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621A -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 Google Patents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621A
KR20170057621A KR1020150160962A KR20150160962A KR20170057621A KR 20170057621 A KR20170057621 A KR 20170057621A KR 1020150160962 A KR1020150160962 A KR 1020150160962A KR 20150160962 A KR20150160962 A KR 20150160962A KR 20170057621 A KR20170057621 A KR 20170057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se
door handle
cov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호
Original Assignee
김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102015016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621A/ko
Publication of KR2017005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4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with inner rigid member and outer cover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도어 손잡이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즈 외면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체; 상기 내부 커버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체;를 마련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도어 전체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어의 로즈를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외부 커버체를 이용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가미하여 도어를 장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Cover for Door Handle}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 각각 방에 설치된 도어 손잡이의 로즈 부분을 도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재질로 감싸 주어 도어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문은 사용자가 문을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문의 내면과 외면에 설치된 도어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손잡이는 문 잠금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문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손잡이는 바 또는 구형이 많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
도어 손잡이에 마련되는 도어잠금장치는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크게 잠금뭉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실내외측도어커버(101, 102)와 그 실내외측도어커버(101, 102)에 결합되는 실내외측손잡이(103, 104)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측손잡이(104)에는 실외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키뭉치(105)가 결합되고, 실내측손잡이(103)에는 상기 키뭉치(105)를 회전시켜 해제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106)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실내외측손잡이(103, 104)에 회전레버(106)와 키뭉치(105)를 각각 설치시킴으로써, 공간과 구멍을 갖는 돌출부(107)가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로 실내외측손잡이(103, 104)의 디자인을 파지하는 부분에만 적용되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접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돌출된 돌출부(107)는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태의 도어잠금장치는 크게 잠금뭉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베이스(203)와 그 베이스(203)에 설치되는 실내외측손잡이(204, 20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203)의 노출을 방지하는 실내외측도어커버(201)(202)와 실내에서 잠금뭉치(200)를 제어하여 실외측손잡이(205)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핀(20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잠금장치는 돌출부와 키뭉치의 비적용으로 실내외측손잡이(204, 205) 부분에 다양한 디자인을 접목할 수 있으나 실외에서는 도어를 잠글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러함에 따라 도어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도어에 제약이 따른다. 즉, 현관문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어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의 실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내외측도어커버와 상기 실내외측도어커버에 설치되는 실내외측손잡이와 도어에 설치되어 실내외측손잡이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뭉치로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도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마련된 결합구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키잠금쇠가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도어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키잠금쇠의 일단에 결합되어 실외측손잡이가 잠금/해제 되도록 제어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도어손잡이 커버'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도어손잡이 커버는 소정 형상의 몸체에 도어의 손잡이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삽입공에 도어손잡이가 삽입되도록 도어에 부착되며, 상기 몸체는 다양한 형상과 칼라의 마블로 성형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1746호(2013년 1월 30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1999-008008호(1999년 2월 25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도어잠금장치는 외측 손잡이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맞게 제작되고 있으나, 손잡이 부분만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도어의 다른 부분과의 조화를 이룰 수 없고, 특히 실내외측 도어커버(12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도어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도어손잡이 커버는 손잡이 삽입공을 통해 도어손잡이 커버가 도어에 부착되기는 하지만 도어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손잡이의 로즈(rose) 부분을 감싸 주어 도어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손잡이의 로즈에 결합되어 도어 손잡이의 금속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도어 손잡이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즈 외면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체; 상기 내부 커버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체 및 상기 외부 커버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로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로즈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커버체는 상기 로즈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로즈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커버체 및 외부 커버체에는 각각 로즈의 단턱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각각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에 의하면, 목재로 이루어진 도어 전체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도어의 로즈를 석재, 종이,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외부 커버체를 이용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가미하여 도어를 원하는 색상, 디자인, 형상 등으로 자유로이 장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도어잠금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이용 커버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도어 손잡이(1)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즈(2) 외면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체(10); 상기 내부 커버체(10)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체(10) 및 상기 외부 커버체(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로즈(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로즈(3)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도어 손잡이(4)의 로즈(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도어(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1)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외부 커버체(20)는 목재 외에도 석재, 종이,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즈(3)는 도어 손잡이(4)의 키뭉치(2)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키뭉치(2)는 도어(1)에 장착되어 도어(1)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키뭉치(2)는 도어(1)에 장착되며, 키뭉치(2) 양측에는 각각 도어(1) 외부로 노출된 도어 손잡이(4)가 설치된다.
상기 키뭉치(2)는 도어(1)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키뭉치(2)의 양측, 즉 도어(1)의 양면에는 각각 키뭉치(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키뭉치(2)와 도어 손잡이(4)의 결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로즈(3)가 설치된다.
상기 로즈(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도어(1)의 양면에 각각 노출되어 있다.
상기 로즈(3)에는 도어 손잡이(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어 손잡이(4)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과 모양 또는 색깔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 손잡이(4)는 도어(1)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 색깔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상기 로즈(3)의 외면에 결합되어 도어(1)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로즈(3) 외면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체(10)와 상기 내부 커버체(10)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체(20)로 이루어진다.
이들 내부 커버체(10)와 외부 커버체(20)는 각각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도어 손잡이(4)가 관통되도록 각각 구멍(11, 2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커버체(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커버체(10)의 직경은 로즈(3)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로즈(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즈(3)는 동일한 규격품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 일부 로즈(3)의 경우, 직경이 규격품에 비하여 대략 1~2㎜ 정도의 오차가 있으므로, 내부 커버체(10)의 내면에는 로즈(3)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탈착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탈착돌기(1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부 커버체(1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구부린 것으로, 탈착돌기(12)는 내부 커버체(1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5의 도면상 탈착돌기(12)는 왼쪽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로즈(3)와 결합 시 탈착돌기(12)가 탄성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내부 커버체(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내부 커버체(10)가 로즈(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한다.
또한 탈착돌기(12)는 로즈(3)에 결합된 상태에서 로즈(3)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커버체(10)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을 갖는다.
상기 탈착돌기(12)는 내부 커버체(10)의 내면에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탈착돌기(12)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내부 커버체(10)가 도어 손잡이(4)의 중심을 향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탈착돌기(12)가 로즈(3)에 끼워지면서 로즈(3) 또는 도어 손잡이(4)의 편심에 관계없이 로즈(3)의 중심을 향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부 커버체(10)에는 로즈(3)와 동일한 단턱부(13)가 형성되며, 이는 로즈(3)의 노출 부분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 커버체(10)의 외면에는 외부 커버체(20)가 결합된다. 상기 외부 커버체(20)는 도어(1)와 동일한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도어(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도어(1)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외부 커버체(20)는 석재, 종이,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커버체(20)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또는 도안, 형상 등을 자유로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체(20)의 외면에는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디자인 등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 커버체(20)에는 도어 손잡이(4)가 관통되도록 구멍(21)이 형성되고, 구멍(21)의 외측에는 내부 커버체(10)의 단턱부(13)에 결합되는 단턱부(23)가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도어 손잡이(4) 중에서 도어(1)에 맞닿는 로즈(3)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으나, 로즈(3)는 목재로 이루어진 도어(1)와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금속 재질의 로즈(3)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도어(1)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상기 내부 커버체(10)는 로즈(3)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며, 로즈(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커버체(10)에는 도어 손잡이(4)가 관통되도록 구멍(11)을 형성하며, 구멍(11)의 외측에는 로즈(3)와 동일하게 단턱부(13)를 형성한다.
이는 내부 커버체(10)가 로즈(3)에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 커버체(10)의 내면에는 다수의 탈착돌기(12)를 형성하며, 상기 탈착돌기(12)는 직경이 작은 로즈(3)에 밀착되게 함은 물론 내부 커버체(10)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또는 설치)된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탈착돌기(12)는 내부 커버체(1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직경이 작은 로즈(3)의 외면에 밀착됨은 물론 탄성을 갖도록 결합되게 함으로써 내부 커버체(10)가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부 커버체(20)는 내부 커버체(10)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하며, 그 중앙에는 도어 손잡이(4)가 관통되도록 구멍(21)을 형성하며, 구멍(21)의 외측에는 내부 커버체(10)의 단턱부(13)에 대응되는 단턱부(23)를 형성한다.
이러한 외부 커버체(20)는 목재, 석재, 종이,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에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의 설치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는 도어 손잡이(4)의 로즈(3) 외면에 결합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4)가 도 6에서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의 도어 손잡이(4)인 경우에는 구멍(11)을 도어 손잡이(4)의 끝단에서부터 끼워 넣어 로즈(3)의 외면에 결합시킨다.
즉, 내부 커버체(10)는 도어 손잡이(4)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곧바로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커버체(10)는 도어 손잡이(4)를 따라 이동시켜 결합되며, 이때 탈착돌기(12)는 로즈(4)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로즈(3)의 직경이 내부 커버체(1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내부 커버체(10)는 로즈(3)의 외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상기 탈착돌기(12)는 내부 커버체(10) 쪽으로 휘어지면서 결합되어 로즈(3)의 외면에 더욱 강하게 결합된다.
상기 내부 커버체(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체(20)를 끼워 결합한다. 상기 외부 커버체(20)는 구멍(21)을 도어 손잡이(4)에 끼워 이동시킴으로써 로즈(3)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외부 커버체(20)는 내부 커버체(10)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어(1) 중에서 로즈(3)에 의해 노출된 금속을 덮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커버체(20)는 그 내면에 내부 커버체(10)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4)를 따라 로즈(3)에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도어 손잡이(4)에 내부 커버체(10) 및 외부 커버체(20)를 곧바로 끼워 결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키뭉치(2)로부터 도어 손잡이(4)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4)는 키뭉치(2)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 손잡이(4) 만을 키뭉치(2)로부터 잡아당김에 따라 분리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4)가 키뭉치(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내부 커버체(10) 및 외부 커버체(20)를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하거나 외부 커버체(20) 내면에 내부 커버체(10)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외부 커버체(20)를 로즈(3)에 끼워 결합한다.
이후 도어 손잡이(4)를 키뭉치(2)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며, 도 6에서와 같이 로즈(3)에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이용 커버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와 같은 외부 커버체(20)의 외면, 즉 표면에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외부 커버체(20)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취향에 따라 석재, 목재, 합성수지, 종이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재질 및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내부 커버체 11: 구멍
12: 탈착돌기 13: 단턱부
20: 외부 커버체 21: 구멍
23: 단턱부

Claims (3)

  1. 도어 손잡이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즈 외면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체;
    상기 내부 커버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체 및 상기 외부 커버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로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로즈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체는 상기 로즈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로즈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다수의 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체 및 외부 커버체에는 각각 로즈의 단턱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각각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KR1020150160962A 2015-11-17 2015-11-17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KR20170057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62A KR20170057621A (ko) 2015-11-17 2015-11-17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62A KR20170057621A (ko) 2015-11-17 2015-11-17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21A true KR20170057621A (ko) 2017-05-25

Family

ID=5905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62A KR20170057621A (ko) 2015-11-17 2015-11-17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4851A (zh) * 2018-10-10 2019-04-09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旋盖的易装拆门窗执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4851A (zh) * 2018-10-10 2019-04-09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旋盖的易装拆门窗执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714B2 (en) Replacement door handle
US8235431B2 (en) Door furniture mounting assembly
US20090229323A1 (en) Child safety cover
CN109072629A (zh) 覆盖把手座的盖体的卡止构造
KR20080000966U (ko) 창문 잠금장치용 손잡이
US20150273681A1 (en) Handle cover structure
KR20170057621A (ko) 도어 손잡이용 커버체
US20040123427A1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for a lock
US20080117622A1 (en) Foldable lighting device for barbecue stove
KR200484813Y1 (ko)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용 손잡이
WO2003009586A1 (en) Appliance with interchangeable face-plate
KR101937142B1 (ko) 교체형 장식부재를 갖는 가구용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JP6999278B2 (ja) ハンドル及びハンドルを備えた水栓
KR101600244B1 (ko)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GB2389141A (en) A lockable handle assembly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KR200481958Y1 (ko) 도어락용 사각 축
USD451780S1 (en) Knob and escutcheon portions of a thumb turn latch
KR101293341B1 (ko) 도어잠금장치
KR200225608Y1 (ko) 도어용 손잡이
JP3158496U (ja)
JP4430465B2 (ja) 防犯サムターン用キャップ
JP7013016B2 (ja) 錠前用台座構造体及び錠前
JPH0634526Y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