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57A - 위궤양 치료용 한약 - Google Patents

위궤양 치료용 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57A
KR20170059357A KR1020160015418A KR20160015418A KR20170059357A KR 20170059357 A KR20170059357 A KR 20170059357A KR 1020160015418 A KR1020160015418 A KR 1020160015418A KR 20160015418 A KR20160015418 A KR 20160015418A KR 20170059357 A KR20170059357 A KR 2017005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andelion
herbal
gastric ul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우 란핑
Original Assignee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5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5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8Reptiles
    • A61K35/583Snakes; Lizards, e.g. chamele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61K36/505Coryda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약의 지속적이고 범용적인 특성과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갖는 위궤양 치료에 적합한 한약은 현호색과 댄덜라이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전통적인 의약 효능과 현대적인 약리학적 연구 성과가 조합된다.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Description

위궤양 치료용 한약 {CHINESE MEDICINE FOR GASTRIC ULCER TREATMENT}
본 발명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에 관한 것이다.
궤양병 또는 소화성 궤양은 통상적인 소화성 질환 중의 하나로서, 식도, 위 또는 십이지장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위-공장 문합 근처 또는 위점막을 포함한 멕켈 게실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은 매우 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위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을 나타낸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은 점막의 펩신과 위산의 자가 소화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위산과 펩신은 실제 궤양병을 일으키는 주 요인들 중 하나에 불과하고, 소화성 궤양은 다른 요인들 때문에도 발병될 수 있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의 병인과 임상 증상은 때로는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 또는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으로서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 궤양병이 위 또는 십이지장에서 발병됨을 이해한다면,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으로 바로 진단될 것이다.
이러한 질병의 주요 증상은 상복부 통증이다. 증상은 상복부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좌측 상복부에서 나타나거나 흉골 및 검상연골 뒤에서 나타난다. 증상은 종종 묵직한 자극, 둔통, 팽만하는 듯한 통증 및 타는 듯한 통증을 동반한다. 위궤양 통증은 흔히 식후 1시간 이내에 나타나며, 1-2시간 후에 점차적으로 경감된다.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듬은 다음 식사 때까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거나, 출혈, 천공 및 기타 합병증이 첫 증상으로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식후에 복부 통증을 경감하고 추가로 위궤양을 치료할 수 있는 한약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약의 지속적이고 범용적인 특성과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갖는 위궤양 치료에 적합한 한약은 현호색과 댄덜라이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전통적인 의약 효능과 현대적인 약리학적 연구 성과가 조합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2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중량부, 감자 6 중량부, 석송 8 중량부, 백개자 4 중량부, 젯소 4 중량부, 가인삼 1 중량부, 및 백작약 1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30 중량부, 댄덜라이온 15 중량부, 감자 7 중량부, 석송 10 중량부, 백개자 6 중량부, 젯소 5 중량부, 가인삼 2 중량부, 및 백작약 2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20 중량부, 감자 8 중량부, 석송 12 중량부, 백개자 8 중량부, 젯소 6 중량부, 가인삼 3 중량부, 및 백작약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뱀 오일 3 내지 8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한약의 제조 방법 및 용법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성분은 중량부로 칭량되고 거즈 백에 포장된다.
상기한 성분을 포장한 거즈 백을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순수에 투입하고, 10분 동안 끓인 후에, 약하게 가열하여 30분 동안 달이고, 이후 용액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킨다.
용액을 여과한 후에 획득되는 상등액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생성물에 해당한다.
사용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로서 환자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둔다. 3번의 코스로 연속 사용한 이후에, 환자는 회복될 수 있다. 이 코스 과정에서 시간에 맞추어 약이 섭취되면, 식후 복통은 효율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에 사용된 성분들의 약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현호색 (Corydalis tuber): 이것 (Corydalis yanhusuo W. T. Wang ex Z. Y. Su et C. Y. Wu)은 들현호색 등으로도 불린다. 현호색은 구상 괴경과 자홍색 꽃잎을 갖는 양귀비과 코리달리스속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즉, 삭과는 원통형이며, 양단이 가늘어진다. 현호색은 여름에 꽃을 피운다. 20가지 종류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유명한 전통 한약으로서의 괴경은 QI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통증을 경감시키고 혈행 정지, 외상성 손상 등을 제거하여 혈액 순환을 활성화시킨다.
댄덜라이온 (Dandelion): 이것 (라틴 학명: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은 복합과 민들레속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그 뿌리는 갈색의 쭈글쭈글한 표면을 갖는 원뿔 모양이고, 엽연은 때로는 파도모양의 돌기를 갖거나 깃털 모양으로 잎이 갈라지며, 그 엽저는 보통 자주색 잎자루 및 주맥을 포함하여 잎자루에서 차츰 가늘어진다. 꽃줄기의 상부는 자홍색이며 촘촘한 흰색 거미집 모양의 연모로 덮여 있다. 즉, 댄덜라이온은 종 모양의 꽃싸개를 갖는 두상꽃차례와 희고 긴 갓털을 갖는 짙은 갈색 수과로 구성되며, 4월에서 10월 사이에 꽃을 피고 열매를 맺는다. 댄덜라이온은 엷은 노란색의 활나물 허브 등으로도 불린다. 댄덜라이온은 복합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댄덜라이온은 두상꽃차례를 가지며, 그 씨앗에는 흰 갓털로 형성된 방울술이 있다.
감자 (Potato): 이것 (학명: Solanum tuberosum)은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며, 감자의 괴경은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감자는 토란 등으로도 불리며, 가지과의 괴경이다.
석송 (Lycopodium clavatum): 포복경은 얇은 원통형으로 약간 휘어지며, 그 길이는 최대 2 m가 될 수 있다. 석송은 1 내지 3 mm의 직경을 가지며 하부에 황백색 뿌리가 있다. 곧은 줄기는 양분되게 갈라진다. 잎사귀는 나선형 배열로 줄기 위에서 촘촘하게 자라며, 수축되고 구부러진다. 잎사귀는 3 내지 5 mm의 길이를 가지며 선형 또는 바늘 모양을 가지며, 연두색에서 황갈색을 나타내고, 까끄라기 형태의 끝부분을 갖고 반들반들하고, 밋밋하며, 부서지기 쉽다. 석송은 담황색 절단 외피와 거의 백색의 목질부를 구비하여 부드러우며, 무취 및 무미이다.
백개자 (Semen brassicae): 이것은 백색 겨자로도 불리며, 라틴명은 세멘 시나피스 (Semen sinapis)이다. 백개자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 식물인 시나피스 알바 엘(Sinapis alba L.)의 건조한 성숙 종자이다. 백개자는 겨자과에 속하며 구체 형태를 갖는다. 표면은 회백색에서 엷은 노란색을 나타내며, 그 기름기 있는 표층은 얇고 단단하다. 백개자는 무취이며 맵다. 백개자는 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젯소 (Gesso): 이것은 종종 백색 또는 무색으로, 무색의 투명한 결정은 셀레나이트라고 불린다. 젯소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때로는 회색, 엷은 노란색, 엷은 갈색 등을 띤다. 젯소는 백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투명하다. 또한, 벽개면상에 유리질 광택, 진주 광택을 나타내며, 섬유 조합체상에 견사 광택을 나타낸다. 거의 완벽한 분열과 이차 분열의 분열 단편은 66 및 114의 표면각을 갖는 다이몬드체로 갈라진다. 젯소는 1.5 내지 2의 경도를 갖기 때문에 단단하다. 또한 방향에 따라 약간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젯소는 일종의 식품 첨가제인 황산칼슘이다.
가인삼 (Pseudo-ginseng): 이것은 한약 명칭이다. 가인삼은 건조한 뿌리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삼칠근(Panax notoginseng (Burk.) F.H.Chen)의 근경이다. 가인삼은 꽃을 피우기 전에 가을에 캐내어서, 세척 후에, 주뿌리, 잔뿌리 및 근경이 분리되고 건조된다. 잔뿌리는 통상 “리브(rib)”로 불리며, 근경은 통상 “전정상구”로 불린다.
백작약 (Radices paeoniae alba): 이것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은 작약의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에 속하는 백화작약 (Paeonia sterniana Fletcher)으로도 불린다. 백작약의 재배 이력은 중국에서 오래되었으며, 백색 작약으로 국내외에서 유명하다. 뿌리는 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백작약은 골짜기의 산림 사면, 관목지 또는 목초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또는 아관목이다. 백작약은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파종된다.
뱀 오일 (Snake oil): 뱀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 리놀레산을 함유한 뱀 오일로, 뛰어난 침투성을 갖는다. 뱀 오일은 내분비교란을 조절하고, 변통시켜 변비를 경감하며, 아름다움을 유지시켜 주고, 피부 노화를 예방하며, 동맥 경화를 예방하고, 부기를 진정시키며, 세균성장을 억제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뱀 오일은 동창, 염증, 화상, 열피, 만성 습진, 발의 백선증, 급성 후부신경절염, 단독, 무좀, 뾰루지, 동맥 경화 예방 등의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문맥으로 광범위하게 구현되는 많은 적용 가능한 창의적인 개념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을 설명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범용적인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한다.
모든 종류의 상기 성분은 시중에서 가공된 물품을 구입함으로써 입수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분말을 얻기 위한 건조 및 분쇄 공정과 같은 종래의 성분 가공방법을 통해서도 입수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가열건조 또는 자연광 건조, 바람직하게는 자연광 건조가 있다. 분쇄 방법은 전통적인 한약 분야에서 이용되는 한약을 분말로 분쇄하기 위한 종래 방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분쇄 조건은 평균 입도가 20 내지 30 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메쉬인 성분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상기한 기술적 제안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제조방법과 용법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성분은 중량부로 칭량되고 거즈 백에 포장된다.
상기 성분을 포장한 거즈 백을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순수에 투입하고, 10분 동안 끓인 후에, 약하게 가열하여 30분 동안 달이고, 이후 용액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킨다.
용액을 여과한 후에 획득되는 상등액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생성물에 해당한다.
사용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로서 환자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둔다. 3번의 코스로 연속 사용한 이후에, 환자는 회복될 수 있다. 이 코스 과정에서 시간에 맞추어 약이 섭취되면, 식후 복통은 효율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5
실시예 1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궤양 치료용 한약 1-5는 하기 표 1에 나열된 비율로 획득된다.
실시예 현호색
(g)
댄덜라이온(g) 감자
(g)
석송
(g)
백개자
(g)
젯소
(g)
가인삼
(g)
백작약
(g)
뱀오일
(g)
실시예 1 20 10 6 8 4 4 1 1 0
실시예 2 30 15 7 10 6 5 2 2 0
실시예 3 40 20 8 12 8 6 3 3 0
실시예 4 30 15 7 10 6 5 2 2 3
실시예 5 40 20 8 12 8 6 3 3 8
실험예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치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1) 선천적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선천적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그룹 효과 (대상자)
X
1 22 4 4
2 23 5 2
3 25 3 2
4 27 2 1
5 26 2 2
(2)생활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생활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그룹 효과(대상자)
×
1 18 9 3
2 20 8 2
3 23 4 3
4 25 4 1
5 22 7 1
(3) 감염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감염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그룹 효과 (대상자)
×
1 17 10 3
2 19 9 2
3 20 6 4
4 25 4 1
5 27 2 1
상기 실험예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고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2.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2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중량부, 감자 6 중량부, 석송 8 중량부, 백개자 4 중량부, 젯소 4 중량부, 가인삼 1 중량부, 및 백작약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3.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30 중량부, 댄덜라이온 15 중량부, 감자 7 중량부, 석송 10 중량부, 백개자 6 중량부, 젯소 5 중량부, 가인삼 2 중량부, 및 백작약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4.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20 중량부, 감자 8 중량부, 석송 12 중량부, 백개자 8 중량부, 젯소 6 중량부, 가인삼 3 중량부, 및 백작약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뱀 오일 3 내지 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KR1020160015418A 2015-11-20 2016-02-11 위궤양 치료용 한약 Withdrawn KR201700593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12672 2015-11-20
CN201510812672.7 2015-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57A true KR20170059357A (ko) 2017-05-30

Family

ID=5869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418A Withdrawn KR20170059357A (ko) 2015-11-20 2016-02-11 위궤양 치료용 한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59357A (ko)
DE (1) DE1020162070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6074A (zh) * 2017-12-28 2018-06-01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蛇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KR20190032836A (ko) * 2017-09-20 2019-03-28 밍츄 리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0998A (zh) * 2018-07-12 2018-10-19 李宝 治疗胃溃疡的膏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36A (ko) * 2017-09-20 2019-03-28 밍츄 리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CN108096074A (zh) * 2017-12-28 2018-06-01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蛇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7005A1 (de)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ssalacqua et al.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folk plant medicine in Calabria region (Southern Italy)
Baumgardner Stinging nettle: the bad, the good, the unknown
KR102151019B1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N104012731A (zh) 一种百香果叶复合茶及其制作方法
KR20170059357A (ko) 위궤양 치료용 한약
Tanwar et al. A review on salient pharmacological feature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bitter melon
CN102886014A (zh) 一种清血消炎的抗肿瘤药物
CN103355444A (zh) 一种健脾补气保健茶膏及制备方法
CN102205022B (zh) 一种治疗真菌感染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20170054967A (ko) 발 백선증 치료를 위한 한약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324280B (zh) 一种治疗鼻咽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DK201670336A1 (en) A Barbados aloe scar eliminating ointment
CN106474230A (zh) 防治美国青蛙歪头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59356A (ko) 장위경련 치료용 고약
CN111265566A (zh) 一种用于治疗骨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436003B (zh) 治疗小儿荨麻疹的中药药浴及其制备方法
CN105147920B (zh) 一种治疗肿瘤的药物及其制作方法
KR102434265B1 (ko)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CN108714167B (zh)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Phillips Nature Gifts
Sachsenmaier A trauma terápiája gyógynövények segítségével a hagyományos allopátiához képest
Afreen Shaikh et al. MEDICINAL IMPORTANCE OF PAPITA (CARICA PAPAYA): A REVIEW
CN104888172B (zh) 治疗过敏性咳嗽的姜葱止咳制剂及应用
CN104208123A (zh) 一种治疗高血压的偏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