬유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후술하는 피복 및 클래드 제거 처리에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3을 참조하면, 광섬유는 내부로부터 코어, 클래드, 피복으로 구성된다. 코어는 빛이 통과하는 영역이다. 클래드는 코어 내부에서 빛이 전반사 되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층이다. 광섬유에서는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율의 차이로 인해 빛이 전반사 되면서 진행한다. 피복은 광섬유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를 통해 진행하는 빛이 원하는 스팟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광섬유의 복수의 스팟에서 피복과 클래드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의 특정 부분에서 피복과 클래드 층이 제거되면 그 부분에서 전반사 되던 빛이 광섬유 외부로 인출된다. 이는 흡사 거울 뒷면에 있는 반사층을 벗겨내면 그쪽으로 빛이 새어 나오게 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광섬유의 특정 부분의 피복과 클래드 층을 제거함에 있어서 레이저 가공을 시행하면 효과적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레이저 가공은 빛이 가진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공작물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미세한 가공을 시행할 때 쓰이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레이저 가공 방법을 사용하면, 광섬유의 특정 부분의 피복과 클래드 층을 원하는 만큼 용이하게 제거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한 레이저 가공을 시행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섬유의 재질에 따라 기계식 절삭 가공 등으로 광섬유의 피복과 클래드 층을 제거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의 피복과 클래드 층을 제거하면, 그 스팟에서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이 광섬유 외부로 인출되는데, 제거 영역의 크기가 일정하고 그 간격도 일정하면, LED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빛의 손실이 누적되어 피복과 클래드 층이 제거된 제거 영역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광량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점차적인 광량 손실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음의 해결책을 고안하였다.
그 첫번째 실시예가 도4에 도시된다.
도4를 참조하면, LED 광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피복과 클래드 층이 제거된 제거 영역(3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ED 광원(10)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거 영역(30)의 크기가 가장 작으며, LED 광원(10)으로부터 가장 먼 제거 영역(30)의 크기가 가장 크다. 본 실시예에서 제거 영역 상호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4의 실시예에서 제거 영역(30)의 크기가 클수록 당해 스팟을 통해 새어 나갈 수 있는 광량의 크기가 커지므로,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광량 손실을 만회할 수 있다. 도4의 실시예에서, LED 광원(10)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제거 영역(30)의 크기가 커지는 정도는 반드시 선형적일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4의 실시예서는 제거 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광량 손실을 만회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복과 클래드 층이 제거된 각 제거 영역(30)에서 일정한 광량의 빛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일정한 광량의 빛이 점점 더 넓은 영역에서 발산하게 되므로(제거 영역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기 때문), 외부에서 보았을 때 빛이 퍼지는 양상이 점차적으로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여 빛이 퍼지는 양상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광섬유(20)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각 제거 영역(30)마다 빛을 일정하게 모아주는 집광 요소(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집광 요소(40)는 도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집광 요소(40)는 내부가 반사 코팅되도록 실시될 수 있고 그 일단부는 제거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빛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집광 요소(40)를 설치하는 실시예는 광섬유(20)로부터 새어나가는 빛이 퍼지지 않고 일련의 점조명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예컨대 도1의 점조명 형태의 차량 주간 주행 등)에 적합하다. 집광 요소(40)는 도4에 개념적으로 도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크기가 다른 각 제거 영역으로부터 인출되는 빛이 동일한 형태로 광섬유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인출된 빛을 조절하는 요소이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광량 손실에 대처하는 두번째 실시예가 도5에 도시된다.
도5를 참조하면, LED 광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피복과 클래드 층이 제거된 제거 영역(30)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ED 광원(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거 영역(30) 상호 간의 간격이 반드시 선형적으로 좁아질 필요는 없다. 도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단식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며, 선형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계단식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실시형태는, 예컨대, LED 광원(1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처음 10cm에는 제거 영역(30)이 1개가 배치되고, 다음 20cm에는 2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다음 30cm에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은 실시형태를 말한다. 선형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실시형태는, 예컨대, 첫 제거 영역(30)은 LED 광원(10)으로부터 10cm 거리에, 그 다음 제거 영역(30)은 LED 광원(10)으로부터 9cm 거리에, 그 다음 제거 영역(30)은 LED 광원(10)으로부터 8cm 거리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실시형태를 말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각 제거 영역(30)의 크기는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전제한다.
제거 영역(30) 간의 간격을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각 제거 영역(30)으로부터 새어나가는 광량은 LED 광원(1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피할 수는 없지만, LED 광원(10)으로부터의 일정 거리마다 배치되는 제거 영역(30)의 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LED 광원(10)으로부터의 단위 거리 당 광섬유(20)로부터 배출되는 빛의 총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LED 광원(10)으로부터 거리가 0-10cm 사이에는 제거 영역(30)이 1개가 배치되고, 10-20cm 사이에는 제거 영역(30)이 2개가 배치되고, 20-30cm 사이에는 제거 영역(30)이 3개가 배치되도록 실시할 경우, 첫 10cm 구간에 배치된 1개의 제거 영역(30)으로부터 새어나가는 빛의 총량이 다음 10cm 구간에 배치된 2개의 제거 영역(30)으로부터 새어나가는 빛의 총량 및 그 다음 10cm 구간에 배치된 3개의 제거 영역(30)으로부터 새어나가는 빛의 총량과 동일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광섬유(20)로부터 새어나가는 빛이 점조명 형태로 조명되지 않고 분산되는 형태로 조명되어 일정 구간에 걸쳐셔 동일한 광량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예컨대 도2의 구간 조명 형태의 차량 내부 등)에 적합하다.
광량 손실에 대처하는 세번째 실시예가 도6에 도시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섬유(20)를 사이에 두고 양 단부 모두에 LED 광원(10)이 설치된다. 이 때, 제거 영역(30)의 간격은 일정하며, 각 제거 영역(30)의 크기도 일정하다.
왼쪽 LED 광원(10)으로부터 광섬유(20)에 제공되는 빛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광량 손실이 발생한다. 반대로, 오른쪽 LED 광원(10)으로부터 광섬유에 제공되는 빛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갈수록 광량 손실이 발생한다. 이로써 양쪽 LED 광원(10) 각각으로부터의 광량 손실은 상호 상쇄되어,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형성되는 각 제거 영역(30)으로부터 인출되는 빛의 광량은 동일해진다.
도7에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스팟에 조명광을 인출할 수 있도록 처리된 광섬유(20)에 LED 광원(10)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손실 없이 전달하면서 열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명장치 구조가 도시된다.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핵심적인 구성은 광섬유(20)와의 인터페이스 단에 배치된 오목렌즈(50)이다. LED 광원(10)으로부터의 빛은 발산하는 형태로 진행하여 오목렌즈(50) 쪽으로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게 설치된 내부 반사 코팅을 포함하는 리플렉터(60)에 부딪쳐 반사하게 된다. 리플렉터(60)에서 반사된 빛은 도7에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양상으로 오목렌즈(50)를 향하게 된다. 오목렌즈(50)는 리플렉터(6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직진광 형태로 광섬유(20)로 전달한다. 오목렌즈(50) 특성 상 큰 각도로 오목렌즈(50)에 입사한 빛은 많이 굴절되어 직진광 형태로 광섬유(20)에 전달되며, 작은 각도로 오목렌즈(50)에 입사한 빛은 적게 굴절되어 직진광 형태로 광섬유(20)에 전달된다. 리플렉터(60)로부터 오목렌즈(50)로 직진한 빛은 굴절되지 않고 그대로 오목렌즈(50)를 통과하여 직진광 형태로 광섬유(2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리플렉터(60)와 오목렌즈(50)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광손실을 최대한 적게 하면서 광섬유(20)에 직진광을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오목렌즈(50)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추가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는 LED 광원(10)으로부터 발생한 열의 차단이다.
광섬유(20)는 재질에 따라 열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LED 광원(10)으로부터의 열이 직접적으로 광섬유(20)에 전달되는 경우 광섬유(20)의 변형이 발생되어 광섬유(20)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광섬유(20)의 열 변형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 차단요소로서 오목렌즈(50)를 사용한다. 오목렌즈(50)는 광섬유(20)와 LED 광원(1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LED 광원(10)으로부터의 복사 열이 광섬유(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LED 광원(10)을 포함한 조명 장치 내부의 공기가 광섬유(20)에 전달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대류로 인한 열 전달도 차단할 수 있다. 오목렌즈(50)를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선택할 경우, 전도로 인한 열 전달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LED 광원(10)으로부터의 열이 조명장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7에 도시가 생략된 열 배출 개구가 LED 광원(10), 오목렌즈(50) 및 리플렉터(60)를 포함하는 조명 구조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리플랙터(60)는 LED 광원(10)으로부터 소정 위치까지는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오목렌즈(50)에 이르기까지는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섬유(20)와의 인터페이스 부에 리플렉터(60)로부터 반사된 빛이 모일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한, 다양한 리플렉터(60)의 설치 구조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도7은 개념적으로 광섬유(20)와 오목렌즈(50), 리플렉터(60) 및 LED 광원(10)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광섬유(20)와 오목렌즈(50) 사이에 빈 공간 존재하고 있지만, 실제 실시 형태에서는 광섬유(20)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오목렌즈(50), 리플렉터(60) 및 LED 광원(10)을 포함하는 구조와 광섬유(20) 사이를 빈틈없이 에워싸서 광섬유(20)와 상기 구조의 인터페이스 부에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활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먼저, 도8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9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차량 후방의 브레이크 등으로서 활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0에는 장식적인 목적에서 차량의 엠블럼 형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도8 내지 도11의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조명이 선을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LED 광원(10)이 사용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도8 내지 도11의 실시예들에서 모두 LED 광원(10)은 조명이 개시되는 단부에 1개만 사용되거나, 양 단부에 각 1개씩 총 2개만 사용되어도 양호한 선 조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많은 수의 LED 광원(10)이 사용될 수 밖에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광원으로서 모두 LED 광원(10)을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광원으로서 LED 광원(10)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의 사용을 모두 포괄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LED 광원
20: 광섬유
30: 제거 영역
40: 집광 요소
50: 오목렌즈
60: 리플렉터

Claims (1)

  1. 코어, 클래드 및 피복으로 구성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에 빛을 전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는 그 클래드 및 피복이 제거된 제거 영역을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전달된 빛이 상기 복수 개의 제거 영역 각각으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KR1020160026861A 2016-03-07 2016-03-07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KR20170059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61A KR20170059362A (ko) 2016-03-07 2016-03-07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61A KR20170059362A (ko) 2016-03-07 2016-03-07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84A Division KR101612307B1 (ko) 2015-11-20 2015-11-20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62A true KR20170059362A (ko) 2017-05-30

Family

ID=5905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61A KR20170059362A (ko) 2016-03-07 2016-03-07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3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255B2 (en) Lens array, vehicle-lamp lens group using lens array, and vehicle-lamp assembly using vehicle-lamp lens group
US5369554A (en) Illuminator utilizing multiple light guides
US9322970B2 (en) Optical system for coupling light from point light sources into a flat light guide
US6289150B1 (en) Side lighting optical conduit
KR100988621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0988623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JP2016505198A (ja) 投光装置用の光伝導ロッドを備えた投光ユニット
JP7017707B2 (ja) 照明装置
CA2478956C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a co-extruded light pipe
KR101612307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WO2018094242A1 (en) Illum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JP2013093201A (ja) 照明デバイスおよび照明ユニット、ならびに照明装置
US20040202003A1 (en) Selective output wave-guide
KR20170059362A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US20120063160A1 (en) Effiency and quality by applying light extraction means to the collection portion of a linear luminaire
JP3521441B2 (ja) 車両用灯具装置
JP2007505337A (ja) 複数の光透過ロッドを有する導光系
KR100988626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WO2022180298A1 (en) An optical device
CN111566407B (zh) 用于改变光分布的光学装置
CN115427728A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的光引导件以及带有此种光引导件的照明装置
JP2007505447A (ja) 板状の発光素子を有する導光系
WO2015038934A1 (en) Optical coupler for vehicle lighting systems
KR20200101774A (ko) 간접식 광유도 조명장치
CN210511507U (zh) 用于改变光分布的装置、照明器系统和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