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06A -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06A
KR20170059306A KR1020150163535A KR20150163535A KR20170059306A KR 20170059306 A KR20170059306 A KR 20170059306A KR 1020150163535 A KR1020150163535 A KR 1020150163535A KR 20150163535 A KR20150163535 A KR 20150163535A KR 20170059306 A KR20170059306 A KR 2017005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mplifier
terminal
res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예은
Original Assignee
안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예은 filed Critical 안예은
Priority to KR102015016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306A/ko
Publication of KR2017005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4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사정에 알맞은 기술적 해법을 제시하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일환으로, 의료 낙후 지역에 거주하는 피측정자들의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원거리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측정자 측에 구비되며, 심전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체온, 혈당량, 기초대사량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조도, 습도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피측정자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수집하는 진단유닛과,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진료서버와, 진료자 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료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로드하는 진료단말기와, 상기 진단유닛, 진료서버 및 진료단말기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REMOTE MEDICAL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 사정에 알맞은 기술적 해법을 제시하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일환으로, 의료 낙후 지역에 거주하는 피측정자들의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원거리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란 개발도상국이나 의료 낙후 지역과 같은 낙후된 지역 또는 소외된 계층을 배려하여 만들어진 기술로, 첨단 기술보다 해당 지역의 환경이나 경제, 사회 여건에 맞도록 만들어진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적정기술은 많은 비용이 들지 않고, 누구나 쉽게 배워서 쓸 수 있으며,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 기술이다.
또한 이런 적정기술은 인간의 삶에 반드시 필요한 공기, 식수, 빛, 전기 등과 같이 삶의 필수적인 요소에 직결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데, 낙후 지역에 공통적으로 부족하고 인간의 삶과 직결된 요소 중 하나로 우리는 의료 분야를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의료 낙후 지역에서는 간단한 진료와 처방을 통해 회복될 수 있는 환자들도 적시에 적절한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망에까지 이르는 비극이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파견 의료 봉사만으로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의해 낙후 지역의 환자들에게 적절한 진료를 제공하기가 어렵고, 또한 해당 지역의 기술과 장비로는 적절한 진료를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으로 환자를 진료하고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4-0128630호 (2014년11월06일) [원격 치료 시스템 및 환자 단말](종래기술1), 공개특허 제10-2015-0088028호 (2015년07월31일)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종래기술2) 등이 있다.
종래기술1에서는 의료진이 원격지의 환자의 상지 재활 및 언어 치료 훈련 및 치료 훈련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원격 치료 시스템 및 환자 단말을 제공하고 있고, 종래기술2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진단 기기를 네트워크 기반의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시키고, 환자의 진단 결과 및 진료 행위를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 내 단말기에 전송하여,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진료를 실시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 낙후 지역에서 발병하는 질병의 종류를 감안할 때 보다 복합적인 피측정자의 신체정보 측정이 필요하고, 더불어 해당 지역의 기후 조건에 맞는 처방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환자와 직접 문진이 원격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고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복합적인 신체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지역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되, 추가적으로 데이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환자와 직접 대면 및 대화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측정 장비, 즉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제약을 해소하여 해당 지역의 장비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 원격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피측정자 측에 구비되며, 심전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체온, 혈당량, 기초대사량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조도, 습도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피측정자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수집하는 진단유닛과,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진료서버와, 진료자 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료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로드하는 진료단말기와, 상기 진단유닛, 진료서버 및 진료단말기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단유닛은 입력수단, 출력수단 및,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한 메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 연결되고 양극(+)(-) 리드선, 기준선 및,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심전도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 연결되고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핑거센서 또는 귀 부위에 착용되는 이어센서로 이루어진 산소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혈압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체온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광센서를 구비한 혈당측정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단유닛은 상기 신체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의 수집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R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2) 및 저항(R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3)(R4) 및 캐패시터(C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3)(R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 일단은 상기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7), 일단은 상기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8) 및 캐패시터(C4), 상기 앰프(A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0) 및, 상기 앰프(A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9) 및 캐패시터(C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2), 상기 앰프(A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6), 이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 상기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2) 및 캐패시터(C7) 및, 상기 앰프(A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3) 및 캐패시터(C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7) 및 캐패시터(C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2)가 연결된 제1비교기(A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6) 및 캐패시터(C9)가 연결된 제2비교기(A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3) 및 제2비교기(A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D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8)과 역방향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5), 제2앰프(A6), 트랜지스터(Q2), 다수의 저항(R19 내지 R26) 및, 캐패시터(C11 내지 C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20) 및 캐패시터(C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출력단과 제2앰프(A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는 저항(R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24) 및 캐패시터(C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25)(R26) 및 캐패시터(C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다양한 신체정보, 해당 지역의 환경정보, 그리고 환자와의 문진, 이 종합적인 정보를 통해 복합적이고 정확한 진료를 수행함으로써, 의료 낙후 지역에 의료 퀄리티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의 연결에 대한 제약을 극복하여 해당 지역의 장비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 원격 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단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 사정에 알맞은 기술적 해법을 제시하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일환으로, 의료 낙후 지역에 거주하는 피측정자들의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원거리에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M))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은 피측정자(환자) 측에 구비되는 진단유닛(1),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진료서버(2), 진료자(의사) 측에 구비되는 진료단말기(3), 그리고 각 구성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통신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먼저 진단유닛(1)은 피측정자의 신체정보, 피측정자의 주변 환경정보, 그리고 화상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에서 신체정보는 피측정자의 심전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체온, 혈당량, 기초대사량 중 일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환경정보는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조도, 습도 중 일 이상을 포함한다. 아울러 화상정보는 피측정자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진단유닛(1)은 별도의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현재 개발도상국 및 발전 낙후 지역에 점차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진료서버(2)는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데이터로 통칭)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구성으로, 진단유닛(1)과 진료단말기(3) 간의 정보 전송을 중계하고, 상기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백업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물론 진단유닛(1)과 진료단말기(3)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데이터 용량 과부하 문제를 고려할 때 이러한 진료서버(2)를 구비하여 진단유닛(1)과 진료단말기(3)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진료단말기(3)는 진료서버(2)에 접속하여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로드하는 구성으로, 진료자가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진료단말기(3)는 진료자의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수단(4)은 진단유닛(1), 진료서버(2) 및 진료단말기(3)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r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또는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피티피(WiFiPTP), 와이맥스(WiMax), 씨디엠에이(CDMA), 엘티이(LTE) 등과 같은 원거리 무선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수단(4)은 해당 지역에 따라 또는 각 구성 간의 거리 조건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알맞게 선택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시스템(M)은 개발도상국, 의료 낙후 지역(해당 지역)의 환자들을 원격으로 진료하고 적절한 처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적 제약에 있어서 자유롭고, 더불어 해당 지역에 진단유닛(1)을 보급함으로써 장비 및 시설이 구비되지 않아도 환자에 대한 충분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환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고, 나아가 원거리에서도 환자와 직접 대면 및 대화가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문진을 통한 진료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진단유닛(1)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유닛(1)은 입력수단(11), 출력수단(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수단(11)은 터치패드, 버튼, 숫자 키, 마이크,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출력수단(12)은 LCD, TFT, 기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선택사항에 불과한 것이다.
진단유닛(1)은 이러한 입력수단(11)을 통해 피측정자의 기초대사량 값을 입력받거나 또는 피측정자와 진료자의 대면 문진이 가능하도록 피측정자의 얼굴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다.
또한 출력수단(12)을 통해 진료자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또한 진료 결과 등을 출력하여 환자 본인의 상태나 진료 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입력수단(11)은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조도, 습도 등 환경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각 종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입력수단(11) 및 출력수단(12)에 관한 실시는 그 설명을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의 진단유닛(1)은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한 메인보드(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하는 메인보드(10)는 오픈 소스를 지향하기 때문에 주변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문에 상기한 입력수단(11) 및 출력수단(12)을 구비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고, 또한 후술하는 심전도측정파트(13), 산소측정파트(14), 혈압측정파트(15), 체온측정파트(16), 혈당측정파트(17)를 구비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는다.
특히 본 시스템(M)이 적정기술로써 활용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개발도상국 또는 낙후지역과 같은 지역에는 첨단 기술 및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주변기기 연결에서의 확장성'이 중요한 이슈로 작용할 수 있고, 이에 아누이노를 기반으로 하는 메인보드(10)의 의미는 보다 중요하게 자리 매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M)의 진단유닛(1)은 심전도측정파트(13), 산소측정파트(14), 혈압측정파트(15), 체온측정파트(16), 혈당측정파트(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각 파트의 구비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체온, 혈당 등을 측정하여, 복합적이고 다각도적인 진단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학하게 파악하고, 화상정보를 통한 문진을 통해 진료의 오차를 줄이고, 이를 통해 고품질의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파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전도측정파트(13)는 메인보드(10) 연결되고 양극(+)(-) 리드선, 기준선 및,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피측정자의 피부 표면에서 심장에 흐르는 전기신호의 파형을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산소측정파트(14)는 메인보드(10) 연결되고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핑거센서 또는 귀 부위에 착용되는 이어센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동맥혈의 산소량과 최대용존산소량의 비율을 산출하여 진료자에게 제공한다.
혈압측정파트(15)는 메인보드(10)에 연결되고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피측정자의 혈압 상태를 측정한다.
체온측정파트(16)는 메인보드(10)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피측정자의 현재 체온을 측정한다.
혈당측정파트(17)는 메인보드(10)에 연결되고 광센서를 구비한 구성으로, 광센서를 통해 피측정자의 혈액을 시험지(효소)와 반응시켜 변화한 색을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혈당량을 산출한다.
한편, 진단유닛(1)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R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2) 및 저항(R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3)(R4) 및 캐패시터(C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3)(R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 내지 R6)과 캐패시터(C1 내지 C3)는 트랜지스터(Q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와, 일단은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7), 일단은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8) 및 캐패시터(C4), 앰프(A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0), 그리고 앰프(A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9) 및 캐패시터(C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2)와, 앰프(A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6), 이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 상기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2) 및 캐패시터(C7), 그리고 앰프(A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3) 및 캐패시터(C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3) 및 제2비교기(A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7) 및 캐패시터(C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2)와 제2비교기(A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4)의 (+)단은 제1비교기(A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6) 및 캐패시터(C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5)(R17) 및 캐패시터(C10), 제2비교기(A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4)(R16) 및 캐패시터(C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6)(R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3) 및 제2비교기(A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D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8)과 역방향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5), 제2앰프(A6) 및 트랜지스터(Q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9 내지 R26) 및 캐패시터(C11 내지 C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20) 및 캐패시터(C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5)의 출력단과 제2앰프(A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6)의 (-)단에는 저항(R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24) 및 캐패시터(C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25)(R26) 및 캐패시터(C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5) 및 제2앰프(A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5)와 제2앰프(A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6)의 (-)단에 연결된 저항(R22)(R23)(R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27) 및 캐패시터(C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27) 및 캐패시터(C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5) 및 다이오드(D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Q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28 내지 R35) 및 캐패시터(C16, C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28)(R29)(R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29)(R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7)의 (+)단은 두개의 저항(R29)(R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7)의 (-)단에는 캐패시터(C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31)(R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31)(R32) 중 하나(R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6)는 두개의 저항(R31)(R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Q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3)와 앰프(A7) 사이에는 저항(R33)이 구비되어 앰프(A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Q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34)(R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31)(R32) 및 캐패시터(C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28)(R29)(R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3)와 제2트랜지스터(Q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3) 및 제2트랜지스터(Q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4 내지 C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외 특징 및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 부분이 존재하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인 바, 생략된 부분은 통상의 기술자의 판단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시스템
1: 진단유닛 2: 진료서버
3: 진료단말기 4: 통신수단
5: 신호생성수단

Claims (4)

  1. 피측정자 측에 구비되며, 심전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체온, 혈당량, 기초대사량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조도, 습도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피측정자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수집하는 진단유닛;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진료서버;
    진료자 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료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로드하는 진료단말기; 및
    상기 진단유닛, 진료서버 및 진료단말기 간의 정보 전송을 제공하는 통신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격 진료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유닛은 입력수단, 출력수단 및, 아두이노(Arduino)를 기반으로 한 메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 연결되고 양극(+)(-) 리드선, 기준선 및,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심전도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 연결되고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핑거센서 또는 귀 부위에 착용되는 이어센서로 이루어진 산소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혈압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체온측정파트,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고 광센서를 구비한 혈당측정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유닛은
    상기 신체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화상정보의 수집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R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2) 및 저항(R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3)(R4) 및 캐패시터(C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3)(R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 일단은 상기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7), 일단은 상기 앰프(A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8) 및 캐패시터(C4), 상기 앰프(A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0) 및, 상기 앰프(A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9) 및 캐패시터(C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2), 상기 앰프(A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6), 이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 상기 캐패시터(C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2) 및 캐패시터(C7) 및, 상기 앰프(A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3) 및 캐패시터(C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7) 및 캐패시터(C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2)가 연결된 제1비교기(A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6) 및 캐패시터(C9)가 연결된 제2비교기(A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3) 및 제2비교기(A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D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8)과 역방향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5), 제2앰프(A6), 트랜지스터(Q2), 다수의 저항(R19 내지 R26) 및, 캐패시터(C11 내지 C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20) 및 캐패시터(C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5)의 출력단과 제2앰프(A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는 저항(R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24) 및 캐패시터(C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25)(R26) 및 캐패시터(C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시스템.
KR1020150163535A 2015-11-20 2015-11-20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KR20170059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35A KR20170059306A (ko) 2015-11-20 2015-11-20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35A KR20170059306A (ko) 2015-11-20 2015-11-20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06A true KR20170059306A (ko) 2017-05-30

Family

ID=5905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35A KR20170059306A (ko) 2015-11-20 2015-11-20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3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3867U1 (ru) * 2018-04-25 2018-10-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сихофиз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оператора
CN109394213A (zh) * 2018-08-31 2019-03-01 重庆三峡医药高等专科学校附属医院 智能诊疗系统
RU187967U1 (ru) * 2018-01-24 2019-03-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мпания "ЭЛТА" Портативн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кардиорегистратор-монитор
WO2020096165A1 (ko) * 2018-11-09 2020-05-14 한국과학기술원 2 전극 기반 심전도 측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A036705B1 (ru) * 2018-01-24 2020-12-10 Ооо "Компания "Элта" Портативн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кардиорегистратор-монитор
WO2021025260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방법
RU202777U1 (ru) * 2020-12-01 2021-03-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сихофиз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оператор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7967U1 (ru) * 2018-01-24 2019-03-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мпания "ЭЛТА" Портативн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кардиорегистратор-монитор
EA036705B1 (ru) * 2018-01-24 2020-12-10 Ооо "Компания "Элта" Портативны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кардиорегистратор-монитор
RU183867U1 (ru) * 2018-04-25 2018-10-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сихофиз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оператора
CN109394213A (zh) * 2018-08-31 2019-03-01 重庆三峡医药高等专科学校附属医院 智能诊疗系统
CN109394213B (zh) * 2018-08-31 2024-02-27 重庆三峡医药高等专科学校附属医院 智能诊疗系统
WO2020096165A1 (ko) * 2018-11-09 2020-05-14 한국과학기술원 2 전극 기반 심전도 측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3984A (ko) * 2018-11-09 2020-05-19 한국과학기술원 2 전극 기반 심전도 측정 장치
WO2021025260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방법
JP2022541810A (ja) * 2019-08-07 2022-09-27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生体情報測定データのノイズ処理方法
RU202777U1 (ru) * 2020-12-01 2021-03-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сихофиз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операто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9306A (ko) 신체정보, 환경정보 및 화상정보 수집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
Kumar et al. Android 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KR1023090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Gurjar et al. Heart attack detection by heartbeat sensing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JP3196916U (ja) メディカルケア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端末
US20090259138A1 (en) Automatic bio-signal supervising system for medical care
CN104095624A (zh) 一种血压计及其监护系统
CN203153715U (zh) 多参数远程医疗监护系统
CN206434308U (zh) 一种生命体征监测系统
KR101042565B1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CN104739424A (zh) 一种无线可穿戴式血氧监护系统
CN104665777A (zh) 一种人体体温实时监测系统
JP5897960B2 (ja) 院内報知システム
Sneha et al. A wireless based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Android technology
Ahammed et al. An iot-based real-time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WO2020003715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Kassem et al. Asthma care apps
CN101009035A (zh) 一种利用无线网络收集生理指标数据的方法
US20230140188A1 (en)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patient monitoring data
Lin et al. A mobile intelligent blood pressure monitor based on the android smartphone
KR101459651B1 (ko) 심장박동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00568A (ja) バイオテレメトリーシステム
CN104921705A (zh) 物联网智能监护仪
Petrellis et al. Power saving issues in a low cost eHealth sensor controller
Hasan et al.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human health using g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