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57A - 위궤양 치료용 한약 - Google Patents
위궤양 치료용 한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9357A KR20170059357A KR1020160015418A KR20160015418A KR20170059357A KR 20170059357 A KR20170059357 A KR 20170059357A KR 1020160015418 A KR1020160015418 A KR 1020160015418A KR 20160015418 A KR20160015418 A KR 20160015418A KR 20170059357 A KR20170059357 A KR 201700593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dandelion
- herbal
- gastric ulc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9
- 201000005917 gastric ulcer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2262 Lycopersic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27653 Lycopersicon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82320 Panthera leo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1845 white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2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633628 Lyco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949 Taraxacum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4
- BHUPIKYIGMWGAD-UHFFFAOYSA-N 2-amino-9-(hydroxymethyl)-3-oxophenoxazi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OC3=CC(=O)C(N)=C(C(O)=O)C3=NC2=C1CO BHUPIKYIGMWGAD-UHFFFAOYSA-N 0.000 claims 2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2
- 229930182494 ginsenosid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2
- 244000132059 Carica parviflor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40089161 ginsenoside Drug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0245665 Taraxac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291 postprand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08000008469 Pept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0718 duodenal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18176 Coryd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92 f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11906 peptic ulc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582 sem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0786 Brassica hir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71 Brassica hir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36658 Paeonia lact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98 Paeonia lact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57297 Pepsin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284 Peps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61 Sinap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ato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SGAYBCDTDRGGQ-UHFFFAOYSA-L calc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11 gastric ac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1202 peps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NTGFUMLPSA-N (9Z,12Z)-9,10,12,13-tetratritiooctadeca-9,12-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3H])\[3H])\[3H])\[3H])(=O)O OYHQOLUKZRVURQ-NTGFUMLPSA-N 0.000 description 1
- TVEXGJYMHHTVKP-UHFFFAOYSA-N 6-oxabicyclo[3.2.1]oct-3-en-7-one Chemical compound C1C2C(=O)OC1C=CC2 TVEXGJYMHHTV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63 Brassica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05754 Colocasia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1 Colocasia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30532 Corydalis yanhusu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52 Gouania lupul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292 Gouania lupul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954 Lycopodium clav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28 Meckel diverticul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463 Paeonia ster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0649 Panax not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3 Panax not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81 Panax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53 Papaver somnife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14 Phytopht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1699 Phytosei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06 Rhinoce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92546 Taraxacum mongol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6969 Vitello-intestinal duct rem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930 alkal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72 anastom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13 aquama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44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56 cinnab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43 diges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7 endocrine disrup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56 gastric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QNWZOUAUKGHI-UHFFFAOYSA-N monobenzone Chemical compound C1=CC(O)=CC=C1OCC1=CC=CC=C1 VYQNWZOUAU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754 petechia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69 selen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MCAHWIHFGHIESP-UHFFFAOYSA-L selenite(2-) Chemical compound [O-][Se]([O-])=O MCAHWIHFGHIES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62 stern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7 taste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6 traumatic inju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8—Reptiles
- A61K35/583—Snakes; Lizards, e.g. chamele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61K36/505—Corydal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약의 지속적이고 범용적인 특성과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갖는 위궤양 치료에 적합한 한약은 현호색과 댄덜라이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전통적인 의약 효능과 현대적인 약리학적 연구 성과가 조합된다.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에 관한 것이다.
궤양병 또는 소화성 궤양은 통상적인 소화성 질환 중의 하나로서, 식도, 위 또는 십이지장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위-공장 문합 근처 또는 위점막을 포함한 멕켈 게실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은 매우 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위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을 나타낸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은 점막의 펩신과 위산의 자가 소화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위산과 펩신은 실제 궤양병을 일으키는 주 요인들 중 하나에 불과하고, 소화성 궤양은 다른 요인들 때문에도 발병될 수 있다.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의 병인과 임상 증상은 때로는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 또는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으로서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 궤양병이 위 또는 십이지장에서 발병됨을 이해한다면,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으로 바로 진단될 것이다.
이러한 질병의 주요 증상은 상복부 통증이다. 증상은 상복부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좌측 상복부에서 나타나거나 흉골 및 검상연골 뒤에서 나타난다. 증상은 종종 묵직한 자극, 둔통, 팽만하는 듯한 통증 및 타는 듯한 통증을 동반한다. 위궤양 통증은 흔히 식후 1시간 이내에 나타나며, 1-2시간 후에 점차적으로 경감된다.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듬은 다음 식사 때까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거나, 출혈, 천공 및 기타 합병증이 첫 증상으로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식후에 복부 통증을 경감하고 추가로 위궤양을 치료할 수 있는 한약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약의 지속적이고 범용적인 특성과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갖는 위궤양 치료에 적합한 한약은 현호색과 댄덜라이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전통적인 의약 효능과 현대적인 약리학적 연구 성과가 조합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2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중량부, 감자 6 중량부, 석송 8 중량부, 백개자 4 중량부, 젯소 4 중량부, 가인삼 1 중량부, 및 백작약 1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30 중량부, 댄덜라이온 15 중량부, 감자 7 중량부, 석송 10 중량부, 백개자 6 중량부, 젯소 5 중량부, 가인삼 2 중량부, 및 백작약 2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현호색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20 중량부, 감자 8 중량부, 석송 12 중량부, 백개자 8 중량부, 젯소 6 중량부, 가인삼 3 중량부, 및 백작약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뱀 오일 3 내지 8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한약의 제조 방법 및 용법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성분은 중량부로 칭량되고 거즈 백에 포장된다.
상기한 성분을 포장한 거즈 백을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순수에 투입하고, 10분 동안 끓인 후에, 약하게 가열하여 30분 동안 달이고, 이후 용액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킨다.
용액을 여과한 후에 획득되는 상등액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생성물에 해당한다.
사용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로서 환자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둔다. 3번의 코스로 연속 사용한 이후에, 환자는 회복될 수 있다. 이 코스 과정에서 시간에 맞추어 약이 섭취되면, 식후 복통은 효율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에 사용된 성분들의 약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현호색 (Corydalis tuber): 이것 (Corydalis yanhusuo W. T. Wang ex Z. Y. Su et C. Y. Wu)은 들현호색 등으로도 불린다. 현호색은 구상 괴경과 자홍색 꽃잎을 갖는 양귀비과 코리달리스속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즉, 삭과는 원통형이며, 양단이 가늘어진다. 현호색은 여름에 꽃을 피운다. 20가지 종류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유명한 전통 한약으로서의 괴경은 QI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통증을 경감시키고 혈행 정지, 외상성 손상 등을 제거하여 혈액 순환을 활성화시킨다.
댄덜라이온 (Dandelion): 이것 (라틴 학명: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은 복합과 민들레속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그 뿌리는 갈색의 쭈글쭈글한 표면을 갖는 원뿔 모양이고, 엽연은 때로는 파도모양의 돌기를 갖거나 깃털 모양으로 잎이 갈라지며, 그 엽저는 보통 자주색 잎자루 및 주맥을 포함하여 잎자루에서 차츰 가늘어진다. 꽃줄기의 상부는 자홍색이며 촘촘한 흰색 거미집 모양의 연모로 덮여 있다. 즉, 댄덜라이온은 종 모양의 꽃싸개를 갖는 두상꽃차례와 희고 긴 갓털을 갖는 짙은 갈색 수과로 구성되며, 4월에서 10월 사이에 꽃을 피고 열매를 맺는다. 댄덜라이온은 엷은 노란색의 활나물 허브 등으로도 불린다. 댄덜라이온은 복합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댄덜라이온은 두상꽃차례를 가지며, 그 씨앗에는 흰 갓털로 형성된 방울술이 있다.
감자 (Potato): 이것 (학명: Solanum tuberosum)은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며, 감자의 괴경은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감자는 토란 등으로도 불리며, 가지과의 괴경이다.
석송 (Lycopodium clavatum): 포복경은 얇은 원통형으로 약간 휘어지며, 그 길이는 최대 2 m가 될 수 있다. 석송은 1 내지 3 mm의 직경을 가지며 하부에 황백색 뿌리가 있다. 곧은 줄기는 양분되게 갈라진다. 잎사귀는 나선형 배열로 줄기 위에서 촘촘하게 자라며, 수축되고 구부러진다. 잎사귀는 3 내지 5 mm의 길이를 가지며 선형 또는 바늘 모양을 가지며, 연두색에서 황갈색을 나타내고, 까끄라기 형태의 끝부분을 갖고 반들반들하고, 밋밋하며, 부서지기 쉽다. 석송은 담황색 절단 외피와 거의 백색의 목질부를 구비하여 부드러우며, 무취 및 무미이다.
백개자 (Semen brassicae): 이것은 백색 겨자로도 불리며, 라틴명은 세멘 시나피스 (Semen sinapis)이다. 백개자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 식물인 시나피스 알바 엘(Sinapis alba L.)의 건조한 성숙 종자이다. 백개자는 겨자과에 속하며 구체 형태를 갖는다. 표면은 회백색에서 엷은 노란색을 나타내며, 그 기름기 있는 표층은 얇고 단단하다. 백개자는 무취이며 맵다. 백개자는 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젯소 (Gesso): 이것은 종종 백색 또는 무색으로, 무색의 투명한 결정은 셀레나이트라고 불린다. 젯소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때로는 회색, 엷은 노란색, 엷은 갈색 등을 띤다. 젯소는 백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투명하다. 또한, 벽개면상에 유리질 광택, 진주 광택을 나타내며, 섬유 조합체상에 견사 광택을 나타낸다. 거의 완벽한 분열과 이차 분열의 분열 단편은 66 및 114의 표면각을 갖는 다이몬드체로 갈라진다. 젯소는 1.5 내지 2의 경도를 갖기 때문에 단단하다. 또한 방향에 따라 약간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젯소는 일종의 식품 첨가제인 황산칼슘이다.
가인삼 (Pseudo-ginseng): 이것은 한약 명칭이다. 가인삼은 건조한 뿌리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삼칠근(Panax notoginseng (Burk.) F.H.Chen)의 근경이다. 가인삼은 꽃을 피우기 전에 가을에 캐내어서, 세척 후에, 주뿌리, 잔뿌리 및 근경이 분리되고 건조된다. 잔뿌리는 통상 “리브(rib)”로 불리며, 근경은 통상 “전정상구”로 불린다.
백작약 (Radices paeoniae alba): 이것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은 작약의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에 속하는 백화작약 (Paeonia sterniana Fletcher)으로도 불린다. 백작약의 재배 이력은 중국에서 오래되었으며, 백색 작약으로 국내외에서 유명하다. 뿌리는 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백작약은 골짜기의 산림 사면, 관목지 또는 목초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또는 아관목이다. 백작약은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파종된다.
뱀 오일 (Snake oil): 뱀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 리놀레산을 함유한 뱀 오일로, 뛰어난 침투성을 갖는다. 뱀 오일은 내분비교란을 조절하고, 변통시켜 변비를 경감하며, 아름다움을 유지시켜 주고, 피부 노화를 예방하며, 동맥 경화를 예방하고, 부기를 진정시키며, 세균성장을 억제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뱀 오일은 동창, 염증, 화상, 열피, 만성 습진, 발의 백선증, 급성 후부신경절염, 단독, 무좀, 뾰루지, 동맥 경화 예방 등의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문맥으로 광범위하게 구현되는 많은 적용 가능한 창의적인 개념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을 설명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범용적인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제공한다.
모든 종류의 상기 성분은 시중에서 가공된 물품을 구입함으로써 입수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분말을 얻기 위한 건조 및 분쇄 공정과 같은 종래의 성분 가공방법을 통해서도 입수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가열건조 또는 자연광 건조, 바람직하게는 자연광 건조가 있다. 분쇄 방법은 전통적인 한약 분야에서 이용되는 한약을 분말로 분쇄하기 위한 종래 방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분쇄 조건은 평균 입도가 20 내지 30 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메쉬인 성분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위궤양으로 인한 식후 복통을 빠르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
상기한 기술적 제안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제조방법과 용법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성분은 중량부로 칭량되고 거즈 백에 포장된다.
상기 성분을 포장한 거즈 백을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순수에 투입하고, 10분 동안 끓인 후에, 약하게 가열하여 30분 동안 달이고, 이후 용액을 상온으로 자연 냉각시킨다.
용액을 여과한 후에 획득되는 상등액은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생성물에 해당한다.
사용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로서 환자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둔다. 3번의 코스로 연속 사용한 이후에, 환자는 회복될 수 있다. 이 코스 과정에서 시간에 맞추어 약이 섭취되면, 식후 복통은 효율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5
실시예 1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궤양 치료용 한약 1-5는 하기 표 1에 나열된 비율로 획득된다.
실시예 | 현호색 (g) |
댄덜라이온(g) | 감자 (g) |
석송 (g) |
백개자 (g) |
젯소 (g) |
가인삼 (g) |
백작약 (g) |
뱀오일 (g) |
실시예 1 | 20 | 10 | 6 | 8 | 4 | 4 | 1 | 1 | 0 |
실시예 2 | 30 | 15 | 7 | 10 | 6 | 5 | 2 | 2 | 0 |
실시예 3 | 40 | 20 | 8 | 12 | 8 | 6 | 3 | 3 | 0 |
실시예 4 | 30 | 15 | 7 | 10 | 6 | 5 | 2 | 2 | 3 |
실시예 5 | 40 | 20 | 8 | 12 | 8 | 6 | 3 | 3 | 8 |
실험예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의 치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1) 선천적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선천적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그룹 | 효과 (대상자) | ||
○ | △ | X | |
1 | 22 | 4 | 4 |
2 | 23 | 5 | 2 |
3 | 25 | 3 | 2 |
4 | 27 | 2 | 1 |
5 | 26 | 2 | 2 |
(2)생활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생활 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그룹 | 효과(대상자) | ||
○ | △ | × | |
1 | 18 | 9 | 3 |
2 | 20 | 8 | 2 |
3 | 23 | 4 | 3 |
4 | 25 | 4 | 1 |
5 | 22 | 7 | 1 |
(3) 감염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 개선
감염요인으로 발병된 위궤양을 앓고 있는 30세 내지 55세의 남성 및 여성 환자 150명이 선발되었고, 5개 그룹(각 그룹 당 30명)으로 무작위로 구분되었다. 5개 그룹의 사람들은 하나의 코스로서 위궤양 치료용 한약 70 ml를 3일 동안 하루에 3번 섭취하고, 다음 코스의 간격은 하루를 두었다. 그 효과가 한약 사용 전과 비교해서 3번의 코스의 연속 사용 이후에 관찰되었고, 어떠한 증상도 없는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이 명백히 경감된 대상자는 △로 표시되었다. 증상 개선이 거의 없는 대상자는 X로 표시되었으며, 치료 효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그룹 | 효과 (대상자) | ||
○ | △ | × | |
1 | 17 | 10 | 3 |
2 | 19 | 9 | 2 |
3 | 20 | 6 | 4 |
4 | 25 | 4 | 1 |
5 | 27 | 2 | 1 |
상기 실험예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위궤양 치료용 한약은 식후 복통을 경감시키고 위궤양 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Claims (5)
- 현호색 20 내지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내지 20 중량부, 감자 6 내지 8 중량부, 석송 8 내지 12 중량부, 백개자 4 내지 8 중량부, 젯소 4 내지 6 중량부, 가인삼 1 내지 3 중량부, 및 백작약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20 중량부, 댄덜라이온 10 중량부, 감자 6 중량부, 석송 8 중량부, 백개자 4 중량부, 젯소 4 중량부, 가인삼 1 중량부, 및 백작약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30 중량부, 댄덜라이온 15 중량부, 감자 7 중량부, 석송 10 중량부, 백개자 6 중량부, 젯소 5 중량부, 가인삼 2 중량부, 및 백작약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 제 1 항에 있어서,
현호색 40 중량부, 댄덜라이온 20 중량부, 감자 8 중량부, 석송 12 중량부, 백개자 8 중량부, 젯소 6 중량부, 가인삼 3 중량부, 및 백작약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뱀 오일 3 내지 8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궤양 치료용 한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812672 | 2015-11-20 | ||
CN201510812672.7 | 2015-1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357A true KR20170059357A (ko) | 2017-05-30 |
Family
ID=5869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5418A Withdrawn KR20170059357A (ko) | 2015-11-20 | 2016-02-11 | 위궤양 치료용 한약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9357A (ko) |
DE (1) | DE10201620700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96074A (zh) * | 2017-12-28 | 2018-06-01 |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蛇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
KR20190032836A (ko) * | 2017-09-20 | 2019-03-28 | 밍츄 리 |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0998A (zh) * | 2018-07-12 | 2018-10-19 | 李宝 | 治疗胃溃疡的膏药 |
-
2016
- 2016-02-11 KR KR1020160015418A patent/KR2017005935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04-26 DE DE102016207005.3A patent/DE102016207005A1/de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2836A (ko) * | 2017-09-20 | 2019-03-28 | 밍츄 리 |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
CN108096074A (zh) * | 2017-12-28 | 2018-06-01 | 江苏隆力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蛇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6207005A1 (de) | 2017-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assalacqua et al. |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folk plant medicine in Calabria region (Southern Italy) | |
Baumgardner | Stinging nettle: the bad, the good, the unknown | |
KR102151019B1 (ko) |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 |
CN104012731A (zh) | 一种百香果叶复合茶及其制作方法 | |
KR20170059357A (ko) | 위궤양 치료용 한약 | |
Tanwar et al. | A review on salient pharmacological feature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bitter melon | |
CN102886014A (zh) | 一种清血消炎的抗肿瘤药物 | |
CN103355444A (zh) | 一种健脾补气保健茶膏及制备方法 | |
CN102205022B (zh) | 一种治疗真菌感染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
CN110652552A (zh) |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 |
KR20170054967A (ko) | 발 백선증 치료를 위한 한약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4324280B (zh) | 一种治疗鼻咽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DK201670336A1 (en) | A Barbados aloe scar eliminating ointment | |
CN106474230A (zh) | 防治美国青蛙歪头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20170059356A (ko) | 장위경련 치료용 고약 | |
CN111265566A (zh) | 一种用于治疗骨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4436003B (zh) | 治疗小儿荨麻疹的中药药浴及其制备方法 | |
CN105147920B (zh) | 一种治疗肿瘤的药物及其制作方法 | |
KR102434265B1 (ko) |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 |
CN108714167B (zh) |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 |
Phillips | Nature Gifts | |
Sachsenmaier | A trauma terápiája gyógynövények segítségével a hagyományos allopátiához képest | |
Afreen Shaikh et al. | MEDICINAL IMPORTANCE OF PAPITA (CARICA PAPAYA): A REVIEW | |
CN104888172B (zh) | 治疗过敏性咳嗽的姜葱止咳制剂及应用 | |
CN104208123A (zh) | 一种治疗高血压的偏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