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736A -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736A
KR20170058736A KR1020150162725A KR20150162725A KR20170058736A KR 20170058736 A KR20170058736 A KR 20170058736A KR 1020150162725 A KR1020150162725 A KR 1020150162725A KR 20150162725 A KR20150162725 A KR 20150162725A KR 20170058736 A KR20170058736 A KR 2017005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receipt
receipt
audible frequency
frequency signal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107B1 (ko
Inventor
최민
정원용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06Q20/04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은, 현금 결제 및 신용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사항에 대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을 기설정된 비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에 따라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Speaker)로 출력하는 매장 단말; 및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Receipt}
본 발명은 전자 영수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편리한 다양한 모바일결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결제 단말기에 터치하거나 화면에 표출된 바코드를 제시하여 가격 할인, 포인트 적립 및 결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더 나가아, 최근에는 서버형 결제, 셀프(Self) 결제 등 새로운 유형의 결제 서비스들도 주목받고 있어, 모바일결제서비스의 영역은 점점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모바일결제 서비스들은 지갑이 필요 없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지만, 결제시 출력 및 제공되는 '종이 영수증'으로 인해 이러한 서비스의 편의성이 퇴색되고 있다.
이에, 지식경제부는 2012년 5월 31일부터 죽전 일 백화점을 시작으로 기존의 종이 영수증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 영수증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영수증 시스템은 영수증을 전자형태(전자 영수증)로 스마트폰 등에 발급하여 종이 영수증 없이도 상품의 교환 환불이 가능토록 한 시스템이다. 이 같은 전자 영수증은 스마트폰에 발행 및 보관될 수 있어, 영수증의 자원소비율, 저장 및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영수증 시스템은 NFC 통신용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NFC 기능이 내장된 전자 결제기에 접촉함에 따라 전자 결제와 함께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런데 NFC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시스템은 NFC 기능을 수동으로 활성화하거나 상시 활성화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필수적으로 USIM 카드가 필요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자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은, 현금 결제 및 신용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사항에 대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을 기설정된 비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에 따라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Speaker)로 출력하는 매장 단말; 및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단말은, 현금 결제 및 신용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사항에 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는 영수증 생성부; 상기 전자 영수증을 기설정된 비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의해 용이하게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 단말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변복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10)은 매장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10)은 영수증 서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장 단말(120)은 신용카드 결제기 및 POS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결제사항에 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한다.
이때, 매장 단말(120)은 신용카드 결제기 및 POS 기기 중 하나와 일체형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단말(120)은 각 매장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POS 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매장 단말(120)은 신용 결제 또는 현금 결제에 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변조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 단말(120)은 전자 영수증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수신, 복조 및 재생에 필요한 구성요소의 전원을 온시킬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매장 단말(120)은 생성된 전자 영수증을 영수증 서버(130)로 전송하여 영수증 서버(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매장 단말(120)은 영수증 서버(130)와 다양한 통신 방식(예컨대, WiFi, 인터넷, RF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영수증 서버(130)는 전자 영수증 또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보관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영수증 서버(130)의 웹 주소에 접속하여 전자 영수증 또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변조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조하여 전자 영수증을 추출할 수 있다.
영수증 서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정보 및 결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후 저장된 전자 영수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수증 서버(130)는 신용카드 결제서버일 수도 있으며, 결제서버(미도시)와 별개로 전자 영수증 보관을 위해 구성된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는 전자 영수증 발급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매장 단말(120)로부터의 전자 영수증을 표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10)의 마이크를 통해 전자 영수증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방식으로 복조하여 전자 영수증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일 수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기 전에, 결제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거치고, 사용자 인증 성공의 경우에만 전자 영수증을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결제 요청에서부터 전자 영수증 표출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는 전자 결제용(핀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등록된 결제카드 정보를 이용한 전자결제를 요청하고, 이후 전자결제가 승인됨에 따라 전자 영수증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면, 결제카드 정보 또는 기설정된 다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해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의 사용시, 통신 영역을 결정하는 스피커의 볼륨 크기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매장 관리자는 매장 프론트에 작은 스피커를 구비하고, 프론트 스피커에 매우 근접한 현재 결제를 이용중인 사용자 단말(110)에만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전송되도록 프론트 스피커의 볼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매장 관리자는 매장 내 구비된 어느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영수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스피커는 매장 내 프론트 내 사용자 단말(110)에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 이외의 매장 내 단말도 전자 영수증을 수신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전자 영수증은 표출되지 않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 인증은 자동으로 인증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120)은 결제사항에 대한 종이 영수증을 발급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120)은 결제정보를 이용한 매장매출 관리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영수증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장 및 사용자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용이하게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고, 그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이크를 수신 수단으로 이용하므로, 전자 영수증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을 활성화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영수증 또는 그 결제정보를 매장 매출 관리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변복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120)은 영수증 등록부(121), 변조부(122), 재생수단(123), 스피커(124) 및 통계처리부(125)를 포함한다.
영수증 등록부(121)는 신용카드 결제기 또는 POS 기기로부터 처리된 결제사항에 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한다.
이때, 영수증 등록부(121)는 신용카드 결제서버 또는 POS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결제사항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영수증 등록부(121)는 종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신용결제에 이용되는 신용카드 결제기 또는 종래의 POS 기기로부터 결제사항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정보를 이용해 전자 영수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영수증 등록부(121)는 신용카드 결제기 또는 POS 기기와 외부 인터페이스 예컨대, RJ45, RS-232, USB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수증 등록부(121)는 생성된 전자 영수증을 영수증 서버(130)에 송신하여 등록 및 저장시킬 수 있다.
변조부(122)는 생성된 전자 영수증을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해 기설정된 방식으로 변조함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변조부(122)는 소프트웨어 코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영수증은 총 64비트로 구성되고, 8비트의 헤더 정보, 48비트의 페이로드 및 8비트의 오류정정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페이로드에는 결제금액, 결제카드 코드, 카드사 구분코드, 결제시각 코드 및 매장 구분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영수증을 구성하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류정보코드는 체크섬(Check Sum), 패리티 비트(Parity bit),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등일 수 있다.
이때, 페이로드에는 전자 영수증에 관련된 웹 UR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URL은 영수증 서버(130)의 URL일 수도 있다.
또는, 페이로드에는 결제정보가 아닌 전자 영수증을 제공 가능한 웹 URL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웹 URL에 접속하여 전자 영수증을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는 18.8kHz 내지 22kHz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비가청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변조 방식은 전자 영수증을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QAM(Quar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일 수 있다.
일 예로서, F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매장 단말(120)은 전자 영수증을 구성하는 복수의 비트(예컨대, 64bit)를 18.8kHz 내지 22kHz 대역에서 40Hz 간격의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기설정된 순서로 이용해 변조함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A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매장 단말(120)은 도 3과 같이 전자 영수증의 각 비트를 18.8kHz 내지 22kHz 대역에서 하나의 주파수로 진폭 변조함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재생수단(123)은 변조부(122)에 의해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124)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재생수단(123)은 매장 단말(120)과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스피커(124)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 가능한 스피커로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124)는 매장 단말(120)과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통계처리부(125)는 기간별 결제 총액, 각 결제 내역, 기간별 매출액, 결제 금액별 사용자 수, 기간별 결재 수 및 요일별 결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자 영수증을 이용하여 매장 매출을 관리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계처리부(125)는 이후 매장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통계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등록부(121), 변조부(122) 및 통계처리부(125)는 POS 기기 등의 매장 단말(1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매장 단말(120)과 별개의 PC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피커(124)는 POS 기기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고, 별개의 PC 등에 구비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등록부(121), 변조부(122) 및 통계처리부(125)를 포함하는 매장 단말(120)은 매장 외에 구비된 단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매장 단말(120)은 기설정된 통신 방식(예컨대, SMS, 이메일 등)으로 매장 내 스피커(124)로 소리를 출력하는 재생수단(예컨대, 라디오 등)에 전자 영수증을 전달하고, 재생수단(123)에 의해 전자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재생수단은 기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매장 단말(120)로부터 전자 영수증을 수신하고, 거의 실시간으로 전자 영수증을 출력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120)은 베이스음원 제공부(126)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음원 제공부(126)에 의해 선택된 베이스음원을 전자 영수증의 출력 전, 중 또는 후에 전자 영수증의 출력을 알리는 소리 예컨대, "전자 영수증 발급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120)은 전자 영수증의 송신 전에 사용자 단말(110)의 비가청 주파수 신호 수신, 복조 및 표출을 위한 구성요소의 전원을 온하도록 사용자 단말(1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매장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스피커(124)가 아닌 다른 무선통신방식 예컨대, WiFi, Bluetooth, 4G(SMS) 등으로 전원 온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영수증 발행 기기(매장 단말)에 사용자 단말을 접속하는 등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전자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어, 특히 마트 등과 같이 전자 영수증을 발급 횟수가 많은 매장에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부(111), 복조부(112), 인증부(113) 및 표출부(114)를 포함한다.
수신부(111)는 마이크로서, 매장 단말(120)로부터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부(112)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복조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전자 영수증을 추출한다. 예컨대, 복조부(112)는 소프트웨어 코덱일 수 있다. 이때, 복조부(112)는 추출된 전자 영수증에 부가된 오류정정코드를 이용하여 추출된 전자 영수증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부(112)는 전자 영수증의 유효성 검증에 실패한 경우, 전자 영수증이 송신중에 훼손된 경우 등에 전자 영수증 추출에 실패하였음을 표출부(114)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인증부(113)는 전자 영수증의 표출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인증정보, 결제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증부(113)는 결제정보 중 적어도 일부이거나 결제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증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인증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증부(113)는 결제시에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단말(110)의 USIM 등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표출부(114)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전자 영수증, 유효성 검증 결과 및 인증 성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매장 단말(120)의 지시에 따라 수신부(110)의 바이어스 전원, 복조부(112), 인증부(113), 표출부(114)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매장 단말(120)은 스피커(124)가 아닌 다른 무선통신방식 예컨대, WiFi, Bluetooth, 4G(SMS) 등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비가청 주파수 수신, 복조 및 재생을 위한 구성요소의 전원 온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에 전자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에 따라 용이하게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장 단말(120)은 현금결제 또는 신용결제 처리에 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고(S510), 전자 영수증을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S520).
이때, 매장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증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 및 결제용 사인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정보는 USIM 번호,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면,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전자 영수증을 추출한다(S530).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540),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전자 영수증을 표출한다(S550).
일 예로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입력된 인증정보 또는 기설정된 인증정보와 전자 영수증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영수증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USIM 정보 중 적어도 일부)와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영수증에 포함된 결제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표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영수증을 수신하기 이전에 결제정보의 적어도 일부(결제카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이후 전자 영수증으로부터 해당 결제카드 정보를 확인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5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장 및 사용자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용이하게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고, 그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매장 단말 130: 영수증 서버
111: 수신부 112: 복조부 113: 인증부
114: 표출부 121: 영수증 등록부 122: 변조부
123: 재생수단 124: 스피커 125: 통계처리부
126: 베이스음원 제공부

Claims (12)

  1. 현금 결제 및 신용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사항에 대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을 기설정된 비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에 따라 생성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스피커(Speaker)로 출력하는 매장 단말; 및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현하는 각 비트를 18.8kHz 내지 22kHz 주파수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및 QAM(Quar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상기 전자 영수증 또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영수증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영수증 서버에 저장시키며,
    상기 영수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전자 영수증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종이 영수증을 발급하는 구성요소 또는 외부 구성요소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종이 영수증을 발급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POS 기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기간별 결제 총액, 각 결제 내역, 기간별 매출액, 결제 금액별 사용자 수, 기간별 결재 수 및 요일별 결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계처리한 결과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매장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증정보와 자체 저장된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영수증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9. 현금 결제 및 신용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사항에 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는 영수증 생성부;
    상기 전자 영수증을 기설정된 비가청 주파수로 변조함에 따라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를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 발급 단말.
  10. 제9항에서,
    상기 전자 영수증을 이용하여 기간별 결제 총액, 각 결제 내역, 기간별 매출액, 결제 금액별 사용자 수, 기간별 결재 수 및 요일별 결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계처리한 결과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통계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 발급 단말.
  11. 제9항에서,
    상기 영수증 생성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며,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전자 영수증을 표출하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에 사용되는 것인 전자 영수증 발급 단말.
  12. 제9항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기 전, 중 또는 후에 가청 주파수의 영수증 발급을 알리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에 제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베이스음원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수증 발급 단말.
KR1020150162725A 2015-11-19 2015-11-19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5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25A KR101759107B1 (ko) 2015-11-19 2015-11-19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25A KR101759107B1 (ko) 2015-11-19 2015-11-19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736A true KR20170058736A (ko) 2017-05-29
KR101759107B1 KR101759107B1 (ko) 2017-07-18

Family

ID=5905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25A KR101759107B1 (ko) 2015-11-19 2015-11-19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412A (ko) * 2018-11-14 2020-05-29 주식회사 샵온에어 결제단말과 연결 가능한 커넥터 장치, 결제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무선단말 전송용정보를 판별하는 커넥터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결제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추출하는 커넥터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사용자 무선단말로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고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게 하는 커넥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412A (ko) * 2018-11-14 2020-05-29 주식회사 샵온에어 결제단말과 연결 가능한 커넥터 장치, 결제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무선단말 전송용정보를 판별하는 커넥터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결제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추출하는 커넥터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사용자 무선단말로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고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게 하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07B1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less payment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s attachment
US9218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 time mutable credit card information
US9105025B2 (en) Enhanced near field communications attachment
US9361444B2 (en) Card for interaction with a computer
CN111656380B (zh) 用于在进行电子钱包支付时支持具有增强的安全方法的自动Wi-Fi连接的电子装置和方法
JP2018510592A (ja) 動的な暗号化方法、端末、およびサーバ
CN103119977A (zh) 通信终端、无线装置、供应服务器以及无线通信系统
EP2725536A1 (en) Mobile device-based electronic pay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60145962A (ko) 역방향 nfc 결제를 위한 사용자 장치, nfc 결제 단말기, 그를 포함하는 역방향 nfc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501070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apparatus,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system, application software initiating method, and appication software initiating program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20130311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ing for a product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1759107B1 (ko) 전자 영수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4208A (ko) 미드레인지 판독기 상호작용
KR20150080658A (ko) 상품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5505147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電子機器関連付けシステム
CN114207647A (zh) 信息处理装置、支付处理系统、方法以及程序
WO2015184114A1 (en) Enhanced near field communications attachment
WO2020058861A1 (en) A payment authentication device, a payment authent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authenticating payment
KR101784220B1 (ko)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카드 정보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WO2006038546A1 (ja) 移動体端末装置
JP2014232381A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JP2021022303A (ja) Id−pos情報生成サーバー、情報処理システム、id−pos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1999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決済完了確認システム
KR20130056508A (ko) 모바일 쿠폰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