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521A - 가금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가금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521A
KR20170058521A KR1020150162180A KR20150162180A KR20170058521A KR 20170058521 A KR20170058521 A KR 20170058521A KR 1020150162180 A KR1020150162180 A KR 1020150162180A KR 20150162180 A KR20150162180 A KR 20150162180A KR 20170058521 A KR20170058521 A KR 2017005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rd
sensor
algae
poul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배
Original Assignee
조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배 filed Critical 조성배
Priority to KR102015016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521A/ko
Publication of KR2017005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2Perches for poultry or birds, e.g. roo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육 또는 양육 조류의 계측 및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가금관리장치가 제공된다. 가금관리장치는, 일 측으로 연장된 홰(perch), 홰를 분할하여 홰에 조류 개체가 앉을 수 있는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분할판, 홰의 개체안착공간 중에 위치하여 조류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개체감지부, 및 홰에 연결되며 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홰에 앉은 적어도 한 개체의 조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금관리장치{Apparatus for managing poultry}
본 발명은 조류 사육 및 양육을 위한 가금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육 또는 양육 조류의 계측 및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가금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요에 의해 인간에게 사육 또는 양육된 조류를 가금(poultry)이라 부른다. 가금은 대개 식용을 목적으로 사육된다. 대표적으로는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이 있고 그 밖에 식용이 아닌 관상용으로 양육된 가금도 있다. 이러한 가금들은 대개 농장이나 사육장 등에서 대량으로 관리된다.
예를 들어, 닭과 같은 식용 조류의 경우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전문화된 공급업체에서 대량 사육하는 경우가 많다. 사육대상 조류는 생장기간, 발육 정도, 무게 등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분된 대상 조류는 각각 다른 등급으로 다른 시점에 시장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조류 사육 및 양육에 있어서 조류의 생장상태나 발육상태 등의 계측이 수반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계측이 이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대상 조류의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 이러한 계측은 인력이나 자동화된 포획기구 등을 이용하여 개체들을 포획하고, 포획한 개체들로부터 관리자가 직접 표본을 채집하여 진행할 수밖에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대상 조류의 사육 량이 증가하면 표본 량이나 채집 회수 등도 증가되어야 하므로 관리자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표본의 선정도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이와 같이 계측 및 검사가 부정확하면 그에 따라 조류의 생장상태나 출하시점 등을 조정하는 관리작업 역시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사육 및 양육이 원하는 대로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61047호, (2000.07.01), 도면 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육 또는 양육 조류의 계측 및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가금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금관리장치는, 일 측으로 연장된 홰(perch); 상기 홰를 분할하여 상기 홰에 조류 개체가 앉을 수 있는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분할판; 상기 홰의 상기 개체안착공간 중에 위치하여 조류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개체감지부; 및 상기 홰에 연결되며 상기 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홰에 앉은 적어도 한 개체의 조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홰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체감지부는 조류 개체와 접촉하여 작동하는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체감지부는 조류 개체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판은 복수 개가 상기 홰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개체감지부는 복수 개가 상기 홰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홰의 하중 변화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금관리장치는, 상기 개체감지부로부터 송출된 개체감지신호 및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송출된 무게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홰에 앉은 조류의 무게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개체감지신호와 상기 무게감지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홰에 앉은 조류의 개체별 무게를 실측값 및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홰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홰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상으로 이동하는 조류를 상기 홰를 향해 가이드하는 경사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류 사육 또는 양육 시 개체들의 계측 및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농장이나 사육장 등에서 대량 사육되는 조류 개체들을 포획하거나 별도로 표본을 채집하지 않고도 대상 조류 스스로의 움직임에 의해 개체들의 전반적인 발육상태를 용이하게 계측하고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의 부담이 크게 경감되는 동시에 신뢰도 높은 계측자료를 확보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계측자료를 바탕으로 대상 조류에 대한 관리를 보다 면밀하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조류 사육 및 양육과정이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금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무게감지부, 개체감지부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의 처리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분할판 및 개체감지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조류'는 가금(poultry)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류는 가금류 중 닭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금관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금관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금관리장치(1)는 일 측으로 연장된 홰(perch)(100), 홰(100)를 분할하여 홰(100)에 조류 개체가 앉을 수 있는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을 형성하는 분할판(200), 홰(100)의 개체안착공간(201) 중에 위치하여 조류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개체감지부(300), 및 홰(100)에 연결되며 홰(10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홰(100)에 앉은 적어도 한 개체의 조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400)를 포함한다. 조류(도 1의 A참조)는 스스로 이동하여 홰(100)에 앉거나 앉은 자리를 이탈하며 자유롭게 움직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금관리장치(1)는 조류(A)들이 스스로 움직여 홰(100)에 앉는 때 개체감지부(300)와 무게감지부(4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체의 무게를 측정한다. 따라서,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를 자유롭게 움직이는 조류(A)들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방해하거나, 개체 일부를 포획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하고, 조류(A)의 생장이나 발육상태 등을 매우 편리하게 계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닭과 같은 가금(poultry)의 경우 지상 보다 안전한 홰에 올라가 수면하는 습성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자발적인 계측이 가능하며, 특히, 홰에서의 수면시간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분할판(200)으로 홰(100)를 분할하여 구획한 구조와, 개체감지부(300) 및 무게감지부(400)를 동시에 활용하는 계측 구조를 이용하여, 조류(A) 개체의 무게 변화와 관련한 여러 데이터를 높은 신뢰도로 편리하게 축적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조류(A)의 발육상태, 생장상태 등을 파악하고 사육조건을 알맞게 변화시켜 출하시기를 맞추거나 조정하는 등의 관리 또한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홰는 일 측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지면(B)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홰(100)는 사육 대상 조류(도 1의 A참조)가 용이하게 앉을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홰(100)는 일 측으로 연장되되 홰(100)의 일부가 굴절되거나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홰(100)는 직선상의 바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직선이 아닌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홰(100)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다각형이거나, 그 밖의 비정형적인 형상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일 측으로 연장된 다양한 형상의 홰(100)를 형성할 수 있다.
홰(100)는 무게감지부(400)와 연결바(110)를 통해서 연결된다. 연결바(110)는 홰(100)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연결바(110)를 홰(100)와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연결바(110)는 홰(100)의 무게, 조류(A)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이를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결바(110)는 홰(100)와 무게감지부(400)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무게감지부(400)의 형상이나 구조, 작동방식, 배치상태 등에 대응하여 바가 아닌 와이어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홰(100)와 무게감지부(4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재 없이 홰(100)를 무게감지부(400)와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홰(100)와 무게감지부(400)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무게감지부(400)는 홰(100)의 중량 변화, 압력 변화, 또는 변위 등을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해 홰(100)의 하방이나 측방 등에도 연결될 수 있다.
분할판(200)은 홰(100)를 분할하여 홰(100)에 조류(A)가 앉을 수 있는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을 형성한다. 분할판(200)은 홰(100)에 결합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홰(100)를 구획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된 개체안착공간(201)을 형성한다. 개체안착공간(201)은 조류(A)의 품종, 개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개체 하나가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의 너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분할판(200)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분할판(200)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며(후술하는 변형례 참조) 이를 통해 개체안착공간(201)의 크기를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분할판(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홰(10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닭과 같이 대량 사육되는 조류(A)의 출하시기는 통상 그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되므로, 분할판(200) 사이의 간격 즉, 개체안착공간(201)의 너비를 출하시점에 요구되는 개체 크기에 맞도록 설정하면 출하시점 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출하시점의 조류 무게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홰(100)의 개체안착공간(201) 중에는 개체감지부(300)가 형성된다. 개체감지부(300)는 개체안착공간(201)에 위치하여 조류(A)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판(200)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 각각에 개체감지부(300)가 일대 일로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개체감지부(300)는 예를 들어, 조류(A) 개체와 접촉하여 작동하는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조류(A) 개체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리적 접촉에 의한 기계적 방식이나 비접촉 센싱방식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조류(A) 개체의 안착여부를 용이하게 감지 가능한 개체감지부(300)를 구성할 수 있다.
개체감지부(300)가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치의 접점부분이 홰(100)의 상방(즉, 조류가 홰를 파지하는 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물리적 접촉에 의한 감지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개체감지부(300)가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개체안착공간(201) 주위로 매개신호를 전파하고 이의 반사체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의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접촉 센싱의 방식으로 개체감지부(300)를 형성하는 경우 센싱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센서 배치를 보다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접촉시 스위치나 근접센서를 모두 활용하여 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조류(A) 개체를 감지하는 개체감지부(300)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무게감지부(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홰(100)에 연결되며 홰(10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홰(100)에 앉은 조류(A)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감지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홰(100)와 연결될 수 있다. 홰(100)에 연결된 무게감지부(400)는 조류(A)의 안착에 대응하여 홰(100)의 무게변화를 감지하며 이를 통해 홰(100)에 앉은 적어도 한 개체의 조류(A)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감지부(400)는 예를 들어, 홰(100)의 하중 변화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드셀, 압력센서, 변위센서, 가속도센서 등 위치변화, 압력변화, 외력변화 등을 직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 가능한 여러 가지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무게감지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무게감지부(400)는 지면(B)과 연결된 지지대(41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가금관리장치(1)는 지면(B)으로부터 홰(100)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가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경사가이드부(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홰(10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상으로 이동하는 조류(도 1의 A참조)를 홰(100)를 향해 가이드한다. 따라서, 사육 대상 조류(A)는 경사가이드부(420)를 따라 이동하여 홰(100)까지 매우 용이하게 도달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홰(100)의 양 편으로 경사가이드부(420)를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조류(A)개체가 경사가이드부(420)를 따라 홰(100)를 향해 용이하게 오르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경사가이드부(420)는 일단부가 지면(B)에 삽입되거나 지면(B)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지면(B)과 경사가이드부(420) 사이에 경사진 받침부재 등을 설치하여 경사가이드부(420)의 경사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경사가이드부(420)는 홰(100)를 향해 상향 경사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가이드부(4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조류(A)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경사가이드부(4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형상,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굴절판 형상, 사다리 형상, 그물이나 망체 형상과 같은 조류(A)가 이동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경사가이드부(4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판(200)에 의해 홰(100)에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이 형성되고, 경사가이드부(420)가 조류(A)를 홰(100)의 개체안착공간(201)으로 유도하고, 개체안착공간(201) 중에 위치한 개체감지부(300)는 조류(A)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한다. 동시에, 무게감지부(400)는 홰(100)의 무게변화를 감지한다. 따라서, 무게감지부(400)가 감지한 홰(100)의 무게변화와 개체감지부(300)가 감지한 개체 안착여부를 상호 비교하여 홰(100)에 앉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류(A) 개체의 무게를 매우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개체감지부(300) 및 무게감지부(400)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의 처리구조와 무게측정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무게감지부, 개체감지부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의 처리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가금관리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처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체감지부(300)로부터 송출된 개체감지신호(S1) 및 무게감지부(400)로부터 송출된 무게감지신호(S2)를 입력받고 홰(도 1 내지 도 3의 100참조)에 앉은 조류의 무게를 산출하는 연산부(500)를 포함한다. 연산부(500)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고 일정한 산식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계산하는 처리프로세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연산부(500)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0)와, 연산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니터부(70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500), 메모리부(600), 모니터부(700)는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에 개체감지부(300), 무게감지부(400) 등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으나, 농장이나 사육장 외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개체감지부(300)와 무게감지부(400)는 연산부(5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산부(500)는 개체감지신호(S1)와 무게감지신호(S2)를 상호 비교하여 홰(100)에 앉은 조류의 개체별 무게를 실측값 및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도 1 및 도 3의 201참조)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300)로부터 단일 개체에 대한 개체감지신호(S1)가 송출되고, 무게감지부(400)로부터 무게감지신호(S2)가 송출되면 연산부(500)는 감지된 단일 개체에 대한 무게를 개체의 실측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 중 둘 이상의 개체감지부(300)로부터 개체감지신호(S1)가 송출되고, 무게감지부(400)로부터 무게감지신호(S2)가 송출되면 연산부(500)는 감지된 개체의 대한 무게를 감지된 개체의 수로 나누어 개체의 평균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체감지신호(S1)와 무게감지신호(S2)를 상호 비교하여 신뢰도 높은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조류 개체로부터 자연스럽게 측정된 것이고, 관리자 등에 의해 선택된 개체로부터 측정된 것이 아니므로 가금관리장치가 설치된 농장이나 사육장 내 조류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장치가 가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계측결과를 용이하게 축적할 수 있다. 이를 후속하는 관리작업 등에 매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분할판 및 개체감지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분할판(200) 및 개체감지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장치의 적용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할판(200)은 복수 개가 홰(1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개체감지부(300) 역시 복수 개가 홰(10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홰(100)의 서로 다른 지점에 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0, 130)을 형성하고, 각각의 가이드레일(120, 130)에 서로 다른 셔틀(210, 3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각각의 셔틀(210, 310)에 개체감지부(300)와 분할판(200)을 연결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셔틀(210, 310)과 각 셔틀(210, 310)에 연결된 개체감지부(300) 및 분할판(200)을 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할판(200) 사이의 간격, 개체감지부(300) 사이의 간격, 또는 개체감지부(300)와 분할판(200) 사이의 간격 등을 상호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호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조류(A) 품종 등에 대응하여 개체안착공간(201)을 조절할 수 있고 보다 큰 품종의 조류(A) 또는 보다 작은 품종의 조류(A)에 대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계측 및 관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품종의 조류(A) 성장에 따른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출하시기의 개체 크기로 개체안착공간(201)을 고정함으로써 출하시점의 개체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체감지부(300) 역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변화된 개체안착공간(201) 중의 보다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개체 안착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체의 성장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단일 종의 조류(A)나 또는 종이 다른 조류(A) 등을 사육 및 양육하는 데 본 발명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가금관리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가금관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금관리장치(1)는 홰(100), 분할판(200), 개체감지부(300), 무게감지부(400), 경사가이드부(420)가 모두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연산부(500)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대(410) 등을 이용하여 홰(100)와 무게감지부(300)를 지면(B)에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면(B)은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조류(A)는 농장이나 사육장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경사가이드부(420) 등을 따라서 홰(100)에 올라가기도 하고 홰(100)로부터 내려올 수도 있다. 분할판(200)에 의해 형성된 개체안착공간(201)으로 이동한 조류(A) 개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201) 중 어느 하나에 안착한다.
이에 따라 개체감지부(300)는 개체감지신호(S1)를 송출하고 동시에 무게감지부(400)는 무게감지신호(S2)를 송출한다. 개체감지신호(S1)와 무게감지신호(S2)는 모두 연산부(500)에 전송되며 연산부(500)는 이를 비교하여 해당 개체의 무게 실측값을 산출한다. 이 때, 무게감지신호(S2)로부터 전달받은 무게변화의 데이터는 개체감지부(300)가 감지한 단일 개체의 무게에 해당하므로 이를 해당 조류(A) 개체의 무게 실측값으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실측값의 데이터는 조류(A)의 양육상태를 충실히 반영하므로 조류(A)의 개체의 생장이나 발육을 관리하는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류(A) 개체가 서로 다른 개체안착공간(201) 각각에 동시에 안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개체감지부(300)는 개체감지신호(S1)를 송출하고 무게감지부(400)는 무게감지신호(S2)를 송출하며 연산부(500)가 이를 비교하여 해당 개체의 무게값을 산출한다. 이 때, 개체감지신호(S1)는 서로 다른 개체감지부(300)로부터 복수 개가 전송되므로 연산부(500)는 이를 인식하여 무게감지신호(S2)로부터 전달받은 무게변화의 데이터를 감지된 조류(A) 개체의 수만큼의 개수로 나눈 값을 개체의 무게값으로 산출한다. 즉, 복수의 조류(A)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홰(100)의 무게변화를 안착된 개체의 수로 분배하여 무게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평균값은 조류(A) 군집의 평균적인 발육 정도, 생장 정도를 판별하는 데 매우 유용한 척도로 활용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출하시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분할판(200)으로 홰(100)를 분할하여 개체안착공간(201)을 형성하고, 개체안착공간(201)에 형성된 개체감지부(300)와 홰(100) 전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400)를 함께 이용하여 조류(A) 개체 무게의 실측값, 평균값 등 양육관련 계측 데이터를 매우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취득한 계측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사육조건을 변경하거나 출하시기를 조정하는 등 후속하는 관리작업을 매우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개체안착공간(201)에 둘 이상의 개체가 있어 발생하는 무게 측정값 등 평균값에서 오차범위를 넘는 값은 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거나 제외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조류(A)가 홰에 자주 오르내림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개체안착공간(201)에 일정 시간 머무는 경우의 측정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홰에서 보다 안전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조류(A)의 특성상 조류(A)의 수면시간을 고려하여 일정시간 이상 변동 없이 측정된 측정값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가금관리장치 100: 홰(perch)
110: 연결바 120, 130: 가이드레일
200: 분할판 201: 개체안착공간
210, 310: 셔틀 300: 개체감지부
400: 무게감지부 410: 지지대
420: 경사가이드부 500: 연산부
600: 메모리부 700: 모니터부
S1: 개체감지신호 S2: 무게감지신호
A: 조류 B: 지면

Claims (8)

  1. 일 측으로 연장된 홰(perch);
    상기 홰를 분할하여 상기 홰에 조류 개체가 앉을 수 있는 복수 개의 개체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분할판;
    상기 홰의 상기 개체안착공간 중에 위치하여 조류 개체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개체감지부; 및
    상기 홰에 연결되며 상기 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홰에 앉은 적어도 한 개체의 조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감지부를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감지부는 조류 개체와 접촉하여 작동하는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감지부는 조류 개체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복수 개가 상기 홰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가금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홰의 하중 변화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감지부로부터 송출된 개체감지신호 및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송출된 무게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홰에 앉은 조류의 무게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개체감지신호와 상기 무게감지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홰에 앉은 조류의 개체별 무게를 실측값 및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로 산출하는 가금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홰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홰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상으로 이동하는 조류를 상기 홰를 향해 가이드하는 경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가금관리장치.
KR1020150162180A 2015-11-19 2015-11-19 가금관리장치 KR20170058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80A KR20170058521A (ko) 2015-11-19 2015-11-19 가금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80A KR20170058521A (ko) 2015-11-19 2015-11-19 가금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21A true KR20170058521A (ko) 2017-05-29

Family

ID=5905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180A KR20170058521A (ko) 2015-11-19 2015-11-19 가금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5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3445C1 (ru) * 2017-08-24 2018-11-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нек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вешивания птицы
KR20190030082A (ko) * 2017-09-13 2019-03-21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패턴인식 기반의 가금류 무게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1076A1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이모션 식용 가금류의 평균중량 산출 및 출하관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출하관리 방법
WO2022025354A1 (ko) *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에스티엔 가금류 무게 측정 및 무게 추정 시스템
WO2024016064A1 (pt) * 2022-07-18 2024-01-25 Hartwig Leonidia Leitzke Equipamento robotizado para a pesagem de av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3445C1 (ru) * 2017-08-24 2018-11-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нек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вешивания птицы
KR20190030082A (ko) * 2017-09-13 2019-03-21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패턴인식 기반의 가금류 무게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1076A1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이모션 식용 가금류의 평균중량 산출 및 출하관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출하관리 방법
WO2022025354A1 (ko) *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에스티엔 가금류 무게 측정 및 무게 추정 시스템
WO2024016064A1 (pt) * 2022-07-18 2024-01-25 Hartwig Leonidia Leitzke Equipamento robotizado para a pesagem de a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521A (ko) 가금관리장치
EP2133672B1 (de) Geflügelwaage
CN114051377B (zh) 基于3d成像的动物体重测定
US11129368B2 (en) Weighing module for a nest in a poultry management system and nest
KR101789738B1 (ko) 축사 내의 가금류 체중 자동 계측 시스템
JP6579671B2 (ja) 動物の運動量測定方法
CN103404447B (zh) 采集用于建立肉鸡生活环境舒适性评价模型数据的方法和专用装置
CN212589620U (zh) 对家畜的活动进行检测的活动检测设备
BR112013007368B1 (pt) “sistema para medir as posições relativas de uma perna dianteira e uma perna traseira de um ungulado em pé
Alvarenga et al. Discrimination of biting and chewing behaviour in sheep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KR102377460B1 (ko) 중량 측정 장치를 이용한 가축 생계 균일도 관리 시스템
CN212279414U (zh) 采蛋装置
JP6479364B2 (ja) 家禽の健康状態診断装置
KR102229933B1 (ko) 가금류 무게측정용 저울 및 이를 이용한 가금류 생체 측정 시스템
WO2016194350A1 (ja) ニワトリの体重算出方法とニワトリの成長監視システム
JPS59166027A (ja) 飼育施設内の家畜群の体調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8089343A2 (en) Method and system for weighing confined livestock, such as penned pigs
KR102246981B1 (ko) 사육 가금류의 중량 측정 시스템
US11675074B2 (en) Device for locating objects in an animal house
JP2003114145A (ja) 家畜等の体重測定器および体重計測施設並びに自動体重計測装置
KR102492606B1 (ko) 가금류 사료 측정을 이용한 증체율 산출 시스템
CN216483418U (zh) 一种蛋鸡体重智能监测设备
JP2016086765A (ja) 動物用の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
US20190041253A1 (en) Scales for Weighing Piglets
KR102001538B1 (ko) 생계 균일도 추정 및 관리 시스템과 이들의 추정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